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40001092B1 - 자기기록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자기기록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092B1
KR940001092B1 KR1019890006798A KR890006798A KR940001092B1 KR 940001092 B1 KR940001092 B1 KR 940001092B1 KR 1019890006798 A KR1019890006798 A KR 1019890006798A KR 890006798 A KR890006798 A KR 890006798A KR 940001092 B1 KR940001092 B1 KR 940001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cassette
gear
unit
reel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6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8962A (ko
Inventor
치까노리 미야와키
아끼히꼬 야마무라
히데끼 사꾸모도
Original Assignee
마쓰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12474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294255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124746A external-priority patent/JP2608581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쓰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쓰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8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8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09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presence, absence or position of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1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presence, absence or position of record carrier or container of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32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the reels or cores on to which the record carrier is woun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44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 G11B15/67547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two movements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6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 G11B25/066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adapted for use with containers of different sizes or configurations; adaptor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Unwinding Webs (AREA)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기록 재생장치
제1도~제9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1도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카세트의 삽입, 카세트의 종류판별수단, 제3릴대의 승강수단, 카세트의 장착수단의 각 동작을 시간적 변화와 함께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동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카세트장착기구의 외관사시도.
제3도는 동 카세트 홀더의 사시도.
제4도는 동 릴대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제5도는 동 작은 카세트의 장착하였을 때의 릴대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제6도는 동 큰 카세트를 장착하였을 때의 릴대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제7도는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있어서 카세트의 삽입으로부터 카세트의 장착'까지의 동작을 시간적 변화와 함께 도시한 도면.
제8도 및 제9도는 각각 제1도 및 제7도에 대응하는 동작시간의 타이밍도와 큰 카세트내의 릴, 작은 카세트내의 릴, 제3릴대의 높이와 경과 시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자기기록재생장치의 평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측면도.
제12도, 제13도 및 제14도는 종래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12도는 자기기록재생장치의 외관사시도.
제13도는 카세트홀더의 사시도.
제14도는 마이크로 스위치 부착부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카세트홀더 15 : 작은 카세트
16a, 16b : 마이크로 스위치 17 : 새시
18 : 제1릴대 18a : 구동기어
