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10019B1 - 반도체 레이저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레이저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0019B1
KR920010019B1 KR1019890010428A KR890010428A KR920010019B1 KR 920010019 B1 KR920010019 B1 KR 920010019B1 KR 1019890010428 A KR1019890010428 A KR 1019890010428A KR 890010428 A KR890010428 A KR 890010428A KR 920010019 B1 KR920010019 B1 KR 920010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device
semiconductor laser
digital data
drive currents
lev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0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3872A (ko
Inventor
누마다 도미유기
미와기 다가시
고지마 구니오
데구찌 도시히사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쓰지 하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쓰지 하루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3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0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019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laser output parameters, e.g. by operating on the active medium
    • H01S5/06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laser output parameters, e.g. by operating on the active medium by varying the potential of the electrodes
    • H01S5/06209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laser output parameters, e.g. by operating on the active medium by varying the potential of the electrodes in single-section las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laser output parameters, e.g. by operating on the active medium
    • H01S5/0617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laser output parameters, e.g. by operating on the active medium using memorised or pre-programmed laser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laser output parameters, e.g. by operating on the active medium
    • H01S5/068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 H01S5/0683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by monitoring the optical output para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Head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반도체 레이저 구동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반도체 레이저 구동장치의 블록도.
제2도는 방사된 위치와 광출력준위간의 관계 설명선도.
제3도는 디지탈 데이터의 자동 셋팅 첫째 예시 흐름도.
제4도는 제3도의 디자탈 데이터의 자동셋팅에서 I-P 특성곡선 그래프.
제5도는 디지탈 데이터의 자동 셋팅 둘째 예시의 흐름도.
제6도는 제5도의 디지탈 데이터의 자동셋팅에서 I-P 특성곡선의 그래프.
제7도는 종래의 반도체 레이저 구동장치의 흐름도.
제8도는 제7도의 장치의 I-P 특성곡선의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도체 레이저장치 IR: 재생구동전류
IW: 기록 및 재생구동전류 4 : 스위치회로
이 발명은 반도체 레이저 구동(Laser driving)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기광 디스크와 같은 정보가 광디스크상에 기록되고 광디스크로 부터 재생되는 광디스크 기록 및 재생시스템에 유용한 반도체 레이저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학 디스크 기록 및 재생시스템에 있어서 정보가 재기록 가능형 자기광 디스크와 같은 광디스크에 기록되고 광디스크로 부터 재생되고 있다. 이하는 광디스크의 대표적인 예로서 재기록가능형 자기광 디스크를 설명한 것이다.
그러나 이 발명은 라스트 원스(write once)형 또는 페이스 트란지숀(phase transition)형과 같은 다른 형의 광디스크용 반도체 레이저 구동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정보가 엷은 자기필름을 포함한 자기광 디스크상에 기록되거나 그 디스크로 부터 소거될 때 높은 전원레이저 광빔(beam)은 엷은 자기필름의 자화가 외부자계방향에서 반대로 되게하므로 수직으로 자화된 엷은 자기필름의 온도를 국부적으로 높이기 위하여 디스크상에 방사된다.
대조적으로 정보가 자기광 디스크로 부터 재생되고 있을 때 낮은 전원 레이저빔은 자기필름의 자화상태에 상응하는 반사된 광빔자화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하여 디스크에 방사된다.
광디스크 기록 및 재생장치는 구동전류를 반도체 레이저 디바이스에 공급하는 반도체 레이저 구동장치로서 제공되므로 준위는 시스템의 작동모드(즉 기록 및 소거모드 또는 재생모드)와 일치하여 제어된다.
제7도는 선행기술의 반도체 레이저 구동장치를 보여준다. 재생모드에 있어서 스위치회로(21)는 재생NO신호에 의하여 폐로로 된다. 그때 전원 Vref가 비반전된 입력을 통해 연결된 연산증폭기(22)의 출력은 트랜지스터(Tr)를 ON하기 위하여 공급되고 있다. 그래서 재생구동전류(IR)는 레이저광빔을 방사하기 위하여 반도체 레이저장치(23)에 공급된다. 레이저광빔은 광다이오드와 같은 광검출소자(24)에 의하여 모니터된다.
