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30011213B1 - 와이어 방전가공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방전가공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1213B1
KR930011213B1 KR1019900002478A KR900002478A KR930011213B1 KR 930011213 B1 KR930011213 B1 KR 930011213B1 KR 1019900002478 A KR1019900002478 A KR 1019900002478A KR 900002478 A KR900002478 A KR 900002478A KR 930011213 B1 KR930011213 B1 KR 930011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hape
contour
machining
proces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2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4282A (ko
Inventor
요시로 나까야마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21983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167621A/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4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21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1/00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i.e. removing metal with a series of rapidly recurring electrical discharges between an electrode and a workpiece in the presence of a fluid di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14Electr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power supply
    • B23H7/20Electr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power supply for programme-control, e.g. adap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6Control of the travel curve of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electrode and workpiece
    • B23H7/065Electr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와이어 방전가공 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윤곽형성의 분할, 개시점 및 코어제거점의 입력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윤곽형상을 여러개로 분할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4도는 여러개로 분할된 윤곽형상의 각각의 분할형상의 개시점 및 코어제거점을 지정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분할형상의 가공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설명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다른 분할형상의 가공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설명도.
제8도는 종래의 와이어 방전가공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제9도는 종래의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의 코어제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제10도는 공작물에 여러개의 윤곽형상을 가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은 크거나 또는 복잡한 형상의 코어라도 확실하게 공작물에서 제거할 수 있는 와이어 방전가공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8도는, 에를 들면 종래의 코어제거장치를 구비한 와이어 방전가공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1)은 와이어 전극, (2)는 가공대상인 공작물, (3)은 공작물(2
)를 탑재 고정해서 X,Y평면내를 자유롭게 이동하는 테이블, (4)는 테이블(3)을 X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X축 모터, (5)는 테이블(3)을 Y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Y축 모터, (6)은 X축 모터(4) 및 Y축 모터(5)를 구동해서 테이블(3)을 와이어전극(1)과 상대적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다른 제어등도 실행하는 수치제어장치, (7)은 와이어전극(1)과 공작물(2)사이에 형성되는 가공 간극에 가공전류를 공급하는 가공전원, (8)은 와이어전극(1)에 의해서 공작물(2)로부터 잘려지는 코어(9)를 공작물(2)의 가공영역 밖으로 반출하여 제거하는 코어제거장치이다.
제9도는 코어제거장치(8)의 주요 기구부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10)은 공작물(2)를 흡착하는 흡착헤드이고, 이 흡착헤드(10)은 수평암(11)의 한쪽 끝에 고정되고, 상기 암(11)의 다른쪽 끝은 베어링(12)를 거쳐서 언로딩축(13)의 아래 끝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 도시하지 않은 기구에 의해서 상하로 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4)는 와이어전극(1)과 공작물(2)의 방전 가공부분에 위쪽으로부터 가공액을 공급하는 상부노즐이고, 이 상부노즐(14)는 상하 이동이 가능한 브레이스
(brace)(16)에 고정되어 있다. (15)는 공작물(2)의 하면측으로부터 상기 방전 가공부분으로 가공액을 공급하는 하부노즐이고, 이 하부노즐(15)는 고정브레이스(16)에 고정되어 있다.
제10도는 공작물(2)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17),(18),(19) 및 (20)은 각각 와이어전극(1)에 의해 방전 가공되는 윤곽형상이고, 또(21),(22),(23) 및 (24)는 각각 와이어전극(1)이 삽입되어 통과되는 개시구멍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와이어전극(1)과 공작물(2) 사이에 가공전원(7)로부터 가공전압을 인가해서 상기 각각의 사이에 형성되는 가공간극에 방전을 일으킨다. 또, X축 모터(4) 및 Y축 모터(5)를 수치제어장치(6)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테이블(3)을 바라는 윤곽형상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방전가공을 실행한다. 가공 완료후, 공작물(2)로부터 잘려나간 코어(9)를 가공영역 밖으로 반출하여 제거한다.
