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1000B1 - Non-erasible semiconductor memory circuit - Google Patents
Non-erasible semiconductor memory circu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11000B1 KR920011000B1 KR1019890011495A KR890011495A KR920011000B1 KR 920011000 B1 KR920011000 B1 KR 920011000B1 KR 1019890011495 A KR1019890011495 A KR 1019890011495A KR 890011495 A KR890011495 A KR 890011495A KR 920011000 B1 KR920011000 B1 KR 9200110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mory cell
- gate
- erase
- voltage
- dat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10—Programming or data input circuits
- G11C16/14—Circuits for erasing electrically, e.g. erase voltage switching circuits
- G11C16/16—Circuits for erasing electrically, e.g. erase voltage switching circuits for erasing blocks, e.g. arrays, words, group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10—Programming or data input circuits
Landscapes
- Read Only Memory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의 메모리 회로도.1 and 2 are memory circuit diagrams of respectiv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 및 제4도는 상기 제1도 및 제2도의 도시된 실시예회로의 일부를 상세히 도시해 놓은 회로도.3 and 4 are circuit diagrams detailing some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circuits of FIGS. 1 and 2.
제5a도는 상기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실시예회로의 메모리셀부의 패턴평면도.FIG. 5A is a pattern plan view of the memory cell portion of the embodiment circuit shown in FIGS. 1 and 2. FIG.
제5b도는 상기 제5a도의 패턴평면도를 A-A'선을 따라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pattern plan view of FIG. 5A is cut along a line A-A '. FIG.
제5c도는 사이 제5a도의 패턴평면도를 B-B'선을 따라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Fig. 5C is a cross sectional view when the pattern plan view of Fig. 5A is cut along the line B-B '.
제6도는 상기 제5도에 도시된 메모리셀부의 등가회로도.6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a memory cell unit shown in FIG. 5;
제7도는 상기 제5도에 도시된 메모리셀부의 용량계통의 등가회로도.FIG. 7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a capacitance system of the memory cell unit shown in FIG.
제8도는 상기 제6도에 도시된 메모리셀부의 4비트의 메트릭스형태로 배치한 경우의 회로도.FIG. 8 is a circuit diagram in the case where the memory cell portion shown in FIG. 6 is arranged in the form of a 4-bit matrix.
제9도는 제8도에 도시된 메모리셀부에 있어서 소거 게이트와 부유게이트의 전압압박을 도시해 놓은 도표.FIG. 9 is a table showing voltage compression of the erase gate and the floating gate in the memory cell unit shown in FIG.
제10도는 종래의 메모리회로도이다.10 is a conventional memory circuit diagram.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부유게이트 12 : 소거게이트11
13 : 제어게이트 14 : P형 기판13 control gate 14 P-type substrate
15 : 소오스 16 : 드레인15 source 16: drain
17 : 접속부 18 : 데이터선17
19∼23 : 게이트절연막 24 : 필드절연막19 to 23 gate
25 : 층간절연막 30 : 메모리셀25 interlayer
31 : 메모리셀어레이 32 : 행디코더31: memory cell array 32: row decoder
33 : 열디코더 34-1∼34n : 열선택트랜지스터33: thermal decoder 34-1 to 34n: thermal select transistor
35 : 버스선 36 : 데이터입력회로35
37 : 센스증폭회로 38 : 데이터출력회로37: sense amplifier circuit 38: data output circuit
39 : 소거용 승압회로 40-1∼40-k : 행디코더39: erase booster circuit 40-1 to 40-k: hang decoder
42-1∼42k : 블록메모리셀어레이 43-1∼43-k : 소거게이트디코더42-1 to 42k: block memory cell array 43-1 to 43-k: erase gate decoder
44,45 : 어드레스버퍼 46-1,46-k : 소거게이트디코더44,45: address buffer 46-1,46-k: erase gate decoder
47 : 소거용 어드레스버퍼 50 : 디코더47: address buffer for erasing 50: decoder
WL1-1∼WLk-1 : 워드선 DL1∼DLn : 데이터선WL1-1 to WLk-1: word line DL1 to DLn: data line
CL1∼CLn : 열선택선 EL1∼ELk : 소건선CL1 to CLn: Heat select line EL1 to ELk: Small psoriasis
M1∼M4 : 메모리셀 RA1∼RAj : 행어드레스M1 to M4: Memory cells RA1 to RAj: Hang address
[HE] : 승압전압[HE]: step-up voltage
[산업상의 이용분야][Industrial use]
본 발명은 전기적으로 데이터를 소거할 수 있도록 된 불휘발성 반도체메모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선택 메모리셀의 전압압박시간(電壓stress時間)을 단축시켜 오기입 및 오소거를 방지함으로써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불휘발성 반도체메모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Traditional Technology and Problems]
전기적으로 기억데이터를 소거하는 한편 재기입을 행할 수 있도록 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을 자외선소거형 EPROM과 달리 보도상에 조립된 상태에서 기억데이터를 전기신호로 소거시킬 수 있는 등 사용상의 편이성 때문에 제어용, IC카드용(메모리카드용)등으로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또, 특히 대용량화를 실현할 수 있는 EEPROM으로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의 메모리셀이 사용되고 있는 바, 여기서 제5a도는 패턴평면도, 제5b도는 상기 제5a도의 패턴평면도를 A-A'선을 따라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 제5c도는 상기 제5a도의 패턴평면도를 B-B'선을 따라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이다.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which can erase data and erase data electrically, can be erased by electric signal when assembled on sidewalks unlike UV erasure type EPROM. Therefore, the demand for control, IC card (memory card), etc. is increasing rapidly. In particular, a memory cell having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5 is used as an EEPROM capable of realizing a large capacity. FIG. 5A is a pattern plan view, and FIG. 5B is a pattern plan view of FIG. 5C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pattern plan view of FIG. 5A is cut along the line B-B '.