따라서, 신호 즉 레이저광빔의 출력에 대응하는 준위는 연산증폭기(22)의 반전입력에 공급된다. 이 부궤환은 레이저장치(23)에서 방사된 레이저광빔의 전원이 예정된 준위에 유지되도록 재생구동전류(TR)를 트랜지스터(Tr)가 제어하도록 한다. 반도체 레이저장치(23)가 온도변화에 의해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정준위에서 재생구동전류(TR)를 제어하기 위하여 고정값에서 레이저광빔의 출력전원을 유지하기가 충분치 못하다.
제8도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온도가 변화할 때 반도체 레이저장치(23)의 I-P(구동전류-광출력전원) 특성은 예를들면 곡선 A에 일치하여 고정광출력전위 PR은 재생구동전류(IRI)을 레이저장치(23)에 공급함으로서 얻을 수 있다.
온도가 상승할 때 레이저장치(23)의 I-P 특성은 곡선 B에 의하여 표시된 바와 같이 변화한다. 그 결과 더 큰 재생구동전류(IR2)가 광출력준위(PR)를 얻는데 필요하다. 따라서 일정준위에서 광출력전위(PR)를 유지하기 유지하여 재생구동전류(IR2)는 광출력준위(PR)를 모니터하는 동안 기록되어야 한다.
기록 및 소거모드가 셋트될때 재생구동전류(IR)는 샘플 호울드 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모드를 셋팅하기 전에 즉시 그 시간에서 같은 주위에 고정된다. 기록 및 소거신호회로(25)는 기록 및 소거신호를 발생한다. 기록 및 소거신호에 일치하여 다른 스위치회로(26)가 개폐된다. 스위치회로(26)가 닫힐 때 기록 및 소거구동전류(IW)는 재생구동전류(IR)에 중첩되는 동안 반도체 레이저장치(23)를 통하여 흐른다. 결과적으로 정보가 기록될때 레이저장치(23)로 부터 방사된 레이저광빔은 기록되는 정보와 일치하여 변조된다.
정보가 소거될때에는 스위치회로(26)는 레이저장치(23)를 통해 흐르기 위하여 기록 및 소거구동전류(IW)를 허용하여 닫혀진다. 기록 및 소거기동회로(IW)의 양은 선택회로(27)에 의하여 선택되는 저항기회로(28)의 저항값과 일치하여 변화한다. 선택회로(27)는 광출력 전원선택 신호회로(29)에서 공급된 선택신호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4개의 스위치를 가진다.
저항기회로(28)는 다른 저항값을 가지고 각각 선택회로(27)의 4개의 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된 4개의 저항(R1∼R4)를 가진다. 선택신호회로(29)는 레이저장치(23)의 레이저광빔이 방사되는 광디스크의 위치 즉 디스크의 이 위치와 중심간의 거리를 검출하여 검출된 위치에 대응하는 선택신호를 생산한다.
기록 및 소거구동전류(IW)의 준위는 방사된 위치가 밖으로 향하는 것과 같이 즉 디스크의 외주면을 향하여 더 크게 되도록 신호회로(29)가 선택회로를 발생한다. 기록 및 소거구동전류(IW)준위가 방사된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이유는 광디스크가 일정 각 속도에서 회전할때 방사된 위치의 선형속도는 방사된 위치가 밖으로 움직이는 것보다 더 빠르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엷은 자기필름에 주어진 레이저광빔의 에너지가 방사위치를 무시할 정도로 일정하게 되기 위해서 방사된 위치가 밖으로 움직이는 것과 같이 레이저광빔의 광출력전원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레지스터(R1∼R4)는 방사위치가 밖으로 움직이는 것과 같이 기록 및 소거구동전류(IW)를 계단식으로 증가시키도록 선택회로(27)에 의하여 선택된다.
