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30008620B1 - 벨트 연결용 버클 - Google Patents

벨트 연결용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620B1
KR930008620B1 KR1019910013448A KR910013448A KR930008620B1 KR 930008620 B1 KR930008620 B1 KR 930008620B1 KR 1019910013448 A KR1019910013448 A KR 1019910013448A KR 910013448 A KR910013448 A KR 910013448A KR 930008620 B1 KR930008620 B1 KR 930008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cylinder
buckle
flexible arms
bel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3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1407A (ko
Inventor
세이이찌 다까이시
하레히고 도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Publication of KR920011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62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벨트 연결용 버클
제 1 도는 버클의 분해사시도.
제 2 도는 암부재의 일부를 파쇄한 평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Ⅲ-Ⅲ선 단면도.
제 4 도는 암부재의 일부를 파쇄한 좌측면도.
제 5 도는 암부재의 우측면도.
제 6 도는 암부재의 평면도.
제 7 도는 수부재의 일부를 파쇄한 정면도.
제 8 도는 수부재의 좌측면도.
제 9 도는 수부재의 우측면도.
제 10 도는 제 6 도는 X-X선 단면도.
제 11 도는 로크부재의 일부를 파쇄한 좌측면도.
제 12 도는 로크부재의 정면도.
제 13 도는 로크부재의 저면도.
제 14 도는 제 13도의 ⅩⅣ-ⅩⅣ선 단면도.
제 15 도는 로크부재를 해제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버클의 횡단면도.
제 16 도는 제 15 도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로크부재를 로크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버클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버클 20 : 암부재
30 : 수부재 40 : 로크부재
41 : 로크부 42 : 조작부
50 : 통체 51 : 측벽
52 : 측벽 53 : 트인구멍부
60 : 벨트연결부 70 : 슬롯(slot)
80 : 벨트 81 : 벨트
90 : 턱부 100 : 가용성이 있는 가암(가요성암)
110 : 벨트연결부
본 발명은 벨트연결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암부재와 수부재와의 연결상태에 있어서의 해제동작을 방지하는 로크부재를 구비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버클로서는 서로 연결가능한 암부재와 수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암부재에는 적어도 일단부가 개방되고, 대략 각 통형으로 형성된 속이빈 통체와, 이 통체의 타단부에 연이어 설치한 벨트연결부와, 상기 통체의 서로 대향하는 일반의 양측벽에서 이 양측벽에 각각 인접한 타방의 양측벽을 향해서 각각 깊게 잘라낸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수부재에는 상기 암부재와 통체 트인구멍 가장자리부에 맞닿는 턱부와, 이 턱부의 맞닿는면에서 서로 떨어져서 돌출되어, 양 슬롯에 각각 걸리는 한쌍의 가요성암과, 상기 턱부의 맞닿지 않는면에 연이어 설치된 벨트연결부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들면 특허공고 소 63-24361호 공보, 실용신안공개 평 1-30090호 공보등).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버클에서는 암부재와 수부재와의 연결상태가 쉽게 해제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암부재와 양 슬롯에서 각각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수부재의 양 가요성암이 암부재의 양 슬롯을 통하여 부주의하게 눌려지면 암부재와 수부재와의 연결상태가 해제되어버리는 일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 버클을, 어린이보호용구, 구명자켓, 낙하산벨트등의 유지구로서 사용했을 경우에는 안전성이 결여될 우려가 있었다.
