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30700713A - 배출되는 실의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배출되는 실의 제동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700713A
KR930700713A KR1019920702065A KR920702065A KR930700713A KR 930700713 A KR930700713 A KR 930700713A KR 1019920702065 A KR1019920702065 A KR 1019920702065A KR 920702065 A KR920702065 A KR 920702065A KR 930700713 A KR930700713 A KR 930700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braking
support
thread
opp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2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87569B1 (ko
Inventor
아르네 구나르 야콥손 쿠르트
프레드릭손 라르스-베르노
Original Assignee
스티그 아르네-블롬
아이 알 오 에이 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SE9000881A external-priority patent/SE9000881L/xx
Priority claimed from SE9000911A external-priority patent/SE9000911D0/xx
Priority claimed from SE9000997A external-priority patent/SE9000997L/xx
Priority claimed from SE9003624A external-priority patent/SE9003624L/xx
Priority claimed from SE9003680A external-priority patent/SE9003680L/xx
Priority claimed from SE9003813A external-priority patent/SE9003813D0/xx
Priority claimed from SE9100066A external-priority patent/SE9100066D0/xx
Application filed by 스티그 아르네-블롬, 아이 알 오 에이 비이 filed Critical 스티그 아르네-블롬
Priority claimed from PCT/SE1991/000185 external-priority patent/WO1991014032A1/en
Publication of KR930700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0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7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75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03D47/361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 D03D47/364Yarn braking means acting on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003Arrangements for threading or unthreading the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1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devices acting on running material and not associated with supply or take-up devices
    • B65H59/20Co-operating surfaces mounted for relative movement
    • B65H59/22Co-operating surfaces mounted for relative movement and arranged to apply pressure to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1/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metering predetermined lengths of running material
    • B65H61/005Applications of devices for metering predetermined lengths of running material for measuring speed of running yar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03D47/361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 D03D47/364Yarn braking means acting on the drum
    • D03D47/365Brush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03D47/361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 D03D47/364Yarn braking means acting on the drum
    • D03D47/366Co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5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3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for acting on performance of handling machine
    • B65H2301/531Cleaning parts of handling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5/00Physical ent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11/00 or B65H2513/00
    • B65H2515/40Temperature; Thermal conducti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10Actuating means linear
    • B65H2555/11Actuating means linear pneumatic, e.g. inflat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10Actuating means linear
    • B65H2555/13Actuating means linear magnetic, e.g. induction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7/00Means for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51/00 - B65H2555/00
    • B65H2557/50Use of particular electromagnetic waves, e.g. light, radiowaves or microwaves
    • B65H2557/51La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7/00Means for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51/00 - B65H2555/00
    • B65H2557/50Use of particular electromagnetic waves, e.g. light, radiowaves or microwaves
    • B65H2557/512Use of particular electromagnetic waves, e.g. light, radiowaves or microwaves infra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50Diminishing, minimizing or reducing
    • B65H2601/52Diminishing, minimizing or reducing entities relating to handling machine
    • B65H2601/524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배출되는 실의 제동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실 공급장치에 결합된 실 저장동체의 후방부분들과 여기에 설치된 본 발명의 실 방출 제동장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부분적으로 도시한 실 공급장치의 저장동체의 후방부분들에 설치된 본 발명의 실 방출 제동 장치의 두 번째 실시예의 일부 종단면도,
제3도는 실 공급장치의 저장동체의 후방부분들에 설치한 본 발명의 실 방출 제동장치의 세 번째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4도는 실 공급장치의 저장동체의 후방부분들에 설치한 본 발명의 실 방출 제동장치의 네 번째 실시예의 종단면도.

