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30003498B1 - 보강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강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498B1
KR930003498B1 KR1019870001909A KR870001909A KR930003498B1 KR 930003498 B1 KR930003498 B1 KR 930003498B1 KR 1019870001909 A KR1019870001909 A KR 1019870001909A KR 870001909 A KR870001909 A KR 870001909A KR 930003498 B1 KR930003498 B1 KR 930003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heat
fiber
web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1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070A (ko
Inventor
스스무 도미오까
시요조오 소네
Original Assignee
짓소 가부시끼가이샤
노기 사다오
후꾸스게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후쿠론 가부시끼가이샤
이노우에 쮸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짓소 가부시끼가이샤, 노기 사다오, 후꾸스게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후쿠론 가부시끼가이샤, 이노우에 쮸조오 filed Critical 짓소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9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5/00Non woven fabrics formed of mixtures of relatively short fibres and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5/08Non woven fabrics formed of mixtures of relatively short fibres and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or yar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5/00Non woven fabrics formed of mixtures of relatively short fibres and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5/06Non woven fabrics formed of mixtures of relatively short fibres and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strengthened or consolidated by welding-together thermoplastic fibres, filaments, or yar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5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grain, strips, or filamentary elements in respective layers or components in angular relation
    • Y10T428/24124Fi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26Spot bonds connect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강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의 보강 부직포를 제조하는 장치의 개념도이다.
제 2 도는 제 1 도에 있어서의 보강포 공급부의 일부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I : 보강포 공급부 II, III : 웹 공급부
IV : 보강 부직포 성형부 1 : 보빈 내장드럼
3 : 보강섬유 4 : 장력 조절부
5 : 삽입부 5' : 삽입가이드
6 : 닛프롤 7 : 보강포
8 : 웹
본 발명은 보강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포장재료 및 의료용 재료 등의 용도에 사용되는 고강력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실 또는 슬릿 필름 혹은 이들로서 구성된 편직물로 보강된 부직포는 여러가지 알려져 있다. 일본국 특공소 52-20567호 및 일본국 특공소 56-5879호에는 부직포를 망상물로 보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미리 만들어진 복수개의 부직포 층사이에, 미리 만들어진 열용착성 망상물을 개재시켜 가열로울에 의해 각층간을 접착시키는 것으로서, 제조 공정이 길고, 값이 높아질 뿐 아니라, 수득된 제품은 망상물과 부직포의 면과 면의 접착이기 때문에 접착면을 박리되기 쉽게 강력하게 접착시키면, 촉감이 굳어지는 등의 결점이 남는다. 또한, 종래의 보강 부직포에서, 보강사는 부직포의 길이 방향 및 부직포에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이러한 보강 부직포는 강도의 향상과 종방향 및 횡방향의 치수안정성의 향상을 충분히 기대할 수 있으나, 종방향 및 횡방향의 신도가 적고, 부직포에 장력을 가하였을때 탄력적으로 힘을 흡수할 수 없거나, 보강포의 발의 간격부가 찢어지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보강 부직포의 상기 제반 결점들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충분한 박리 강도와 강력을 가지고, 종방향 및 횡방향의 장력을 흡수할 수 있는 신도를 가지며, 또 값이 싼 보강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강의 부직포는 저융점 성분과 고융점 성분으로 이루어지며, 저융점 성분은 섬유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하고 있는 복합섬유(이하, 열접착성 보합섬유라 칭할때가 있다)를 적어도 15중량% 함유하는 웹(Web)과, 이 웹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열된 제 1 보강섬유 및 웹(Web)의 길이 방향에 대해 제 1 보강섬유와 대칭으로 교차되도록 배열된 제 2 보강 섬유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 2 보강섬유는, 상기 열접착성 복합섬유의 고융점 성분의 융점과 저융점 성분의 융점 사이의 온도에서 실시하는 부직포화를 위한 열처리시에 열접착하는 섬유(이하, 열접착성 섬유라 칭할때가 있다)를 15중량% 이상 함유하여 구성되고(이하, 이들의 보강섬유를 열접착성 보강섬유라 칭할때가 있다), 제1 및 제 2 열접착성 보강섬유간, 제1 및 제 2 열접착성 보강섬유와 웹간 및 웹을 구성하는 섬유간이, 각각 열융착에 의해 서로 접착되고, 또한, 제1 및 제 2 열접착성 보강섬유로 구성되는 다이아몬드 모양을 갖는 보강포의 적어도 일부가 부직포중에 들어가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보강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제 1 도는 보강 부직포 제조장치의 측면 개념도 이다. 제 1 도에서 [ I ]은 보강포 공급부이고, [ II ] 및 [ III ]은 웹 공급부이며, [IV]는 보강 부직포 성형부이다.