다음에, 구체적인 형상가공을 공작물(2)에 실시하는 경우를 예로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제10도에 도시한 윤곽형상(17)을 방전가공하는 경우, 먼저 개시구멍(21)에 와이어전극(1)을 삽입하여 통과시키고, 와이어전극(1)과 공작물(2)의 간극에 상부노즐(14) 및 하부노즐(15)로부터 가공액(도시하지 않음)을 분출시킨 상태에서 와이어전극(1)과 공작물(2) 사이에 가공전압을 인가해서 방전을 발생시킨다.
이 상태에서 와이어전극(1)의 궤적이 개시구멍(21)에서 도면중의 화살표방향으로 진행하도록 공작물(2)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공작물(2)에 윤곽형상(17)에 대응한 가공을 실시한다.
다음에, 윤곽형상(17)에 대응한 방전가공이 종료하면, 윤곽형상(17)에 해당하는 코어(9)가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잘려져서 하부노즐(15)에 의해서 지지된다.
다음에,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노즐(14) 및 그의 브레이스(16)을 위쪽으로 세이브시키고, 상부노즐(14)와 공작물(2)사이의 공간에 흡착헤드(10)을 위치시킨다. 즉 언로딩축(13)을 공작물(2)와 근접하는 위치까지 하강시킴과 동시에 암(11)을 선회동작시켜서 흡착헤드(10)을 코어(9)의 상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결정하고, 흡착헤드(10)을 코어(9)에 흡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흡착헤드(10)을 포함하는 언로딩축(13)을 상승시키고, 코어(9)를 공작물(2)의 위쪽으로 들어올린다. 계속해서, 암(11)의 선회동작에 따라서 코어(9)를 공작물(2)의 밖으로 이동시켜 코어(9)에 대한 흡착헤드(10)의 흡인력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코어(9)를 제거한다.
그후, 다음의 윤곽형상에 대한 방전가공이 계속된다.
예를 들면,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윤곽형상의 가공인 경우에는 윤곽형상(17)에 대한 방전가공 및 코어(9)의 자동제거가 실행되면, 이것에 계속해서 개시구멍(22)에 와이어전극(1)을 자동적으로 통과시키고, 상기 윤곽형상(17)과 마찬가지로 윤곽형상(18)을 가공해서 이것에 의해 잘려진 코어(9)를 코어제거장치(8)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제거한다.
그후, 마찬가지로 해서 개시구멍(23) 또는 개시구멍(24)에 와이어전극(1)을 자동으로 삽입해서 통과시켜서 각각의 윤곽형상(19),(20)을 방전가공하고, 이것에 의해 잘려지는 코어(9)를 코어제거장치(8)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제거해서 모든 윤곽형상(17),(18),(19) 및 (20)의 방전가공을 종료한다.
종래의 와이어 방전가공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방전가공에 의해 공작물(2)로부터 잘려진 코어(9)를 흡착헤드(10)에 의해 흡착하여 공작물(2)의 상면측으로 들어올려서 공작물(2)의 밖으로 제거하는 것이므로, 공작물(2)와 상부노즐(14) 사이의 공간을 그 만큼 크게 취할 수 없는 관계상, 흡착헤드(10) 및 암(11)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코어제거장치(8)을 소형화해야만 하고, 이것에 따라 제거할 수 있는 코어(9)의 크기 및 중량에 제약이 있으며, 예를 들면 제10도에 도시한 윤곽형상(18)과 같이 큰 가공형상의 코어(9)의 자동제거가 불가능하고, 또 동일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윤곽형상(20)과 같이 가늘고 길며 또한 복잡한 가공형상의 코어(9)에 있어서는 이것을 흡착해서 들어올릴때에 그 가늘고 긴 부분이 공작물(2)에 걸려서 코어(9)를 자동 제거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코어(9)를 자동 제거할 수 있는 것은 윤곽형상(17),(19)에 해당하는 가공형상의 것만으로 한정되어 버려 연속해서 자동적으로 방전 가공되는 가공형상에 제약을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방전가공에 의해 잘려지는 어떠한 윤곽형상의 코어에 대해서도 그의 제거동작이 확실하게 되어 연속가공을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와이어 방전가공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와이어 방전가공방법은 와이어전극과 공작물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방전을 발생시키고, 상기 공작물을 윤곽형상 가공해서 이 가공에 의해 잘려지는 코어를 자동적으로 제거하고, 연속적으로 방전가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윤곽형상 프로그램으로 정의된 윤곽형상을 바라는 수 및 형상으로 분할하는 명령과 상기 분할되는 형상의 각각의 가공개시점 및 종료점을 설정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윤곽형상의 분할상태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분할되어 가공개시점 및 종료점이 설정된 각각의 분할상태의 전체 가공경로를 결정하는 스텝과 상기 결정된 전체 가공경로에 대응하는 NC데이타를 생성하고 이 