제5도에 있어서, 참조부호 11은 제1층은 다결정실리콘층으로 이루어진 부유게이트, 12는 제2층의 다결정실리콘층으로 이루어진 소거게이트, 13은 제3층의 다결정실리콘층으로 이루어진 제어게이트를 각각 나타내며, 이때 제어게이트(13)의 메모리셀의 워드선으로도 사용된다.In FIG. 5,
또한, 제5도에서 참조부호 14는 P형 기판, 15 및 16은 상기 P형 기판(14)상에 형성된 N+형 확산층의 소오스 및 드레인이며, 17은 접속부, 18은 이 접속부(17)를 매개로 상기 드레인(16)과 접속되는 알루미늄층으로 이루어진 데이터선, 19는 부유게이트트랜지스터부의 게이트절연막, 20은 부유게이트(11)와 소거게이트(12) 간에 형성된 게이트절연막, 21은 부유게이트(11)와 제어게이트(13) 간에 형성된 게이트절연막으로서, 이 게이트절연막(21)은 O-N-O구조(Oxide-Nitride-Oxide structure)의 3층 구조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참조부호 22는 소거게이트(12)와 제어게이트(13)간에 형성된 게이트절연막으로 이 절연막도 마찬가지로 O-N-O구조로 되어 있다. 또, 참조부호 23은 제3층의 다결정실리콘층을 게이트전극으로 하는 선택트랜지스터부의 게이트절연막이고, 24는 필드절연막이며, 25는 층간절연막이다.In Fig. 5,
상기 제5도에 나타낸 메모리셀의 등가회로를 제16도에, 용량계통의 등가회로를 제7도로 각각 나타내었다.The equivalent circuit of the memory cell shown in FIG. 5 is shown in FIG. 16 and the equivalent circuit of the capacitance system is shown in FIG.
제6도에 있어서, 참조부호 VD는 드레인전압, VS는 소오스전압, VFC는 부유게이트전압, VEG는 소거게이트전압을 각각 나타내고, VCG는 제어게이트전압이다. 또, 제7도에 있어서, 참조부호 CFC는 부유게이트(11)와 제어게이트(13)간의 용량, CFE는 부유게이트(11)와 소거게이트(12)간의 용량, CFD는 부유게이트(11)와 드레인(16)간의 용량을 각각 나타내며, CFS는 부유게이트(11)에서 본 그밖의 용량을 나타낸다. 이러한 용량계통에 있어서, 모든 용량에 축적되는 전하량의 초기치 Q(Ⅰ)는 다음식으로 주어진다.In Fig. 6, reference numeral V D denotes a drain voltage, V S denotes a source voltage, V FC denotes a floating gate voltage, V EG denotes an erase gate voltage, and V CG denotes a control gate voltage. In Fig. 7, reference numeral C FC denotes a capacitance between the
또, 모든 용량의 총합을 CT라 하면, CT는 다음식으로 주어진다.If the sum of all capacities is C T , C T is given by the following equation.
따라서, 부유게이트전압(VFG)은 다음식으로 주어진다.Therefore, the floating gate voltage V FG is given by the following equation.
여기서,를 대입하면, 상기 (3)식은 다음과 같이 고쳐쓸 수 있다.here, By substituting, Equation (3) can be rewritten as follows.
그리고, 상기와 같은 메모리셀은 실제로 메모리에서 행렬 상태로 메트릭스배치되는 것이지만, 여기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4비트의 메모리셀어레이에 대해 설명한다.Incidentally, although the above-described memory cells are actually arranged in a matrix state in the memory, a 4-bit memory cell array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8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제8도는 4개의 메모리셀(M1∼M4)를 구비한 메모리셀어레이의 회로도로서, 이들 4개의 메모리셀(M1∼M4)의 드레인은 2개의 데이터선(DL1, DL2)중의 어느 하나에 접속되고, 제어게이트 2개의 워드선(WL1, WL2)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며, 모드 메모리셀(M1∼M4)의 소거게이트 소거선(EL)에 공통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모든 메모리셀(M1∼M4)의 소오스는 예컨대 접지전압(OV)이 인가된다.FIG. 8 is a circuit diagram of a memory cell array having four memory cells M1 to M4, wherein the drains of the four memory cells M1 to M4 are connected to one of the two data lines DL1 and DL2. The control gate is connected to one of the two word lines WL1 and WL2, and is commonly connected to the erase gate erase line EL of the mode memory cells M1 to M4. The ground voltage OV is applied to the sources of all the memory cells M1 to M4, for example.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메모리셀어레이의 데이터 소거동작을 설명한다.Next, the data erase operation of the memory cell arra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데이터의 소거는 모든 메모리셀(M1∼M4)에 대해 일괄적으로 행해진다. 이 때문에, 메모리셀의 소오스전압(VS)과 드레인전압(VD) 및 제어게이트저압(VCG)을 모두 OV로 [즉, 데이터선(DL1,DL2), 워드선(WL1,WL2)을 OV로]하고, 소거게이트전압(VEG)만을 고전위, 예컨대 +20V로 한다. 이때 파울러-노드하임(Fowler-Nordheim)의 채널효과에 의해 부유 게이트중의 전자 전계 방출에 의해 소거게이트로 방출되고, 부유게이트가 정전위로 대전되게 되는데, 예컨대 부유게이트내의 전압[VFG(Ⅰ)]이 +3V로 대전된다고 하면, [이때, 부유게이트트랜지스터의 임계치전압(Vth)을 1V로 함], 부유게이트의 아래에 반전층이 발생되어 모든 메모리셀의 임계치전압이 낮아지게 된다. 이 상태를 데이터"1"로 하는바, 이로써 소거동작이 실행되는 것이다.Data erasing is performed collectively for all the memory cells M1 to M4. Therefore, the source voltage V S , the drain voltage V D , and the control gate low voltage V CG of the memory cell are all set to OV (i.e., the data lines DL1 and DL2 and the word lines WL1 and WL2). OV, only the erase gate voltage V EG is set to high potential, for example, + 20V. At this time, due to the channel effect of Fowler-Nordheim, it is emitted to the elimination gate by the emission of the electron field in the floating gate, and the floating gate is charged to the electric potential, for example, the voltage in the floating gate [V FG (I)]. ] Is charged to + 3V (at this time, the threshold voltage Vth of the floating gate transistor is set to 1V), and an inversion layer is generated below the floating gate, so that the threshold voltages of all the memory cells are lowered. This state is referred to as data # 1 ', whereby the erase operation is performed.