여기서, 청구항 1기재의 버클을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에 감암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로크부재를 부가하므로서 안정성이 높은 벨트연결용 버클을 제공하려고 한 것이며, 청구항 2기재의 버클은 암부재의 양 가요성암의 삽입방향과 로크부재의 조작부 조작방향을 일치시키므로서 조작성이 우수한 버클을 제공하려고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며, 이하에 그 내용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이용하면서 설명한다. 청구항 1기재의 벨트연결용 버클은, 암부재(20)의 통체(50)에, 그 내부에 돌출됨과 동시에, 통체내에 삽입된 양 가요성암(100),(100)이 서로 대향하는 간격내에 위치하여, 양 가요성암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휘는것을 방지하는 로크위치(제 16, 17 도 참조) 및 양 가요성암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휘는것을 허용하는 해제위치(제 15 도 참조)를 취할 수 있는 로크부(41)와 통체의 외측에 돌출되어, 상기 로크부를 로크위치와 해제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조작부를 구비한 로크부재(4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기WO의 버클은, 상기한 청구항 1기재의 특징점에 덧붙여서 로크부재(40)를, 수부재(30)의 양 가요성암(100),(100)의 삽입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암부재(20)의 통체(50)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청구항 1기재의 버클에 의하면, 암부재(20)와 수부재(30)를 서로 연결한 상태에서, 로크부재(40)의 조작부(42)를 통해서 이 로크부(41)를 로크위치(제 16, 17 도 참조)로 이동시키면 된다.
로크부를 로크위치로 이동시키면 로크부가 통체(50)내로 삽입된 양 가요성암(100),(100)의 대향 간격내에 위치하여 양 가요성암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수부재의 양 가요성암이 암부재의 통체에 형성된 양 슬롯(70),(70)을 통해서 부주의하게 눌려졌을 때에도, 양 가요성암이 각 슬롯에서 각각 벗겨지지 않음으로 암부재와 수부재의 연결상태가 해제되지 않는다.
이것에 대해서, 암부재와 수부재의 연결상태를 해제하려면 로크 부재의 조작부를 통해서, 이 로크부를 로크위치에서 해제위치(제 15 도 참조)로 이동시키면 된다.
로크부를 해제위치로 이동시키면, 양 가요성암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휘는 것이 허용된다. 따라서, 양 슬롯을 통해서 양 가요성암을 눌러넣으므로서, 양 가용성암이 각 슬롯에서 벗겨져서 암부재와 수바재의 연결상태가 해제된다.
청구항 2기재의 버클에 의하면, 로크부재(40)의 조작부(42)를 양 가요성암(100),(100)의 삽입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시키므로서 로크부(41)를 로크위치와 해제위치로 서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 1 도의 버클의 분해사시도, 제 2 ~ 5 도는 암부재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2 도는 암부재의 하반부를 파쇄한 평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Ⅲ-Ⅲ선 단면도, 제 4 도는 일부를 파쇄한 좌측면도, 제 5 도는 우측면도, 제 6 ~ 10 도는 수부재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6 도는 평면도, 제 7 도는 일부를 파쇄한 정면도, 제 8 도는 좌측면도, 제 9 도는 우측면도, 제 10 도의 제 6 도의 Ⅹ-Ⅹ선 단면도, 제 11 ~ 14 도는 로크부재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11 도는 일부를 파쇄한 좌측면도, 제 12 도는 정면도, 제 13 도는 저면도, 제 14 도는 제 13 도의 XIV∼XTV선 단면도, 제 15 ~ 17 도는 버클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15 도는 로크부재를 해제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의 횡단면도, 제 16 도, 제 15 도에 로크부재를 로크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의 횡단면도, 제 17 도의 제 16 도의 XVII∼XVII선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제 1 도중 10은 버클이며, 이 버클(10)은 크게 분리하면, 서로 연결가능한 암부재(20)와, 수부재(30)와, 양 부재를 연결상태에서 로크하는 로크부재(40)로 구성된다. 각 부재(20)~(40)는 적당한 탄성과 강성을 가지는 예를들면 POW(폴리옥시메틸렌)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개별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상기 암부재(20)는 제 1 ~ 5 도는 도시한 바와같이, 적어도 일단부가 개방되고, 대략 각 통형으로 형성된 속이빈 통체(50)와, 이 통체(50)의 타단부에 형성된 벨트 연결부(60)와, 상기 통체(50)의 서로 대향하는 일방의 양측벽(51),(51)에서 이 양측벽(51)에 각각 인접한 타방의 양측벽(52),(52)을 향해서 각각 깊게 잘라낸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슬롯(70),(7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통체(50)는 제 1 ~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하방향에서 눌러 찌부러뜨린 편평한 각 통형을 이룬다. 그리고, 통체(50)는 제 1 ~ 3 도에 있어서 좌측에 위치하는 전면에 트인구멍인(53)를 형성하고 있으며, 반대측인 우측에 위치하는 후면은 후벽(54)으로 폐색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체(50)에 있어서 상기한 일방의 양측벽(51)은 제 1, 4 도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떨어져서 대향한다. 또, 타방의 양측벽(52)은 제 1, 3, 4 도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떨어져서 대향하여 상기 일방의 양측벽(51)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벨트연결부(60)는 제 1 ~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통체(50)의 후벽(54)측에 위치하며, 후벽(54)에 대략 ⊃자형으로 연이어 접속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벨트연결부(60)는, 통체(50)의 좌우측벽(51) 후단부에서 짧게 연장된 좌우한쌍의 연출부(61)와, 양 연출부(61)의 선단내면 사이를 연결하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두께가 얇은 판상으로 된 벨트부착편(62)으로 구성된다.