제 2 도는 보강포 공급부의 구성의 일부분을 제 1 도와 직각방향에서 본 확대도이다. 드럼(1)에 내장된 다수개의 보빈(2)(도시안됨)으로부터 속출되는 보강섬유(3)는 장력 조절부 (4)의 콘트롤가이드(4')(도시안됨) 및 삽입부(5)의 삽입가이드(5')를 거쳐 닛프롤(6)에 의해 인취된다. 드럼(1), 장력 조절부(4) 및 삽입부(5)는 동일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한다. 콘트롤가이드(4')는 보강섬유(2)를 닛프롤(6)에 적절한 장력하에서 공급하기 위한 실줄기 통과 저항을 갖는다. 삽입부(5)는 보강섬유(2)를 닛프롤(6)의 유효 폭내에 적절한 간격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소망하는 간격으로 삽입가이드(5')를 부착한 체인, 와이어 및 박판 등 끝이 없는 가요성 지지틀을 장축이 닛프롤(6)의 유효폭 이내가 되도록 편평원상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닛프롤(6)은 적어도 한쪽이 금속표면을 갖는 가열롤이며, 제 2 도에서는 한쪽의 롤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제 2 도에 있어서, 삽입부(5)의 앞부분은 좌에서 우로 이동하고, 뒷부분은 우에서 좌로 이동한다. 따라서, 삽입가이드(5')에 의해 안내되는 보강섬유(2)는 닛프롤(6)상에서 일정간격으로 교차하고, 그 교차점에서 가열압착되어, 주행방향에 대해 좌우 대칭의 다이아몬드 모양의 보강포(7)가 된다. 주행방향에서 다이아몬드 모양의 핏치(H)는 닛프롤(6)의 인취속도와 삽입부의 회전속도의 비율에 따라 결정되며, 삽입부의 회전속도를 올리면 핏치는 좁아진다.
주행방향에서 핏치가 좁아지면, 주행방향과 보강섬유로 이루어진 각(제 2 도에서 θ)이 커지며, 보강 부직포의 종방향의 신도는 크게 되지만, 강도는 저하되며, 횡방향의 신도는 적어지지만 강도는 크게 된다.
따라서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핏치를 선택하지만, 상기 각(θ)이 10 내지 80도가 적당한 범위이다. 폭 방향의 핏치(
Figure kpo00001
)는 삽입부 가이드의 간격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강섬유(2)는 후술하는 열접착성 섬유를 15중량%이상 함유하며, 닛프롤(6)에 의한 가열압착은 이 열접착성 섬유의 연화점 이상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여기서, 열접착성 섬유란, 후공정의 부직포화를 위한 열처리 온도에서 연화 내지 용융가능한 섬유이며, 보강섬유중에 이 열접착성 섬유를 15중량%이상 함유 시킴으로써, 상기 닛프롤(6)에 의한 가열압착에 의해 보강 섬유 자신을 열응착하여 강화시킴과 동시에 망상물을 구성시키고, 다시 부직포화를 위한 열처리에 의해 부직포의 주 소재인 웹을 구성하는 섬유간에도 열융착에 의한 견고한 접착점을 만들어, 부직포의 강력 향상에 유효한 작용을 한다. 열접착성 섬유는, 부직포의 주소재인 웹에 함유하는 열접착성 복합섬유의 저융점 성분만으로 이루어진 섬유가 보강섬유와 웹의 접착강력이 크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보강 부직포의 다른 소재인 웹(8)은 웹 공급부[II, III]로부터 공급된다. 웹은 카드법, 드라이펄프법, 에어레이드법 등 통상적인 건식 부직포의 제조에 사용되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제 1 도는 카드법에 의한 동시 공급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제 1 도에는 좌우 2조의 웹 공급부가 도시되어 있으나, 어느 한쪽을 생략할 수도 있다.