19 : 제2릴대 20 :제3릴대
20a : 기어부 21 : 릴대 베이스부
21a : 돌기 22 : 중공측
23 : 축 24 : 슬라이드 레버
24a : 단면캠 24b, 24c : 홈
24d : 랙 24e : 캠부
24f, 24g : 선단부 25 : 복귀스프링
26 : 중계기어 27 : 회동레버
27a : 보스부 28, 29 : 축
30 : 모터 30~33 : 기어
34, 35 : 축 36 : 스프링
37 : 스토퍼핀 38 : 큰 카세트
43 : 솔레노이드 45 : 모터
본 발명은 비데오테이프레코더 등의 자기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2도, 제13도 및 제14도는 종래의 큰 카세트와 작은 카세트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자기기록재생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하면, (1)은 장치본체로서 삽입하는 카세트홀더(2)를 갖추고 있다. 이 카세트홀더(2)는 장치본체(1)와의 사이를 링크(3)로 연결해서 상하이동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카세트홀더(2)에 삽입한 카세트 장치본체(1)의 소정위치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4) 및 (5)는 상기 카세트홀더(2)에 삽입된 큰 카세트의 1쌍의 릴과 결합하도록 장치본체(1)에 설치된 제1 및 제2릴대이다. (6)은 이 제1 및 제2릴대 (4)(5) 사이의 위치에서 수직방향으로 승강자유로운 제3릴대로서, 이 제3릴대(6)가 상승한 상태에서 이 제3릴대(6)와 상기 제1릴대(4)의 작은 카세트의 1쌍의릴에 결합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카세트홀더(2)에는 제13도 및 제1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앞단개구부 근처의 내부양쪽에 마이크로스위치(7a)(7b)가 설치되고, 카세트홀더(2)에 큰 카세트가 삽입되면 큰 카세트가 양쪽의 마이크로 스위치(7a)(7b)에 당접해서 마이크로 스위치(7a)(7b)가 동시 도통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3릴대(6)가 하강하고, 카세트홀더(2)에 큰 카세트를 완전히 삽입한 후레 카세트홀더(2)를 하강시킴으로서 큰 카세트의 1쌍의 릴이 제1, 제2릴대(4)(5)에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카세트홀더(2)에 작은 카세트가 삽입되었을때, 작은 카세트는 한쪽의 마이크로스위치(7a)에 당접해서 그 마이크로스위치(7a)만이 도통상태가 되어, 제3릴대(6)가 하강 상태에 있을 경우는 상승하고, 상승상태에 있을 경우는 그대로의 상태가 된다. 따라서, 카세트홀더(2)에 작은 카세트를 완전히 삽입한 후에 카세트홀더(2)를 하강시키면 작은 카세트의 한쌍의 릴이 제1 및 제2릴대(4) 및 (6)에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큰 카세트와 작은 카세트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장치본체(1)에 큰 카세트가 장착될 때, 큰 카세트가 하강동작중에 제3릴대(6)가 아직 하강이 완료되어 있지 않으면 큰 카세트와 제3릴대(6)가 충돌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작은 카세트가 장치본체(1)에 장착될 때, 작은 카세트가 하강동작중에 제3릴대(6)가 아직 상승 완료되어 있지 않으면 작은 카세트 내부의 릴과 제3릴대(6)가 상하방향에서 충돌하여, 양자의 축방향으로 축압이 걸려서 작은 카세트의 하강 및 제3릴대(6)의 상승을 행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카세트가 장착될 때까지 제3릴대의 상승을 완료해서, 큰 카세트 및 작은 카세트와 제3릴대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쌍의 릴을 내장하고 릴간 치수가 서로 다른 동시에 외형치수도 서로 다른 큰 카세트 및 작은 카세트의 2종류의 카세트를 판별하는 카세트 종류판별수단과, 상기 큰 카세트의 릴에 결합할 수 있는 1쌍의 제1 및 제2릴대와, 상기 1쌍의 릴대의 사이에서 이 1쌍의 릴대의 한쪽 릴대와 함께 상기 작은 카세트의 릴에 결합할 수 있도록 위치하고 수직방향으로 승강 자유로운 제3릴대와, 이 제3릴대와 상기 큰 카세트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제3릴대가 하강유지상태로 된 후, 큰 카세트가 하강개시함과 동시에 큰 카세트를 상기 1쌍의 릴대에 장착시키는 제1카세트장착수단과, 상기 제3릴대가 상승유지상태로 된 후, 작은 카세트가 하강개시함과 동시에 상기 작은 카세트를 제3릴대와 상기 1쌍의 릴대의 한쪽의 릴대에 장착시키는 제2카세트장착수단과, 상기 제3릴대가 상승유지상태일때에 제3릴대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전달 수단을 구비해서 이루어진 것을 제1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터에 연결된 구동기어와, 카세트내에 수납된 자기테이프를 감는 릴과 결합하는 릴대와, 상기 구동기어에 앞서 또는 상기 릴대에 형성된 기어에 앞서 맞물리게 해서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릴대의 기어의 양쪽에 맞물리는 것이 가능한 중계기어와, 이 중계기어를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릴대의 기어와 함께 맞물리는 것이 가능한 위치로 부세하는 수단과,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릴대의 기어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위치까지 상기 중계기어를 이동시키는 수단과, 카세트를 소정위치에 장착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이 검출수단에 의해 카세트가 소정위치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구동기어 