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47681B1 - 식품분쇄기 - Google Patents

식품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681B1
KR101647681B1 KR1020150038186A KR20150038186A KR101647681B1 KR 101647681 B1 KR101647681 B1 KR 101647681B1 KR 1020150038186 A KR1020150038186 A KR 1020150038186A KR 20150038186 A KR20150038186 A KR 20150038186A KR 101647681 B1 KR101647681 B1 KR 101647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housing
food
centrifugal force
force gener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해준
Original Assignee
조해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해준 filed Critical 조해준
Priority to KR1020150038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68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구(111)와 배출구(112)가 마련되고, 덮개(113)에 의해 개폐되는 분쇄공간(S)을 갖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1)의 배출구 직하방에 수직 마련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원심력과 와류를 발생시키는 원심력발생수단(120); 상기 원심력발생수단(120) 외곽 방향에 마련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 부분으로 집중되는 식품을 교반함과 동시에 타격과 마찰 및 절삭을 통해 분쇄하는 분쇄수단(130); 상기 분쇄수단(130) 하방의 하우징(110) 내주면 부분에서 에어를 분사하여, 식품 알갱이들이 분쇄수단(130)과 하우징(110) 사이에 집적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분말화되는 식품을 부양시켜 재차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일정한 입도로 분말화된 식품만 압력에 의해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에어분사수단(140); 상기 원심력발생수단(120)과 분쇄수단(130) 사이에 림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원심력발생수단(120) 방향과 분쇄수단(130) 방향을 순환하는 와류 경로를 제공하는 와류경로제공수단(150);을 포함하여서 된 식품분쇄기(100)이다.

