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7448Y1 - 대두 마쇄기 - Google Patents

대두 마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448Y1
KR920007448Y1 KR2019900019659U KR900019659U KR920007448Y1 KR 920007448 Y1 KR920007448 Y1 KR 920007448Y1 KR 2019900019659 U KR2019900019659 U KR 2019900019659U KR 900019659 U KR900019659 U KR 900019659U KR 920007448 Y1 KR920007448 Y1 KR 9200074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ybean
rotary
grinding
wall
bla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96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1323U (ko
Inventor
조해준
Original Assignee
조해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해준 filed Critical 조해준
Priority to KR20199000196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448Y1/ko
Publication of KR9200113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3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4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448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0Disintegrating by g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대두 마쇄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제2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캡 2 : 요철부
3 : 타격익편 4 : 내통체
5 : 톱니 6 : 회전톱니익편
7 : 회전분산판 8 : 배출구
9 : 다공판
본 고안은 대두를 효과적으로 마쇄하기 위한 대두 마쇄기에 관한 것으로 주로 습식대두를 마쇄하는데 사용된다.
대두를 이용한 각종 식품의 제조를 위한 그 기초작업인 대두의 마쇄작업에 있어서 종래에는 재래식 멧돌구조에 동력을 부여한다던가 스크류 마쇄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작업수단으로 마쇄된 대두는 입자가 굵고 균일하지 못하여 양질의 식품을 얻을수 없음을 물론 신속하고 효과적인 마쇄를 기대할수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투입된 대두가 1차 분쇄과정을 통과하여 미세한 간극을 갖는 다수의 단위 마쇄구조를 점진적으로 통과시키되 상기한 단위 마쇄구조는 저부쪽으로 이르면서 점차 그 직경을 축소하여 상부로부터 압력을 가하는 효과를 부여하여 능률적이며 신속하고 미세한 마쇄효과를 기대하고, 또한 가장저부의 단위 마쇄구조 일측에 형성되는 배출구에는 균일한 가공판을 결합하여 마쇄된 대두의 입자가 균일한 입자로 통과되도록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벽에 요철부(2)를 형성한 상부캡(1)내측에 타격익편(3)을 형성하고, 그 저부에는 내통체(4) 및 그 내벽의 톱니(5)와 미세한 간극을 유지한 회전톱니익편(6), 그리고 그 상측으로는 회전분사판(7)을 구비한 단위 마쇄구조(a)-(e)를 다수로 상, 하 순차구성하되 각 단위 마쇄구조(a)-(e)는 저부쪽으로 점차 그 직경을 축소하는 한편, 가정저부의 단위 마쇄구조(e)일측으로는 다공판(9)이 결합된 배출구(8)를 형성하여된 것이다.
도면부호중(10)은 모우터축으로서 상기 타격익편(3) 및 각 단위 마쇄구조(a)-(e)의 회전톱니 익편(6)과 회전분산판(7)을 동시에 축설하게 되며, (11)은 상부캡(1)과 연통되는 홉퍼, 그리고 (12)는 배출구(8)와 연통된 배축관이며, (13)은 하우징, (14)는 모우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모우터(14)의 가동으로 모우터축(10)이 회동됨에 따라 이와 축실된 타격익편(3)과 그 저부의 각 회전톱니익편(6) 및 회진분사판(7)도 동시에 회전된다.
따라서 홉퍼(11)를 통하여 상부캡(1)내부로 투입된 대두는 회전되는 타격익편(3)에 의해 타격되고, 이와 함께 상부캡(1)내벽에 형성된 요철부(2)와의 충돌이 반복되므로서 1차 분쇄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타격익편(3)은 그 저단부가 일측으로 휘어져 곡면을 유지하고 있어 대두의 타격과 동시에 대두를 하방으로 이송시키려는 작용을 하게 되나 이때에는 최상단의 단위 마쇄구조(a)에 형성된 회전분사판(7)에 의해 제어되며, 동시에 그 회전력에 의하여 분쇄된 대두를 외방으로 비산시켜 분산시켜주게 된다.
그리고 분쇄된 대두가 통과될수 있는 통로는 내통체(4)의 내벽과 회전톱니 익편(6)사이의 미세한 간극뿐이므로 대두는 상기한 1차 분쇄과정에서 상기 간극에 진입될수 있는 입자로 분쇄될수 밖에 없으나 이와 같은 과정에서도 상기 타격익편(3)에 의한 저부로의 압송력이 계속 부여되므로 일단은 강압적으로 상기 전극에 진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1차 분쇄되어 내통체(4)의 내벽과 회전톱니익편(6)사이의 간극으로 유입된 대두는 내통체(4) 내벽의 톱니(5)와 회전톱니익편(6)사이에서의 마찰로 인하여 더욱 미세하게 분쇄되는 것이며 계속하여 각 단위 마쇄구조(a)-(e)를 점진적으로 통과하면서 동일한 마쇄작용으로 그 분쇄의 효과를 더하게 되고, 이때 각 회전톱니 익편(6)내측으로 대두입자가 유입되게 되나 이때에도 각 회전분산판(7)의 회전에 의하여 외방으로 분산시켜 상기 내통체(4)와 회전톱니 익편(6)사이의 간극쪽으로 진입시켜 주게된다.
한편, 본 고안의 각 단위 마쇄구조(a)-(e)는 상부로 부터 그 저부쪽으로 점차 그 직경이 축소되어 내통체(4)의 내벽과 회전톱니 익편(6)사이의 간극의 직경도 축소되므로 분쇄된 대두가 상부로부터는 다량으로 유입되나 직경도 축소되므로 분쇄된 대두가 상부로부터는 다량으로 유입되나 저부쪽으로는 이를 모두 수용하지 못하게 되고, 또한 상기 타격익편(3)에 의한 압송력이 계속 부여되고 있으므로 상기 간극사이에는 강압적인 압송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분쇄되는 대두가 항상 충만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마쇄의 반복효과를 가져오므로서 더욱 미세한 분쇄효과를 기대할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단위 마쇄구조(a)-(e)를 통과한 대두의 미세한 입자는 가장저부에 형성된 단위 마쇄구조(e)의 내통체(4)일측에 형성된 배출구(8) 및 그 일측의 다공판(9)을 통하여 배출되나 이때의 다공판(9)은 미세하고 균일한 무수한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를 통하여 배출되는 대두입자 역시 미세하고 균일한 입자만을 얻을수 있으며, 상기한 다공판(9)은 그 구멍의 크기를 달리하는 다양한 다공판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얻어지는 입자의 크기를 조절할수도 있다.