NC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분할형상을 가공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와이어 방전가공장치는 와이어전극과 공작물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방전을 발생시키고, 상기 공작물을 윤곽형상 가공해서 이 가공에 의해 잘려지는 코어를 코어제거수단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거하고, 연속적으로 방전가공하는 것에 있어서, 가공되는 1개의 윤곽형성을 여러개의 윤곽형상으로 분할해서 가공하는 분할가공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와이어 방전가공장치는 와이어전극과 공작물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방전을 발생시키고, 상기 공작물을 윤곽형상 가공해서 이 가공에 의해 잘려지는 코어를 코어제거수단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거하고, 연속적으로 방전가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윤곽형상 프로그램으로 정의된 윤곽형상을 바라는 수 및 형상으로 분할하는 명령과 상기 분할되는 형상의 각각의 가공개시점 및 종료점을 설정하는 명령이 입력되고, 상기 각각의 입력신호에 대응해서 상기 윤곽형상의 분할상태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분할되어 가공개시점 및 종료점이 설정된 각각의 분할형상의 전체 가공경로를 결정하는 분할처리 제어수단, 상기 분할처리 제어수단에 의해서 결정된 전체 가공경로에 대응하는 NC데이타를 생성하고, 상기 NC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분할형상을 가공하는 가공경로 생성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는 가공대상의 윤곽형상을 그 크기 및 형상에 따라서 여러개의 가공형상으로 분할해서 방전가공하고, 상기 방전가공이 종료할때마다 공작물에서 잘려지는 코어를 자동제거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방법에 있어서는 윤곽형사 프로그램으로 정의된 윤곽형상을 바라는 수 및 형상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상기 분할되는 형상의 각각의 가공개시점 및 종료점을 설정하고, 그 상태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분할되어 가공개시점 및 종료점이 설정된 각각의 분할형상의 전체 각공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전체 가공경로에 대응하는 NC데이타를 생성해서 상기 NC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분할형상을 방전가공하고, 상기 방전가공이 종료할때마다 공작물에서 잘려지는 코어를 자동제거한다.
또,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는 분할가공 제어수단이 가공대상의 윤곽형상을 그 크기 및 형상에 따라서 여러개의 가공형상으로 분할해서 방전가공하고, 상기 방전가공이 종료할 때마다 방전가공하고, 상기 방전가공이 종료할때마다 공작물에서 잘려지는 코어를 코어제거수단이 자동적으로 제거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방법에 있어서는 윤곽형상 프로그램으로 정의된 윤곽형상을 바라는 수 및 형상으로 분할하는 명령과 상기 분할되는 형상의 각각의 가공개시점 및 종료점을 설정하는 명령이 입력되는 분할처리 제어수단이 상기 윤곽형상의 분할상태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분할되어 가공개시점 및 종료점이 설정된 각각의 분할형상의 전체 가공경로를 결정하고, 가공경로 생성수단이 상기 결정된 전체 가공경로에 대응하는 NC데이타를 생성하고, 상기 NC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분할형상을 방전가공하고, 상기 방전가공이 종료할때마다 공작물에서 잘려지는 코어를 코어제거수단이 자동적으로 제거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에서, (50)은 가공대상의 윤곽형상 프로그램을 입력하기 위한 윤곽형상 입력장치,(51)은 윤곽형상 입력장치(50)에 의해 입력된 윤곽형상을 바라는 수 및 형상으로 분할하기 위한 분할점을 입력하는 분할점 입력장치, (52)는 분할점 입력장치(51)에 의해서 입력되어 바라는 수 및 바라는 형상으로 분할된 각각의 분할형상의 가공개시점 및 각각의 코어(9)를 제거하기 위한 위치를 입력하는 개시점 및 코어제거점 입력장치, (53)은 윤곽형상 입력장치(50), 분할점 입력장치(51), 개시점 및 코어제거점 입력장치(52)의 각각에서 입력되는 입력데이타를 처리하는 분할처리 제어장치, (53a)는 분할처리 제어장치(53)의 데이타 처리결과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수단인 그래픽장치, (54)는 분할처리 제어장치(53)에서 처리된 결과에 따라 윤곽형상을 분할 가공하기 위한 NC데이타를 연산 생성하는 가공경로 생성수단, (55)는 가공경로 생성수단(54)에서 연산 생성된 데이타를 기억함과 동시에 적절하게 그 기억데이타를 수치제어장치(6)으로 출력하는 기억장치이다. (56)은 윤곽형상 입력장치(50), 분할점 입력장치(51), 개시점 및 코어제거점 입력장치(52), 분할처리 제어장치(53) 및 가공경로 생성수단(54)로 이루어지는 분할 가공제어수단이다.