다음으로, 상기 메모리셀어레이중 1개의 메모리셀, 예컨대 메모리셀(M1)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경우를 설명한다.Next, the case where data is written into one memory cell of the memory cell array, for example, memory cell M1, will be described.
우선, 선택된 메모리셀(M1)의 제어게이트전압(VCG), 즉 워드선(WL1)을 예컨대, +12.5V의 고전위로, 드레인전압(VD), 즉 데이터선(DL1)을 예컨대 +10V의 고전위로 각각 설정해주는 한편 소오스전압(VS) 및 데이터선(DL2), 워드선(WL2)의 전위로 OV로 설정해준다. 소거게이트에는 예컨대 +5V를 인가한다.First, the control gate voltage V CG of the selected memory cell M1, that is, the word line WL1 is, for example, at a high potential of +12.5 V, and the drain voltage V D , that is, the data line DL1, is +10 V, for example. The voltages are set to the high potentials of, while the voltages of the source voltage V S and the potential of the data line DL2 and the word line WL2 are set to OV. For example, + 5V is applied to the erase gate.
상기와 같이 전압을 인가해주면 선택된 메모리셀(M1)에서는 소거게이트의 요량비에 의해 부유게이트의 전압이 상승되어 기입이 용이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선택된 메모리셀(M1)의 드레인근방에서 열전자효과가 생기며 임팩트 이온화에 의해 발생된 전자가 부유게이트중으로 주입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부유게이트전압(VFG)이 부(-)로 대전되는데, 예컨대 부유게이트내의 전압[VFG(Ⅰ)]이 -3V로 되어 있다고 한다면, 메모리셀의 임계치전압이 높아지게 된다.When the voltage is applied as described above, the voltage of the floating gate is increased in the selected memory cell M1 due to the ratio of the erase gate, so that the writing becomes easy. Thus, the thermoelectric effect is increased near the drain of the selected memory cell M1. Electrons generated by impact ionization are injected into the floating gate. In this state, the floating gate voltage V FG is negatively charged. For example, if the voltage V FG (I) in the floating gate is -3V,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memory cell becomes high.
이상태를 데이터"0"으로 하는바, 이로써 데이터기입동작이 실행되는 것이다. 한편, 비선택메모리셀(M2∼M4)에서는 열전자효과가 생기지 않아 데이터는 기입되지 않는다.This state is referred to as data # 0 ', whereby the data write operation is executed. On the other hand, in the non-selected memory cells M2 to M4, the hot electron effect does not occur and data is not written.
다음으로, 데이터기입시 비선택 메모리셀(M2∼M4)에 대한 전압압박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voltage pressing on the unselected memory cells M2 to M4 at the time of data writing will be described.
데이터기입시 상기 식(4)의 VEG·CFE및 VD·CFD는 VCG·VFC에 비해서 충분히 작으므로, 데이터 기입시에 상기 식(4)은 다음과 같이 바꿀 수 있다.Since V EG · C FE and VD · C FD in the above formula (4) are sufficiently smaller than V CG · V FC at the time of data writing, the above formula (4) can be changed as follows during data writing.
여기서, 용량비 CFC/CT를 예컨대 0.6으로 놓고, "1"상태의 메모리셀의 부유게이트내의 전압[VFG(Ⅰ)]=+3V로, "0"상태의 메모리셀의 부유게이트내의 전압[VFG(Ⅰ)]=-3V로 하는 경우에 대해서 고찰한다. 또, 선택된 메모리셀(M1)과 동일워드선(WL1)상에 있는 비선택 메모리셀(M2)의 기억데이터가 "1"인 경우에 대해서도 고찰한다.Here, the capacitance ratio C FC / C T is set to 0.6, for example, and the voltage in the floating gate of the memory cell in the # 1 state is [V FG (I)] = + 3V. Consider the case where [V FG (I)] = -3V. The case where the stored data of the unselected memory cell M2 on the same word line WL1 as the selected memory cell M1 is # 1 will also be considered.