또는 릴대를 필요한 양만큼 회전시키는 수단을 구비해서 이루어진 것을 제2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카세트가 장착되기 이전에 제3릴대의 이동이 완료해서 유지상태로 되고 있으므로, 큰 카세트가 장착될 경우, 큰 카세트가 하강동작에 있을 때에 상기 제3릴대가 아직 하강완료되지 않은 경우에 발생하는 큰 카세트와 제3릴대와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작은 카세트가 장착될 경우, 이 작은 카세트가 하강동작에 있을 때에 제3릴대가 아직 상승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발생하는 작은 카세트의 내부의 릴과 제3릴대와 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어, 제3릴대를 원활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카세트의 삽입, 카세트에의 종류판별수단, 제3릴대의 승강수단, 카세트의 장착수단의 각 동작을 시간적 변화와 함께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카세트 장착기구의 외관사시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11)은 카세트홀더(12)를 양쪽에서 끼우는 위치에 설치된 사이드플레이트로서, 각 사이드플레이트(11)에는 각각 전후 및 상하로 위치를 겹치지 않도록 비켜서 ㄱ자 형상의 홈부(12a)(12b)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앞쪽의 홈부(12a)는 뒤쪽의 홈부(12b)보다도 약간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13a) (13b)는 상기 카세트홀더(12)의 좌우의 각 측면으로부터 옆쪽으로 돌출한 핀으로서, 핀(13a)은 상기 홈부(12a)를 관통하고, 핀(13b)은 상기 홈부(12b)를 관통하고 있다. (14)는 상기 핀(13a)과 결합하는 아암으로서, 이 아암(14)의 회동에 의해서 홈부(12a)(12b)를 따라서 카세트홀더(12)가 전후로 이동하고, 아암(14)이 한쪽방향으로 회동해서 핀(13a)(13b)이 홈부(12a)(12b)의 후단으로 이동하였을때 카세트홀더(12)는 하강해서 장치본체내의 소정위치에 세트되도록 되어 있다. 카세트 홀더(12)를 상승시켜서 전방으로 이동시킬때에는 아암(14)을 반대방향으론 회동시키면 된다. 이상의 일련의 동작은 카세트홀더(12)에 대한 카세트의 삽입을 검지해서 도시하지 않은 작동기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제3도는 카세트홀더(12)내에 작은 카세트(15)[2점쇄선으로 표시함]를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작은 카세트(15)는 카세트홀더(12)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부재를 따라서 카세트홀더(12)내의 왼쪽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16a)는 마이크로스위치이며, 작은 카세트(15)가 카세트홀더(12)내에 삽입되면 마이크로스위치(16a)의 레버가 압압되어 도통상태가 된다. 한편, 큰 카세트는 카세트홀더(12)내에 빠듯하게 삽입되기 때문에, 작은 카세트(15)가 삽입되지 않은 부분에 설치된 다른 마이크로스위치(16b)도 도통시키게 된다. 따라서, 양쪽의 마이크로스위치(16a) (16b)가 모두 도통상태일때는 큰 카세트가 삽입되었을 때이며, 마이크로스위치(16a)가 도통상태이고, 마이크로스위치(16b)가 도통되지 않은 때는 작은 카세트가 삽입되었을 때이고, 마이크로스위치(16a) (16b)가 모두 도통되지 않을 때는 카세트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이다. 마이크로스위치(16a) (16b)는 도시하지 않은 시스템제어회로에 접속되어 있어, 이것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카세트의 대소종류판별을 행한다.
제4도는 릴대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제5도는 작은 카세트장착시의 릴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제6도는 큰 카세트장착시의 릴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이다. 도면에 있어서, (17)은 섀시이다. (18) (19)는 제1, 제2대로서, 큰 카세트의 한쌍의 릴과 결합함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함께 구동가능하다. 제1릴대(18)의 구동기어(18a)는 전체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20)은 제3릴대로서, 제2릴대(19)와 쌍을 이루어서 작은 카세트(15)의 1쌍의 릴과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그 기어부(20a)는 전체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21)은 릴대 베이스부, (22)는 릴대베이스부(21)에 설치된 중공측이고, 제3릴대(20)는 이 중공측(22)의 둘레에 회전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23)은 제3릴대(20)와 동심원형상으로 섀시(17)에 설치된 축이고, 중공측(22)의 안쪽면과 결합하여 접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24)는 슬라이드 레버이고, 섀시(17)위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슬라이드 레버(24)상의 2개소에는 단면캠(24a)이 설치되고, 이 단면캠(24a)의 표면에 의해 릴대 베이스부(21)의 2개소에 형성된 곡면을 가진 돌기(21a)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25)는 복귀스프링이며, 릴대 베이스부(21)를 향상 아래쪽으로 부세하여, 슬라이드레버(24)의 단면캠(24a)과의 접촉을 유지하고 있다.