또한, 동일도면에서 종래예에 나타낸 제8도와 동일한 부호에 대해서는 동일부분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제10도에 도시한 방전가공에 의해서 잘려지는 코어(9)가 단일체로서는 자동 제거할 수 없을 만큼 큰 면적의 윤곽형상(18)을 방전가공하는 경우를 예로 해서 제2도의 흐름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먼저, 스템(S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윤곽형상 입력장치(50)에서 윤곽형상(18)에 대응한 윤곽형상 프로그램을 분할처리 제어장치(53)에 입력한다. 분할처리 제어장치(53)은 스텝(S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된 데이타에 따라 연산하고, 스텝(S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결과를 그래픽장치(53a)의 화면상에 제3도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윤곽형상으로서 표시한다.
다음에, 분할점 입력장치(51)에 의해 그래픽장치(53a)의 화면상의 커서(60)을 이동시켜 스텝(S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제3도 b에 도시한 위치에 설정하여 분할형상의 한쪽끝으로서 분할처리 제어장치(53)에 기억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커서(60)을 이동시켜 스텝(S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도 c에 도시한 위치에 설정하여 분할형상의 한쪽끝으로서 마찬가지로 분할처리 제어장치(53)에 기억시킨다. 분할처리 제어장치(53)은 스텝(S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의 입력데이타에 따라 연산을 실행하고, 제3도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윤곽형상(18)의 일부를 분할함과 동시에 스텝(S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들의 상태를 그래픽장치(53a)의 화면상에 계속해서 표시한다. 그후, 제3도 d,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마찬가지인 동작을 반복하고, 최종적으로 제3도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윤곽형상(18)을 코어(9)의 제거 가능한 형상으로 분할한다(이 예에서는 6분할로 된다). 계속해서 스텝(S8)에 있어서 상기 분할동작의 완료가 확인되면, 다음에 스텝(S9)∼(S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시점 및 코어제거점 입력장치(52)에 의해 상기 동작에 의해 분할한 가공형상의 각각에 있어서의 가공의 개시점 및 코어제거점을 설정한다. 즉, 제4도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래픽장치(53a)의 화면상의 커서(60)을 이동시켜 개시점을 분할처리 제어장치(53)에 기억시킴과 동시에 그 개시점에 "S"라는 문자를 표시시킨다.
계속해서, 제4도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래픽장치(53a)의 화면상의 커서(60)을 이동시켜 코어제거점을 분할처리 제어장치(53)에 기억시킴과 동시에 그 코어제거점에 "R"이라는 문자를 표시시켜 스텝(S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첫 번째의 분할형상의 가공경로를 결정한다. 그후, 제4도 c, d,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마찬가지인 동작을 반복하고, 최종적으로 제4도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S14)에서 상기 동작의 완료가 확인되면 개시점 및 코어제거점을 포함한 분할형상의 전체 가공경로의 생성으로 이행한다.
다음에, 상기 분할형상의 전체 가공경로의 생성방법을 제5도의 흐름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먼저, 스텝(S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처리 제어장치(53)에서 가공경로 생성수단(54)로 데이타를 전송하고, 스텝(S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공 순서 카운터를 리세트한다. 다음에, 스텝(S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래픽 장치(53a)의 화면상에서 첫 번째로 가공하는 분할형상의 개시점을 기억하고, 동시에 스텝(S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방향, 반시계방향의 가공 회전방향을 입력하고, 계속해서 스텝(S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공경로 생성수단(54)에서 첫 번째로 가공하는 분할형상의 가공경로를 연산한다.