Claims (86)

  1. 실 저장체를 지지하고 공간적으로 고정된 동체로 구성되며 이동체로부터 실(11)이 배출도관을 통해서 빠른 속도로 인발되어 나가도록 하는 실 공급장치(13)를 위하여 베어링에 설치되어 인발되어 나오는 실을 대향지지부재(15)에 대하여 파지하는 표면을 갖춘 제1부재(9)로 구성한 쉽게 동작시킬 수 있는 출력제동시스템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한 부재들(9,15)은 인발되는 실의 회전에 따라서 실 청소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청소해야 할 물질(부푸러기, 부스러기, 등)이 그 부재들(9,15)에 붙어서 쌓이지 않도록 만들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함과 아울러, 상기한 부재들, 베어링, 등의 성분과 무게를 선택하고 상기한 제1부재의 외경의 칫수를 현저하게 감소시킴으로써 얻어진 유동성으로 인해서 심지어 신속하게 통과하는 실의 불규칙성/매듭이 나타날 경우에 그것을 순간적으로 놓아주고 또한 순간적으로 이전의 제동/장력작용으로 복귀함과 아울러, 또는 하나의 동일한 실이 상기한 동체로 부터 인발되어 나올때(기계의 싸이클 스트로우크) 상기한 시스템의 제동 또는 장력을 변화시키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장치들에 순간적으로 응답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실(11)이 저장동체(13)로 부터 인발되어 나와서 상기한 실공급장치의 후방 부분에 있는 출구를 통해서 통과하는 한편, 파지부재(9,10)가 인발되어 나오는 실을 제어장치(1,7)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한 저장동체의 상의 대향지지면(15b) 또는 대향지지모서리(15) 또는 그와 관련된 부분에 대하여 실의 신속한 인발공정 중에도 변화시킬 수 있는 파지력으로 파지작용을 할 경우에, 상기한 파지부재는 상기한 저장동체의 종방향 중심축선(14)의 연장선 상에서 작용하도록 만들어져서 상기한 저장동체의 실 저장면이 있는 곳에서의 단면적/외경(D′)에 비해서 현저하게 작은 단면적/외경(d)을 갖는 작동표면/작동부(9)에 의해서 파지작용을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장치는 인발공정시에 상기한 파지부재를 제어하여 그로하여금 파지력을 변화시켜, 예컨대 싸인파형으로 변화시키거나 또는 상기한 실공급장치를 사용하는 기계 또는 섬유기계에 대한 작용에 적합하게 변화를 시킬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작동표면(9c)은 하나의 연속적인 환상부재 또는 서로 옆으로 배열되어 함께 불연속적인 환상부재를 형성하는 다수의 요소들(22)로 만들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 제2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파지부재는 연속적인 공간이 출구부분(10)을 형성하거나 또는 그것에 포함되는 반원통형 또는 기본적으로 깔대기형 부재의 일부 또는 그것에 접속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파지부재는 상기한 실이 상기한 저장동체로 부터 인발 되어 나오는 전체시간 또는 그중 일부시간 동안에 상기한 실 및 대향지지표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서로 옆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성을 지닌 다수의 요소들(22)의 경우에는 상기한 인발시에 그 요소들이 한번에 하나씩 연속적으로 각자의 파지작용을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파지부재는 신속한 인발공정시에, 예컨대 대략 50-100ms 정도의 신속한 인발공정시에 가변작용을 할 수 있는 가동작동장치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그것에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5, 6 또는 7항에 있어서, 깔대기형 파지부재의 경우에는 상기한 탄성요소들(22)이 그 깔대기형 파지부재의 전면 또는 넓은 단부의 모서리 또는 그에 인접한 곳에 고정되어 그 탄성요소들의 자유단부가 상기한 파지부재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한편, 내마모성 재료, 예컨대 세라믹으로 만들어져서 상기한 저장동체에 고정된 부재, 예컨대 링(21)위에 설치된 바람직하게는 외향 만곡의 대향지지표면에 대하여 상기한 탄성 요소들의 자유단부가 실을 누르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요소들은 상기한 원통형 또는 깔대기형 부재(9,10)에 부착된 고정부재를 형성하는 환형부재에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그와 일체로 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5, 6 또는 7항에 있어서, 깔대기형 부재의 원추형 부분은 파지작용시에 상기한 실 및 대향지지표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대향지지표면 또는 모서리는 다시 상기한 저장동체에 설치되어 있는 강성의 또는 그 저장동체(13)내에서 변위될 수 있거나 탄성적인 또는 그 자체로서 탄성을 지닌 부재(15)위에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저장동체에 있는 가동변위 또는 탄성부재(15)는 저장하우징(18)속에 설치되어 제1스프링부재(16)의 작용에 대하여 눌려질 수 있도록 되어있음과 아울러, 그 저장하우징과 변위 또는 탄성부재는 그 제1스프링부재의 탄성력을 설정할 수 있도록 조정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저장하우징(18)은 상기한 저장동체(13)에 회전식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제1스프링부재(16)은 내부 지지부재(17) 및 상기한 변위 또는 탄성부재(15)의 내면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내부 지지부재는 상기한 저장하우징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한 저장동체의 종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파지부재 및/또는 탄성요소들은 전기 에너지 또는 기체 및/또는 액체 매질에 의해서 동작하는 제어장치(각각 1,7 및 29,34,35)에 의해서 상기한 저장동체에 대하여 변위시킬 수 있는 한편, 여러개의 제어가능한 탄성요소들(30)의 경우에는 이들을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제어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개별적으로 제어가능한 요소들의 경우에는 이들이 기본적으로 크기가 동일한 파지력을 동시에 가지도록 및/또는 인발동작의 회전둘레를 따라서 변하는 파지력을 가지도록 하는 제어신호들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이 경우에 상기한 탄성요소들의 작동은 상기한 회전둘레를 따라서 이동하는 펄스식 작동으로 볼 수 있으며, 이 펄스식 작동은 상기한 실의 인발작용과 함게 비동기식 또는 동기식으로 조화되어 이루어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원추형 