상기 벨트부착편(62)은 제 1, 2 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평면궁형(平面弓形)을 이루므로서, 보(beam)강도의 향상을 기하고 있다. 또, 벨트부착편(62)의 이면에는 제 2, 3,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복수의 얇은 부분(63)을 형성했다. 이들 얇은 부분(63)은, 벨트부착편(62)을 성형한 후의 냉각시간의 단축화 및 수지의 수축방지, 또한 수지재료의 삭감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벨트부착편(62)은 제 1 ~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통체(50)의 후벽(54)에서 떨어져서 대향하고 있으며, 후벽(54)과의 사이에는, 벨트(80)를 끼우는 벨트끼움구멍(54)이 형성된다.
벨트(80)는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벨트부착부(62)에 감아 걸수 있도록 벨트 끼움구멍(64)에 끼우고서, 벨트부착편(62)에서 벨트(80)를 되접어 꺽는다. 그리고, 벨트(80)를 서로 겹친상태에서 봉합하여 벨트 연결부(60)에 고정한다.
상기 슬롯(70)은 제 1,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좌우로 대향한 양측벽(51),(51)에서 상하로 대향한 양측벽(52),(52)의 양측가장자리 향해서 대략 사다리꼴모양으로 깊게 잘려져 있다.
그리고, 양 슬롯(70)에는 제 1,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것을 향해서 볼 때 좌측에 위치하는 각 앞가장자리부에 수부재(30)를 걸어맞추는 뒤쪽으로 비스듬히 경사진 걸림가장자리부(71),(71)를 각각 형성한다.
양 걸림가장자리부(71)의 경사각도 θ는 제 2 도에서와 같이, 약 30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종래의 걸림가장자리부의 각도가 약 15도로 설정되어 있는데, 경사각도를 15에서 30도로 증가시키므로서 수부재(30)와의 연결강도를 대폭 개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상기 수부재(30)는 제 1, 6, ~ 9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크게 분리하면 암부재(20)의 통체(50)트인구멍가장자리부에 맞닿는 턱부(90)와, 이 턱부(90)와 맞닿는면에서 서로 떨어져서 돌출되어, 통체(50)의 양 슬롯(70)에 각각 걸리는 좌우한쌍의 가요성암(100),(100)과, 상기 턱부와 맞닿지 않는면에 연이어 설치된 벨트연결부(110)로 구성된다.
상기 턱부(90)는 제 1, 6 도에서와 같이, 통체(50)의 좌우양측벽(51)과 거의 평행한 좌우한쌍의 측벽(91),(91)과 양측벽(91)의 내면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편(9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양측벽(91)에는 가요성암(100)의 삽입방향 선단부에 통체(50)의 트인구멍 가장자리부에 각각 맞닿는 좌우한쌍의 맞닿는 단부(93),(93)를 형성한다.
양 가요성암(100)은 제 1, 6 도에서와 같이, 턱부(90)의 연결편(92)좌우양단부에서 삽입방향 앞측을 향해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양 가요성암(100)의 외면간의 거리는, 좌우로 대향한 양측벽(51)의 내면간의 거리와 거의 같게 설정되어 있다.