이 동작을 반복하면서 스텝(S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공순서 카운터의 내용을 카운트업해 가고, 스텝(S26)에서 이 가운트업값이 소정의 값, 즉 분할수로 되었을 때 모든 분할형상의 가공경로의 연산이 완료한 것으로 되어 스텝(S27)로 진행해서 각 분할형상 사이의 이동경로를 자동연산해서 모든 가공경로가 생성된다. 이 결과는 스텝(S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억장치(55)로 NC데이타로서 출력되어 기억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가공경로 생성수단(54)에서 결정된 데이타에 따라 상기 각각의 분할형상의 개시점 및 코어제거명령을 포함한 NC데이타가 생성된다.
계속해서, 상기 생성된 NC데이타는 기억장치(55)에 기억된다. 그후, 방전가공이 개시되면, 상기 기억된 NC데이타는 적절하게 수치제어장치(6)으로 전송되고, 상기 NC데이타의 명령에 따라서 가공전원(7), X축 모터(4), Y축 모터(5) 또는 코어제거장치(8)이 동작해서 상기 각각의 분할형상이 방전가공됨과 동시에 코어제거가 실행되어 최종적으로 윤곽형상(18)의 가공이 완료한다.
즉, 상기 각종동작에 의해서 각각의 분할형상에 대응해서 생성된 NC데이타가 실행되면, 먼저 와이어 전극(1)이 개시점 및 코어제거점 입력장치(52)에 의해서 설정된 개시점에 위치결정되어 설정되고, 계속해서 분할점 입력장치(51)에 의해서 바라는 수 및 형상으로 분할된 분할형상에 따라서 가공전원(7)에서 공급되는 가공전류에 의해서 방전가공이 실행된다.
그리고, 방전가공이 진행하여 와이어전극(1)이 개시점 및 코어제거점 입력장치(52)에 의해서 설정된 코어제거점과 일치한 시점에서 분할형상은 공작물(2)로부터 코어(9)로 되어 떨어져나가 하부노즐(15)에 의해서 지지된다. 또, 이때 NC데이타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코어제거장치(8)에 대해서 신호가 출력되고, 그 신호에 따라서 코어제거장치(8)이 상기 코어(9)를 흡착해서 공작물(2)의 밖으로 반출하여 제거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해서 윤곽형상(18)이 방전가공된다.
다음에, 상기 각각의 분할형상을 방전가공하는 프로세스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1의 가공스텝에서는 제6도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윤곽형상(18)내의 상부측 중앙부에 개시점 및 코어제거점 입력장치(52)에서 설정이 완료된 개시점에 개시구멍(22)를 뚫어 마련하고, 이것에 와이어전극(1)(도시하지 않음)을 자동으로 삽입해서 통과시키고, 상기 가공경로 생성수단(54)에서 생성되어 기억장치(55)에 기억된 분할형상(70)의 NC데이타에 따라서, 분할형상(70)을 따라 도면중의 화살표방향으로 와이어전극(1)을 이동시키면서 가공전원(7)로부터 공급되는 가공전류에 의해서 방전가공을 실행한다. 그리고, 상기 개시점 및 코어제거점 입력장치(52)에서, 설정한 코어제거점, 즉 가공 종료점(90)까지 방전가공이 진행하면, 상기 분할형상(70)은 코어(9)(도면중, 크레이프(crepe)를 실시한 부분)로서 공작물(20)로부터 잘려나가서 제9도에 도시한 하부노즐(15)에 지지된다.
계속해서, 코어제거장치(8)에 의해 상기 하부노즐(15)에 지지되어 있는 코어(9)가 흡착되어 공작물(2)의 밖으로 반출되어 제거된다.