그러나 형상을 가진 반도체 레이저 구동장치는 일본 공개 특허공보번호 62(1987)-257640에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반도체 레이저 구동장치에 있어서 재생구동전류(IR)상에 중첩된 기록 및 소거구동전류(IW)의 준위는 항상 방사된 위치가 정지된 대로 남아 있는 것과 같이 일정하게 되어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반도체 레이저장치(23)의 특성은 그 온도가 올라갈 때에 변화한다. 온도변화에 의해서 I-P 특성의 변화는 특성곡선(죽 제8도의 곡선 A부터 B까지)의 단순한 변화가 아니고 특성 곡선의 기울기(즉 제8도의 곡선 A에서 B까지)에서의 변화를 포함한 것이다.
I-P 특성이 곡선 A에 B까지 변화될때 미분율은 △PXI/△IW에서 △PX2/△IW까지 감소된다.
특성곡선 A에 따르면 예정된 광출력준위(PX1)가 재생구동전류(IR1)상의 기록 및 소거구동전류(IW)를 중첩시킴으로서 얻어진다면 온도상승은 레어저장치(23)가 곡선 B와 일치하여 작용케하므로 그 결과 기록 및 소거구동전류(IW)가 일정값에서 재생용 광출력준위(PR)을 유지하는 재생구동전류(IR2)상에 중첩될때까지 광출력이 출력전위 PX2에만 도달하게 된다. 이것은 미분효율에서 감소때문에 레이저장치의 광출력에서 감소에 의해서 야기된다. 온도가 떨어질때 반대로 레이저장치(23)의 광출력준위는 과도하게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선행기술 반도체 레이저 구동장치는 반도체 레이저장치의 I-P 특성의 미분효율의 변화와 대처할 수 없고 그것은 최적전력을 가지는 레이저광빔을 방출하기 위하여 레이저장치는 제어할 수 없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미분율이 동일 온도에서까지 개별 반도체 레이저장치에 따라서 다른바와 같이 선행기술 반도체 레이저 구동장치는 저항회로(28)에서 저항기(R1∼R4)의 저항값 또는 그 결합이 최초로 각 장치를 위하여 조절될 필요가 있게 된다.
상기 결점은 일반적으로 일회기록형 광디스크용 장치를 포함한 다른 광디스크 시스템용 반도체 레이저 구동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의 선행기술의 불리한 점과 결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광디스크 기록재생시스템의 반도체 레이저 장치에 구동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레이저장치로 부터 방사된 레이저빔에 의하여 반사된 광디스크의 위치에 상응한 복수의 준위의 하나로 반도체 레이저장치의 광출력의 레벨을 조정하여 변화되게 하는 본 발명의 반도체 레이저 구동장치는, 상이한 준위를 가진 복수기준 구동전류를 상기 레이저장치에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류공급수단과, 상기 각 기준구동전류가 상기 레이저장치에 공급될때 상기 레이저장치의 광출력준위를 검출하기 위한 모니터링 수단과, 검출된 광출력준위에 의하여 여러개의 최적값을 셋팅하기 위한 셋팅수단과, 레이저빔에 의하여 방사되게 되어 있는 광디스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여러개의 최적값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류공급수단은 기록 및 소거 정보용 상기 선택된 최적값에 대응한 구동전류를 공급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류공급수단은 기록정보용 상기 구동전류를 공급하기전에 3개 이상의 기준구동전류를 공급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3개 이상의 기준구동전류의 각 준위는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류공급수단은 정보기록용 상기 구동전류를 공급하기 전에 2개 이상의 기준구동전류를 공급한다.
따라서, 여기에 기술한 발명은 (1) 온도가 변화할때까지 요망전력의 레이저광빔을 방출하기 위한 반도체 레이저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반도체 레이저 구동장치를 제공하며 (2) 레지스터와 같은 전류제한수단을 처음에 조절할 필요가 없는 반도체 레이저 구동장치를 공급하는 목적을 가능하게 한다. 구동전류는 각 구동전류의 준위가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방식으로 공급될 수 있다. 셋팅수단은 각각 방사된 위치에 대응하는 예정된 광출력준위와 모니터링 수단에 의하여 모니터된 광출력준위를 하나씩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본질적으로 그들이 서로 일치할때 구동전류를 대응하는 값이 셋트된다.
