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30008647Y1 - 에어콘의 배관파이프용 연결밸브 - Google Patents

에어콘의 배관파이프용 연결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647Y1
KR930008647Y1 KR2019910019212U KR910019212U KR930008647Y1 KR 930008647 Y1 KR930008647 Y1 KR 930008647Y1 KR 2019910019212 U KR2019910019212 U KR 2019910019212U KR 910019212 U KR910019212 U KR 910019212U KR 930008647 Y1 KR930008647 Y1 KR 9300086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ner tube
tube
air conditioner
out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92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1355U (ko
Inventor
박천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9100192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8647Y1/ko
Publication of KR9300113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3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6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6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33/2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a clamping ring being arranged between the threaded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에어콘의 배관파이프용 연결밸브
제 1 도는 에어콘의 전체구성도.
제 2 도는 연결밸브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 3 도는 종래 연결밸브의 측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사시도.
제 6 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내부관 110 : 공간부
111 : 나사부 120 : 환턱부
130 : 구멍 140 : 안내홈
300 : 외부관 310 : 배출관부
320 : 공간부 321 : 환턱부
400, 410 : 패킹 401 : 요홈
500 : 조임나사 510 : 안내돌기
600 : 캡 610 : 경사돌기
본 고안은 에어콘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여주는 배관파이프의 연결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할수있도록 안출한 에어콘의 배관 파이프를 연결밸브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용량이 크게 요구되는 공냉식 에어콘은 제 1 도에서와 같이 실내기(1)와 실외기(2)를 별도로 제작하여 실내기(1)는 실내에 설치하고, 실외기(2)는 외부에 설치한후, 그 실내기(1)와 실외기(2)를 배관파이프(3)로써 연결하였으며, 상기 배관파이프(3)의 연결작업은 제 2 도에서와 같이 실내기(1)에 연결된 각 배관파이프(3)를 실외기(2)의 일측면에 고정설치한 연결밸브(4)에 연결하여서 사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연결밸브는 제 3 도에서와 같이 실외기(2)의 내부의 배출파이프(5)와 연결되는 연결관부(41)와 실내기(1)의 배관파이프(3)와 연결되는 배출관부(42) 및 상부에 캡(6)이 연결되며 그 내부공간부(43)에서 변봉(7)이 상하로 유동되는 공기배출관부(44)로 구성되는 연결밸브를 일체형으로 제작한후 그 연결밸브를 실외기(2)의 일측하단에 고정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연결밸브는 배관파이프(3)가 연결되는 배출관부(42)가 일방향으로 고정되는 관계로 배관파이프(3)의 연결작업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상기 연결배관이 일방향으로 고정되어있기 때문에 배관파이프와 연결배관의 배출관부의 위치가 다를 경우에는 배관파이프를 벤딩한후 연결하여야 하기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었고, 둘째, 상기 배관파이프의 벤딩작업시 배관파이프가 굵으면 배관파이프의 꺾임으로 인한 불량이 발생되었고, 셋째, 실외기의 설치공간이 작은경우에는 배관파이프의 벤딩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위해 연결배관이 회동하도록 하여 어느 방향에서나 배관파이프를 벤딩하지 아니하고 편리하게 연결할수있는 연결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 4 도 내지 제 6 도에서와 같이 내부공간부(110)의 상부내주연에 변봉(200)이 유동하도록 나사부(111)가 형성되며, 그 외주연의 하부에는 환턱부(120)가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중앙부에는 다수개의 구멍(130)들이 형성되는 내부관(100), 상기 내부관(100)의 외주연에 끼워지며, 그 중앙부 일측에는 배출관부(310)가 일체로 돌출형성됨과 동시에 내부공간부(320)의 하부에는 환턱부(321)가 형성되는 외부관(300), 상기 내부관(100)의 상부와 환턱부(120)에 각각 서되는 패킹(400)(410)들 및 상기 내부관(100)의 하부를 관통하여 외부관(300)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조임나사(500)와 상기 외부관(300)의 상부에 체결되는 캡(600)으로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내부관(100)의 하부외주연에는 안내홈(140)을 형성하고, 조임나사(500)의 내주연에는 상기 안내홈(140)에 끼워지는 안내돌기(510)를 일체로 돌출형성하여 조임나사(500)가 내부관(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하되 상,하로는 유동하지 못하호록 고정한다.