(26)은 중계기어이며, 릴대(18)의 구동기어(18a)와 제3릴대(20)의 기어부(20a)에 맞물리는 동시에 회동레버(27)상에 설치된 축(28)의 둘게를 회동가능하다. (29)는 섀시(17)상에 설치된 축이며, 회동레버(27)는 이 축(29)의 둘레를 회동가능하다. (30)은 모터로서, 섀시(17)에 고정되어 있다. (31)은 모터(30)의 출력축에 부착된 기어, (32)(33)은 모터(30)의 회전력을 감속해서, 슬라이드 레버(24)에 전달하는 기어이다.
(34)는 섀시(17)상에 설치된 축이며, 슬라이드레버(24)는 홈(24b) (24c)에 의해서 축(34) (23)과 결합해서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24d)는 슬라이드레버(24)에 형성된 랙으로서, 기어(33)와 맞물려 있다. (35)는 축으로서, 릴대베이스(21)상에 형성된 긴 구멍부와 결합함으로써, 릴대베이스부(21)의 회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27a)는 회동 레버(27)상에 설치된 보스부이며, 슬라이드레버(24)가 외쪽으로 이동할 때에 슬라이드 레버(24)상의 캠부(24e)가 이 보스부(27a)를 압압하며, 그 결과, 회동레버(27)가 축(29)을 중심으로 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36)은 회동레버(27)를 시계방향으로 회동부세하는 스프링, (37)은 스토퍼핀이다. (38)은 큰 카세트이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슬라이드레버(24)의 좌우의 선단부(24f) (24g)의 위치를 검출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이 검출에 의해 제3릴대(20)의 상승유지위치, 하강유지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기기록재생장치에 대해서, 먼저 큰 카세트(38)를 삽입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다. 큰 카세트(38)를 카세트홀더(12)에 삽입하면, 마이크로스위치(16a) (16b)가 도통상태가 되며, 시스템제어회로에 의해서 큰 카세트(38)가 삽입된 것을 판단하여(제8도의 T1시점), 제6도에서 모터(30)를 시계방향으로 일정시간 회전시킨다. 모터(30)가 회전하면, 기어(32) (33)의 회전을 개재해서 슬라이드레버(24)가 왼쪽(화살표 P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큰 카세트(38)도 장착위치를 향해서 하강하기 시작한다. 슬라이드레버(24)가 왼쪽으로 움직이기 시작하면, 슬라이드레버(24)위의 캠부(24e)가 회동레버(27)의 보스부(27a)를 압압하여, 회동레버(27)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제1릴대(18)의 구동기어(18a)와 제3릴대(20)의 기어부(20a)에 맞물려 있던 중계기어(26)를 움직여서 맞물림을 해제한다. 또한, 슬라이드레버(24)가 왼쪽으로 이동하면, 릴대 베이스부(21)의 돌기(21a)를 지지하고 있는 단면캠(24a)이 경사부로 변하고, 릴대 베이스부(21)는 복귀스프링(25)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부세되고 있기 때문에, 단면캠(24a)의 캠형상을 따라서 하강하게 된다. 그 결과, 제3릴대(20)도 하강하여, 큰 카세트(38)와 간섭하지 않는 곳까지 하강한다(제8도의 T2시점). 이때, 큰 카세트(38)는 아직 하강을 완료하지 않은 상태에 있다. 또한, 시간이 경과하여 제8도의 T3시점에서 큰 카세트(38)가 하강유지위치에 도달하여, 큰 카세트(38)가 장착된다.
