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8527Y1 - 서브 브라이트 변경회로 - Google Patents

서브 브라이트 변경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527Y1
KR920008527Y1 KR2019900015677U KR900015677U KR920008527Y1 KR 920008527 Y1 KR920008527 Y1 KR 920008527Y1 KR 2019900015677 U KR2019900015677 U KR 2019900015677U KR 900015677 U KR900015677 U KR 900015677U KR 920008527 Y1 KR920008527 Y1 KR 9200085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ght
sub
resistor
level
reference lev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56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8617U (ko
Inventor
백동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56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527Y1/ko
Publication of KR9200086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6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5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527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7Resis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3Discrete devices, e.g. 3 terminal devices
    • H01L2924/1304Transis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서브 브라이트 변경회로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지탈 아날로그 출력부 2 : 비데오 신호 처리부
3 : 레벨 변경부 4 : 마이콤
Q1Q2Q3: 트랜지스터 R1-R8: 저항
C1-C4: 콘덴서
본 고안은 리모콘 TV의 브라이트(BRIGHT)콘트롤에 있어서, 브라이트 레벨의 기준이 되는 서브 브라이트(SUB BRIGHT)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 서브 브라이트 변경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리모콘 TV에서 브라이트 콘트롤은 브라이트 제어용 PWM(PULSE WIDTH MODULATI0N)펄스를 아날로그 신호 전압으로 바꾼 후, 비데오 신호처리부의 브라이트 콘트롤 단자에 인가시킴으로써 브라이트 콘트롤을 하였으나 브라이트 레벨의 기준이 되는 서브 브라이트는 변경시키지 못하고 고정되어 있었다.
따라서 브라이트 콘트롤은 PWM펄스에 의해서만이 조정 가능하므로써 효과적으로 화상의 전체 기준 밝기를 변경시킬 수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브라이트 레벨의 기준이 되는 서브 브라이트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여 화상의 전체 기준밝기가 효과적으로 가변 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서브 브라이트 기준 레벨을 저항으로분배시켜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분배 저항의 선택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출력되는 마이콤의 출력에 의하여 선택되게 한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거 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브라이트 콘트롤용 PWM 펄스 데이타를 디지탈 아날로그 출력부(1)에서 아날로그 신호 전압으로 변환시켜 저항(R1)과 콘덴서(C1)을 통하여 비데오 신호 처리부(2)의 브라이트 콘트롤단자(BC)에 인가시키고 상기 브라이트 콘트롤 단자(BC)에는 저장(R2)(R3)(R5)에 의해 설정된 서브 브라이트 기준 레벨이 인가되는 리모콘 TV의 브라이트 콘트롤 회로에 있어서, 상기 서브 브라이트 기준 레벨 설정용 저항(R3)에 연결되어 서브 브라이트기준 레벨을 변경시키는 레벨 변경부(3)와, 상기 레벨 변경부(3)에 레벨 변경선택 신호를 인가시키는 마이콤(4)으로 구성된다.
이때 레벨 변경부(3)를 마이콤(4)의 단자(a)(b)(c)출력으로 트랜지스터(Q1)(Q2)(Q3)의 구동을 제어하게 구성시키고 상기 트랜지스터(Q1)(Q2)(Q3)의 콜렉터측에는 저항(R6)(R7)(R8)을 통하여 서브 브라이트 기준 레벨 설정용 저항(R3)이 연결되게 구성시키며 콘덴서(C2)(C3)(C4)는 노이즈 제거용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먼저 디지탈 아날로그 출력부(1)에 브라이트 콘트롤용 PWM펄스 데이타가 입력되면 디지탈 아날로그 출력부(1)에서는 이를 아날로그 신호 전압으로 변경시킨 후 저항(R1)및 콘덴서(C1)를 통하여 비데오 신호 처리부(2)의 브라이트 콘트롤 단자(BC)에 인가시킨다.
이때 디지탈 아날로그 출력부(1)에서는 리모콘 TV의 또 다른 제어 입력 데이타(볼륨, 콘트라스트, 칼라등)를 아날로그신호 전압으로 변경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비데오 신호 처리부(2)는 브라이트 콘트롤 단자(BC)에는 브라이트의 기준 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스브 브라이트의 기준레벨이 저항(R2)(R3)(R5)으로 분배되어 인가되게 된다.
즉 브라이트는 저항(R2)(R3)(R5)에 의해 설정된 서브 브라이트 기준 레벨을 중심으로 변하게 되며 이때 저항(R3)은 가변되어 서브 브라이트 기준 레벨을 세팅시키게 되나 이는 생산라인에서만 조정가능하고 사용자는 직접적으로 변경시킬 수 없는 것이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번 세팅된 서브 브라이트 기준 레벨을 중심으로 브라이트를 조정하게 되므로 화면 전체 기준 밝기를 효과적으로 가변 시킬 수 없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서는 서브브라이트 기준 레벨 설정용 저항(R3)에 레벨 변경부(3)를 연결해 주어 레벨 변경부(3)의 트랜지스터(Q1)(Q2)(Q3)구동에 따라 저항(R6)(R7)(R8)에 의해서 상기 서브 브라이트 기준 레벨이 분배 되므로써 결국 트랜지스터(Q1)(Q2)(Q3)의 구동 상태에 따라 서브 브라이트 기준 레벨을 변경 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마이콤(4)을 콘트롤하여 단자(α)로 하이 레벨을 출력시키고 단자(b)(c)로 로우레벨을 출력시키면 레벨 변경부(3)의 트랜지스터(Q1)는 "턴온"되고 트랜지스터(Q2)(Q3)는 "턴오프"되게 되므로 저항(R6)이 저항(R3)에 연결된 상태가 되어점의 전위는 내려가게 된다.
이때 저항(R6)(R7)(R8)의 저항값을 서로 다르게 설정해 주게 되면점의 전위는 각각의 저항(R6)(R7)(R8)이 선택된 상태에 따라서 그 전위가 달라지게 된다.
그리고점의 전위가 달라진다는 것은 결국 서브 브라이트 기준 레벨이 변경되는 것이므로 화상의 전체 기준밝기가 가변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레벨 변경부(3)의 트랜지스터(Q1)(Q2)(Q3)구동을 제어함에 따라서 효과적으로 화상의 전체 기준 밝기를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브라이트의 기준 레벨인 서브 브라이트 기준레벨을 변경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의도대로 화상의 전체 밝기를 변경시킬 수 있어 종래 서브 브라이트 기준 레벨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효과적으로 브라이트 콘트롤을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디지탈 아날로그 출력부(1)의 브라이트 콘트롤 전압이 비데오 신호 처리부(2)의 브라이트 콘트롤 단자(BC)에 인가되고 상기 브라이트 콘트롤 단자(BC)에 저항(R2)(R3)(R5)으로 설정된 서브 브라이트 기준 레벨이 인가되는 브라이트 콘트롤 회로에 있어서, 상기 브라이트 기준 레벨 설정용 저항(R3)에 연결되고 서로 값이 다른 저항(R6)(R7)(R8)과, 상기 저항(R6)(R7)(R8)에 연결되어 상기 저항(R6)(R7)(R8)을 선택적으로 접지 시키는 트랜지스터(Q1)(Q2)(Q3)로 구성된 레벨 변경부(3)를 구비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1)(Q2)(Q3)의 구동을 선택하는 마이콤(4)을 구비시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서브 브라이트 변경회로.
KR2019900015677U 1990-10-12 1990-10-12 서브 브라이트 변경회로 Expired KR9200085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5677U KR920008527Y1 (ko) 1990-10-12 1990-10-12 서브 브라이트 변경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5677U KR920008527Y1 (ko) 1990-10-12 1990-10-12 서브 브라이트 변경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617U KR920008617U (ko) 1992-05-20
KR920008527Y1 true KR920008527Y1 (ko) 1992-11-30