또, 양 가요성암(100)에는 제 1, 6 도에서와 같이, 통체(50)의 각 슬롯(70)에 각각 끼워지는 양 가요성암(100)의 선단부 외면에서 외측으로 튀어나온 장출부(101),(101)를 형성한다. 그리고, 양 장출부(101)와 삽입방향 후단부에는 각 슬롯(70)의 걸림가장자리부(71)에 각각 걸리는 V자모양의 오목한 걸어맞춤 오목부(102),(102)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각 장출부(101)의 대향하는 내면에는 제 1, 6, 9 도에서와 같이, 이 내면에서 중간암(120)을 향해서 서로 대향하여 중간까지 연장된 대략 산모양으로 튀어나온 좌우한쌍의 걸어맞춤편(103), (103)을 각각 형성한다.
상기 벨트연결부(10)는 제 1, 6, 7 도에서와 같이, 양측벽(91)의 선단부 내면을 연결하는 연결바(111)와, 이 연결바(111)와 연결편(92)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바(112)로 구성된다. 그리고, 연결바(111)와 중간바(112)에 제 7 도에서와 같이, 벨트(81)를 끼워서 벨트연결부(110)에 대하여 벨트(81)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또, 양 가요성암(100)의 간격내에는 제 1, 6, 7, 9 도에서와 같이, 연결편(92)의 길이중 거의 중앙에서 양 가요성암(100)과 거의 평행하게, 또 거의 같은길이로 연장한 중간암(120)을 형성한다. 이 중간암(120)은 제 10 도에서와 같이, 단면이 대략 H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암부재(20)에는 제 1~4 도에서와 같이, 통체(50)의 상하방향으로 대향한 양측벽(52)의 각 내면에, 중간암(120)의 양측을 따라서 서로 대향하여 돌출된 모두 4개의 가이드리브(55)...를 각각 형성한다.
이 가이드리브(55)는, 제 2,3 도에서와 같이 통체(50)의 트인구멍부(53)보다 약간 안쪽에 위치하여 중간암(12)을 삽입하기 쉽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리브(55)는 제 15~17 도에서와 같이, 삽입시에 중간암(120)의 양측을 따라가므로서, 그 삽입방향을 규제하는 작용이 있다.
상기 로크부재(40)는 제 1,11~13 도에서와 같이, 통체(50) 내부에 돌출됨과 동시에, 통체(50)내로 삽입된 양 가요성암(100)의 대향 간격내에 위치하여 양 가요성암(100)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휘는것을 저지하는 로크위치(제 16 도 참조) 및 양 가요성암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휘는것을 허용하는 해제위치(제 17 도 참조)를 취할 수 있는 로크부(41)와, 통체(50)외측에 돌출되어, 상기 로크부(41)를 로크위치와 해제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조작부(42)를 구비한다.
상기 로크부(41)는 제 1,11~13 도에서와 같이 조작부(42)의 하면에 서로 떨어져서 아래로 드리워진 좌우 1쌍의 다리편(43),(43)으로 구성된다. 이 양다리편(43)에는 제 1,11~13 도에서와 같이, 수부재(30)에 있어서의 가요성암(100)의 삽입방향 후단부에 위치하여, 암부재(20)의 통체(50)내에 삽입된 양 가요성암(100)의 각 걸어맞춤편(103)에 각각 맞닿으므로서, 양 가요성암(100)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휘는 것을 저지하는 좌우 외측으로 돌출된 단면 L자형의 걸림볼록부(4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양 다리편(43)의 길이방향 중간에는 하향 ⊃자형의 절결부에 의하여 형성된 각 외면에서 좌우 외향으로 경사면을 하측으로 향하게한 단면 거치상(톱니모양)으로 돌출된 탄성돌기부(4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42)는 제 1,11~13 도에서와 같이, 사각형의 얇은 판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조작부(42)의 상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오목부를 만들고, 이 오목부내에 사용자의 로고 타이프(logo type)등을 새겨 넣는다든지, 혹은 실(seal)등을 붙여도 된다. 또, 사용자의 로고 타이프등을 새겼을 경우에는 이 오목볼록면에 의하여 조작부(42)의 슬라이드시의 미끄럼 방지가 된다. 또한, 로고 타이프등으로 변환시켜 미끄럼방지용 오목볼록면을 단지 형성해놓아도 된다.