다음에, 작은 카세트(15)를 삽입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작은 카세트(15)를 카세트홀더(12)에 삽입하면, 마이크로스위치(16a)만이 도통상태가 되어, 시스템제어회로에 의해 작은 카세트(15)가 삽입된 것을 판단하여(제8도의 T1시점), 제5도에서 모터(30)을 반시계방향으로 일정시간 회전시킨다. 모터(30)가 회전되면, 기어(32) (33)가 회전함과 동시에 슬라이드레버(24)가 오른쪽(화살표 Q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작은 카세트(15)도 카세트장착위치를 향해서 하강하기 시작한다. 슬라이드레버(24)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단면캠(24a)이 릴대 베이스부(21)를 상승시켜서 제3릴대(20)를 상승시킨다. 제3릴대(20)가 상승 유지된후, 회동레버(27)의 보스부(27a)가 캠부(24e)로부터 떨어짐과 동시에, 스프링(36)에 의해서 회동레버(27)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미리 중계기어(26)가 제1릴대(18)의 구동기어(18a) 및 제3릴대(20)의 기어부(20a)에 맞물리는 위치에서 회동레버가 멈추도록 위치조정된 스토퍼핀(37)에 의하여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3릴대(20)는 상승유지상태가 된다(제8도의 T2시점). 이때, 작은 카세트(15)는 아직 하강을 완료하지 않은 상태에 있다. 또한, 시간이 경과하여 T3시점에서 작은 카세트(15)가 하강유지위치에 도달하여, 작은 카세트(15)가 장착된다(제8도의 T3시점). 또한, 제3릴대(20)가 상승유지상태가 되었을 때, 이 제3릴대(20)는 제1릴대(18)와 중계기어(26)를 개재해서 기어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어, 제1릴대(18)를 구동함으로써, 제3릴대(20)에 회전력이 전달되게 된다. 또한, 모터(30)의 회전정지제어는, 슬라이드레버(24)와 연동하는 위치검출센서를 사용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게 된다. 또, 기어대신에 고무아이들러 등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큰 카세트(38)는 제1 및 제2릴대(18)(19)에 의해서 구동되고, 작은 카세트(15)는 제2릴대(19)와 제3릴대(20)에 장착되어, 제3릴대(20)는 중계기어(26)를 개재해서 제1릴대(18)에 의해서 구동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카세트의 종류 판별후, 카세트가 장착완료되는 시간보다도 제3릴대(20)의 상승유지동작이 완료할때까지의 시간이 짧게 되도록 구성하였으나, 물론 제7도 및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릴대(20)의 승강동작의 완료를 검지하고 나서, 카세트장착 동작을 개시해도 되며, 그것에 의해 그 동작이 더욱 확실하게 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상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제3릴대를 승강시키는 수단에서, 제3릴대와 결합하는 캠을 사용해서 캠의 리프트에 의해 제3릴대의 승강동작을 행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릴대의 승강수단으로서 상기 캠 대신에 제3릴대와 결합하는 링크, 모터, 전자솔레노이드를 사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며, 이것에 의해서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카세트가 장착되기 이전에, 제3릴대의 이동이 완료해서 유지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큰 카세트가 장착될 경우, 큰 카세트가 장착될 경우, 큰 카세트가 하강동작에 있을 때에 상기 제3릴대가 하강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발생하는 큰 카세트와 제3릴대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작은 카세트가 장착될 경우, 이 작은 카세트가 하강동작에 있을 때에 제3릴대가 아직 상승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발생하는 작은 카세트의 내부릴과, 제3릴대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어, 제3릴대를 원활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10도 및 제11도에 있어서, (19)는 큰 카세트(38) 및 작은 카세트(15)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제2릴대, (18a)는 제1릴대(18) 외주의 구동기어이며, 모터(45)의 축(45a)과 연결되어 있다. (20)은 제3릴대이며, 외주에 기어를 가지고 있다. (26)은 중계기어이며, 구동기어(18a)와 제3릴대(20)의 기어와 맞물리는 위치에 있다. (27)은 회동레버이며, 축(29)의 둘레를 회동가능하다. (28)은 상기 회동레버(27)상에 설치된 축이며, 상기 중계기어(26)는 축(28)의 둘레에 회전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36)은 스프링이며, 상기 회동레버(27)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부세하고 있다. (37)은 스토퍼핀이며, 중계기어(26)가 구동기어(18a)와 제3릴대(20)의 기어에 맞물리는 위치에서 회동레버(27)를 정지시키는 스토퍼의 역할을 하고 있다. (43)은 솔레노이드로서, 핀(44)에 의해서 회동레버(27)와 결합하고 있다. 