먼저, 메모리셀(M2)/의 제어게이트전압(VCG)이 12.5V이므로, 부유게이트(VFG)은 상기 식(5)에 의하면 10.5V로 되고, 소거게이트전압(VEG)이 5V이므로 부유게이트에서 본 소거게이트전압(VEG)은 -5.5V로 된다. 그런데, 이와같이 소거게이트 5V를 인가함에 따라 선택된 메모리셀(M1)과 동일워드선상에 있는 비선택 메모리셀(M2)의 부유게이트의 소거게이트에 대한 전계가 완화되게 되면, 오기입에 의한 오동작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제8도의 4개의 메모리셀(M1∼M4)에 인가되는 소거게이트의 부유게이트에 대한 전압압박을 제9도에 정리해서 나타내었다. 제8도에 있어서, 비선택 메모리셀의 부유게이트로의 전압압박이 최대로 되는 것은, 선택된 메모리셀(M1)과 다른 워드선(WL2)에 제어게이트가 접속된 비선택 메모리셀(M3, M4)의 기억데이터가 "0"인 경우이다. 즉, 제9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선택 메모리셀(M3, M4)에서는 선택된 메모리셀(M1)의 데이터기입시에 부유게이트와 소거게이트간에 +8V의 전압이 인가되게 되어 메모리셀(M2)과 달리 이 비선택 메모리셀(M3,M4)은 약소거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부유게이트중의 전자가 소거게이트로 방출되기 쉬워져 오소거가 일어나게 된다.First, since the control gate voltage V CG of the memory cell M2 / is 12.5V, the floating gate V FG becomes 10.5V according to Equation (5), and the erase gate voltage V EG is 5V. The erase gate voltage V EG seen from the floating gate becomes -5.5V. However, when the erase
제10도는 상기 메모리셀을 사용한 종래 메모리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로서, 도면의 메모리셀어레이(31)중의 각 메모리셀(30)의 드레인 n개의 데이터선(DL1∼DLn)중의 어느 하나에 접속되고, 제어게이트 m개의 워드선(WL1∼WLm)중의 하나에 접속된다. 또, 모든 메모리셀(30)의 소거게이트는 소거선(EL)애 공통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각 메모리셀(30)의 소오스에는 기준전압, 예컨대 OV가 인가된다.FIG. 10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memory using the memory cell, connected to any one of the n-drain data lines DL1 to DLn of each of the
이때, 메모리셀어레이(31)내의 모든 메모리셀(30)의 소거게이트는 공통접속되어 있으므로, 데이터소거시에 모든 메모리셀(30)의 소거게이트에는 소거게이트전압(VEG)이 인가되게 된다. 또, 제10도에 있어서, 참조부호 32는 행디코더, 33은 열디코더, 34-1∼34-n은 열선택트랜지스터, 35은 버스선, 36은 데이터입력회로, 37은 센스증폭회로, 38은 데이터출력회로, 39은 소거용 승압회로, 41은 어드레스버퍼이다.At this time, since the erase gates of all the
여기서, 1메모리셀당 데이터기입시간을 t라 하고, 모든 비트가 기입된 경우를 고려하면, 비선택상태에 있어서 제어게이트가 OV, 즉 상기 제9도에서 설명한 약소거상태가 지속되는 압박시간은 최대로 {(m-1)×n}×t로 된다.(이때, m은 행선의 수, n은 열선의 수).Here, considering the case where the data write time per memory cell is t and all bits are written, the compression time when the control gate is OV in the non-selected state, that is, the weak erase state described in FIG. 9, is maximum. Where {(m−1) × n} × t (where m is the number of lines and n is the number of columns).
그런데, 이상과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 데이터기입시 소거게이트에 임의의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선택된 메모리셀의 기입효율이 높아지고 동일워드선상의 비선택 메모리셀의 오기입을 완화할 수는 있지만, 선택된 메모리셀과 다른 워드선상에 있는 비선택 메모리셀의 경우에는 제어게이트에 OV가 걸림에도 불구하고 소거게이트에 소거게이트전압(VEG)이 인가되므로, 소거게이트의 부유게이트에 대한 전계강도가 선택된 메모리셀과 동일한 워드선상에 있는 비선택메모리셀에 비해 커져서 오소거가 생기기 쉬어진다. 또, 오소거가 생겨날 확률은 전압의 압박시간에 비례해서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압박시간은 메모리의 기억용량에 의존하는바, 기억용량이 대용량으로 될수록 압박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신뢰성에 문제점이 발생되게 된다. 예컨대, 기억용량이 1M비트(128K워드×8비트구성)인 메모리인 경우, 상기 제10도의 구성에서 n(열선의 수)=128, m(행선의 수)=1024로 되고 1비트의 기입시간을 1ms라 하면, 선택된 메모리셀과 동일 워드선상에 있는 비선택 메모리셀에 대해 전압압박이 걸리게 되는 최장시간은 1ms×127=127ms로 되며, 선택된 메모리셀과 다른 워드선상에 있는 비선택 메모리셀에 대해 전압압박이 걸리게 되는 최장시간은 1ms×(1024-1)×128=130944ms≒131s로 상당히 장시간으로 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as described above, when a random voltage is applied to the erase gate during data writing, the write efficiency of the selected memory cell is increased and the writing of unselected memory cells on the same word line can be alleviated. In the case of an unselected memory cell on another word line, the erasing gate voltage V EG is applied to the erasing gate despite the OV being applied to the control gate. Compared with the non-selected memory cell on the word line, it becomes larger and is easy to be eras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erase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pressure time of the voltage. This compression time depends on the memory capacity of the memory. As the memory capacity becomes larger, the compression time becomes longer, which causes problems in reliability.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memory having a storage capacity of 1 M bits (128 K words x 8 bits configuration),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0, n (number of columns) = 128, m (number of lines) = 1024, and writing time of 1 bit Is 1ms, the maximum time that the voltage is applied to the non-selected memory cell on the same word line as the selected memory cell is 1ms x 127 = 127ms. The maximum time taken for the voltage pressurization is 1 ms x (1024-1) x 128 = 130944 ms # 131 s, which is a very long time.
[발명의 목적][Purpose of inven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메모리셀어레이를 복수블럭화해서 비선택 메모리셀에 걸리는 전압이 압박시간을 단축함으로써 데이터기입시 메모리셀이 오동작을 일으키지 않는, 신뢰성이 높은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since the voltage applied to the non-selected memory cell is shortened by plural-blocking the memory cell array, the memory cell does not malfunction when data is writte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발명의 구성][Configuration of Invention]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불휘발성 반도체 장치는 부유게이트와 이 부유게이트에 각각 용량 결합된 제어게이트 및 소거게이트를 구비하여, 전기적으로 데이터를 바꾸어 기억시킬 수 있는 트랜지스터가 불휘발성 메모리셀로서 설치되어 있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이 행렬형태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메모리셀어레이를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해서 각 블록마다 공통적이고 또한 독자적인 소거선을 설치해 놓고, 선택된 블록의 소거선에만 데이터기입시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해주도록 되어 있다.The nonvolatile semiconduct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floating gate and a control gate and an erasing gate capacitively coupled to the floating gate, respectively, so that a transistor capable of electrically changing data and storing the same as a nonvolatile memory cell. In an installed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a memory cell array in which the memory cells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locks, and common and unique erase lines are provided for each block, and data is stored only in the erase lines of the selected block.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at the time of writing.