Family

ID=1930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5677U Expired KR920008527Y1 (ko) 1990-10-12 1990-10-12 서브 브라이트 변경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52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617U (ko) 1992-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1813B1 (en) Voltage control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of a screen display
KR920008527Y1 (ko) 서브 브라이트 변경회로
FR2683414A1 (fr) Commande de contraste et de luminosite pour recepteur de television avec teletexte.
KR940005074Y1 (ko) 모니터의 수직 사이즈 조절회로
KR910005930Y1 (ko) 온 스크린 문자의 밝기 조절회로
KR200170031Y1 (ko) 브이씨알의 자동이득 제어회로
JP2587606B2 (ja) 液晶表示装置
KR910007198Y1 (ko) 브라운관의 밝기 조절회로
KR910004787Y1 (ko) 모우드 변환시 과도 현상 방지회로
KR920007377Y1 (ko) 영상 메뉴 선택회로
CN218679430U (zh) 一种调节装置
KR900006311Y1 (ko) 영상 출력회로
JP3211384B2 (ja) 映像コントロール回路
KR940007548Y1 (ko) 화면 휘도에 따른 osd 휘도 조절 회로
KR910005421Y1 (ko) D/a와 아날로그 방식에 의한 콘트롤 회로
JPS6478084A (en) Luminance adjusting circuit for liquid crystal television
KR910007420Y1 (ko) 컬러와 브라이트 레벨의 초기치 설정회로
KR960001256Y1 (ko) 칼라이득 자동조절장치
KR930003011B1 (ko) 표준 모우드 프리세팅 시스템
KR200158969Y1 (ko) 모니터의 아날로그 신호와 오에스디신호 믹싱회로
KR860002607Y1 (ko) 문자 표시 장치의 명암 조절 회로
KR910005624Y1 (ko) Vcr의 정지화면 조절회로
KR890004972Y1 (ko) 콘트라스트 조절회로
KR890004765Y1 (ko) 영상신호 휘도 조절회로
KR100210244B1 (ko) Osd 밝기 조절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0101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01012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103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3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304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3042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10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0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8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029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0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