또한, (17)은 섀시, (16a)는 카세트가 장착된 것을 검지하는 마이크로스위치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자기기록재생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카세트가 장착되면 마이크로스위치(16a)가 작동한다. 그리고, 구동기어(18a)가 모터(45)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면, 중계기어(26)를 개재해서 제3릴대(20)에 회전력이 전달되게 된다. 솔레노이드(43)를 여자시키면 회동레버(27)가 축(29)를 중심으로 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구동기어(18a)와 제3릴대(20)의 기어로 부터 중계기어(26)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솔레노이드(43)의 여자를 차단하면, 스프링(36)에 의해 회동레버(27)가 축(29)을 중심으로 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미리 조정된 스토퍼핀(37)에 의해 정지된다. 중계기어(26)가 제3릴대(20)의 기어와 맞물릴 때에, 톱니선단부와 톱니선단부가 맞닿아서 맞물리지 않는 경우에도, 예를들면 마이크로스위치(16a)에 의해 작은 카세트장착 검출직후, 중계기어(26)가 소정위치로 이동할 경우에, 제2릴대(20)에 구동기어(18a)보다도 먼저 당접하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는, 제3릴대(19)를 되감는 방향으로 필요량 만큼 회전시켜 테이프를 필요한 양만큼 되감으므로써, 제3릴대(20)가 회전하여 중계기어(26)와 반드시 맞물림과 동시에, 중계기어(26)의 회전에 의해 중계기어(26)와 구동기어(18a)가 확실하게 맞물린다. 혹은 중계기어(26)가 소정위치로 이동할 경우에, 구동기어(18a)에 제3릴대(20)보다도 먼저 당접하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는, 구동기어(18a)를 필요한 양만큼 회전시킴으로써 중계기어(26)와 반드시 맞물림과 동시에, 중계기어(26)의 회전에 의해 중계기어(27)과 제3릴대(20)의 기어가 확실하게 맞물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기어의 맞물림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제2릴대(19) 혹은 제1릴대(18)의 회전량의 제어를 톱니선단부와 톱니선단부가 당접한 상태로부터 맞물린 상태에 있어서의 모터의 토크변동을 검출함으로써 행해도 된다. 혹은 중계기어(26)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중계기어(26)가 소정의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출한 시점에서 제2릴대(19) 혹은 제1릴대(18)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제2실시예에 의하면 모터(45)에 연결된 구동기어(18a)와, 그외주부에 기어를 가진 제3릴대(20)와, 상기 구동기어(18a)와 상기 제3릴대(20) 사이에 위치하여 구동기어(18a)와 제3릴대(20)의 기어에 맞물림이 가능한 중계기어(26)와, 이 중계기어(26)를 상기 2개의 기어와 맞물림이 가능한 위치로 부세하는 수단[스프링(36)]과, 맞물림을 해제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수단[솔레노이드(43)]을 갖추고, 상기 중계기어(26)가 제3릴대(20)에 구동기어(18a)보다도 먼저 당접하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는 제2릴대(19)를 되감는 방향으로 필요한 양만큼 회전시켜 테이프를 필요한 양만큼 되감으므로써 제3릴대(20)가 회전하여 중계기어(26)와 반드시 맞물리는 동시에, 중계기어(26)의 회전에 의해 중계기어(26)와 구동기어(18a)가 확실하게 맞물린다. 혹은 중계기어(2)가 소정위치로 이동할 경우에 구동기어(18a)에 제3릴대(20)보다도 먼저 당접하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는 구동기어(18a)를 필요한 양만큼 회전시킴으로써 중계기어(26)와 반드시 맞물리는 동시에 중계기어(26)의 회전에 의해 중계기어(26)와 제3릴대(20)의 기어가 확실하게 맞물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기어열이 항상 맞물린 상태를 얻을 수 있어 제3릴대(20)를 확실하게 회전구동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중계기어(26)를 개재해서 구동기어(18a)의 회전을 제3릴대(20)의 기어에 전달하였으나, 반대로 제3릴대(20)의 기어를 구동원으로 해서 중계기어(26)를 개재해서 제1릴대에 그 회전을 전달해도 된다.
또한, 본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자기기록재생장치는 비데오테이프레코더 혹은 오디오페이프레코더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중계기어를 소정위치로 이동한 후 릴대의 기어 혹은 구동기어의 어느 것인가를 회전시킴으로써, 구동기어, 중계기어 및 릴대의 기어가 항상 맞물려서, 릴대를 확실하게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마찰전달기구를 사용하였을 경우와 같은 측압이 커져서 회전부하가 가증되는 것과 같은 문제가 없어 신뢰성이 향상된다.