[작용][Ac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불휘발성 반도체메모리에서는 데이터기입시에 선택된 블록의 소거선에만 예컨대 정극성의 전압이 인가되고 비선택블럭의 소거선은 OV가 그대로 유지되므로, 비선택 블록내의 메모리셀은 전압압박을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비선택 메모리셀의 부유게이트에 대한 소거게이트의 전압압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어 데이터기입시 비선택 메모리셀의 오소거가 발생되기 어렵게 되는 바, 이에 따라 메모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the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a positive voltage is applied only to the erase line of the block selected at the time of data writing, and the erase line of the non-select block is maintained with OV, the memory cell in the non-select block has a voltage. There is no pressure. Therefore, the voltage pressing time of the erase gate with respect to the floating gate of the non-selected memory cell can be shortened, so that the erasure of the non-selected memory cell hardly occurs when data is written,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memory. .
[실시예]EXAMPLE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도는 상기한 문제점을 고려해서 안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해 놓은 회로도로서, 이 메모리는 1비트를 독출/기입할 수 있도록 된 EEPROM이고, 또한 이 메모리는 제1도의 메모리셀어레이(31)내의 메모리셀(30)을 행 및 열의 메트릭스형태로 배치하고, 이를 복수개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구성된 것인 바, 이 분할된 블록의 참조부호는 42-1∼42-k로 표시하였다.FIG. 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is memory is an EEPROM capable of reading / writing 1 bit, and this memory is a memory cell of FIG. The
제1도에 도시된 메모리에 있어서, 동일 행에 배치된 메모리셀의 제어게이트는 행디코더(40-1∼40-k)에 의해 선택되는 워드선(WL1-1∼WLk-1)에 각각 공통접속되어 있고, 동일 열에 배치된 메모리셀의 드레인은 데이터선(DL1∼DLn)중 어느 하나에 공통접속되어 있다. 또, 동일 블록메모리셀어레이내의 메모리셀의 소거게이트는 모두 공통접속되어 있고, 각 블록은 소거게이트디코더(43-1∼43-k)에는 블록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버퍼(45)의 출력과 블럭중의 워드선(WL)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버퍼(44)의 출력이 입력되어 워드선(WL1-1~WLK-1중 1개의 워드선을 선택하게 된다. 또 소거게이트디코더(43-1~34k)에도 블록을 선택하기 위해 어드레스버퍼(45)의 출력이 입력되고, 워드선과 소거선은 항상 동일블럭에 대해서 선택되게 된다.In the memory shown in FIG. 1, the control gates of the memory cells arranged in the same row are common to the word lines WL1-1 to WLk-1 selected by the row decoders 40-1 to 40-k, respectively. The drains of the memory cells arranged in the same column are connected to one of the data lines DL1 to DLn in common. The erase gates of the memory cells in the same block memory cell array are all connected in common, and each block has an output and a block of the
상기 데이터선(DL1∼DLn)은 열디코더(33)에 의해 선택되는 열선택선(CL1∼CLn)이 그 게이트에 접속된 열선택트랜지스터(34-1∼34-n)을 매개로 공통의 버스선(35)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버스선(35)에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기입용 데이터(Din)에 따라 설정되는 고전압계의 "0"혹은 "1"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입력회로(36)가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버스선(35)에는 상기 행디코더(40-1∼40-k) 및 열디코더(33)에 의해 선택되는 메모리셀의 기억 데이터에 따라 이 버스선(35)으로 출력되는 "0", "1"의 독출전위를 검출하는 센스증폭회로(37)가 접속되어 있고, 이 센스증폭회로(37)의 검출데이터는 데이터출력회로(38)에 공급되며, 독출된 데이터(Dout)는 이 데이터출력회로(38)로 부터 메모리외부로 출력된다.The data lines DL1 to DLn have a common bus via the column select transistors 34-1 to 34-n to which the column select lines CL1 to CLn selected by the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메모리의 동작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memor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우선, 데이터의 기입은 행디코더(40-1∼40-k) 및 열디코더(33)에 의해 메모리셀어레이(31)내의 1개의 메모리셀(30)을 선택해서 행해지게 된다. 이때, 워드선(WL1-1∼WLk-L)중 선택된 워드선은 +12.5V의 전위로 설정되고, "0"을 기입하려는 경우에는 데이터입력회로(36)로부터 +10V의 고전위가 출력되며, 이 전위가 열디코더(33)의 출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온되어 있는 열선택트랜지스터(34-1∼34-n)중의 어느 하나 및, 이로써 선택된 데이터선(DL1∼DLn)중의 어느 하나를 매개해서 선택된 메모리셀(30)의 드레인에 공급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8도에서 설명한 열전자효과에 의해 선택된 메모리셀의 부유게이트에 전자가 주입되어 데이터 "0"의 기입이 완료되게 된다.First, data writing is performed by selecting one
한편, 데이터"1"을 기입하려는 경우에는 데이터입력회로(36)에서 OV의 전위가 출력되므로, 선택된 메모리셀(30)에서는 전자의 이동이 생기지 않아 "1"의 데이터가 유지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ata # 1 'is to be written, since the potential of OV is output from the