웹은 저융점 성분과 고융점 성분으로 구성되며, 저융점 성분은 섬유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복합섬유(이하, 열접착성 복합섬유라 칭할때가 있다)를 적어도 15중량% 함유한다. 열접착성 복합섬유를 구성하는 양복합 성분으로서 조합하는 수지는, 그 융점의 차가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20℃보다 적을 경우는, 양 융점간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부직포화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그의 바람직한 조합의 예로는,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그의 검화물, 나일론 66과 나일론 6 폴리에스테르의 코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스티렌 등이 있다.
복합섬유가 저융점 성분에 의한 열융착성이 되기 위해서는 그 성분이 섬유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병렬형 복합섬유에서는 저융점 성분의 섬유단면 주율이 적어도 30% 이상, 통상 50% 이상의 것이 사용된다. 또한 약 100% 내지 완전한 초심형[
Figure kpo00002
心型, (sheath-core type)]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웹은 이 열접착성 복합섬유 단독에 의해 또는 다른 섬유와 혼합하여 구성된다. 다른 섬유로서는, 부직포화를 위한 열처리 온도에서 변형, 변질하지 않은한 합성섬유, 천연섬유 및 펄프 등 어느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웹중의 열접착성 복합섬유의 양이 15중량% 미만인 경우는 부직포의 안정화가 불충분하게 되고, 보강 섬유와의 융착도 불충분하게 되어 부직포는 강력이 낮아진다.
상기한 보강포와 웹은 보강 부직포 성형부에서 적층되어, 열접착성·복합섬유의 저융점 성분의 연화점 이상 고융점 성분의 융점 이하(바람직하게는 연화점 이하)의 온도에서 가압 열처리됨으로써, 웹을 구성하는 섬유간에 열융착에 의한 접착이 형성되는 동시에, 웹과 보강포간에도 동일하게 접착이 형성되어 본 발명의 보강 부직포가 된다. 부직포화를 위한 상기 열처리 방법으로서는 저강도의 부직포에는 가열 칼렌더법, 증강도 및 고강도 부직포에는 흡수건조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어느 방법에서도 열처리시에 보강 망상물과 웹의 적층물을 압착할 필요가 있다. 압착 압력은 보강 섬유중의 열압착성 섬유의 양, 웹중의 열압착성 복합섬유의 양 및 보강 부직포의 강도 등에 따라 그 최소치가 달라지지만, 선압으로 10kg/cm이상이면 충분하다. 이 압착에 의해 보강포는 부직포주에 적어도 그 일부가 들어가서 내박리성이 향상된다.
열처리시, 보강포 및 웹 이외에 다른 부직포 또는 종이 등을 적층하여 접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실시예에서 평가에 사용된 시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강력 및 신장 : 폭 5cm, 길이 20cm의 시험편을 인장시험기를 사용하여 시험길이 10cm 및 속도 10cm/min의 정속으로 잡아당겨서, 파단점(破斷点)에서 응력 및 신도를 구한다.
1% 신장시의 장력 : 상기의 강력 및 신장 측정시의 하중 및 신도곡선에서 신도 1%시의 장력을 읽는다.
강연도(剛軟度) : 높이 2.5cm의 평판상에 놓여진 폭 2.5cm의 시료편을, 이 평판의 끝에서 조용히 밀어내고, 밀어낸 시료편의 끝이 2.5cm 밑의 기판에 접촉할 때의 평판의 끝과 수평거리를 5장의 시료에 대해 측정한다. 보강 부직포의 평균치 ℓ1와, 이 보강 부직포와 동일 구조의 웹을 사용한, 단 보강섬유를 사용하지 않고 만들어진 부직포의 평균치 ℓ0로 부터 R=(ℓ1-ℓ0)/ℓ0를 산출하여, R
Figure kpo00003
0.35일때 양(촉감 변화가 극히 적다) 0.35〈R
Figure kpo00004
0.6일때 불량(촉감변화가 있음) 0.6<R일때 뒤떨어짐(촉감이 단단해짐)으로 평가한다.