부분에 탄성요소들을 갖춘 깔대기형 파재부재의 경우에 그 원추형 부분은 코일을 통해서 연장되는 실 운반도관(10)과 연결 또는 일체로 되어 있어서 이 코일이 전기제어신호에 의해서 상기한 파지부재로 하여금 상기한 실을 상기한 저장동체 또는 이와 관련된 부분에 대하여 파지하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제2스프링부재(12)는 상기한 원추형 부분(9)의 외측으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파지부재에 대한 전기제어신호에 의해서 발생된 변위운동에 대한 복귀스프링의 역할을 하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요소들은 기본적으로 판, 손가락, 등의 형상을 하고서 그 부착지점에서 약간 경사져 있으며 상기한 실의 인발방향으로 향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3, 14 또는 15항에 있어서, 전기에너지로 동작하여 상기한 파지부재 또는 그 일부를 전기에너지 제어신호에 의해서 중심 종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는 부재의 형태로 된 제어장치의 경우에 이 제어장치의 상기한 저장동체에 대한 초기위치는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부재(24)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장치.
  17. 제13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파지부재는 하나 이상의 벨로우즈부재(29)에 설치된 탄성요소들(32)로서 구성되어 그들의 자유단부들이 그와 관련된 부분(33)의 저장동체에 대하여 상기한 실을 누르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한 벨로우즈부재들을 상기한 파지부재와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한 출구부분을 중심에서 지지하는 벽 또는 이와 같은 것에 설치하는 한편, 이 벽(40)을 바람직한 초기위치에 배치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0 내지 제1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위가능한 탄성부분(15) 경우에 이 탄성부분은 상기한 파지부재를 받치는 외측의 탄성 플랜지를 갖춤과 아울러, 이 탄성부분을 지지하는 상기한 저장동체속의 베어링 속에서 정지부재의 역할을 하는 후방의 돌출플랜지(15d)를 갖추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요소(22,32)는 작은 질량(약 1-5g)을 가지며 그 파지력이 0-200 cN 정도가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 내지 제1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의 외경(D)은 상기한 저장동체의 그 실 지지부분에서의 직경(D′)의 약 50% 이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 내지 제1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작동표면의 외경은 상기한 저장동체의 실 지지부분에서의 직경(D′)의 약 50%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환형의 벨로우즈부재는 원추형 공간과 이것의 후방으로 이어지는 원통형 또는 환형의 출구부분을 갖추도록 만들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1 내지 제2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이 저장동체로 부터 인발되어 실 공급장치 전면 부분을 통해서 나오는 경우에, 그리고 파지부재가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그 인발되어 나오는 실을 상기한 저장동체의 대향지지면(42) 또는 대향지지모서리 또는 이와 관련된 부분에 대하여 심지어 실의 신속한 인발공정시에도 변화시킬 수 있는 파지력으로 파지하는 경우에, 상기한 파지부재는, 예컨대 그것과 상기한 대향지지부재들 사이의 상호작용표면들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가 만곡형, 파형, 등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편위동작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또는 상기한 상호작용표면들은 그 편위동작을 할 수 있는 상호관계로 배열되어 있음과 아울러, 또는 상기한 제어장치는 실 장력 및/또는 실 속도를 검출하여 그와 관련된 변수들을, 예컨대 상기한 실 장력을 감지하는 감지부재(48) 또는 표시 또는 열표시를 하고 그 표시 또는 열표시를 검출하는 부재(49,51)에 의해서 궤환시킬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1 내지 제2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중심선의 연장성에서 동작하는 제동부재는 전자석, 벨로우즈부재, 등으로 구성된 제어장치(46,52,53)에 의해서 제어할 수 있으며, 이 제어장치는 상기한 중심축선을 따라서 한쪽 방향으로만 동작할 경우에는 탄성의 복귀스프링을 갖추며, 양쪽 모두의 방향으로 동작할 경우에는 복귀스프링이 필요없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1 내지 제2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실의 인발시에 그 실을 제어장치(62,63,64)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상기한 실공급장치의 저장동체상의 대향지지면(56d)에 대하여 파지하는 탄성요소들(60b)로 구성됨과 아울러, 이 탄성요소들은 지지점(66)을 중심으로 경사질 수 있도록 배치되어 그 지지점의 제1측면에서는 그 탄성요소들의 경사운동을 위한 제어장치에 의해서 동작시킬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작동부들(60c) 갖추고 있는 한편, 제2측면에서는 상기한 파지작용을 하는 부분들을 갖추고 있음과 아울러, 또는 상기한 저장동체의 둘레를 따라서 펄스식으로 제어작용을 하는 제어장치에 의해서 상기한 실의 인발작용과 함께 동기식으로 또는 비동기식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1 내지 제2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작동부(60c)는 내측에서 탄성요소들(60b)이 돌출하는 환형요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1 내지 제2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환형요소(60c)는 디스크형으로서 그 자신의 평면에서 모서리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한 탄성요소들은 상기한 환형요소로 부터 상기한 평면에 대하여 상기한 각도로 그리고/또는 그들 자신의 평면에서 더 작은 각도들로 연장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1 내지 제2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환형요소는 