또, 조작부(42)의 하면에는 제 13,14 도에서와 같이 반구형으로 각각 얇게 파내어, 수부재(30)의 양 가요성암(100)의 삽입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한쌍의 오목부(46),(47)를 형성한다.
이것에 대하여 암부재(20)에는 제 1,2,4 도에서와 같이, 이 통체(50)에서 상하로 대향하는 폭이 넓은 양측벽(52)의 일방, 여기에서는 상측에 위치하는 측벽(52)에, 로크부재(40)의 양다리편(43)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부재(30)의 양 가요성암(100)의 삽입방향을 따라서 긴구멍상으로 연장하여 상하로 관통시킨 좌우한쌍의 슬라이드구멍(56),(56)을 형성한다. 그리고, 양 슬라이드 구멍(56)의 길이방향 도중에는 제 1,2 도에서와 같이, 양다리편(43)의 걸림볼록부(44)가 각각 끼워넣어지는 크기로 된 폭이 넓은 끼워넣은 부(57)를 각각 형성한다.
이어서, 로크부재(40)를 암부재(20)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제 1 도에서와 같이 로크부재(40)의 양다리편(43)을 통해 통체(50)의 상측에 위치하는 측벽(52)에 형성된 양 슬라이드구멍(56)에 맞추어서 상측에 끼워 넣으면 된다. 이때, 양다리편(43)의 각 걸림볼록부(44)를 양 슬라이드구멍(56)의 각 끼워 넣는 부(57)에 각각 위치시켜서 끼워 넣는다.
양다리편(43)을 끼워 넣으면, 양다리편(43)의 외측면에서 각각 돌출된 각 돌기부(45)가 양 슬라이드 구멍(56)의 각 구멍가장자리에 각각 눌려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각 슬라이드 구멍(56)을 통과한다. 그리고, 각 슬라이드구멍(56)을 빠져나가면, 각 돌기부(45)가 제 17 도에서와 같이, 그 수지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통체(50)내로 복원되어, 각 돌기부(45)가 슬라이드구멍(56)의 아래가장자리에 맞닿는다. 따라서, 양다리편(43)이 각 슬라이드 구멍(56)에서 각각 빠지지 않게 되며, 양다리편(43)은 양 슬라이드구멍(56)의 긴쪽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상기한 상측에 위치하는 측벽(52)에는, 제 1,2,4 도에서와 같이, 상기 양 슬라이드구멍(56)의 간격내에 위치하며, 주위를 대략 U자형으로 자르고서, 그 자유단부를 후벽(54)측을 향하게 한 U자형의 탄성편(58)을 형성한다. 그리고, 탄성편(58)의 자유단부에는 조작부(42)하면에 형성된 양 오목부(46),(47)중 한개에 각각 끼워넣어지는 반구형으로 융기한 융기부(59)를 형성한다.
상기 탄성편(58)의 융기부(59)는 제 15~17 도에서와 같이, 탄성편(58)의 탄성력에 의해서, 조작부(42)의 하면에 형성된 양 오목부(46),(47)중 한개에 탄성적으로 끼워넣어진다.
즉, 탄성편(58)의 융기부(59)가 제 16, 17 도에서와 같이, 수부재(30)의 가요성암(100)이 삽입하는 방향의 앞측위치, 즉 조작부(42)하면의 제 1 오목부(46)에 끼워넣어진 위치가 로크위치로 된다. 이 로크위치에서는, 로크부(41)의 양다리편(43)의 각 걸림볼록부(44)가 가용성암(100)의 양 걸어맞춤편(103)의 간격내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가요성암(100)을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휘게 한다. 하더라도, 각 걸어맞춤편(103)이 로크부(41)의 각 걸림볼록부(44)에 각각 맞닿음으로, 이 이상 휘어지지 않는다.