내부관(lO0)의 공간부(110)에 형성된 나사부(111)는 중앙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130)들보다 하부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되도록 형성하여 변봉(200)이 상기 구멍(130)들을 차단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변봉(200)의 상부에는 렌치공(210)을 형성하여 조절되도록 하며, 상부외주연에는 오링(220)을 설치하여 기밀을 유지한다. 또, 상기 내부관(100)의 공간부(110)상부에는 스톱링(112)을 설치하여 변봉(200)이 빠지지 않도록 한다.
내부관(100)의 상단부에는 그 상부가 하부보다 폭이 큰 결합돌기(150)가 수직상부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패킹(400)의 저면에는 상기 결합돌기(150)와 대응하는 요홈(401)을 형성하여 패킹(4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관(300)의 상단부 내주연에는 걸림턱부(300)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패킹(400)과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내부관(100)의 하단부에는 제 5 도에서와 같이 보울트에 의해서 실외기(2)의 측벽에 고정되도록 고정판(160)을 일체로 형성하여 한다.
캡(600)의 저면 중앙부에는 그 상부가 하부보다 지름이 큰 경사돌기부(610)를 형성하여 상기 외부관(300)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배관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내부관(100)의 공간부(110)의 하단에 실외기(2)의 내부와 연결된 배출파이프(5)를 끼우고 용접하여 상호 연결한후 내부관(100)의 고정판(180)을 실외기(2)의 측벽에 보울트로 고정한다. 그리고 변봉(200)을 돌려서 제 4 도의 가상선과 같은위치로 이동시키면 변봉(200)이 내부관(100)의 구멍(130)들을 차단하여 냉매의 유출이 방지되며, 이 상태에서 조임나사(500)를 풀고 이와 체결된 외부관(300)을 실내기(1)와 연결된 배관파이프(3)과 같은 방향으로 회저시켜서, 즉 배관파이프(3)와 연결하기 용이한 위치로 외부관(300)의 배출관부(310)를 회전시킨후 그 배출관부(310)에 배관파이프(3)를 체결고정한다. 그뒤, 풀린 조임나사(500)를 외부관(300)에 체결하고, 변봉(200)을 처음상태인 제 4 도의 실선위치로 이동시킨후 캡(600)을 체결하면 연결밸브의 연결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외부관(300)과 체결된 조임나사(500)를 풀면 조임나사(500)는 그 내주연으로 돌출된 안내돌기(510)가 상기 내부관(100)의 안내홈(140)에 끼워져있기 때문에 조임나사(500)는 회동만하면서 상,하로는 유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조임나사(500)를 풀면 외부관(300)은 제 6 도에서와 같이 자유롭게 회동가능한 상태가되기 때문에 배관파이프(3)의 위치와 일치시킨후 연결하면 되므로 배관파이프(3)의 벤딩작업이 필요없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연결배관은 실외기(2)의 배출파이프(5)를 통해 유출되는 냉매가 내부관(100)의 구멍(130)들을 통해서 외부관(300)의 배출관(310)으로 배출되고 이때, 내부관(100)의 환턱부(120)와 외부관(300)의 환턱부(321)사이에 설치되는 패킹(410), 변봉(200)의 상부에 설치된 오링(220), 내부관(100)의 상부와 외부관(300)의 걸림턱부(330)사이에 설치되는 패킹(4OO) 및 캠(600)의 경사돌기(610)가 외부관(300)의 걸림턱부(330) 내주연에 선접촉하여 끼워지기 때문에 연결 밸브의 기밀을 보다 더 완벽하게 유지한다. 또, 내부관(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패킹(400)은 내부관(100)의 결합돌기(150)에 패킹(400)의 요홈(401)이 끼워져 있기때문에 패킹(400)이 이탈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벤딩작업을 하지않고 간편하게 에어콘의 배관작업을 할수있어 작업시간 및 배관파이프의 불량을 방지하며, 또한 좁은 공간에서도 쉽게 배관작업을 할수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내부공간부의 상부내주연에 변봉이 유동하도록 나사부가 형성되며, 그 외주연의 하부에는 환턱부가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중앙부에는 다수개의 구멍들이 형성되는 내부관; 상기 내부관의 외주연에 끼워지며, 그 중앙부 일측에는 배출관부가 일체로 형서욈과 동시에 내부공간부의 하부에는 환턱부가 형성되는 외부관; 상기 내부관의 상부와 환턱부에 각각 설치되는 패킹들; 상기 내부관의 하부를 관통하여 외부관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조임나사와; 상기 외부관의 상부에 체결되는 캡으로 구성되어 상기 외부관이 자유롭게 회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의 배관파이프용 연결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의 