[go: up one dir, main page]

KR940003111B1 - 마찰 패드와 분리곡률판을 이용한 급지장치 - Google Patents

마찰 패드와 분리곡률판을 이용한 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111B1
KR940003111B1 KR1019910017641A KR910017641A KR940003111B1 KR 940003111 B1 KR940003111 B1 KR 940003111B1 KR 1019910017641 A KR1019910017641 A KR 1019910017641A KR 910017641 A KR910017641 A KR 910017641A KR 940003111 B1 KR940003111 B1 KR 940003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feeding
sheet
curvature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7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8528A (ko
Inventor
최홍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도리코
우석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도리코, 우석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도리코
Priority to KR1019910017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111B1/ko
Publication of KR930008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11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찰 패드와 분리곡률판을 이용한 급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부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단 급지롤러 1' : 전단 타이밍 기어
2 : 후단 급지롤러 2' : 후단 타이밍 기어
3 : 타이밍 벨트 4 : 곡률분리판
4' : 분리안내편 5 : 후단 마찰패드
6,9 : 가압용 스프링 7 : 급지판
8 : 전단 마찰패드 10 : 전자클러치
11 : 용지 11' : 최상용지
12 : 측판 13,14 : 축
15 : 돌기
본 발명은 복사기, 레이저 프린터등의 사무기기에 적용되는 급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찰패드와 곡률분리판을 이용한 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마찰패드를 이용한 급지장치는 용지의 다매적재 급지시에 여러장의 용지가 한꺼번에 급지(다매급지)되는 등으로 에러가 발생하며, 특히, 두꺼운 용지(엽서 등)의 급지시에는 에러가 자주 발생하여 다매적재 급지가 곤란하였다. 또한, 상기 다매급지를 방지하기 위하여 산출롤러(pick-up roller) 방식, 또는, FRR(Feed and Reverse Roller)방식의 급지장치가 대용되었으나, 제작비용이 높으며, 두꺼운 용지의 급지에 있어서 급지동작의 신뢰성을 얻기에는 불충분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매적재 급지시에 신뢰성 있는 용지의 자동분리와 두꺼운 용지의 급지시에도 용지의 정확한 분리급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급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동력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전자클러치 수단과, 상기 전자클러치 수단과 제1축으로 연결되어 급지판에 놓여진 용지를 급지하는 전단 급지수단과, 상기 전단 급지수단의 용지진행 방향으로 상기 급지판의 단부에 설치되고 일정한 경사를 갖는 곡률분리수단과, 제2축에 지지되면서 상기 전단 급지 수단과 타이밍벨트로 연결되고 상기 곡률분리수단의 중앙단부 상측면과 접촉되게 설치되는 후단 급지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부측면도이고, 제2도는 전체구성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1은 전단 급지롤러, 1'는 전단 타이밍기어, 2는 후단 급지롤러, 2'는 후단 티이밍 기어, 3은 타이밍벨트, 4는 곡률분리판, 4'는 분리안내편, 5는 후단 마찰패드, 6,9는 가압용 스프링, 7은 급지판, 8은 전단 마찰패드, 10은 전자클러치, 11은 용지, 11'은 최상용지, 12는 측판, 13,14는 축, 15는 돌기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동력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전자클러치(10)와, 상기 전자클러치(10)와 제1축(13)으로 연결되고 급지판(7)에 놓여진 용지의 선단에 맞춰져 설치되어 용지를 급지하는 전단 급지수단으로서 전단 급지롤러(1)와, 상기 전단 급지롤러(1)의 밑에 설치된 전단 마찰패드(8)와, 상기 전단 마찰패드(8)를 지지하는 가압용 스프링(9)과, 상기 전단 급지수단을 통과한 용지의 진행 방향으로 상기 급지판(7)의 단부에 설치되고 일정한 경사를 갖는 곡률분리 수단으로서의 곡률분리판(4)고, 제2축(14)에 지지되면서 전단 급지롤러(1)와 타이밍 벨트(3)로 연결되고 상기 곡률분기판(4) 중앙단부 상측면과 접촉되게 설치되는 후단 급지수단으로서의 후단 급지롤러(2)와, 상기 후단 급지롤러(2)의 밑에 설치된 후단 마찰패드(5)와, 상기 후단 마찰패드(5)를 지지하는 가압용 스프링(6)으로 구성된다.
이제,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전자클러치(10)가 전단 급지롤러(1)에 축(13)을 통하여 동력을 전달하면, 전단 급지롤러(1)와 가압용 스프링(9)에 의해 지지되는 전단 마찰패드(8)에 의해 급지판(7)에 놓여진 용지(11)중 최상단에 위치한 최상용지(11')를 선출하여 곡률분리판(4) 측으로 용지를 전송한다. 곡률분리판(4)에 도달한 용지는 경사각(θ)을 가지고 진행하게 된다.
이때, 다매급지된 경우, 즉, 상기 최상용지(11')와 함께 하측에 있는 용지(11)가 동시에 급지되었을 경우는 두꺼운 엽서와 같은 용지의경우, 용지의 뻣뻣함(stiffness)이 뛰어나 최상용지(11')는 앞으로 이동하고 같이 다매급지된 나머지 용지(11)는 상기 경사에 의해 곡률분리가 이루어져 최상용지(11')만 곡률분리판(4)을 타고 급지되며, 이때 또다시 후단 급지롤러(2)와 가압용 스프링(6)에 의해 지지되는 후단 마찰패드(5)에 이해 분리급지가 이루어진다.
또한, 엽서 보다 뻣뻣함이 뒤떨어지는 일반용지의 경우 전단 급지롤러(1)에서 다매급지가 이루어져 곡률분리판(4)을 지나며 곡률분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후단 급지롤러(2)까지 도달하더라도 곡률분리판(4)의 경사에 의해 용지간의 접합력을 떨어뜨리게 되므로 후단급지롤러(2)와 후단 마찰패드(5)에 의해 최상용지(11') 한장만의 급지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후단 급지롤러(2)의 구동을 위해 상기 전단 급지롤러(1)와 후단 급지롤러(2)의 일측에는 타이밍 기어(1',2')가 부착되어 티이밍 벨트로 상기 급지롤러(1,2)간을 타이밍 벨트(3)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경사각(θ)을 급지판(7)을 기준으로 70°로 설정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상기 곡률 분리판(4)에 상기 경사각(θ)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며, 용지(11)의 진행방향 안내와 접촉면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다수의 분리안내편(4')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률분리판(4)의 고정은 공지의 방법인 돌기(15)를 형성하여 측판(12)에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축(13,15)은 양단의 측판(12)에 고정설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발명은 2중으로 구성된 분리 급지수단과 분리 급지수단 사이에 일정한 경사각(θ)을 갖는 곡류분리판(4)을 둠으로서, 1차 급지시 용지의 다매급지가 이루어질 경우, 두꺼운 용지는 곡률 분리판(4)에 의해 직접 분리되며, 일반용지는 곡률분리판(4)에 의해 용지간의 접합력을 떨어뜨린후 2차 분리급지되므로서,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구성이 간단하며, 제작비용이 저렴하므로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사무기기에 적용되는 급지장치에 있어서, 동력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전자클러치 수단(10)과, 상기 전자클러치 수단(10)과 제1축(13)으로 연결되어 급지판(7)에 놓여진 용지를 급지하는 전단 급지 수단(1)과, 상기 전단 급지수단(1)의 용지진행 방향으로 상기 급지판(7)의 단부에 설치되고 일정한 경사를 갖는 곡률분리수단(4)과, 제2축(14)에 지지되면서 상기 전단 급지 수단(1)과 타이밍벨트(3)로 연결되고 상기 곡률분리수단(4)의 중앙단부 상측면과 접촉되게 설치되는 후단 급지 수단(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급지수단(1)과 후단 급지수단(2)은 각각의 분리롤러와 마찰패드(5,8), 가압용 스프링(6,9)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곡률 분리수단(4)은 경사각(θ) 조절과 상기 용지의 진행방향 안내를 위한 다수의 분리안내편(4')을 더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급지 수단(1) 및 후단 급지 수단(2)은 서로간에 타이밍 벨트(3)로 연결되기 위하여 일측에 각각 타이밍기어(1',2')가 더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θ)은 급지판(7)을 기준으로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KR1019910017641A 1991-10-08 1991-10-08 마찰 패드와 분리곡률판을 이용한 급지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40003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7641A KR940003111B1 (ko) 1991-10-08 1991-10-08 마찰 패드와 분리곡률판을 이용한 급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7641A KR940003111B1 (ko) 1991-10-08 1991-10-08 마찰 패드와 분리곡률판을 이용한 급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528A KR930008528A (ko) 1993-05-21
KR940003111B1 true KR940003111B1 (ko) 1994-04-13