반도체 레이저장치의 I-P 특성이 본질적으로 선형으로 간주되면 서로 충분히 상이한 값에 두 종류의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2개의 구동전류에 의하여 영향을 받은 2개의 광출력준위는 레이저장치의 I-P 특성을 나타내는 선을 형성하도록 검출된다. 예정된 광출력준위의 레이저광빔을 발생하기 위한 구동전류에 상응한 값은 그 선으로 부터 셋트될 수 있다.
이 발명은 더 잘 이해되며 많은 목적과 이점이 다음의 첨부도면에 의하여 명백하게 될 것이다.
제1도는 발명에 의한 반도체 구동장치를 표시하고 제1도의 장치에서 반도체 레이저장치(1)는 재생전류원(V/I)(2)로 부터 스위치회로(4)를 통하여 공급된 기록 및 소거구동전류(IW)에서 공급된 재생구동전류(IR)에 의하여 구동된다. 레이저장치(1)에서 방출된 레이저광빔은 광검출소자(5)에 의하여 모니터된다.
광검출소자(5)의 출력은 I/V 컨버터(6)를 통해 자동출력제어(APC)회로(7)에 공급된다. APC회로(7)의 출력은 레이저장치(1)의 광출력전위를 피이드백시키기 위한 루프(loop)를 형성토록 재생전류원(2)에 공급된다. 그래서 레이저장치(1)가 예정된 값을 가진 재생용 광출력준위(PR)를 발생하도록 인에블한다.
I/V 컨버터(6)의 출력은 광검출소자(5)에 의하여 검출된 광출력준위를 디지탈 데이터(Din)로 변화하는 A/D 컨버터(8)에 역시 연결되어 있고 디지탈 데이터(Din)는 CPU(9)에 연결되어 있다. ROM(10)과 RAM(11)이 연결된 CPU(9)는 D/A 컨버터(12)에 공급하기 위하여 디지탈 데이터(Dout)를 기록 및 소거구동전류(V/I)(3)에 공급되는 전압의 값으로 변화한다. 결과적으로 CPU(9)는 기록 및 소거구동전류(IW)가 레이저장치(1)에 공급될때 발생된 레이저장치(1)의 광출력을 모니터한다.
스위치회로(4)의 제어입력에서 기록 및 소거신호회로(13)의 출력은 스위치회로(4)가 회로(13)로 부터 공급된 기록 및 소거신호에 따라서 개폐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스위치회로(4)가 닫힐때 기록 및 소거구동전류(IW)는 레이저장치에 공급된다.
기록 및 소거모드가 셋트될때 재생구동전류(IR)는 샘플호울드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모드를 셋팅하기전에 즉시 그 시간에서 동일한 준위에 고정된다. 기록 및 소거구동전류(2W)는 재생구동전류(IR)상에 중첩되어 있는 동안 반도체 레이저장치(1)를 통해 흐른다.
ROM(10)은 기정된 광출력준위 P1에서 P5(PX)에 각각 대응하는 5개의 디지탈 데이터 DP1에서 DP5(DPX)를 기억한다.
제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P1에서 P5(PX)의 기정된 준위는 반도체 레이저소자(1)에 의하여 기록 및 소거작동에서 방출된 각 위치에서 레이저장치(1)의 최적 광출력전위를 지시한다. 즉 레이저장치(1)는 방사된 위치가 광디스크의 반경(r1)과 반경(r2)의 범위에 있을 때 광출력준위(P1), 방출된 위치가 반경(r2)된 반경(r3)간의 범위에 있을때 광출력준위(P2)의 레이저광빔의 방출위치가 반경(r5)와 반경(r6)간의 범위에 있을때 광출력준위(P5)의 레이저광빔을 방출한다.
이 기정된 준위는 그러한 준위의 레이저광빔이 각각 방출된 위치에 닿을때 광디스크의 매체에 공급된 광에너지가 최적이 되도록 선택된다.