하부외주연과 상기 조임나사의 내주연에는 안내홈과 안내돌기를 각각 형성하여 조임나사가 내부관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하되 상,하로는 유동하지 못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의 배관파이프용 연결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의 상단부에는 그 상부가 하부보다 폭이 큰 결합돌기가 수직상부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패킹의 저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하는 요홈을 형성하여 패킹이 이탈되는 않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의 배관파이프용 연결밸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저면 중앙부에는 그 상부가 하부보다 지름이 큰 경사돌기부를 형성하여 그 경사돌기가 상기 외부관 상부의 내주연에 선접촉되어 외부관내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의 배관파이프용 연결밸브.
KR2019910019212U 1991-11-12 1991-11-12 에어콘의 배관파이프용 연결밸브 KR9300086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9212U KR930008647Y1 (ko) 1991-11-12 1991-11-12 에어콘의 배관파이프용 연결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9212U KR930008647Y1 (ko) 1991-11-12 1991-11-12 에어콘의 배관파이프용 연결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355U KR930011355U (ko) 1993-06-24
KR930008647Y1 true KR930008647Y1 (ko) 1993-12-23

Family

ID=19322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9212U KR930008647Y1 (ko) 1991-11-12 1991-11-12 에어콘의 배관파이프용 연결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864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355U (ko) 1993-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5734A (en) Water filter
US6116285A (en) Removable threaded plug
US6742816B2 (en) Pipe flange and piping system
US3240226A (en) Self-tapping service valve fitting
JP2001263533A (ja) 低外形空気作動式弁組立体
KR930008647Y1 (ko) 에어콘의 배관파이프용 연결밸브
US20020134442A1 (en) Ball valve structure
GB2103321A (en) Tapping pipe connections
JPH0729365U (ja) 分水栓
CN220957281U (zh) 一种油压管路用旋转接头
KR970000536Y1 (ko) 유체의 유입관 체결구조
KR200223109Y1 (ko) 가스 보일러용 흡배기관의 연결 파이프 연결구조
MXPA01004099A (es) Valvula para aislamiento doble con pasajes hidraulicos rectangulares.
JP2587366Y2 (ja) 開閉弁
CN221221833U (zh) 一种可调节球形接头组件
KR200157144Y1 (ko) 물유입 차단 기구
KR200315555Y1 (ko)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
CN2164860Y (zh) 室内消火栓
JPH0434284Y2 (ko)
KR0170842B1 (ko) 에어컨용 서비스밸브의 구조
KR200159062Y1 (ko) 가스관 마개
JPH0729394U (ja) 分水栓
JPH0685977U (ja) 耐酸調節弁
KR960007448Y1 (ko) 분리형 에어콘의 냉매조절 밸브 연결장치
KR940000087Y1 (ko) 가스보일러의 압력게이지 검지부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1111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11112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113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403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404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4041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8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30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2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