내박리성 : 폭 5cm, 길이 10cm의 시료편 5장을, 각각 중앙부 5cm를 남기고 양끝을 양손으로 잡아서 20번 비빈후, 표면을 관찰하여, 5장 어느 곳에도 보강섬유의 부상(浮上)이 확인되지 않을 경우를 1점으로, 1 내지 2장에 부상이 확인될 경우를 2점으로, 3장 이상에 부상이 확인될 경우를 3점으로 평가하고, 다시 표면에 털이 일어남이 없을 경우를 1점, 약간의 털의 일어남이 있을 경우를 2점, 털의 일어남이 많은 것을 3점으로 평가하여, 양 평가점의 누계 결과 1이면 양이고, 2이면 불량이며, 그외는 뒤떨어짐으로 평가한다.
[실시예 1]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모노필라멘트(100데니어, 융점 130℃, 연화점 110℃)를 보강섬유(열접착성 섬유)로 사용하고, 25mm 간격으로 배치된 삽입가이드를 통하여 플랫가열롤과 금속롤로 구성된 닛프롤에 공급하여, 130℃, 90kg/cm의 조건하에서 통과시켜, 보강섬유가 진행방향에 대해 45°의 각도에서 교차되는 보강포로한다. 폴리프로필렌(융점 168℃, 연화점 145℃)를 코어성분으로 하고, 폴리에틸렌(융점 130℃, 연화점 110℃)을 시이드 성분으로 하는 복합비 50/50의 열접착성 복합섬유(3데니어×51mm)만으로 구성된 카트웹(강도 35g/㎡)과 상기 보강포를 합하여, 플랫가열롤과 고무롤 및 고무롤로 구성된 열처리 장치(보강 부직포 성형부)를 135℃, 10kg/cm의 조건하에서 통과시켜 보강 부직포를 얻는다. 이 보강 부직포의 특성치 및 보강섬유를 사용하지 않고 카드웹만을 열처리하여 얻어진 부직포의 특성치를 제 1 표에 표시하였다.
이 보강 부직포는 사용후 버리는 카이루(懷爐-품속에 넣고 다니는 휴대용 화로)의 포장재로서 충분한 성능을 갖는다.
[비교실시예 1-1 내지 1-3]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모노필라멘트-(100데니어, 융점 160℃, 연화점 140℃)를 보강섬유로 사용하여, 25mm 간격으로 배치된 삽입가이드를 통하여 플랫 가열롤과 금속롤로 구성되는 닛프롤에 공급하여, 150℃, 90kg/cm의 조건하에서 통과시켜 보강섬유가 진행 방향에 대해 45° 각도로 교차하는 보강포를 만든다.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카드웹과 상기 보강포를 합하여,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열처리 장치를 135℃, 50kg/cm의 조건하에서 통과시켜 보강 보직포(비교실시예 1-1)를 얻는다. 이것은 보강포와 웹간의 접착이 불충분하여 쉽게 박리되었다. 상기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하여, 열처리 조건을 150℃, 70kg/cm로 변화시켜 수득한 보강 부직포(비교실시예 1-2)는 웹의 열수축에 의한 두께 얼룩이 생겨서 축감도 단단하고, 또한 실시예 1의 부직포와 비교하여 강도가 낮았다. 또한 폴리에틸렌의 플랫사를 경위로 배치한 포상물(상품명 닛세끼 와리프 SS, 강도 18g/㎡)를 보강포로 사용한것 이외는 상기 비교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보강 부직포를 얻는다(비교실시예 1-3).