RAM(11)은 5개의 광출력준위 PX를 얻기 위한 5개의 기록 및 소거구동전류(IW)의 준위에 각각 대응하는 5개의 디지탈 데이터(Dxout)를 저장한다. CPU(9)는 현재방출된 위치와 일치하여 디지탈 데이터(Dxout)의 하나를 선택하고 그것을 RAM(11)으로 부터 읽는다. 디지탈 데이터(Dxout)의 선택된 하나는 레이저장치(1)가 최적광출력준위(PX)의 레이저광빔을 방출하도록 기록 및 소거구동전류원(3)에 디지탈 데이터(Dout)로서 공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지탈 데이터(Dxout)는 자동적으로 반도체 레이저장치(1)의 I-P 특성과 온도조건 바람직하게는 기록 및 소거동작직전에 따라서 세트된다. 디지탈 데이터(Dxout)를 수정하는 방식의 2가지 예가 설명될 것이다.
제3도는 첫째예의 흐름도를 표시한다.
이 예에서 디지탈 데이터(Dxout)의 자동셋팅은 기록소거 동작전에 즉시 수행된다.
스텝 S1에서 루프카운터 X는 하나에 셋트된다. 디지탈 데이터(Dsout)는 선택되는 데이타 D1W=0에 초기화되므로 D/A 컨버터(12)를 통해 기록 및 소거구동력전류원(3)에 공급될때 기록 및 소거구동전류(IW)는 영이 된다.
따라서 이 스텝에서 반도체 레이저장치는 제4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준위(PR)의 레이저광빔을 생성하기 위하여 재생구동전류(IR)에 의하여서만 구동된다. 그후에 디지탈 데이터(Dsout)는 하나의 준위(스텝 S2)에 의하여 증분된다.
이 하나의 준위의 증분정도는 레이저장치(1)에서 방출된 레이저광빔의 광출력전위내의 허용될 변동범위내에 있도록 적은 값으로 셋트된다. 이 디지탈 데이터(Dsout)는 D/A 컨버터(12)를 통해 구동전류원(3)에 보내진다. 그래서 기록 및 소거구동전류(IW)를 디지탈 데이터(Dsout)에 상응하는 준위로 공급한다.
CPU(9)는 디지탈 데이터(Dsin)와 ROM(10)(스텝 24)에 저장된 디지탈 데이터 DP1(DPX)를 비교한다. 디지탈 데이터(Dsin)이 디지탈 데이터(DP1)보다 적을때에 작동은 상기 언급한 과정을 반복하기 위하여 스텝(S2)으로 돌아간다. 디지탈 데이터(Dsin)이 스텝(X2)을 반복하므로서 디지탈 데이터(Dsout)의 점진적인 증가의 결과로서 디지탈 데이터(Dp1)에 도달할때 이 시간에 디지탈 데이터(DP1)을 가진 디지탈 데이터(Dsin)의 값이 디지탈 데이터 D1out(Dxout)로서 RAM(11)에 셋트된다.
이것은 제4도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디지탈 데이터(Dsout)의 점진적인 증가로서 기록 및 재생구동전류(Iw)는 △P의 스텝에 의하여 광출력(P)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Iw의 스텝에 의하여 증가된다. 광출력(P)이 예정된 광출력준위(P1)에 같거나 클때에는 이때에 기록 및 소거구동전류(Iw)(즉 기록 및 소거구동전류(Iw)에 대응하는 디지탈 데이터(Dsout)는 RAM(11)내의 디지탈 데이터 D1out(Dxout)로서 셋트된다. 디지탈 데이터(Dxout)가 셋트된 후 루프카운터(X)는 하나(스텝 S6)에 의하여 증분된다. 그리고 루프카운터(X)는 5(스텝 S7)를 초과하는지 어떤지를 보기 위하여 첵크된다.
