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294B1 - 다공성 유공섬유막 및 그를 사용하는 비루스의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다공성 유공섬유막 및 그를 사용하는 비루스의 제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30005294B1 KR930005294B1 KR1019870008752A KR870008752A KR930005294B1 KR 930005294 B1 KR930005294 B1 KR 930005294B1 KR 1019870008752 A KR1019870008752 A KR 1019870008752A KR 870008752 A KR870008752 A KR 870008752A KR 930005294 B1 KR930005294 B1 KR 9300052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ous
- wall
- plane
- porosity
- polym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Treatment of filament-forming or like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1)
- 실질적으로 환상의 단면을 가지는 다공성 중합체벽과 이 다공성 중합체벽의 종방향으로 뻗혀있으며, 상기한 다공성 중합체벽의 내부벽 표면에 의해 한정되는 중공부로 이루어진 다공성 유공섬유막에 있어서, 상기한 다공성 중합체벽이 중합체벽의 내부벽 표면으로부터 외부벽 표면에 이르는 관통로를 형성하는 기공을 가지며, 상기한 다공성 중합체벽의 내부 및 외부벽 표면이 0.01 내지 10μm의 단일평면내 평균 기공직경을 가지며, 이 단일평면내 평균 기공 직경은 상기한 환상의 단면의 방사방향에 수직인 평면에서 측정된 평균 기공 직경이며, 상기한 다공성 중합체벽이 상기한 환상의 단면의 방사방향에 수직인 모든 단면에서 측정된 10% 이상의 단일평면내 다공도를 가지며, 상기한 단일평면내 다공도는 상기한 내부 및 외부벽 표면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며, 상기한 단일평면내 다공도는 상기한 내부 및 외부벽 표면 각각의 근처에서 증가하고 상기한 내부 및 외부벽 표면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최소값을 나타내며, 상기한 내부 및 외부벽 표면 각각에서 상기한 단일평면내 다공도가 상기한 다공성 중합체벽 내부의 단일평면내 다공도의 가장 낮은 값의 적어도 1.5배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유공섬유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공성 중합체벽이 상기한 단일평면내 평균 기공 직경이 상기한 내부벽 표면 및 상기한 외부벽 표면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여서 상기한 내부벽 표면으로부터 상기한 단일평면내 평균 기공 직경이 교대로 적어도 두번 감소하고 증가하며, 그리하여 상기한 내부 및 외부벽 표면 사이에서 단일평면내 평균 기공 직경이 연속적으로 변화함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최소값, 하나의 최대값 및 하나의 최소값이 상기의 순서로 나타남을 보여주고, 상기한 단일평면내 평균 기공직경이 상기한 외부벽 표면 근처에서 증가하는 기공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유공섬유막.
-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공성 중합체벽이 상기한 중합체벽의 두께방향으로 겹쳐진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다층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유공섬유막.
-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한 중합체가 아크릴로니트릴, 술폰, 비닐리덴클로라이드, 비닐클로라이드, 비닐아세테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우레탄, 스티렌 및 비닐 알코올의 단일 중합체 및 공중합체 ; 폴리트리플루오로클로로에틸렌 ;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 폴리올레핀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니트레이트, 셀룰로오스부티레이트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 재생된 셀룰로오스 ; 셀룰로오스 및 뮤코폴리사카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유공섬유막.
-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한 중합체가 친수성 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유공섬유막.
-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친수성 중합체가 재생된 셀룰로오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유공섬유막.
-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공성 중합체벽이 10 내지 200μm의 벽두께 및 30 내지 75%의 벌크 다공도를 가지며, 단일평면내 평균 기공 직경의 최대값이 단일평면내 평균 기공 직경의 최소값의 10배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유공섬유막.
-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공성 중합체벽의 벽두께(μm)에 대한 단일평면내 다공도(%)의 최소값의 비율이 0.05 내지 2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유공섬유막.
-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한 내부 및 외부벽 표면 각각에서 상기한 단일평면내 다공도가 상기한 다공성 중합체벽 내부의 단일평면내 다공도의 최소값의 적어도 두배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유공섬유막.
-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한 막이 미상분리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유공섬유막.