이들은 촉감이 뺏뺏하게 견고하고, 경방향 및 위방향의 신장성이 없이, 장력이 가해질때 이것을 흡수하지 못하고, 장력을 가하면서 굴곡시키면 보강포의 그물상에서, 부직포에 부분적인 찢어짐이 생긴다. 이들 비교실시예 1-1 내지 1-3의 보강 부직포의 특성치를 제 1 표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2]
폴리프로필렌(융점 168℃, 연화점 145℃)을 코어 성분으로 하고, 폴리에틸렌(융점 130℃, 연화점 110℃)을 시이드 성분으로 하는, 복합비 50/50의 편심 복합섬유인 열접착성 섬유(열접착성 복합섬유)(1.5데니어×51mm) 15중량%와 폴리에스테르 섬유(1.5데니어×51mm) 85중량%로 이루어지는 혼방사(25/1번수)를 보강섬유로 사용하여, 20mm 간격으로 배치된 삽입가이드를 통하여 플랫가열롤과 금속롤로 구성된 닛프롤에 공급하여, 145℃, 100kg/cm 조건하에서 통과시켜, 보강섬유가 진행방향에 대해 30°각도로 교차하는 보강포를 만든다. 상기 열접착성 복합섬유만으로 이루어진 카드웹(강도 15g/㎡)과, 상기 보강포를 겹쳐서 엔보싱 가열롤과 금속열롤로 구성된 열처리 장치를 140℃, 80kg/cm의 조건하에서 통과시켜 보강 부직포를 얻는다. 이 보강 부직포를 특성치를 제 1 표에 표시하였다. 이 보강 부직포는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므로, 어른용 1회용 기저귀의 커버링재로 적절한 성능을 갖는다.
[비교실시예 2]
실시예 2에 있어서, 보강섬유의 혼방율을 열접착성 섬유 12중량%, 폴리에스테르 섬유 88중량%로 한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 조건으로 보강 부직포를 얻는다. 이것은 보강섬유끼리의 접착 및 보강 섬유와 웹의 접착이 약하여 박리가 발생하였다. 이 보강 부직포의 특성치를 제 1 표에 표시하였다. 또한, 보강포 성형용 닛프롤 온도 및 보강 부직포 성형용 열처리 온도를 각각 30℃ 높게 하여 실시하였으나 박리가 발생였다.
[실시예 3]
폴리프로필렌(융점 168℃, 연화점 145℃)을 코어 성분으로 하고, 폴리에틸렌(융점 130℃, 연화점 110℃)을 시이드 성분으로 하는 복합비 50/50의 모노필라멘트(200데니어)를 보강섬유(열접착성 섬유)로 사용하여, 10mm 간격으로 배치된 삽입가이드를 통하여 플랫가열롤과 고무롤로 구성된 닛프롤에 공급하여, 130℃, 50kg/cm의 조건하에서 통과시켜 진행방향에 대해 30°각도로 교차된 보강포를 수득한다. 또한, 실시예 2에서 사용된 열접착성 복합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전자 15중량%, 후자 85중량% 비율로 혼방하여 얻은 강도 35g/㎡의 카드웹과 상기 보강포와 겹쳐서, 2개의 플랫 가열롤로 구성된 열처리 장치를 140℃, 90kg/cm 조건하에서 통과시켜 보강 부직포를 수득한다. 이 보강 부직포를 특성치를 제 1 표에 표시하였다. 본 보강 부직포는 농업용 한냉사(寒冷紗)로서 적절한 성능을 갖는다.
[비교실시예 3]
실시예 3에 있어서, 카드웹의 혼방율을 열접착성 복합섬유 12중량%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 88중량%로 하는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 조건에서 보강부직포를 얻는다. 이것은 내박리성이 떨어지고, 보강부의 부분적 박리가 발생하였다. 이들 특성치를 제 1 표에 표시하였다. 열처리 온도를 30℃ 높게 하였으나 이 박리성을 방지하지 못하였다.