상기한 경사지지를 위해서 구멍들(60d)을 가지며, 이 구멍들은 상기한 환형요소의 둘레를 따라서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1 내지 제2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요소들(60b)은 상기한 둘레를 따라서 개별적으로 또는 군별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 탄성요소 또는 탄성요소군은 개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장치부(62′,62″,62″′)에 접속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1 내지 제2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장치부들(62′,62″,62″′)은 선택부재(68), 예컨대 등록부재에 의해서 제어 할 수 있도록 하여, 이 선택부재의 작용에 의해서 그 제어장치부들을 연속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상기한 펄스식 제어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1 내지 제25항, 제29항 또는 제3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동기식 제어동작을 할 경우에는 이 제어동작이 인발작용 후에 또는 약간 앞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1 내지 제3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장치부들(62′,62″,62″′)의 제어동작에 의해서 상기 한 실의 인발시에 그 파지압력을, 예컨대 싸인파형으로 또는 섬유기계에 적합하게 변화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1 내지 제2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장치는 전기제어식 또는 기체- 및/또는 액체-제어식의 작동부재에 대하여 작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한 기체- 및/또는 액체-제어식 부재들의 경우에 이 부재들은 상기한 펄스식 동작시에 상기한 제어장치에 의해서 작동되어 각 스프링요소 또는 스프링요소군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호스부분들, 벨로우즈부재들, 등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1 내지 제3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 저장동체를 갖춘 실공급장치에 사용되어 심지어 신속한 인발공정시에도 상기한 실(78)에 대한 제동작용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제동장치의 경우에 이 제동장치는 협동하는 제1 및 제2 제동장치들(70,71)로 구성하여 그중 제1 제동장치(71)는 상기한 저장동체의 코부분 또는 전면부분에 그 저장동체에 비해서 작은 직경을 갖는 제1 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에 대하여 작용토록 하는 한편, 제2 제동장치(70)는 상기한 저장동체의 실지지부에 있는 제2 대향지지면(73b) 또는 대향지지모서리에 대하여 작용하도록함과 아울러, 제1 제동장치는 가능한 작은 질량으로 인해서 신속하게 작용하여 그 제1 제동장치로 부터 인발되어 나오는 실의 부분의 최소한 주된 장력특성을 부여하도록 하고, 제2 제동장치(71)는 상기한 인발공정의 시점 또는 주된 기간에서는 상기한 장력특성에 전혀 기여하지 않거나 또는 약간만 기여하는 반면에 상기한 인발공정의 최종시점에서는 그 제1 및 제2 제동장치(70,71)의 사이에 있는 실의 부분이 느슨해져서 바람직하지 못하게 엉키거나 또는 그 특성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 실에 대하여 제동작용을 하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제1 내지 제3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및 제2 제동장치들은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으며 더 높은 단계의 제어장치(84)에 의해서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제1 내지 제3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제동장치는 제1 제동장치의 작용을 위한 실의 예비제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항상 실의 부분(78b)을 끌어당기도록 함과 아울러, 또는 최소한 제2 제동부재의 제동작용시에 제1 및 제2 제동장치 사이의 실부분(78b)에 걸리는 장력을 검출하여 상기한 예비장력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제1 제어장치의 제동작용을 위한 예비제동을 위한 제2제동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실장력 검출부재를 설치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8. 제1 내지 제3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78)의 저장동체를 갖춘 실공급장치에 사용되어 심지어 신속한 인발공정시에도 상기한 실에 대한 제동작용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제동장치를 사용하거나 또는 제2 제동장치만을 사용하며, 제2 제동장치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지기능도 함께 가지고서 작용하는 제동장치의 경우에, 제2 제동장치는 환형부재(127) 및 이것의 평면에서 그리고/또는 이것의 평면에 대하여 적당히 약간 경사져 있다면 이것의 중심을 향하여 안쪽으로 연장된 깃털- 또는 솔-형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환형부재는 상기한 저장동체상의 제2 대향지지모서리(73)에 대한 상기한 솔-형 요소들의 압력, 따라서 상기한 실이 상기한 각 솔-형 요소와 제2 대향지지모서리를 통과할 때 그 실에 대한 그 솔-형 요소들의 압력을 감소 또는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한 저장동체의 종방향으로 바람직하게 변위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9. 