이것에 대하여, 탄성편(58)의 융기부(59)가 제 15 도에서와 같이, 수부재(30)의 가요성암(100)이 삽입하는 방향의 후측위치, 즉 조작부(42)하면의 제 2 오목부(47)에 끼워넣어진 상태에서는, 로크부(41)의 각 걸림볼록부(44)가 가요성암(100)의 양 걸어맞춤편(103)의 간격내에서 빠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해제위치에서는, 가요성암(100)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조립상태의 버클(10)의 사용순서를 설명하면, 암부재(20)와 수부재(30)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수부재(30)의 양 가요성암(100)을 암부재(20)의 통체(50), 트인구멍부(53)에 맞춰서 삽입하면 된다.
또한, 이때 로크부재(40)를 제 15 도에서와 같이, 그 가요성암(100)의 삽입방향 후측위치, 즉 조작부(42)하면의 제 2 오목부(47)에 탄성편(58)의 융기부(59)가 끼워넣어진 해제위치로 미리 슬라이드 해놓는다. 단, 로크부재(40)가 로크위치에 있다하더라도, 가요성암(100)을 삽입할 때에는(후술되어 있음) 가요성암(100)으로 눌러서, 로크부재(40)를 로크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자동적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양 가요성암(100)을 삽입하면, 양 가요성암(100)의 외측면보다 외측으로 튀어나온 장출부(101)가 통체(50)의 트인 구멍부(53)에 맞닿는다. 여기서, 양 가요성암(100)을 강하게 눌러넣으면, 양 가요성암(100)의 양 장출부(101)가 통체(50)의 트인구멍부(53)구멍가장자리, 특히 좌우로 대향하는 양측벽(51)의 각 내면에 눌려지므로, 수지의 탄성복원력에 저항하면서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휘어져서 통체(50)의 트인구멍부(53)를 통과한다.
양 가요성암(100)을 다시 눌러넣으면, 양 가요성암(100)은 통체(50)내의 내부를 향해서 다시 진행한다. 이때 중간암(120)이 통체(50)내에 돌출된 가이드리브(55)에 안내되므로, 양 가요성암(100)은 통체(50)내로 곧바로 진행한다.
이렇게 하여, 양 가요성암(100)의 양 장출부(101)가 통체(50)의 양 슬라이드부(70)위치까지 진행하면, 양 가요성암(100)이 제 15 도에서와 같이, 수지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복원되며, 양 장출부(101)가 각 슬롯(70)내에 각각 끼워넣어진다. 이때, 각 장출부(101)의 삽입방향 후단부에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102)가 각 슬롯(70)의 걸림 가장자리부(71)에 각각 걸어맞춰지므로서, 양 가요성암(100)이 통체(50)내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암부재(20)와 수부재(30)를 연결하므로서 2개의 벨트(80),(81)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어서, 로크부재(40)가 로크위치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가요성암(100)이 그대로 통체(50)내로 삽입되었을때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로크부재(40)가 로크위치에 있으면, 양 가요성암(100)이 삽입되는 도중에, 양 가요성암(100)내측면에서 내측으로 각각 돌출된 각 걸어맞춤편(103)이, 통체(50)내에 있는 로크부재(40)의 양다리편(43)에서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각 걸림볼록부(44)와 걸어맞춰진다. 이 걸어맞춤 상태에서, 양 가요성암(100)이 통체(50)내로 다시 눌려 넣어지면, 로크부재(40)의 양 걸림볼록부(44)가 양 가요성암(100)의 각 걸어맞춤편(103)에 눌려져서 양다리편(43)이 양슬라이드구멍(56)을 따라서 각각 슬라이드 하므로, 로크부재(40)가 로크위치에서 해제위치를 향해서 슬라이드한다.
따라서, 암부재(20)와 수부재(30)를 연결할 때에는 로크부재(40)의 위치를 일일이 확인할 필요가 없으며, 로크부재(40)를 해제위치로 슬라이드하는 것을 잊어버렸다든지 혹은 로크부재(40)가 부주의하게 로크위치로 슬라이드 되어있다 하더라도, 양 가요성암(100)을 통체(50)내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암부재(20)와 수부재(30)를 간편하게 또는 쾌속하게 연결할 수가 있다.