- 실질적으로 환상의 단면을 가지는 다공성 중합체벽과 이 다공성 중합체벽의 종방향으로 뻗혀있으며, 상기한 다공성 중합체벽의 내부벽 표면에 의해 한정되는 중공부로 이루어진 다공성 유공섬유막에 있어서, 상기한 다공성 중합체벽이 중합체벽의 내부벽 표면으로부터 외부벽 표면에 이르는 관통로를 형성하는기공을 가지며, 상기한 다공성 중합체벽의 내부 및 외부벽 표면이 0.01 내지 10μm의 단일평면내 평균 기공 직경을 가지며, 이 단일평면내 평균 기공 직경은 상기한 환상의 단면의 방사방향에 수직인 평면에서 측정된 평균 기공 직경이며, 상기한 다공성 중합체벽이 상기한 환상의 단면의 방사방향에 수직인 모든 단면에서 측정된 10% 이상의 단일평면내 다공도를 가지며, 상기한 단일평면내 다공도는 상기한 내부 및 외부벽 표면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며, 상기한 단일평면내 다공도는 상기한 내부 및 외부벽 표면 각각의 근처에서 증가하고 상기한 내부 및 외부벽 표면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최소값을 나타내며, 상기한 내부 및 외부벽 표면 각각에서 상기한 단일평면내 다공도가 상기한 다공성 중합체벽 내부의 단일평면내 다공도의 가장 낮은 값의 적어도 1.5배 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유공섬유막과 비루스를 함유하는 단백질 수용액을 접촉시켜서 단백질 수용액중에 함유된 비루스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용액과 막의 접촉 시킴을 다공성 중합체벽의 내부 및 외부벽표면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막사이의 압력을 적용시켜 수행하고, 그리하여 단백질 수용액중에 함유된 비루스를 다공성 유공섬유막내에 포획시키며, 단백질 수용액은 다공성 유공섬유막을 통하여 투과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수용액중에 함유된 비루스의 제거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공성 중합체벽이 상기한 단일평면내 평균 기공 직경이 상기한 내부벽 표면 및 상기한 외부벽 표면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여서 상기한 내부벽 표면으로부터 상기한 단일평면내 평균 기공 직경이 교대로 적어도 두번 감소하고 증가하며, 그리하여 상기한 내부 및 외부벽 표면 사이에서 단일평면내 평균 기공 직경이 연속적으로 변화함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최소값, 하나의 최대값 및 하나의 최소값이 상기의 순서로 나타남을 보여주고, 상기한 단일평면내 평균기공 직경이 상기한 외부벽 표면 근처에서 증가하는 기공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1 또는 12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공성 중합체벽이 상기한 중합체벽의 두께방향으로 겹쳐진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다층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1 또는 12항에 있어서, 상기한 중합체가 아클릴로니트릴, 술폰, 비닐리덴클로라이드, 비닐클로라이드, 비닐아세테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우레탄, 스티렌 및 비닐알코올의 단일 중합체 및 공중합체 ; 폴리트리플루오로클로로에틸렌 ;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올레핀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니트레이트, 셀룰로오스부티레이트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 재생된 셀룰로오스 ; 셀룰로오스 및 뮤코폴리사카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1 또는 12항에 있어서, 상기한 중합체가 친수성 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한 친수성 중합체가 재생된 셀룰로오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1 또는 12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공성 중합체벽이 10 내지 200μm의 벽두께 및 30 내지 75%의 벌크다공도를 가지며, 단일평면내 평균 기공 직경의 최대값이 단일평면내 평균 기공 직경의 최소값의 10배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1 또는 12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공성 중합체벽의 벽두께(μm)에 대한 단일평면내 다공도(%)의 최소값의 비율이 0.05 내지 2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1 또는 12항에 있어서, 상기한 내부 및 외부벽 표면 각각에서 상기한 단일평면내 다공도가 상기한 다공성 중합체벽 내부의 단일평면내 다공도의 최소값의 적어도 두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1 또는 12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공성 유공섬유막이 미상분리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1 또는 12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백질 수용액이 0.5 내지 30중량 % 범위의 단백질 농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70008752A KR930005294B1 (ko) | 1987-08-10 | 1987-08-10 | 다공성 유공섬유막 및 그를 사용하는 비루스의 제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70008752A KR930005294B1 (ko) | 1987-08-10 | 1987-08-10 | 다공성 유공섬유막 및 그를 사용하는 비루스의 제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03996A KR890003996A (ko) | 1989-04-19 |
KR930005294B1 true KR930005294B1 (ko) | 1993-06-17 |
Family
ID=19263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70008752A Expired - Fee Related KR930005294B1 (ko) | 1987-08-10 | 1987-08-10 | 다공성 유공섬유막 및 그를 사용하는 비루스의 제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3000529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0798B1 (ko) * | 2000-12-19 | 2003-12-18 | 손상수 | 분말 고추장의 제조방법 |
-
1987
- 1987-08-10 KR KR1019870008752A patent/KR930005294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03996A (ko) | 1989-04-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808315A (en) |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and a method for the removal of a virus by using the same | |
US6805730B2 (en) | Convoluted surface hollow fiber membranes | |
EP0294737B1 (en) | Polysulfone hollow fiber membrane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 |
EP0201604B1 (en) | Permselective hollow yarn membrane,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method of separating plasma components, and plasma component separator | |
JP2004525755A (ja) | アシンメトリー中空ファイバー膜 | |
WO1998052683A1 (fr) | Membrane hemocathartique en fibres creuses a base de polysulfone et ses procedes de production | |
US20030141238A1 (en) | Spiraled surface hollow fiber membranes | |
EP0086235A1 (en) | Aromatic polysulfone resin hollow yarn membran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 |
US4857196A (en) |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and a method for the removal of a virus by using the same | |
KR930005294B1 (ko) | 다공성 유공섬유막 및 그를 사용하는 비루스의 제거방법 | |
US5849189A (en) | Hollow fiber blood purifying membrane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 |
JP2703266B2 (ja) | ポリスルホン中空繊維膜およびその製法 | |
EP0923984B1 (en) | Polyacrylonitrile-based hollow-fiber filtration membrane | |
JP4103037B2 (ja) | 透析液清浄化用中空糸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H0465505A (ja) | 複合中空糸の製造方法 | |
JPH11309355A (ja) | ポリスルホン系中空糸型血液浄化膜とその製造方法 | |
EP0824960A1 (en) | Hollow-fiber membrane of polysulfone polymer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 |
CA1318088C (en) |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and a method for the removal of a virus by using the same | |
JPH05245350A (ja) | 中空糸状高性能精密濾過膜 | |
JPH035847B2 (ko) | ||
EP0474267A2 (en) | A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and a method for the removal of a virus by using the same | |
JP4036740B2 (ja) | 中空糸型血液浄化膜の製造方法 | |
JPH1066725A (ja) | 選択透過性中空糸膜 | |
JPS59132904A (ja) | 選択透過性中空糸膜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03275300A (ja) | 血液浄化用再生セルロース中空糸膜、その製造方法および血液浄化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J2X1 |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061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306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30618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