제1 내지 제3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 제동장치는 탄성의 판형 또는 선형요소를 갖춘 하나 이상의 극체부재들(90,91,92)로 구성되며, 상기한 판형요소의 첫번째 단부(90c)는 대응하는 극체부재에 고정되며, 상기한 극체부재들은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상기한 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의 둘레로 링을 형성하며, 각 극체부재는 제2 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를 향하여 오목한 내면(90h)을 가지며, 상기한 탄성의 판형요소는 그 첫번째 단부에서 고정됨과 아울러 그 자유단부는 상기한 제2 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 부분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한 실이 인발공정시에 그 자유단부를 통과할 때 그 실과 협동하며, 여러개의 극체부재들이 상기한 제2 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 둘레로 바람직하게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그 극체부재들이 상기한 제어장치에 의해서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한 극체부재들을 동작시켰을 경우에 상기한 판형요소들이 상기한 실에 대하여 감속 및/또는 정지작용을 하며, 그 극체부재들을 작동을 중지시켰을 때는 상기한 감속작용이 줄어들어나 중지되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0. 제1 내지 제3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각 판형 요소(90b′)의 자유단부는 상기한 제2 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 상방으로 연장되는 아치형 또는 만곡형으로서 그 판형요소의 길이(90g)는 그와 대응하는 극체부재의 오목한 표면의 길이와 기본적으로 일치하거나 또는 그 길이를 초과하며, 각 극체부재는 상기한 저장동체의 종방향과 일치하는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단면 또는 U-자형 단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1. 제38, 39 또는 4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제동장치 또는 정지부재는 핀형 또는 바늘형 부재(139)를 위하여 상기한 제2 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 상방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하나 이상의 베어링 부재들로 구성되며 그 핀형 부재는 상기한 저장동체의 단면방향으로 보았을 때 반경방향으로 또는 반경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그 제2 대향지지면(73b) 또는 대향지지모서리쪽을 향하여 또는 그로부터 멀리 작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한 핀형 부재들은 그 밑을 통과하는 실이 그로부터 자유롭게 움직이는 제1 위치와 그 실이 부분적으로만 자유롭게 통과하거나 또는 정지/제동되는 제2 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으며, 상기한 제1 위치는, 예컨대 각 핀형부재에 구비된 개별적인 탄성부재(148)의 스프링작용에 의함과 아울러, 또는 그 핀형부재의 질량이 작고 그 핀형부재를 위한 베어링이 기본적으로 마찰력을 갖지않기 때문에 상기한 실의 통과시에 그 실의 작용에 의해서 얻어지며, 상기한 제2 위치는, 예컨대 액체 또는 기체매질에 의해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호스, 벨로우즈, 등에 의해서 얻어지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2. 제38 내지 제4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 제동장치 및/또는 정지 또는 억제부재는 제2 대향지지면(73b) 또는 대향지지모서리 둘레로 연장되며, 예컨대 피스톤(116) 또는 자석부재의 작동에 의해서 변형될 수 있는 부분(114)으로 구성되어 그 제2 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 사이에 두개의 제동 또는 정지 부분들이 생기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3. 제38 내지 제4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 제동장치는 관련된 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의 부분들에 대하여 서로 반대쪽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동밴드 또는 제동선재들로 구성되며, 이 제동 밴드/제동선재 부분들에 대한 지지점들(103,104)은 하나 이상의 모터들(109)의 신속회전운동에 의해서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4. 제38 내지 제4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제동부재는 하나 이상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손가락 모양 또는 선형 요소들(71′a)을 갖추고 있으며, 이 선형 요소들의 자유단부들은 상기한 제2 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73b) 상방으로 연장되어 그곳에서, 예컨대 하나 이상의 자장(磁場)(97,98)에 의해서 동작되어 그 제2 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와 협동하여 상기한 실의 제동, 억제 또는 정지작용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5. 제1 내지 제4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여 서로에 대하여 가까이 또는 멀리 향하도록 작동되는 두개의 표면지지부분들로 구성된 실 저장부재, 바람직하게는 섬유기계상의 실공급장치용 제동부재의 경우에, 그리고 상기한 실 저장부재의 실 저장체로부터 실의 인발시에 상기한 표면지지부분들 사이로 그 실이 통과 되도록 하며, 상기한 표면지지부분들중 첫번째의 것이 실 저장부재의 단부면에 배치되고 두번째의 것이 상기한 단부면의 외측에 배치된 장치상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한 표지지부분들의 표면들의 외경은 상기한 실 저장체의 직경에 비해서 현저하게 작은, 예컨대 10-40% 밖에 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6. 제1 내지 제4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 표면지지부분은 작은 중량의 부재, 즉 약 50그램 이하되는 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7. 제1 내지 제4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 표면지지부분은 상기한 제1 표면지지부분에 대하여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 표면지지부분은 슬리이브와 하우징으로 구성된 상기한 장치에 설치되며, 상기한 하우징은 회전식으로 배열된 나사와 그 위에 부착되는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한 너트는 상기한 나사를 수동으로 회전시킴에 의해서 상기한 제1 표면지지부분을 향하여 또는 그로부터 멀리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너트와 상기한 제2 표면지지부분 사이에 스프링부재가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제2 표면지지부분의 제1 표면지지부분에 대한 압력은 상기한 나사를 회전시켜 상기한 너트의 종방향 위치를 변위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9. 