이어, 데이터기입시 소거게이트의 전압상태를 고찰한다. 우선, 선택된 워드선을 포함하는 행디코더블럭과 동일한 어드레스가 입력되는 소거게이트디코다가 선택된 다음, 선택된 메모리셀을 포함하는 블록메모리셀어레이(42-1∼42-k)중 어느 하나의 소거선에만 상기 선택된 소거게이트 디코더에 의해 +5V가 인가되며, 그 밖의 선택되지 않는 소거선에는 OV가 인가된다. 그러나, 전체메모리의 소거시에는 소거용 승압회로(39)로부터 승압전압[HE], 예컨대 +20V가 출력되어 모든 소거게이트디코더(43-1∼43-k)로 입력되며, 이때 소거게이트디코더(43-1∼43-k)는 모두 선택 상태로 되어있어 소거선(EL1∼ELk)이 모두 승압전압[HE]으로 되어 모든 비트가 일괄적으로 소거되게 된다. 이때, 워드선(WL1-1∼WLk-L) 및 데이터선(DL1∼DLn)은 모두 OV로 된다.Next, the voltage state of the erase gate at the time of data writing is considered. First, the erase gate decoder to which the same address as the row decoder block including the selected word line is input is selected, and then to only the erase line of any one of the block memory cell arrays 42-1 to 42-k including the selected memory cell. + 5V is applied by the selected erase gate decoder, and OV is applied to other unselected erase lines. However, at the time of erasing the entire memory, a boosted voltage [HE], for example, + 20V, is output from the erase
상기 소거게이트디코더(43-1∼43-k)는 각각, 예컨대 제3도에 도시한 회로로써 실현될 수 있다. 여기서, 참조부호 Vcc는 통상 5V의 기준전압이고, Vss는 통상 OV의 기준전압이며, Vpp는 예컨대 12.5V의 고전압이다. 또, [HE]는 소거용 승압회로(39)의 출력으로서, 소거시에는 예컨대 +20V의 승압전압이 출력되고, 기입시에는 전원전압이 (5V)이 출력된다.The erase gate decoders 43-1 to 43-k can be realized by, for example, the circuit shown in FIG. Here, Vcc is a reference voltage of 5V normally, Vss is a reference voltage of OV normally, and Vpp is a high voltage of 12.5V, for example. [HE] is an output of the erase
그리고, NAND로 구성된 디코더(50)의 출력단은 전송게이트(T1, T2)에 접속되고, 전송게이트(T2)의 출력에는 피드백 회로로 구성된 인버터가 접속되며, 이 인버터의 출력은 소거선(EL)에 접속되어 있다. 또, 트랜지스터(T1,T2) 및 트랜지스터(T5,T6)는 공핍형의 N채널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으로, [HE]가 승압전압일 때 게이트산화막에 인가되는 전위차를 완화하기 위한 고전압완화용 전송게이트이다. 그리고, 이 제3도에 도시된 회로의 출력은 소거선(EL; EL1∼ELk중의 어느 하나)에 입력되게 된다.An output terminal of the
여기서, 본 실시예의 경우에 대해 상기 제9도에서 설명한 약소거상태의 압박시간에 대해 고찰해 본다.Here,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iscussed with respect to the compression time of the weak erase state described in FIG.
상기 제1도의 메모리회로에서 데이터기입시에 소거게이트가 5V가 되는 것은, 동일 블럭메모리셀어레이(42-1∼42-k)중의 어느 하나의 메모리셀에 기입이 행해지는 기간, 즉, n×L(열선의 수×1블럭내의 행선수)비트분으로 된다. 예컨대, 선택된 메모리셀과 다른 워드선상에 있는 메모리셀에 있어서, 오소거의 원인이 되는 압박전압이 걸리는 시간은, 1비트당의 기입시간을 t라하면, [(L-1)×n]×t로 된다. 또, 상기 제10도의 m(행선의 수)과는 m=L×k(k는 블록의 수)의 관계가 있으므로, 종래예에 비해 압박시간은 약1/k로 감소하게 된다.In the memory circuit of FIG. 1, the erasing gate becomes 5V when data is written, which is a period during which writing is performed to any one of the same block memory cell arrays 42-1 to 42-k, that is, n ×. L (number of columns) x number of rows in a block. For example, in a memory cell on a word line different from the selected memory cell, the time taken for the pressing voltage causing the erasure is [(L-1) × n] × t, if the write time per bit is t. do. In addition, since m (the number of destinations) in FIG. 10 is related to m = L x k (k is the number of blocks), the pressing time is reduced to about 1 / k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example.
본 실시예에서는 1비트의 데이터를 독출/기입하는 EEPROM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메모리셀어레이(31), 버스선(35), 데이터입력회로(36), 센서증폭회로(37), 데이터출력회로(38)을 복수개 병렬배치(8비트구성이나 16비트구성등)해서 복수비트의 데이터를 병렬독출/기입하는 EEPROM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EEPROM that reads / writes one bit of data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여기서, 상기 종래예에서와 같이 1M비트(128K워드×8비트구성)의 경우에 대해서 생각해보면, 1개의 블럭메모리셀어레이내의 메모리셀의 수를 1K바이트로 하면 데이터선의 수 n=128개, 1블럭내의 워드선의 수(L)는 8개, 블록의 수(k)는 128개로 되고, 이에 따라 선택된 메모리셀과 다른 워드선상에 있는 비선택 메모리셀에 걸리게 되는 총 압박시간은 1ms×(8-1)×128=896ms=0.9s로 되며, 상기 종래예와 비교하면, 0.9/131≒1/145로 되어 압박시간이 대폭적으로 축소되므로, 오소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1M bit (128K word x 8-bit configuration) as in the conventional example, when the number of memory cells in one block memory cell array is 1K byte, the number of data lines n = 128, 1 The number L of word lines in a block is eight and the number k of blocks is 128. Accordingly, the total compression time to be applied to an unselected memory cell on a word line different from the selected memory cell is 1 ms x (8- 1) x 128 = 896 ms = 0.9 s, an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example, the compression time is greatly reduced to 0.9 / 131 ≒ 1/145,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erasing.