루프카운터(X)가 5 이하일때 작동은 그 과정을 반복하기 위하여 스텝(S2)에 다시 돌아온다. 루프카운터(X) 5에 도달할때(즉 모든 디지탈 데이터 D1out에서 Dsout)(Dxout)는 RAM(11)에서 셋트된다.) 디지탈 데이터(Dxout)의 작동셋팅이 완성된다. 디지탈 데이터(Dxout)의 자동셋팅이 완성된 후 장치는 새로 셋트된 디지탈 데이터(Dxout)에 의하여 기록 및 소거작동을 시작한다.
디지탈 데이터(Dxout)의 자동셋팅의 둘째예시는 제5,6도에서 설명된다.
이 실시예에서도 디지탈 데이터(Dxout)의 자동셋팅이 기록 및 소거작동작전에 즉시 수행된다. CPU(9)는 디지탈 데이터(Daout)는 D/A 컨버터(12)를 통해 구동전류원(3)에 보낸다. 그래서 디지탈 데이터(Aout)에 상응한 준위에 기록 및 소거구동전류(IWA)에 공급한다.
제6도에서 디지탈 데이터(Daout)는 Pmin로 부터 Pmax까지의 범위내에서 전번에 셋트된 광출력준위(PA)의 레이저광빔을 생성하기 위한 기록 및 소거구동전류(IWA)에 상응한 값이다. Pmin로 부터 Pmax까지의 범위에서 반도체 레이저장치(1)의 I-P 특성곡선은 본질적으로 선형이다.
레이저장치(1)는 광출력준위(PA)의 레이저광빔을 방출하기 위하여 기록 및 소거구동전류(IWA)가 중첩되는 재생구동전류(IR)에 의해서 구동된다. 광출력준위(PA)는 디지탈 데이터(DAin)(스텝 S12)로서 입력되기 위하여 I/O 컨버터(6)에 의해서 검출된다. 그때 CPU(9)는 D/A 컨버터(12)를 통해 구동전류원(3)에 데이터(DBout)를 보낸다. 그래서 디지탈 데이터(DBout)(스텝 S13)에 대응하는 준위인 기록 및 소거구동전류(IWB)를 레이저장치(1)에 공급한다.
광출력준위(PB)는 선형의 범위에서 광출력준위(PA)보다 충분히 크게되도록 미리 셋트된다. 레이저장치(1)는 광출력준위(PB)의 레이저광빔을 방출하기 위하여 기록 및 소거구동전류(IWB)가 중첩되는 재생구동전류(IR)에 의하여 구동된다. 광출력준위(PB)는 디지탈 데이터(DBin)(스텝 S14)로서 입력되는 A/D 컨버터에 의해서 역전된다.
디지탈 데이터(DAin,DBin)이 입력선후에 루프카운터(X)는 하나(스텝 S15)에 셋트되고 작동은 디지탈 데이터(Dxout)(스텝 S16에서 S18)를 셋팅하는 루프에 기입된다. 이 루프에서 디지탈 데이터(D1out)는 디지탈 데이터(DAin,DBin)에서 후에 언급한 바와 같이 계산된다.
루프카운터(X)는 증분되고(스탭 S17), 그 루프카운터(X)는 5 이상인지 어떤지를 보기 위하여 첵크된다(스텝 S18). 루프카운터(X)가 5보더 더 크기 아니하면 작동은 그 과정을 반복하기 위하여 스텝(S16)에 돌아간다. 루프카운터(X)가 5에 다다를때 다시말하면 모든 디지탈 데이터 D1out에서 D5out(Dxout)는 RAM(11)에서 셋트될때 디지탈 데이터(Dxout)의 자동셋팅은 끝난다.
스텝 S16에서 디지탈 데이터 D1out에서 D5out(Dxout)는 1에서 5까지의 X선에 대해서 각각 다음식에 의해서 계산된다.