다음에, 제2의 가공스텝에서는 제6도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미 가공된 분할형상(70)내의 개시점(81)에 와이어전극(1)을 이동시키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기억되어 있는 분할형상(71)의 NC데이타에 따라서 가공완료의 분할형상(70)의 오른쪽 가까이의 분할형상(71)을 도면중의 화살표방향으로 방전가공을 실행하여 가공종료점(91)까지 방전가공이 진행하면, 상기 분할형상(71)은 코어(9)(도면중, 크레이프를 실시한 부분)로서 공작물(2)로부터 잘려나가서 제9도에 도시한 하부노즐(15)에 지지된다.
계속해서, 코어제거장치(8)에 의해 상기 하부노즐(15)에 지지되어 있는 코어(9)가 흡착되어 공작물(2)의 밖으로 반출되어 제거된다.
그후, 마찬가지로 해서 제6도 c∼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제6의 가공 스텝으로서 개시점 (82),(83),(84),(85)에서 가공종료점(92),(93),(94),(95)까지가 각각 방전가공되어 상기 가공종료점(95)의 방전가공이 종료하고, 분할형상(75)가 코어(9)로서 공작물(2)의 밖으로 반출되어 제거된 시점에서 윤곽형상(18)의 방전가공이 완료한다.
다음에,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형상이 가늘고 길고 복잡한 윤곽형상(20)을 방전가공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 윤곽형상(20)은 제7도에 도시한 윤곽형상(20)에 상당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윤곽형상(20)은 4단계로 분할해서 방전가공이 실행된다.
즉, 먼저 제1의 가공스텝에서는 제7도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윤곽형상(20)의 중앙부분의 분할형상(100)내에 개시점 및 코어제거점 입력장치(52)에서 설정완료된 개시점에 개시구멍(24)를 뚫어 마련해서 이것에 와이어전극(1)(도시하지 않음)을 자동으로 삽입해서 통과시켜 상기 가공경로 생성수단(54)에서 생성되어 기억장치(55)에 기억된 분할형상(100)의 NC데이타에 따라서, 분할형상(100)에 따라 도면중의 화살표방향으로 와이어전극(1)을 이동시키면서 가공전원(7)로부터 공급되는 가공전류에 의해서 방전가공을 실행한다.
그리고, 상기 개시점 및 코어제거점 입력장치(52)에서 설정한 코어제거점, 즉 가공종료점(120)까지 방전가공이 진행하면, 상기 분할형상(100)은 코어(9)(도면중, 크레이프를 실시한 부분)로서 공작물(2)로부터 잘려나가 제9도에 도시한 하부노즐(15)에 지지된다.
계속해서, 코어제거장치(8)에 의해 상기 하부노즐(15)에 지지되어 있는 코어(9)가 흡착되어 공작물(2)의 밖으로 반출되어 제거된다.
다음에, 제2의 가공스텝에서는 제7도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미 가공된 분할형상(100)내의 개시점(111)에 와이어전극(1)을 이동시키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기억되어 있는 T자형의 분할형상(101)의 NC데이타에 따라서 가공이 완료된 분할형상(100)의 상부의 분할형상(101)을 도면중의 화살표방향으로 방전가공을 실행하고, 가공종료점(121)까지 방전가공이 진행하면, 상기 분할형상(101)은 코어(9)(도면중, 크레이프를 실시한 부분)로서 공작물(2)로부터 잘려나가 제9도에 도시한 하부노즐(
15)에 지지된다. 계속해서, 코어제거장치(8)에 의해 상기 하부노즐(15)에 지지되어 있는 코어(9)가 흡착되어 공작물(2)의 밖으로 반출되어 제거된다.
그후, 마찬가지로 해서 제7도 c,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제4의 가공스텝으로서 개시점(112),(113)에서 가공종료점(122),(123)까지가 각각 방전가공되고, 상기 가공종료점(123)의 방전가공이 종료하여 분할형상(103)이 코어(9)로서 공작물(2)의 밖으로 반출되어 제거된 시점에서 윤곽형상(20)의 방전가공이 완료한다.
또, 필요가 있으며, 제7도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의 가공스텝에서 고차가공을 실행하여도 좋다. 즉, 개시점(114)에서 도면중의 화살표방향으로 와이어전극(1)을 이동시켜서 가공종료점(124)에서 방전가공을 종료시키면 용이하게 고차가공을 실행할 수 있어 고정밀도인 윤곽형상(20)이 얻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윤곽형상(18),(20)의 분할수를 6개 또는 4개로 했지만, 이들의 분할 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라는 분할수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을 물론이다.