제2도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기입시의 동작은 상기 제1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고, 소거용 어드레스버퍼(47)가 설치된 점이 다른 특징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소거시에는 소거용 어드레스(EA1∼EAi)가 입력되는 소거용 어드레스버퍼(47)의 출력에 의해 소거게이트디코더(46-1∼46-k)중 어느 하나가 선택구동되게 된다. 또 소거게이트디코더(46-1~46-k)에는 승압회로가 내장되어 있어 선택구동되는 소거게이트디코더로부터 승압전위가 소거게이트전압(VEG)으로 소거선(EL1∼ELk)중의 어느 하나로 출력되어 선택된 블록메모리셀어레이내의 모든 메모리셀의 데이터가 소거되게 되는 반면, 비선택 블록메모리셀어레이내의 메모리셀은 소거되지 않게 된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2, the operation at the time of data writing in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embodiment of FIG. 1, except that the erasing address buffer 47 is provi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during erasing, one of the erase gate decoders 46-1 to 46-k is selected and driven by the output of the erasing address buffer 47 to which the erasing addresses EA1 to EAi are input. . Also, the erase gate decoders 46-1 to 46-k have a boost circuit built in, so that the boost voltage is output to any of the erase lines EL1 to ELk from the erase gate decoder being selected and driven as the erase gate voltage V EG . Data of all memory cells in the selected block memory cell array are erased, while memory cells in the unselected block memory cell array are not erased.
또, 모든 소거게이트디코더(46-1∼46k)를 일괄적으로 선택할 수도 있어, 이 경우에는 메모리셀어레이(31)의 모든 메모리셀(30)이 일괄적으로 소거되게 된다.In addition, all the erase gate decoders 46-1 to 46k can also be selected collectively. In this case, all of the
한편, 본 실시예의 소거게이트디코더(46-1~46-k)는 예컨대 제4도와 같은 회로로써 실현할 수 있는 바, 여기서 참조부호 øVpp는 소거시에 OV와 Vpp간을 일정주기로 진동하는 신호(전하펌프회로에 의해 출력된 신호)이다.On the other hand, the erasing gate decoders 46-1 to 46-k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realized by, for example, a circuit as shown in Fig. 4. Here, øV pp denotes a signal which vibrates between OV and V pp at a constant cycle during erasing. (Signal output by the charge pump circuit).
그리고, 데이터소거시 소거용 어드레스(EA1∼EAi)에 의해 선택된 소거게이트디코더에서는 트랜지스터(T10,T11,T12) 및 콘덴서(C1)로 구성된 승압회로에 의해 고전압(Vpp)이 발생되는 한편, 이 승압전압이 소거게이트전압(VEG)으로서 소거선(EL; EL1∼ELk중의 어느하나)에 출력되게 된다.In the erase gate decoder selected by the erasing addresses EA1 to EAi at the time of data erasing, a high voltage V pp is generated by a boost circuit composed of the transistors T10, T11, T12 and the capacitor C1. The boosted voltage is output to the erase line EL (any one of EL1 to ELk) as the erase gate voltage V EG .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는 소거용 어드레스(EA1∼ELi)에 의해 지정된 블럭만을 소거할 수 있어 승압회로를 작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embodiment can erase only the block designated by the erasing addresses EA1 to ELi, so that the boosting circuit can be made small.
또, 소거용 어드레스(EA1~EAi)는 임의로 할 수 있는 바, 예컨대 블록선택용 어드레스(RA1∼RAi)를 사용해도 된다. 또, 제2도의 소거게이트디코더(46-1∼46-k)로서 제3도의 회로를 사용해도 좋다. 이 경우, 소거용 어드레스신호(EA1∼EAi)가 제4도와 같이 입력되도록 한편 제1도의 소거용 승압회로(39)를 설치해도 좋다. 또, 제1도의 소거게이트디코더(43-1∼43-k)로서 제4도의 회로를 사용해도 무방하다.The erasing addresses EA1 to EAi can be arbitrarily selected. For example, the block selection addresses RA1 to RAi may be used. Alternatively, the circuit of FIG. 3 may be used as the erase gate decoders 46-1 to 46-k of FIG. In this case, the erasing boosting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선택된 메모리셀의 기입효율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선택된 메모리셀과 동일 워드선상에 설치된 비선택 메모리셀의 오기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선택된 메모리셀과 다른 워드선상에 있는 비선택 메모리셀의 부유게이트에 대한 소거게이트의 전압압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오소거를 방지할 수 있고, 데이터유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부유게이트에 있어서 소거게이트의 전압압박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기입/소거사이클에 의해 게이트절연막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기입/소거사이클이 자주 반복됨으로써 데이터 유지 특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writing of unselected memory cells provided on the same word line as the selected memory cell without lowering the write efficiency of the selected memory cell. In addition, since the voltage pressing time of the erase gate with respect to the floating gate of the non-selected memory cell on a word line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lected memory cell can be shortened, misunderstanding can be prevented and data reliability can be improved. do. In addition, the voltage pressing time of the erase gate in the floating gate can be shortened,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gate insulating film due to the write / erase cycle can be suppressed, and the data retention characteristic can be improved by repeating the write / erase cycle frequently. Will be.