Claims (10)

1쌍의 릴을 내장하고 릴간 치수가 서로 다른 동시에 외형치수도 서로 다른 큰 카세트 및 작은 카세트의 2종류의 카세트를 판별하는 카세트 종류판별수단과, 상기 큰 카세트의 릴에 결합할 수 있는 1쌍의 제1 및 제2릴대와, 상기 1쌍의 릴대 사이에서 이 1쌍의 릴대의 한쪽 릴대와 함께 상기 작은 카세트의 릴에 결합할 수 있도록 위치하고 수직방향으로 승강 자유로운 제3릴대와, 이 제3릴대와 상기 큰 카세트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제3릴대가 하강유지상태로 된 후, 상기 큰 카세트가 하강개시함과 동시에 큰 카세트를 상기 1쌍의 릴대에 장착시키는 제1카세트 장착수단과, 상기 제3릴대가 상승유지상태로 된 후, 작은 카세트가 하강개시함과 동시에 상기 작은 카세트를 제3릴대와 상기 1쌍의 릴대의 한쪽의 릴대에 장착시키는 제2카세트 장착수단과, 상기 제3릴대가 상승유지상태일때에 제3릴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전달수단을 구비해서 이루어진 자기기록재생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릴대의 승강수단의 구동원으로서, 모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릴대의 승강수단의 구동원으로서, 전자 솔레노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릴대를 승강시키는 수단으로서, 제3릴대와 결합하는 캠을 사용해서 캠의 리프트에 의해 제3릴대의 승강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릴대를 승강시키는 수단으로서, 제3릴대와 결합하는 링크을 사용해서 링크를 회동시킴으로써 제3릴대의 승강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릴대를 승강시키는 수단으로서, 제3릴대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스프링에 의해 제3릴대를 항상 위쪽으로 부세하여 큰 카세트 장착시에 큰 카세트의 하부면에서 제3릴대가 압압되어서 하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릴대가 작은 카세트의 릴에 결합하는 수단으로서, 제3릴대 둘레에 기어를 형성하고, 제3릴대가 상승유지상태일때에 작은 카세트의 릴에 형성된 기어와 맞물리는 작은 카세트의 릴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릴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제1릴대의 회전축에 연결된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제3릴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릴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3릴대 둘레와 형성한 기어와 맞물리는 것이 가능한 상기 1쌍의 릴대의 한쪽의 릴대 둘레에 형성된 기어로, 제3릴대의 승강스트로크 이상으로 길게 형성된 톱니폭을 가지고 제3릴대의 승강동작에 관계없이 항상 제3릴대에 형성된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제3릴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모터에 연결된 구동기어와, 카세트내에 수납된 자기테이프를 감는 릴과 결합하는 릴대와, 상기 구동기어에 앞서 또는 상기 릴대에 형성된 기어에 앞서 맞물리게 해서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릴대의 기어의 양쪽에 맞물리는 것이 가능한 중계기어와, 이 중계기어를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릴대의 기어와 함께 맞물리는 것이 가능한 위치로 부세하는 수단과,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릴대의 기어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위치까지 상기 중계기어를 이동시키는 수단과, 카세트를 소정위치에 장착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이 검출수단에 의해 카세트가 소정위치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구동기어 또는 릴대를 필요한 양만큼 회전시키는 수단을 구비해서 이루어진 자기기록재생장치.