또,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상기 실시예에 나타낸 윤곽형상의 가공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공경로 생성수단(54)의 출력결과를 기억장치(55)에 기억하도록 하였지만, 이것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그 출력결과를 수치제어장치(6)으로 출력하도록 하여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방전가공되는 1개의 윤곽형상을 코어의 제거가 용이한 여러개의 윤곽형상으로 분할해서 순차적으로 가공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코어제거가 곤란한 큰 윤곽형상 또는 복잡한 윤곽형상의 가공이더라도 상기 가공에 의해서 공작물로부터 잘려지는 코어를 확실하게 자동제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윤곽가공의 연속 자동가공을 실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와이어전극과 공작물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방전을 발생시키고, 상기 공작물을 윤곽형상 가공해서 이 가공에 의해 잘려지는 코어를 자동적으로 제거하고, 연속적으로 방전가공하는 와이어 방전가공방법에 있어서, 가공되는 하나의 윤곽 형상을 여러개의 윤곽 형상으로 분할하는 스텝, 상기 윤곽 형상의 분할형태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윤곽 형상의 각각의 분할형상의 전체 가공경로를 결정하는 스텝과, 상기 결정된 전체 가공경로에 대응하는 NC데이타를 생성하고, 이 NC데이타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분할형상을 가공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와이어 방전가공방법.
  2. 와이어 전극(1)과 공작물(2)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방전을 발생시키고, 상기 공작물을 윤곽형상 가공해서 그 가공에 의해 잘려지는 코어(9)를 코어제거수단(8)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거하고, 연속적으로 방전가공하는 와이어 방전가공장치에 있어서, 가공대상의 윤곽형상 프로그램을 입력하기 위한 윤곽형상 입력장치(50), 상기 윤곽형상 입력장치(5)에 의해서 입력된 윤곽형상을 소정의 수 및 형상으로 분할하기 위한 분할점을 입력하는 분할점 입력장치(51), 상기 분할점 입력장치(51)에 의해 입력되고, 소정 수 및 형상으로 분할된 각각의 분할형상의 가공 개시점 및 각각의 코어(9)를 제거하기 위한 위치를 입력하는 개시점 및 코어 제거점 입력장치(52), 상기 윤곽형상 입력장치(50), 분할점 입력장치(51), 개시점 및 코어 제거점 입력장치(52)의 각각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데이타를 처리하는 분할처리 제어장치(53), 상기 분할처리 제어장치(53)의 데이타 처리결과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수단인 그래픽장치(53a), 상기 분할처리 제어장치(53)에서 처리된 결과에 따라 윤곽형상을 분할 가공하기 위한 NC데이타를 연산 생성하는 가공경로 생성수단(54)와, 상기 가공경로 생성수단(54)에서 연산 생성된 데이타를 기억함과 동시에 적절하게 그 기억데이타를 수치제어장치(6)으로 출력하는 기억장치(55)를 포함하는 와이어 방전가공장치.