Claims (2)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33188A JP2685825B2 (en) | 1988-08-12 | 1988-08-12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
JP88-201331 | 1988-08-1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03885A KR900003885A (en) | 1990-03-27 |
KR920011000B1 true KR920011000B1 (en) | 1992-12-26 |
Family
ID=16439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90011495A Expired KR920011000B1 (en) | 1988-08-12 | 1989-08-12 | Non-erasible semiconductor memory circuit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5034926A (en) |
JP (1) | JP2685825B2 (en) |
KR (1) | KR92001100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83758A (en) * | 1989-06-13 | 1994-02-01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JP2624864B2 (en) * | 1990-02-28 | 1997-06-25 | 株式会社東芝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
JP3204666B2 (en) * | 1990-11-21 | 2001-09-04 | 株式会社東芝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US5583810A (en) * | 1991-01-31 | 1996-12-10 | Interuniversitair Micro-Elektronica Centrum Vzw | Method for programming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US5241507A (en) * | 1991-05-03 | 1993-08-31 | Hyundai Electronics America | One transistor cell flash memory assay with over-erase protection |
JPH0521812A (en) * | 1991-07-16 | 1993-01-29 | Toshiba Corp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
US6230233B1 (en) | 1991-09-13 | 2001-05-08 | Sandisk Corporation | Wear leveling techniques for flash EEPROM systems |
JPH05102438A (en) * | 1991-10-04 | 1993-04-23 | Mitsubishi Electric Corp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US5270980A (en) * | 1991-10-28 | 1993-12-14 | Eastman Kodak Company | Sector erasable flash EEPROM |
US5138576A (en) * | 1991-11-06 | 1992-08-11 | Altera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erasing an array of electrically erasable EPROM cells |
DE69232949T2 (en) * | 1991-11-20 | 2003-08-28 | Fujitsu Ltd., Kawasaki | Erasable flash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US7071060B1 (en) * | 1996-02-28 | 2006-07-04 | Sandisk Corporation | EEPROM with split gate source side infection with sidewall spacers |
US6243293B1 (en) | 1992-01-29 | 2001-06-05 | Interuniversitair Micro-Elektronica Centrum | Contacted cell array configuration for erasable and programmable semiconductor memories |
US5313429A (en) * | 1992-02-14 | 1994-05-17 | Catalyst Semiconductor, Inc. | Memory circuit with pumped voltage for erase and program operations |
US5311467A (en) * | 1992-04-07 | 1994-05-10 | Sgs-Thomson Microelectronics, Inc. | Selective bulk write operation |
US5317535A (en) * | 1992-06-19 | 1994-05-31 | Intel Corporation | Gate/source disturb protection for sixteen-bit flash EEPROM memory arrays |
US5388083A (en) * | 1993-03-26 | 1995-02-07 | Cirrus Logic, Inc. | Flash memory mass storage architecture |
US5367484A (en) * | 1993-04-01 | 1994-11-22 |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 Programmable high endurance block for EEPROM device |
US5579259A (en) * | 1995-05-31 | 1996-11-26 | Sandisk Corporation | Low voltage erase of a flash EEPROM system having a common erase electrode for two individually erasable sectors |
US6757800B1 (en) | 1995-07-31 | 2004-06-29 | Lexar Media, Inc. | Increasing the memory performance of flash memory devices by writing sectors simultaneously to multiple flash memory devices |
US6081878A (en) | 1997-03-31 | 2000-06-27 | Lexar Media, Inc. | Increasing the memory performance of flash memory devices by writing sectors simultaneously to multiple flash memory devices |
US6801979B1 (en) | 1995-07-31 | 2004-10-05 | Lexar Media,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memory control circuit |
US6728851B1 (en) | 1995-07-31 | 2004-04-27 | Lexar Media, Inc. | Increasing the memory performance of flash memory devices by writing sectors simultaneously to multiple flash memory devices |
US5856943A (en) * | 1996-03-18 | 1999-01-05 | Integrated Memory Technologies, Inc. | Scalable flash EEPROM memory cell and array |
US6411546B1 (en) | 1997-03-31 | 2002-06-25 | Lexar Media, Inc. | Nonvolatile memory using flexible erasing methods and method and system for using same |
JP3159152B2 (en) * | 1997-12-26 | 2001-04-23 | 日本電気株式会社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data erasing method for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US6040997A (en) * | 1998-03-25 | 2000-03-21 | Lexar Media, Inc. | Flash memory leveling architecture having no external latch |
WO2000030116A1 (en) | 1998-11-17 | 2000-05-25 | Lexar Media,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memory control circuit |
WO2004040586A1 (en) * | 2002-10-28 | 2004-05-13 | Sandisk Corporation | Automated wear leveling in non-volatile storage systems |
US7257046B2 (en) * | 2005-06-13 | 2007-08-14 | Atmel Corporation | Memory data access scheme |
US7755941B2 (en) * | 2007-02-23 | 2010-07-13 | Panasonic Corporation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US9418744B2 (en) * | 2014-05-12 | 2016-08-16 |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 System and method to reduce disturbances during programming of flash memory cell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9797A (en) * | 1981-07-30 | 1983-02-04 | Toshiba Corp |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
JPS57105890A (en) * | 1980-12-20 | 1982-07-01 | Toshiba Corp |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
JPS6074577A (en) * | 1983-09-30 | 1985-04-26 | Toshiba Corp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1988
- 1988-08-12 JP JP20133188A patent/JP268582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9
- 1989-08-10 US US07/392,070 patent/US5034926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9-08-12 KR KR1019890011495A patent/KR920011000B1/en not_active Expir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0250398A (en) | 1990-02-20 |
US5034926A (en) | 1991-07-23 |
JP2685825B2 (en) | 1997-12-03 |
KR900003885A (en) | 1990-03-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20011000B1 (en) | Non-erasible semiconductor memory circuit | |
US6859394B2 (en) | NAND type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US6031764A (en)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KR100331563B1 (en) | NAND-type flash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0470572B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the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
US7636255B2 (en)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 |
JP2624864B2 (en)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 |
US20060152975A1 (en) | Multiple use memory chip | |
KR20010030062A (en)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 |
US7414893B2 (en) | EEPROM memory architecture | |
US7411841B2 (en) | Memory having storage means | |
KR960005896B1 (en) | Semiconductor memory | |
JP2011198437A (en)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EP1339069A1 (en) | Word line selector for a semiconductor memory | |
KR950008674B1 (en)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data erasing method | |
JP2732601B2 (en)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US5355332A (en) |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with an array of one-transistor memory cells | |
KR100699370B1 (en) | A memory card including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MOOS transistors each having a floating gate and a control gate, and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US7050335B2 (en) | Flash memory comprising means for checking and refreshing memory cells in the erased state | |
JPS62154786A (en)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 |
KR100204804B1 (en) | Driving method for nonvolatile semiconductor device | |
JPH06267285A (en)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and method for using it | |
JP2011216169A (en) | Semiconductor memory | |
JPH0191395A (en)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 |
JP2732588B2 (en)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1130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612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61227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