Claims (1)

  1. 내벽에 요철부(2)를 형성한 상부캡(1)내측에 타격익편(3)을 형성하고, 그 저부에는 내통체(4) 및 그 내벽의 톱니(5)와 미세한 간극을 유지한 회전톱니 익편(6), 그리고 그 상측으로는 회전분산판(7)을 구비한 단위마쇄구조(a)-(e)를 다수로 상, 하 순차구성하되 각 단위 마쇄구조(a)-(e)는 저부쪽으로 점차 그 직경을 축소하는 한편, 가장저부의 단위 마쇄구조(e)일측으로는 다공판(9)이 결합된 배출구(8)를 형성하여된 대두 마쇄기.
KR2019900019659U 1990-12-13 1990-12-13 대두 마쇄기 Expired KR9200074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9659U KR920007448Y1 (ko) 1990-12-13 1990-12-13 대두 마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9659U KR920007448Y1 (ko) 1990-12-13 1990-12-13 대두 마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323U KR920011323U (ko) 1992-07-24
KR920007448Y1 true KR920007448Y1 (ko) 1992-10-15

Family

ID=19306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9659U Expired KR920007448Y1 (ko) 1990-12-13 1990-12-13 대두 마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44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323U (ko) 199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2316B1 (ko) 분말입자체의 분쇄정립장치
CN210613962U (zh) 一种食品加工用粉碎研磨一体装置
US2543599A (en) Screen structure for hammer mills
CN105750044A (zh) 一种螺旋粉碎机
US3488008A (en) Grinding mill
CN115555112A (zh) 一种具有分级功能的粉体粉碎装置
US3260468A (en) Grinding mill and blower combination
KR920007448Y1 (ko) 대두 마쇄기
KR200439305Y1 (ko) 분쇄기
CN211134052U (zh) 一种磨粉机的给料装置
JP2003144951A (ja) 多機能ミル
CN207872318U (zh) 磨碎机
KR100670756B1 (ko) 분쇄기
KR200289824Y1 (ko) 식품 분쇄기
KR100743574B1 (ko) 분쇄기
US2386021A (en) Screen for hammer type feed grinders
US2298712A (en) Feed grinding machine
JPH07256127A (ja) 多機能ミル
KR101568259B1 (ko) 식품 분쇄기
KR19980066504U (ko) 사료분쇄기의 분쇄날
CN218359603U (zh) 糯米超微粉碎机
KR20140103564A (ko) 건조 식품 분쇄기 및 분쇄방법
KR101647681B1 (ko) 식품분쇄기
CN219024994U (zh) 一种谷物碾碎机的筛选装置
KR910000011Y1 (ko) 수직 다단식 분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0121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0121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091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212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301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301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9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0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0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0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0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0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4

Year of fee payment: 1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