제1 내지 제4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 표면지지부분을 상기한 제1 표면지지부분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변위시켜 전자로 하여금 후자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도록 함으로써 얻는 실의 장력의 범위는 0-100 그램이 되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0. 제1 내지 제4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너트는 상기한 슬리이브/하우징에 형성된 종방향 안내홈에 의해서 안내되는 안내부재를 갖추도록 하여 상기한 나사를 회전시킬 때 상기한 너트가 따라서 회전되지 못하도록 하며, 상기한 안내부재 및 안내홈은 상기한 슬리이브/하우징내에서 결합되어 상기한 너트의 종방향변위를 표시하는 부재들의 역할을 하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1. 제1 내지 제5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장치는 전체적으로 상기한 제1 표면지지부분에 대하여 대체로 전진 및 후진하는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2. 제1 내지 제5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 표면지지부분은 상기한 나사에 고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3. 제1 내지 제5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한 표면지지부분들의 표면은 상기한 실의 회전운동에 의해서 청소될 수 있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4. 제1 내지 제5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표면은 그 크기 및 형상에 의해서 상기한 실의 인발시에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5. 제1 내지 제5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표면지지부분은 전기식 제어부재의 프레임에 탄력적으로 배열되어 그 전기식 제어부재의 축이 상기한 프레임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6. 제1 내지 제5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각 표면지지부분과 협동할 수 있는 스프링부재들은 거품플라스틱재료, 예컨대 거품플라스틱 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7. 제1 내지 제5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100 그램의 실장력을 얻기 위해서 상기한 제1 및 2표면 지지부분들 사이의 위치조정은 전기적인 수단에 의해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8. 제1 내지 제5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동일한 실의 인발시에 실장력을 조정은 높은 속도와 감도를 가지고 동작하여 상기한 제2 표면지지부분의 제1 표면지지부분에 대한 압력을 변화시키는 작동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 작동장치는 음향코일에 의해서 동작되는 장치.
  59. 제1 내지 제5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철심속에 설치된 자석부재, 수신된 전기제어신호에 의해서 종방향 변위운동을 하는 코일, 및 이 코일과 상기한 제2 표면지지부분이 연결되어 있는 다이어프램지지 허브로 구성하여 코일의 운동이 상기한 제2 표면지지부분으로 전달되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0. 제5 또는 제59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 표면지지부분은 상기한 다이어프램과 또 하나의 다이어프램에 각 단부가 지지된 지지관에 고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1. 제1 내지 제6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실은 상기한 실저장체로 부터 상기한 표면지지부분들의 표면을 거쳐서 하방으로 통과하여 상기한 장치의 중심을 통해서 상기한 장치의 출구를 거쳐서 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한 실은 깔대기형의 제2 표면지지부분을 통과해서 상기한 지지관 및 상기한 장치의 출구를 거쳐서 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3. 제1 내지 제6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표면지지부분은 바람직한 원추대형으로 되어 상기한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그 프레임에 속하는 부분에 설치됨과 아울러, 그 원추대의 외측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표면지지부분은 만곡부의 형태로 모아지는 평면부를 갖춘 제1 디스크의 형상을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5. 제63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 표면지지부분은 만곡부로 모아지는 평면부를 갖춘 제2 디스크의 형상을 하며, 상기한 제1 및 제2 디스크들은 서로에 대하여 지지되었을 때 상기한 평면부들이 상기한 프레임 및 장치의 종축선들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배열되며, 상기한 만곡부들은 상기한 실을 받아들이는 대형 입구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6. 제1 내지 제4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여 서로에 대하여 가까이 또는 멀리 향하도록 작동되는 두개의 표면지지부분들로 구성된 실 저장부재, 바람직하게는 섬유기계상의 실공급장치용 제동부재의 경우에, 그리고 상기한 실 저장부재의 실 저장체로부터 실의 인발시에 상기한 표면지지부분들 사이로 그 실이 통과 되도록 하며, 상기한 표면지지부분들중 첫번째의 것이 실 저장부재의 단부면에 배치되고 두번째의 것이 상기한 단부면의 외측에 배치된 장치상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한 표면지지부분들의 표면들의 외경은 상기한 실 저장체의 직경에 비해서 현저하게 작은, 예컨대 10-40% 밖에 되지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표면지지부분은 상기한 실저장부재의 드럼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그 드럼에 대하여 상기한 실저장부재의 축이 경사질 수 있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8. 