Figure kpo00001
여기서 용어 “DBOUT-DAOUT/(DBIN-BAIN)”는 “(OWB-IWA)/(PB-PA)”즉 I-P 곡선에서 미분율의 역수이다. 기호 “DPX”는 제2도의 기정된 광출력준위 PX에 각각 대응하는 디지탈 데이터를 나타낸다. 기호“DPR”는 재생모드용 광출력준위 PR에 상당한 디지탈 데이터를 나타낸다. 따라서 용어 “(DPX-DPR)”는 (PX-PR) 또는 기록 및 소거모드를 위한 광출력전위(PX)를 얻기 위하여 재생모드용 광출력준위(PR)상에 중첩되는 광출력준위를 의미한다.
이상을 종합하면 식의 오른쪽은 (PX-PR)의 곱이고 미분율의 역수이다. 그래서 재생구동전류(IR)에 중첩될 기록 및 소거구동전류(IWX)에 상응하는 디지탈 데이터(Dxout)를 얻게 된다. 초기의 디지탈 데이터 DIW=0는 스텝 S11에서 생성된 디지탈 데이터 DAOUT로서 사용된다. 이 경우 기록 소거구동전류(IW)는 광출력준위(PA)가 재생모드에서 재생구동전류(IR)와 일치되도록 영이 된다. 이 예에서도 디지탈 데이터(Dxout)의 자동셋팅이 완료된 후에 장치는 세로이 세트된 디지탈 데이터(Dxout)에 의하여 기록 및 소거동작을 시작한다.
여러가지의 수정은 명백한 것이며 또한 본 발명의 범위와 정신에 벗어남이 없이 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쉽게 만들어지는 것을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여기에 첨부된 청구범위는 여기의 설명에 한정되도록 의도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청구범위는 본 발명에 내재한 특허가능한 신규성의 모든 특징을 둘러싼 것으로 고려되고 발명에 관한 그 기술에서 숙달된 자에 의하여 균등물로서 다루어지는 모든 특징을 포함한다.

Claims (5)

  1. 광디스크 기록 및 재생시스템의 반도체 레이저장치에 구동전류를 공급하되, 상기 레이저장치로 부터 방사되는 레이저빔에 의하여 방사되는 광디스크의 위치에 대응한 복수준위의 하나에 상기 반도체 레이저장치의 광출력의 레벨을 조정하여 변화되게 하는 반도체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장치에 상이한 준위를 가진 복수기준 구동전류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전류공급수단과, 상기 각 기준구동전류가 상기 레이저장치에 공급될때 상기 레이저장치의 광출력준위를 검출하기 위한 모니터링 수단과, 검출된 광출력준위에 의하여 여러개의 최적값을 셋팅하는 셋팅수단과, 레이저빔에 의하여 방사되고 있는 광디스크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여러개의 최적값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공급수단은 재생구동전류원과 기록 및 소거구동전류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공급수단은 상기 복수의 기준구동전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구동전류를 공급하기 전에 적어도 세개이상의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구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세개이상의 기준구동전류의 각 준위는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공급수단은 상기 복수의 기준구동전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구동전류를 공급하기전에 적어도 둘이상의 기준구동전류를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장치.