[실시예 4-1 및 4-2]
폴리에스테르(융점 258℃, 연화점 238℃)를 코어성분으로하고, 폴리에틸렌(융점 130℃, 연화점 110℃)을 시이드 성분으로 한 복합비 50/50의 열접착성섬유(열접착성 복합섬유)(1.5데니어×51mm)만으로 구성된 방적사(25/1번수)를 보강섬유로 사용하고, 5mm간격으로 배치된 삽입가이드를 통하여 플랫가열롤과 코톤롤로 구성된 닛프롤에 공급하여 135℃, 50kg/cm 조건하에서 통과시켜 보강섬유가 진행방향에 대해 10°의 각도로 교차된 보강포를 얻는다. 폴리에스테르 섬유(2데니어 ×51mm)와 상기 열접착성 복합섬유의 중량비가 50/50으로 혼방된 강도 15g/㎡의 카드웹을 상기 보강포와 겹쳐서, 플랫가열롤과 코톤롤로 구성된 열처리 장치를 140℃, 50kg/cm조건하에서 통과시켜 보강 부직포를 얻는다(실시예 4-1). 다시, 삽입부의 회전수를 높게 함으로써 보강 섬유가 진행방향에 대해 80°각도로 교차된 보강포로 한것 이의는, 상기와 동일방법으로 조작하여 보강 부직포를 얻는다(실시예 4-2). 이들 보강 부직포의 특성치를 제 1 표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4-1의 보강 부직포는 부엌용 수분제거 고무봉지로서, 실시예 4-2의 보강 부직포는 포대로서 각각 적절한 성능을 갖는다.
[비교실시예 4]
실시예 4-1에서 사용된 보강섬유를 사용하여 경위 모두 5mm간격의 평직물을 실시예 4와 동일한 조건에서, 닛프롤을 통과시켜 보강포를 얻는것 이외는 실시예 4-1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보강 부직포를 얻는다. 이것은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 신도가 적고, 촉감도 떨어진 제품이었다. 그 특성치를 제 1 표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3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혼방카드웹(강도 35g/㎡)과, 실시예 3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보강포 및, 실시예 2에서 사용된 열접착성 복합섬유만을 사용한 카드웹(강도 70g/㎡)을 이 순서로 적층하여, 흡수 건조기 및 목재 핀치롤로 구성된 열처리 장치를, 건조기는 140℃에서 30초간, 이어서 핀치롤을 10kg/cm 조건하에서 통과시켜 보강 부직포를 얻는다. 이 제품의 특성치를 제 1 표에 표시하였다.
이 보강 부직포는 수면에 부유하는 기름을 제거하는 기름 흡착재 또는 오일 방벽(oil fence)으로서 적절한 성능을 갖는다.
[제 1 표]
Figure kpo00005
제 1 표에 표시된 특성치로 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보강 부직포는 보강섬유의 박리가 없고, 보강효과가 우수함과 동시에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며,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적당한 신도를 가짐으로써 장력을 흡수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값싸고 또한 간편하게 우수한 보강 부직포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저융점 성분과 고융점 성분으로 이루어지고 저융점 성분이 섬유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연속으로 형성하고 있는 복합섬유(이하, 열접착성 복합섬유라칭할때가 있다)를 적어도 15중량% 함유하는 웹(web)과, 이 웹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열된 제 1 보강섬유 및 웹의 길이방향에 대해 제 1 보강섬유와 대칭으로 교차되도록 배열된 제 2 보강섬유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 2 보강섬유는, 상기 열접착성 복합섬유의 고융점 성분의 융점과 저융점 성분의 융점 사이의 온도에서 실시하는 부직포화를 위한 열처리시에 열접착하는 섬유(이하, 열접착성 섬유라 칭할때가 있다)를 15중량% 이상 함유하여 구성되고(이하, 이들의 보강섬유를 열접착성 보강섬유라 칭할때가 있다), 제1 및 제 2 열접착성 보강섬유간, 제1 및 제 2 열접착성 보강섬유와 웹간 및 웹을 구성하는 섬유간이 각각 열융착에 의해 서로 접착되며, 또한 제1 및 제 2 열접착성 보강섬유로 구성된 다이야몬드 모양을 갖는 보강포의 적어도 일부가 부직포중에 들어가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부직포.