제66 또는 제67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표면지지부분은 바람직한 원추대형으로 되어 상기한 드럼에 나사식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이와는 달리 그 드럼에 속하는 부분에 설치됨과 아울러, 그 원추대의 외측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 표면지지부분은 만곡부로 모아지는 평면부를 갖춘 제2 디스크의 형상을 하며, 상기한 제1 및 제2 디스크들은 서로에 대하여 지지되었을 때 상기한 평면부들이 상기한 프레임 및 장치의 종축선들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배열되며, 상기한 실은 상기한 평면부들 사이로 통과하며, 상기한 만곡부들은 상기한 실을 받아들이는 대형 입구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0. 제1 내지 제6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출력제동시스템은 상기한 제1 부재(9) 및 대향부재(15) 사이에 안내되어 상기한 실의 인발시에 끊임없이 새롭게 통과하는 상기한 실의 부분이 그 실의 인발과 동시에 기본적으로 시계방향으로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시계의 면에서) 회전하는 표시침의 운동에 대응하는 운동을 하여 그 실의 청소작용을 확실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1. 제1 내지 제7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출력제동시스템은 상기한 실의 인발력(AF)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작용하여 상기한 제1 부재(9) 및 대향지지부재(15) 사이로 통과하는 실의 부분에 대한 장력작용을 보장하여 그 실의 상기한 회전운동 또는 표시침 운동을 보장하는 반력(MF)으로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2. 제1 내지 제7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표시침 운동을 일으키기 위한 반력은 상기한 제1 부재(9) 및 대향지지부재(15)에 의해서 형성된 제동/실장력 부재와는 별도로 된 장치, 예컨대 제2 제동/실장력 부재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3. 제1 내지 제7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반력은 상기한 인발력의 1-20%, 바람직하게는 5-15% 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4. 제1 내지 제7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출력제동시스템은 상기한 출력도관과 접속되어 설치된 공기공급도관 및 분사부재로 구성되어 공기에 의해서 실을 공급하는 작용을 하도록 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5. 제1 내지 제7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부재(9) 및/또는 대향지지부재(15)는 작동부재에 의하여 작동되어 상기한 실의 단부로 하여금 제1 부재 및 대향지지부재의 표면들 사이로 공급되어 들어가게끔 함으로써 동시에 또는 그 다음에 상기 공기에 의한 실공급작용이 일어날때 이것에 의해서 그 실이 상기한 출력도관을 통해서 인발되어 들어가도록 만들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6. 제1 내지 제7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부재(9) 및/또는 대향지지부재(15)는 서로 상대적인 경사도를 취할 수 있도록 작동되어 파지표면들로 하여금 상기한 실의 단부가 상기한 공기에 의한 실공급 작용에 의해서 전방으로 인도되어 상기한 배출도관을 통과할 수 있도록 허용하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7. 제74, 75 또는 제7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실 저장동체상의 대향지지부재(15)를 지지하는 부분에 경사운동부재를 설치하여 이 경사운동부재가 그 한쪽 단부에서 압력실린더부재의 동작을 받아서 다른쪽 단부에서는 상기한 대향지지부재(15)를 동작시켜 그 대향지지부재로 하여금 상기한 제1 부재(9)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상기한 실의 단부가 그 제1 부재(9) 및 대향지지부재(15)의 서로 협동하는 표면들 사이로 인도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한 분사부재의 작동에 의해서 그 실의 단부가 상기한 출력도관을 통해서 인발되어 들어가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8. 제74 내지 제7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대향지지부재를 지지하는 부분은 상기한 경사운동 부재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반대쪽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함몰구들을 갖추도록 하여 이들이 상기한 공기에 의해서 공급되는 실의 부분 둘레로 공기의 흐름을 쉽게 하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9. 제1 내지 제7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실공급장치의 크로스바는 상기한 분사작용시에 공기 공급을 하는 공기공급도관(252)을 갖추도록 함과 아울러, 그 공기공급작용은 상기한 출력도관의 중심부에 이루어지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0. 제74 내지 제7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작동부재는 압축공기에 의해서 작동되어 스프링의 작용에 반하여 변위될 수 있는 실린더 피스톤으로 구성되며, 이 실린더 피스톤에는 상기한 경사운동부재(237)와 협동할 수 있는 작동부재가 갖추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1. 제1 내지 제8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출력도관(256)의 최소한의 부분들에는 그 출구쪽으로 좁아져서 상기한 분사작용을 보강하는 도관부가 갖추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2. 제1 내지 제8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부재(9)를 상기한 대향지지부재(15)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지력을 만들어내는 부재들(259,260)은 그들을 조정하기 위한 일정한 위치들(265a-265e)을 갖추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3. 제82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정나사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은 상기한 지지력을 일으키는 부재에 포함된 조정나사(259)에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4. 