Family

ID=19320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7641A Expired - Fee Related KR940003111B1 (ko) 1991-10-08 1991-10-08 마찰 패드와 분리곡률판을 이용한 급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11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528A (ko) 199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1508A (en) Self-adjusting closed-loop friction feeder
US4715597A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US5370379A (en) Sheet registration and feeding apparatus
JPH01321229A (ja) シート材分離装置
EP0054636A1 (en) Sheet feeder
KR940003111B1 (ko) 마찰 패드와 분리곡률판을 이용한 급지장치
CA1105508A (en) Sheet separating and feeding apparatus
US5269505A (en) Friction retard feeder with a stepped retard pad
JP2517033B2 (ja) 自動給紙装置
EP0367201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JP2557107B2 (ja) シート材自動給送装置
JPH0522513Y2 (ko)
JP2603302B2 (ja) シート給送装置
JP3238996B2 (ja) 給紙装置
JP2719479B2 (ja) 紙葉類の分離装置
JPH06115748A (ja) 自動給紙装置
JPH09315606A (ja) 給紙装置
JP2607289B2 (ja) 自動給紙装置
JPH0211393Y2 (ko)
JP3027252B2 (ja) 自動給紙搬送装置
JPS6011859Y2 (ja) 自動給紙装置
JP2518309B2 (ja) 給紙装置
JP2827135B2 (ja) 原稿給紙装置
JPH02123045A (ja) シート給送装置
JPH0626495Y2 (ja) 用紙分離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4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004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0041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