  2. 열접착성 섬유를 15중량% 이상 함유하는 다수개의 보강섬유를, 회전하는 가요성 지지틀에 부착된 삽입 가이드를 통하여 가열 닛프롤에 삽입하여 보강포를 만드는 공정과, 열접착성 복합섬유를 15중량% 이상 함유하는 웹과 이 보강포를 적층하여 가압 열처리하는 공정이 결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열된 제 1 보강섬유 및 부직포의 길이 방향에 대해 제 1 보강섬유와 대칭으로 교차되도록 배열된 제 2 보강섬유로 구성되는 보강포의 적어도 일부가 부직포중에 들어가서, 보강섬유끼리, 보강섬유와 웹 및 웹을 구성하는 섬유간이 모두 열융착에 의해 서로 접착되는 보강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19870001909A 1986-03-04 1987-03-04 보강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9300034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6813 1986-03-04
JP61046813A JPS62215057A (ja) 1986-03-04 1986-03-04 補強不織布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070A KR870009070A (ko) 1987-10-23
KR930003498B1 true KR930003498B1 (ko) 1993-05-01

Family

ID=12757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1909A KR930003498B1 (ko) 1986-03-04 1987-03-04 보강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22857A (ko)
JP (1) JPS62215057A (ko)
KR (1) KR930003498B1 (ko)
DK (1) DK10808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54393A1 (en) * 1986-07-18 1988-01-27 Showa Denko Kabushiki Kaisha Elastic absorbent and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tion thereof
US4996091A (en) * 1987-05-26 1991-02-26 Acumeter Laboratories, Inc. Product comprising substrate bearing continuous extruded fiber forming random crisscross pattern layer
JP2545260B2 (ja) * 1988-02-02 1996-10-16 チッソ株式会社 嵩高補強不織布
DE3813773A1 (de) * 1988-04-23 1989-11-02 Henkel Kgaa Waschmittelerzeugnis
JPH0538812Y2 (ko) * 1988-12-30 1993-09-30
JPH02190327A (ja) * 1989-01-20 1990-07-26 Chisso Corp 結露防止材
US5108827A (en) * 1989-04-28 1992-04-28 Fiberweb North America, Inc. Strong nonwoven fabrics from engineered multiconstituent fibers
JPH038858A (ja) * 1989-06-02 1991-01-16 Fukuron Kk 補強不織布
DE3920066A1 (de) * 1989-06-20 1991-01-10 Corovin Gmbh Verbundvliesmaterial
DE4011479A1 (de) * 1990-04-09 1991-10-10 Hoechst Ag Thermisch stabiles, schmelzbinderverfestigtes spinnvlies
DE4125151C2 (de) * 1991-07-30 1994-09-29 Freudenberg Carl Fa Vliesstoff-Laminat mit hohem spezifischem Volumen und guter Festigkeit
US5284704A (en) * 1992-01-15 1994-02-08 American Felt & Filter Company Non-woven textile articles comprising bicomponent fiber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382400A (en) * 1992-08-21 1995-01-17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multicomponent polymeric fabric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5336552A (en) * 1992-08-26 1994-08-09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fabric made with multicomponent polymeric strands including a blend of polyolefin and ethylene alkyl acrylate copolymer
US5405682A (en) * 1992-08-26 1995-04-11 Kimberly Clark Corporation Nonwoven fabric made with multicomponent polymeric strands including a blend of polyolefin and elastomeric thermoplastic material
CA2092604A1 (en) * 1992-11-12 1994-05-13 Richard Swee-Chye Yeo Hydrophilic, multicomponent polymeric strands and nonwoven fabrics made therewith
US5482772A (en) 1992-12-28 1996-01-09 Kimberly-Clark Corporation Polymeric strands including a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and nonwoven fabric and articles made therewith
KR100323320B1 (ko) * 1993-05-26 2002-06-20 고토 기치 여과재및이의제조방법
US5370756A (en) * 1993-06-01 1994-12-06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Substrate splices for roofing
US5851935A (en) * 1996-08-29 1998-12-22 Bba Nonwovens Simpsonville, Inc. Cross-directionally stretchable elastomeric fabric laminated by thermal spot bonding
US6025050A (en) * 1994-06-15 2000-02-15 Bba Nonwovens Simpsonville, Inc. Thermally appertured nonwoven laminates for wipes and coverstock for hygienic articles
DE4420811A1 (de) * 1994-06-16 1995-12-21 Akzo Nobel Nv Filamentverstärkte Vliesstoffbahn
CA2166166C (en) * 1995-01-12 2006-07-18 Roy E. Shaffer Insulation assembly and method for applying adhesive thereto
JP2000507654A (ja) 1996-03-29 2000-06-20 ハーキュリ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ポリプロピレン繊維及びそれらから製造された製品
US5985193A (en) * 1996-03-29 1999-11-16 Fiberco., Inc. Process of making polypropylene fibers
FR2758340B1 (fr) * 1997-01-16 1999-02-12 Vetrotex France Sa Procede et dispositif de fabrication de plaques composites