제82 또는 83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부재 및 대향지지부재 사이의 지지력의 조정을 위한 일정한 위치들은 상기한 프레임 및/또는 홈지지프레임에 있는 홈들(265)과 협동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지지볼(26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5. 제1 내지 제8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실공급작용은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압축공기 실린더(243)의 작동에 의해서 시작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6.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20702065A 1990-03-12 1991-03-12 배출되는 실의 제동장치 KR100187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000881A SE9000881L (en) 1990-03-12 1990-03-12 Easily adjustable output yarn brake - using an electromagnetic control unit
SE900881-4 1990-03-12
SE9000911A SE9000911D0 (sv) 1990-03-13 1990-03-13 Utgaangsgarnbroms
SE900911-9 1990-03-13
SE900997-8 1990-03-19
SE9000997A SE9000997L (en) 1990-03-19 1990-03-19 Easily adjustable output yarn brake - using an electromagnetic control unit
SE9003624A SE9003624L (en) 1990-03-12 1990-11-13 Easily adjustable output yarn brake - using an electromagnetic control unit
SE9003624-5 1990-11-13
SE9003680-7 1990-11-18
SE9003680A SE9003680L (en) 1990-03-12 1990-11-18 Easily adjustable output yarn brake - using an electromagnetic control unit
SE9003813A SE9003813D0 (sv) 1990-11-29 1990-11-29 Manuellt eller automat-styrt justerbar utgaangsbroms foer traadlagerorgan, foeretraedesvis fournissoer vid textilmaskin
SE9003813-4 1990-11-29
SE9100066A SE9100066D0 (sv) 1991-01-07 1991-01-07 Utgaangsbroms foer traadlagerorgan, foeretraedesvis fournissoer vid textilmaskin
SE9100066-1 1991-01-07
PCT/SE1991/000185 WO1991014032A1 (en) 1990-03-12 1991-03-12 Output yarn brak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0713A true KR930700713A (ko) 1993-03-15
KR100187569B1 KR100187569B1 (ko) 1999-06-15

Family

ID=73653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2065A KR100187569B1 (ko) 1990-03-12 1991-03-12 배출되는 실의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75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87569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91521C1 (ru) Устройство торможения нити на выходной стороне средства подачи нити
KR100371989B1 (ko) 제어가능한출력브레이크및발사체또는그리퍼직조기
US4153214A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tension in the yarn unwinding from a yarn carrying body
ES344168A1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la retencion del hilo en dispositivos de hilar de extremo abierto.
KR970010833B1 (ko) 셔틀레쓰 직기의 위사 제동장치
JP3898763B2 (ja) ヤーン張力装置および装置を備えた織機
JPH02242947A (ja) 織機の緯糸制動装置
KR930700713A (ko) 배출되는 실의 제동장치
US4436249A (en) Winding system
US401969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yarn onto a cross-and-cone wound bobbin
US4991793A (en) Optical cable payoff system
JP3884381B2 (ja) 供給装置
US5775565A (en) Apparatus for feeding one or more fibre threads
US402502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constant tension material
US6058982A (en) Yarn feeding Device Having a Brake Opening Device for Threading
CN112770993B (zh) 导体制动装置和方法
JPH11507703A (ja) 繊維機械特にリボン織機のための糸送り装置
US60151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peditiously providing a reel of insulation material to an insulating machine
JPH026978Y2 (ko)
BE1025536B1 (nl) Draadreminrichting voor een inslagtoevoerinrichting
KR850002582Y1 (ko)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와이어 공급장치
EP3066243B1 (en) Device for removing weft thread
JPH0243119A (ja) 輪状弾性体の分離供給装置
SU171929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амотки пленочного полотна
US2417811A (en) Diamond die dri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08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2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208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0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2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7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