KR1019890006798A 1988-05-20 1989-05-20 자기기록 재생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400010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24745A JPH01294255A (ja) 1988-05-20 1988-05-20 磁気記録再生装置
JP63124746A JP2608581B2 (ja) 1988-05-20 1988-05-20 リール台回転伝達装置
JP63-124745 1988-05-20
JP63-124746 1989-05-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962A KR900018962A (ko) 1990-12-22
KR940001092B1 true KR940001092B1 (ko) 1994-02-12

Family

ID=26461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6798A Expired - Fee Related KR940001092B1 (ko) 1988-05-20 1989-05-20 자기기록 재생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034831A (ko)
EP (1) EP0342619B1 (ko)
KR (1) KR940001092B1 (ko)
CN (1) CN1018213B (ko)
AT (1) ATE110185T1 (ko)
DE (1) DE68917516T2 (ko)
ES (1) ES2061784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7470A (en) * 1988-11-14 1993-08-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agnetic tape cassette loading/unloading apparatus which selectively loads different size cassettes
KR930002895B1 (ko) * 1988-11-14 1993-04-12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자기기록 재생장치
US5314141A (en) * 1990-06-19 1994-05-24 Sony Corporation Cassette loading device for accommodating cassettes of different sizes in a tape cassett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5402405A (en) * 1991-03-18 1995-03-28 Sony Corporation Cassette loading apparatus
JPH0581749A (ja) * 1991-09-20 1993-04-02 Hitachi Ltd カセツト挿入排出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カセツト
EP0740834B1 (en) * 1994-11-22 2000-05-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for operation with magnetic-tape cassettes of different sizes
EP0740835B1 (en) * 1994-11-22 2002-01-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for operation with magnetic-tape cassettes of different sizes
CN108426763B (zh) * 2015-04-22 2020-06-05 华侨大学 一种条石砌筑石墙灰缝力学性能试验方法
CN110057653A (zh) * 2019-05-09 2019-07-26 黄明誉 一种砌墙强度模拟检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5488A (en) * 1974-10-31 1977-01-25 Matsuki-Seisakusho Tape-operating apparatus adapted for use either with an endless loop type cartridge or a coplanar type cassette
JPS5760561A (en) * 1980-09-29 1982-04-12 Pioneer Electronic Corp Cassette loader
JPS57123573A (en) * 1981-01-20 1982-08-02 Victor Co Of Japan Ltd Adapter for tape cassette
US4580183A (en) * 1981-10-23 1986-04-01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S60769U (ja) * 1983-06-16 1985-01-07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小型テ−プカセツト用アダプタ
JPH0766598B2 (ja) * 1986-05-29 1995-07-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83929B2 (ja) * 1986-05-29 1996-01-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リ−ル台装置
JPH0778930B2 (ja) * 1986-05-29 1995-08-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778929B2 (ja) * 1986-05-29 1995-08-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リ−ル台装置
JP2532386B2 (ja) * 1986-05-29 1996-09-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リ−ル台回転伝達装置
JPS62279546A (ja) * 1986-05-29 1987-1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リ−ル台装置
JPS6371964A (ja) * 1986-09-13 1988-04-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3108546A (ja) * 1986-10-24 1988-05-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61784T3 (es) 1994-12-16
EP0342619A3 (en) 1990-10-10
DE68917516D1 (de) 1994-09-22
ATE110185T1 (de) 1994-09-15
DE68917516T2 (de) 1994-12-15
US5034831A (en) 1991-07-23
EP0342619B1 (en) 1994-08-17
CN1038535A (zh) 1990-01-03
EP0342619A2 (en) 1989-11-23
CN1018213B (zh) 1992-09-09
KR900018962A (ko) 199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8549A (en) Automatic cassette loading apparatus
KR940001092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
US4670802A (en) System for controlling loading and ejection of recording medium on a disc unit
JPS6185663A (ja) カセツト装着装置
US4829393A (en) Automatic magnetic recording medium ejecting mechanism for use in a magnetic recording medium driving unit
US5012364A (en) Tape-loading mechanism for a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selective use of tape cassettes of two different sizes
US4989106A (en) Cassette loading device with pull-in mechanism
US5126898A (en) Automatic cassette changer for tape player
JPH07272417A (ja) ディスクプレーヤ
KR930000685B1 (ko) 카세트 로딩기구
US4825429A (en) Recording medium driving device
US5047881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5889632A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JPH0754600B2 (ja) カセット装着装置
JP2731111B2 (ja) クランパー支持構造
JPH0244370Y2 (ko)
EP0376287A2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with single switch control
JPH07502362A (ja) カセット装填装置
JP2756412B2 (ja) ピックアップユニット支持構造
JP2596147B2 (ja) カセット装着装置
JPH0129425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3768096B2 (ja) 箱体の昇降装置
JP2682169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3486959B2 (ja) テーププレーヤ
JPH03498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B09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B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0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4021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4021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