US5916393A (en) * 1997-06-24 1999-06-29 Owens 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Method for applying adhesive on a porous substrate
KR100633264B1 (ko) * 1998-06-26 2007-03-02 생-고뱅 베뜨로떽스 프랑스 에스. 아. 합성시트 제조방법 및 장치
CZ297163B6 (cs) * 1998-06-30 2006-09-13 Vetrotex France Zpusob a zarízení pro výrobu kompozitních desek akompozitní deska
US20050245152A1 (en) * 2004-04-30 2005-11-03 Highland Industries, Inc. Coated airbag fabric
US20050245154A1 (en) * 2004-04-30 2005-11-03 Highland Industries, Inc. Coated airbag fabric
US20050244596A1 (en) * 2004-04-30 2005-11-03 Highland Industries, Inc. Coated airbag fabric
JP2009270531A (ja) * 2008-05-09 2009-11-19 Toyota Boshoku Corp 内燃機関の吸気ダク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11083916B2 (en) * 2008-12-18 2021-08-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at fold respirator having flanges disposed on the mask body
CA2944559C (en) * 2009-10-09 2020-07-07 Volm Companies, Inc. Open mesh material and bags made therefrom
US11116998B2 (en) 2012-12-27 2021-09-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tering face-piece respirator having folded flang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2943A (en) * 1982-09-30 1986-06-03 Chicopee Open mesh belt bonded fabric
US4661389A (en) * 1984-03-27 1987-04-28 Leucadia, Inc. Multiple-layer reinforced laminate
US4522863A (en) * 1984-06-21 1985-06-11 Kimberly-Clark Corporation Soft nonwoven laminate bonded by adhesive on reinforcing scrim
JPS6141357A (ja) * 1984-07-30 1986-02-27 福助工業株式会社 繊維補強不織布の製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08087A (da) 1987-09-05
US4722857A (en) 1988-02-02
KR870009070A (ko) 1987-10-23
JPS62215057A (ja) 1987-09-21
DK108087D0 (da) 1987-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3498B1 (ko) 보강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60474B1 (ko) 내구성스펀레이스직물또는부직포및이를제조하는방법
US4606964A (en) Bulked web composit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048536B1 (ko) 고 용적 복합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JP2545260B2 (ja) 嵩高補強不織布
US5080951A (en) Nonwoven fabric
CA2640722C (en) Extensible absorbent composites
US7008685B2 (en) Laminated material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US20040116024A1 (en) Stretchable composite sheets and processes for making
EP0171807B1 (en) An entangled nonwoven fabric with thermoplastic fibers on its surface and the method of making same
JP4456366B2 (ja) 伸縮性の多成分不織布および製造方法
BRPI0715919B1 (pt) feixe de fibras, método para fabricar uma folha contínua, folha contínua, produto e produto acabado
EP1456017B1 (en) Stretchable composite sheets and processes for making
JP2003003334A (ja) 捲縮性複合繊維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不織布
EP0281643B1 (en) Reinforced non-woven fabric
JPH0921055A (ja) 複合化不織布及びその製造法
JP2972837B2 (ja) ステツチ縫合により安定化された不織性繊維布
US20070299418A1 (en) Fastening means in the form of a belt for an absorbent article
JP2953628B2 (ja) 積層紙
JPH10114004A (ja) 嵩高性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30129908A1 (en) Stretchable, cotton-surfaced, nonwoven, laminated fabric
JP3134044B2 (ja) 嵩高性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126510B2 (ja) 高吸水性不織布材料
JPH09111635A (ja) 積層不織布
US6562434B1 (en) Gel-like fabric compos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703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802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703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9009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009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PJ2001 Appe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19930226

Appeal identifier: 1991201000998

Request date: 19910629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3040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307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308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308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4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4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4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