이어서, 암부재(20)와 수부재(30)를 연결한 상태에서, 그 해제동작을 저지하기 위해서는, 로크부재(40)의 조작부(42)를 제 16 도에서와 같이, 해제위치에서 로크위치로 손가락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된다.
조작부(42)의 슬라이드 방향은, 양 가요성암(100)이 빠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 된다. 따라서, 조작부(42)의 슬라이드 방향과, 양 가요성암(100)의 빠지는 방향이 서로 일치하게 때문에, 조작성이 좋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작부(42)를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제 1 오목부(46)에 끼워져 있던 탄성편(58)의 융기부(59)가 조작부(42)의 하면에 눌려져서, 탄성편(58)의 융기부(59)가 조작부(42)의 하면에 눌려져서, 탄성편(58)수지의 복원력에 저항하면서 하측으로 빠지므로서 제 1 오목부(46)에서 벗겨진다. 또한, 탄성편(58)의 최하강위치는, 그 하면이 통체(50)내에 삽입된 중간암(120)의 윗가장자리에 맞닿게 되므로서 규제되며, 탄성편(58)이 필요이상으로 하측으로 휘어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조작부(42)를 다시 슬라이드시키면, 융기부(59)의 바로위에 제 2 오목부(47)가 위치하기 때문에, 탄성편(58)이 수지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복원되며, 제 15 도에서와 같이 융기부(59)가 제 2 오목부(47)하측에서 "탁"하는 소리와 함께 끼워진다. 따라서, 조작자에게 클릭(click)감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절도감이 있는 조작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작부(42)를 해제위치로 슬라이드시키면, 제 15 도에서와 같이, 로크부(41)의 각 걸림볼록부(44)가 가요성암(100)의 양 걸어맞춤편(103)의 간격내에서 빠지게 된다.
이어서, 양 가요성암(100)의 양 장출부(101)를 각 가요성암(100)의 탄성력에 저항하면서, 통체(50)의 양 슬롯(70)을 통하여 눌러넣으면 된다. 양 장출부(101)가 눌려지면, 각 걸어맞춤오목부(102)가 양 슬롯(70)의 각 걸림 가장자리부(71)에서 각각 벗겨진다. 따라서, 양 가요성암(100)의 장출부(101)가 통체(50)내를 역진하며, 양 가요성암(100)이 수지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넓게 벌려지면서 통체(50)내에서 힘있게 빠져나간다.
따라서, 암부재(20)와 수부재(30)가 서로 분리되므로서, 2개의 벨트(80),(81)연결상태가 분리된다.
또한,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의 것에서는, 로크부재(40)의 조작부(42)를, 가요성암(100)의 삽입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구성했으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가요성암(100)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한다든지, 또는 조작부(42)를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든지, 혹은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여 로크부(41)를 로크위치와 해제위치로 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 기재된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1기재의 벨트연결용 버클에 의하며, 안전성이 높은 벨트연결용 버클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서, 청구항 2기재의 버클에 의하면, 수부재에 있어서의 양 가요성암의 삽입방향과 로크부재에 있어서의 조작부의 조작방향을 서로 일치시키므로서, 조작성이 우수한 벨트연결용 버클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서로 연결가능한 암부재와 수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암부재에는 적어도 일단부가 개방되고, 대략 각 통형으로 형성된 속이 빈 통체와, 이 통체의 타단부에 연이어 설치된 벨트연결부와, 상기 통체의 서로 대향하는 일방의 양측벽에서 이 양측벽에 각각 인접한 타방의 양측벽을 향해서 각각 깊게 잘라낸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수부재에는 상기 암부재의 통체 트인구멍 가장자리에 맞닿는 턱부와, 이 턱부에 맞닿는 면에서 서로 떨어져 돌출되어, 통체의 양 슬롯에 각각 걸리는 한쌍의 가요성암과, 상기 턱부와 맞닿지 않는 면에 연이어 설치된 벨트 연결부를 구비한 벨트연결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의 통체에는 그 내부에 돌출됨과 동시에, 통체내에 삽입된 양 가요성암의 대향간격내에 위치하여, 양 가요성암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휘는것을 저지하는 로크위치 및 양 가요성암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휘는것을 허용하는 해제위치를 취할 수 있는 로크부와, 통체의 외측에 돌출되어 상기 로크부를 로크위치와 해제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조작부를 구비한 로크부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연결용 버클.