KR1019890010428A 1988-07-22 1989-07-22 반도체 레이저 구동장치 Expired KR9200100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84088 1988-07-22
JP?63-184088 1988-07-22
JP63184088A JP2624788B2 (ja) 1988-07-22 1988-07-22 半導体レーザ駆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872A KR910003872A (ko) 1991-02-28
KR920010019B1 true KR920010019B1 (ko) 1992-11-10

Family

ID=16147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0428A Expired KR920010019B1 (ko) 1988-07-22 1989-07-22 반도체 레이저 구동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08888A (ko)
EP (1) EP0352125B1 (ko)
JP (1) JP2624788B2 (ko)
KR (1) KR920010019B1 (ko)
DE (1) DE6892462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0495A (en) * 1989-04-12 1991-12-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rite calibration for magnetooptic disk recorders
JP2905229B2 (ja) * 1989-09-26 1999-06-14 キヤノン株式会社 光ビーム駆動装置
US5185734A (en) * 1990-07-20 1993-02-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alibrating and power-protecting laser drive circuits
JPH04134737A (ja) * 1990-09-27 1992-05-08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光ディスク駆動装置及び光量調整装置
US5136569A (en) * 1990-09-28 1992-08-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cal disk recorder for diverse media types and having a predetermined initialization or start-up procedure
JP2550447B2 (ja) * 1991-05-16 1996-11-06 富士通株式会社 レーザダイオードの制御方式
US5216659A (en) * 1991-09-11 1993-06-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Laser power calibration by measuring laser drive current at out of focus and in focus conditions
US7286153B1 (en) 1991-10-11 2007-10-23 Hitachi, Ltd. Three-dimensio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2835250B2 (ja) * 1992-08-10 1998-12-14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光量制御装置
JPH09148630A (ja) * 1995-11-21 1997-06-06 Rohm Co Ltd 光量調整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光応用装置
DE10064775A1 (de) 2000-12-22 2002-06-27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und Anordnung zum Regeln der Lichtleistung eines Abtaststrahls in einem Gerät zum Lesen oder zum Beschreiben optischer Aufzeichnungsträger
US6891866B2 (en) * 2003-01-10 2005-05-10 Agilent Technologies, Inc. Calibration of laser systems
US7304928B2 (en) * 2003-05-16 2007-12-04 Ricoh Company, Ltd. Laser power control technique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ata in and from optical disk under laser power control
US7400662B2 (en) 2005-01-26 2008-07-15 Avago Technologies Fiber Ip Pte Ltd Calibration of laser systems
TW201027522A (en) * 2009-01-09 2010-07-16 Sunplus Technology Co Ltd Methods for on-line calibrating output power of optical pick-up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5097A (en) * 1985-07-25 1987-08-04 Laser Magnetic Storage International Company Power control system for a semiconductor laser
US4747091A (en) * 1985-07-25 1988-05-24 Olympus Optical Co., Ltd. Semiconductor laser drive device
JP2531942B2 (ja) * 1986-04-14 1996-09-04 ティアツク株式会社 光学式デイスク記録装置
JPS62257640A (ja) * 1986-05-02 1987-11-10 Hitachi Ltd レ−ザ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24622T2 (de) 1996-06-20
US5008888A (en) 1991-04-16
JPH0233737A (ja) 1990-02-02
EP0352125A2 (en) 1990-01-24
EP0352125B1 (en) 1995-10-25
EP0352125A3 (en) 1991-04-24
DE68924622D1 (de) 1995-11-30
JP2624788B2 (ja) 1997-06-25
KR910003872A (ko) 1991-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0019B1 (ko) 반도체 레이저 구동장치
US7212477B2 (en)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ith APC and SPS processes
US5477557A (en) Laser drive circuit with independently adjustable maximum and minimum power levels
EP0469929A2 (en) Controlling currents in laser diodes
US4787078A (en) Optical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with control of high frequency superposed signal applied to semiconductor laser
JP4278922B2 (ja) パワーコントロール装置
US4967417A (en) Laser driving device provided with two reference signal sources,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device
EP0381768B1 (en) Laser diode driving apparatus
JPS58158051A (ja) 光学的記録再生装置
US5721580A (en) Laser diode driving apparatus in a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6278674B1 (en) Phase change optical disk initializing apparatus
JP2712890B2 (ja) 光学的記録再生装置
JP2643575B2 (ja) 光学的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レーザ光量制御回路
JP2002232072A (ja) 半導体レーザ駆動回路
JP3042093B2 (ja) レーザ駆動回路
JP2713105B2 (ja) 半導体レーザ出力制御回路及び出力制御方法
JPH05101433A (ja) 半導体レーザーの駆動制御回路
JPH03156740A (ja) 発光素子駆動装置
KR0119889B1 (ko) 광픽업의 자동 레이저파워 제어장치
KR970006886Y1 (ko) 미니디스크플레이어의 레이저출력제어장치
JPH10312569A (ja) 光学的記録再生装置
JPH02265032A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の光量制御装置
JPH06236550A (ja) 光ディスク装置
KR20050118291A (ko) 방사원 구동장치 및 방사원을 구동하는 방법
JPH1166565A (ja) 光学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5111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5111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