KR1019900002478A 1989-08-25 1990-02-27 와이어 방전가공 방법 및 그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300112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9-219837 1989-08-25
JP1219837A JPH02167621A (ja) 1988-09-08 1989-08-25 ワイヤ放電加工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1-219837 1989-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282A KR910004282A (ko) 1991-03-28
KR930011213B1 true KR930011213B1 (ko) 1993-11-29

Family

ID=16741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2478A Expired - Fee Related KR930011213B1 (ko) 1989-08-25 1990-02-27 와이어 방전가공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253178A (ko)
EP (1) EP0413889B1 (ko)
KR (1) KR930011213B1 (ko)
DE (1) DE6901011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145A (ja) * 1994-07-13 1996-01-30 Fanuc Ltd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機における加工方法
CN100544871C (zh) * 2004-01-29 2009-09-30 三菱电机株式会社 放电加工装置及放电加工方法
USD514913S1 (en) * 2004-02-10 2006-02-14 Stratasys, Inc. Three-dimensional modeling substrate
JP5507587B2 (ja) * 2012-01-11 2014-05-28 ファナック株式会社 補助指令の実行機能を有する数値制御装置
JP6420291B2 (ja) * 2016-11-11 2018-11-07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プログラム生成装置
US11992891B2 (en) 2020-12-09 2024-05-28 Sodick Co., Ltd. Machining method of wire discharge machine, machining program generating device, wire discharge machining system and machined object manufactur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59599A5 (ko) * 1973-08-15 1975-03-14 Agie Ag Ind Elektronik
US4059788A (en) * 1976-02-02 1977-11-22 Vladimir Sergeevich Vasiliev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n electroerosion cutting machine
DE2604843A1 (de) * 1976-02-07 1977-08-11 Exnii Metallorezh Stankov Einrichtung zur selbsttaetigen steuerung von elektroerosions-schneidemaschinen
JPS56114621A (en) * 1980-02-05 1981-09-09 Inoue Japax Res Inc Wire-cut machining method by electric conduction
JPS57144629A (en) * 1981-03-02 1982-09-07 Fanuc Ltd Wire cut discharge working method
US4484052A (en) * 1981-03-13 1984-11-20 Inoue-Japax Research Incorporated Cutting method and apparatus
CH646892A5 (fr) * 1982-04-08 1984-12-28 Charmilles Sa Ateliers Procede de decoupage par decharges electriques.
US4745256A (en) * 1985-02-12 1988-05-17 Metallurgical Industries, Inc. Narrow substrate having weld bead of powdered metal
DE3616740A1 (de) * 1986-05-17 1987-11-19 Heidenhain Gmbh Dr Johannes Vorrichtung zur gewinnung von werkstueckkonturen
JPS63102853A (ja) * 1986-10-21 1988-05-07 Fanuc Ltd ポケツト加工用ncプログラム作成方法
JPS6421126A (en) * 1987-07-16 1989-01-24 Toshio Miyagi Back hoe bucket
JPH0734018B2 (ja) * 1987-09-30 1995-04-12 株式会社島津製作所 連続化学分析方法
JPH01289619A (ja) * 1988-05-17 1989-11-21 Mitsubishi Electric Corp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装置
JPH0288143A (ja) * 1988-09-22 1990-03-28 Mitsubishi Electric Corp 数値制御装置のcrt表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13889A1 (en) 1991-02-27
US5253178A (en) 1993-10-12
DE69010111D1 (de) 1994-07-28
EP0413889B1 (en) 1994-06-22
KR910004282A (ko) 1991-03-28
DE69010111T2 (de) 1994-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26545A (ko) 공작기계에 있어서 공구 선택 방법 및 제어장치 그리고수치 제어 선반
KR930011213B1 (ko) 와이어 방전가공 방법 및 그 장치
JP6408040B2 (ja) 数値制御装置
JP2948797B2 (ja)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用加工順序編集方法及び装置
JP2000126937A (ja) 放電加工におけるプログラミング装置の設定装置
JP7097475B1 (ja) ワイヤ放電加工機の加工方法および加工プログラム生成装置
JP2003291032A (ja) 形彫放電加工における加工条件の設定方法および形彫放電加工装置の数値制御電源装置
JP3516597B2 (ja) 放電加工におけるプログラミング装置の設定装置
JPH03117519A (ja) ワイヤ放電加工方法
JPS58219606A (ja) 形状自動加工方式
JPH02224928A (ja) 複合加工装置及びその加工方法
JPH0592349A (ja) 数値制御装置
JPH02167621A (ja) ワイヤ放電加工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5084650B2 (ja) 形彫放電加工における揺動放電加工方法及び揺動放電加工装置
JPH1049212A (ja) 工作機械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3009216B2 (ja) 数値制御研削盤の砥石自動修正装置
JPS62130130A (ja) 数値制御放電加工装置
JP2697972B2 (ja) 放電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JP2846885B2 (ja) Ncデータ作成装置
JPH08150540A (ja) 工作機械の干渉防止装置
KR100246885B1 (ko) 수치제어 면취가공장치 및 그 가공방법
JPH03221319A (ja) 放電加工装置
JP2698977B2 (ja) プログラム作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データ入力装置
JPS5973231A (ja) 通電加工制御方法
JP2000280154A (ja) 砥石の肩rを考慮したコーナ研削方法および研削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11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7113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7113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