  2. 제 1 항에 있어서, 로크부재를 수부재의 양 가용성암의 삽입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암부재의 통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연결용 버클.
KR1019910013448A 1990-12-25 1991-08-02 벨트 연결용 버클 Expired - Fee Related KR9300086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06039A JP3007167B2 (ja) 1990-12-25 1990-12-25 ベルト連結用のバックル
JP2-406039 1990-12-25
JP406039 1990-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407A KR920011407A (ko) 1992-07-24
KR930008620B1 true KR930008620B1 (ko) 1993-09-11

Family

ID=18515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3448A Expired - Fee Related KR930008620B1 (ko) 1990-12-25 1991-08-02 벨트 연결용 버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07167B2 (ko)
KR (1) KR9300086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20018B2 (en) 2009-12-25 2014-05-13 Ykk Corporation Side release buckle and lock member for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2518U (ja) * 1992-12-25 1994-07-19 吉田工業株式会社 バックル
JPH0728427U (ja) * 1993-04-08 1995-05-30 三岩 徐 鞄等のベルト用錠掛具
JPH10117814A (ja) * 1996-10-08 1998-05-12 American Cord & Webbing Co Inc 保持強度を増大させた側部リリース型バックル
US7725994B2 (en) 2005-01-28 2010-06-01 Ykk Corporation Buckle, injection molding die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JP2010213936A (ja) * 2009-03-17 2010-09-30 Nifco Inc バックル
WO2011115267A1 (ja) * 2010-03-19 2011-09-22 モリト株式会社 バックル
DE112013006809B4 (de) * 2013-03-12 2021-10-14 Ykk Corporation Schließe
JP3207690U (ja) * 2016-09-14 2016-11-24 Ykk株式会社 バックル雄部材及びバック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18054B (zh) 2012-08-15 2017-03-01 直观外科手术操作公司 操纵机械体的活动的假想自由度(d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20018B2 (en) 2009-12-25 2014-05-13 Ykk Corporation Side release buckle and lock member for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221502A (ja) 1992-08-12
KR920011407A (ko) 1992-07-24
JP3007167B2 (ja)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63888B (zh) 具有附件附接轨道的头盔
KR100475493B1 (ko) 높은 안전성의 버클 조립체
US4825515A (en) Safety buckle
EP0681793B1 (en) Buckle which is releasable by depression of a hinged member
US5579563A (en) Adjustable belt fastener with spring biased male fastener member
KR960000901Y1 (ko) 버클
JP3399976B2 (ja) ベルト留金−舌状片組合わせ体
US5138768A (en) Lock for knife/sheath combination
US7150082B2 (en) Plastic belt buckle with interlocking prong catches
US5794347A (en) Knife/sheath locking device
US6446314B1 (en) Push release buckle with improved latching capability
HK51285A (en) Key-holder
US5915793A (en) Knife/sheath locking device
US4170042A (en) Readily releasable powered visor-and-lock assembly for helmet
KR930008620B1 (ko) 벨트 연결용 버클
US3990113A (en) Fastening means for a crash helmet
US20220117362A1 (en) Plug for buckle, and buckle
CN106457007B (zh) 连接带扣组件的个人保护装置条带
EP1129635B1 (en) Push release buckle
EP0311042B1 (en) Buckle assembly
CA2725725C (en) Child resistant buckle
JPH08173218A (ja) コードストッパー
CN100479694C (zh) 用于带子或类似物的带扣
JPS6138888Y2 (ko)
JPH0747096Y2 (ja) 刃 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31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8091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80912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