Description

식품분쇄기{FOODS PULVERIZER}
본 발명은 식품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 예컨대, 고추 내지 각종 곡물을 포함한 식품을 미분으로 분쇄하는 식품분쇄장치로서, 투입된 식품을 고속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고압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와류 순환시키면서 분말상태(초미분)로 분쇄하는 식품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쇄기(粉碎機 ; pulverizer)는 고체를 파쇄하여 미세한 가루를 얻는 기계 일반을 가리키는 총칭하는 것으로, 대상으로 하는 고체 입자의 크기에 따라 조쇄기(粗碎機), 중쇄기, 분쇄기, 미분쇄기로 대별되지만, 좁은 의미의 분쇄기는 거의 미분쇄기 안에 들어간다.
상기 조쇄기에는 2매의 판 사이에 원료를 물고 부수는 조 크러서(jaw crusher), 선회운동을 하는 2개의 원추 사이에서 부수는 자이러토리 분쇄기(gyratory crusher)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중쇄기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1대의 롤러에 의해 원료를 압쇄(壓碎)하는 롤 크러셔(roll crusher), 원반 위에서 회전하는 롤러에 의해 압(壓), 파쇄(磨碎)하는 에지 런너(edge runner) 등이 있다.
또한, 상기 미분쇄기에는 회전하는 원통 내에 강구(鋼球)를 집어넣어 원료를 분쇄하는 볼 밀(ball mill), 회전축에 부착된 다수의 해머에 의해 분쇄하는 해머 밀(hammer mill), 2매의 마찰판 사이에서 분쇄하는 마멸 분쇄기(attrition mill), 기류(氣流)를 이용하는 제트 분쇄기(jet mill)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분쇄기들은 원하는 입도를 얻기 위해서 구멍의 직경이 다양한 망체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 경우 망이 자주 막혀 과열현상이 초래될 뿐 아니라, 막힌 구멍을 뚫어 주기 위해 작업이 자주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추와 같이 섬유질이 많은 식품, 그리고 콩과 같이 전분질이 많은 곡물류 등은 압착수단에 의해서는 그 효과적인 분쇄목적을 기대할 수 없으며 곡물의 경우 전분질 파괴에 따른 흡착력 미흡으로 식품의 질감이 저하되게 되며 열을 많이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곡물분쇄에서 발생하는 기름기 등이 축적되어 이 또한 망체의 기능을 상실케 하는 요인이 되고 있는바 시급한 개선이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본원인은 대한민국특허공개공보 제1999-0068931호(고추분쇄기 ; 출원일자 : 1998년02월03일 ; 이하 문헌1이라 함)의 기술과 대한민국특허공개공보 제1999-0074168호(식품분쇄기 ; 출원일자 1998년03월07일 ; 이하 문헌2이라 함)의 기술을 개발하였다.
상기 문헌1은 내벽에 나선홈(21)을 형성한 하우징 본체(20) 그리고 이와 결합된 보조하우징(30)의 각 내측에 스크류(40) 및 원판형의 간극조절판(50), 또 방사상의 회전익편(60)을 동일축 상에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일체화하고 스크류축(41)의 직경은 전협후광의 형태로 구성하는 한편, 보조하우징(30) 내벽과 회전익편(60)의 끝 단면에는 상호 미세한 간극을 유지한 요철부(31)(61)를 각각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분쇄기이다.
그러나, 상기 문헌1은 식품을 압송시키는 방식이므로, 압송되는 식품이 강하게 다져지도록 하고 또 이와 같이 다져진 분말을 곧바로 재분쇄함으로써 분말의 입도가 양호하고 이에 따라 고추 본래의 색상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은 있으나, 식품을 쥐어짜듯이 압송시키면서 분쇄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식품에 함유된 성분 예컨대 유분이 빠져나와 식품 고유의 맛과 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문헌2는 중앙에 홉퍼(10)를 갖는 원통체의 하우징(20) 내측 중앙에 구동축(30)을 설치하여 이에 다수의 톱날기둥(41)이 방사상의 등 간격으로 입설, 고정된 회전판(40)을 축설하고, 톱날기둥(41) 사이에는 무수한 고정칼날(70)을 환설한 대,소직경의 지지환테(50)(50')를 하우징상판(21) 저부에 고정설치하는 한편, 구동축(30) 상부에는 구동익편(31)을 결합하여서 된 식품분쇄기이다.
그러나, 상기 문헌2는 식품을 투입시키는 홉퍼(10)의 직하부에 구동익편(31)이 마련되어 있어, 분쇄기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식품을 투입할 경우 회전하는 구동익편(31)에 의해 식품이 홉퍼(10) 외부로 튀어나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별도의 집진기를 배출구(80) 부분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분쇄기의 구조가 복잡해지면서 부피 또한 커지게 되며, 이에 따라 설치 공간을 넓게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식품 살균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식품 예컨대, 고추 내지 각종 곡물을 포함한 식품을 미분으로 분쇄하는 식품분쇄장치로서, 투입된 식품을 고속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고압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와류 순환시키면서 분말상태(초미분)로 분쇄하는 식품분쇄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투입구(111)와 배출구(112)가 마련되고, 덮개(113)에 의해 개폐되는 분쇄공간(S)을 갖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1)의 배출구(112) 직하방에 수직 마련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원심력과 와류를 발생시키는 원심력발생수단(120); 상기 원심력발생수단(120) 외곽 방향에 마련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 부분으로 집중되는 식품을 교반함과 동시에 타격과 마찰 및 절삭을 통해 분쇄하는 분쇄수단(130); 상기 분쇄수단(130) 하방의 하우징(110) 내주면 부분에서 에어를 분사하여, 식품 알갱이들이 분쇄수단(130)과 하우징(110) 사이에 집적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분말화되는 식품을 부양시켜 재차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일정한 입도로 분말화된 식품만 압력에 의해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에어분사수단(140); 상기 원심력발생수단(120)과 분쇄수단(130) 사이에 림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원심력발생수단(120) 방향과 분쇄수단(130) 방향을 순환하는 와류 경로를 제공하는 와류경로제공수단(150);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상기 원심력발생수단(120)이 분쇄공간(S) 내에 원심력을 발생시켜, 식품이 하우징(110)의 내주면 방향 마련된 분쇄수단(120) 방향으로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분쇄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한편, 식품을 분쇄하는 과정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식품 알갱이가 배출구(112) 방향으로 튀어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쇄수단(130)이 원심력에 의해 하우징(110)의 내주면 부분으로 집중되는 식품을 교반함과 동시에 타격과 마찰 및 절삭을 통해 입체적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어분사수단(140)이 분쇄수단(130) 하방의 하우징(110) 내주면 부분에서 에어를 분사하여, 식품 알갱이들이 분쇄수단(130)과 하우징(110) 사이에 집적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분쇄수단(130)이 회전 시에 부하(모터에 발생되는 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분쇄기(100)의 수명 단축요인을 제거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어분사수단(140)이 에어 분사를 통해 분말화되는 식품을 부양시켜 재차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분쇄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식품의 신속한 미세 분말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어분사수단(140)이 상기와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하도록 함과 동시에, 일정한 입도로 분말화된 식품만 압력에 의해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별도의 집진기를 배출구에 결합시키지 않고도 집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중 분쇄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도 1의 'A'부분).
도 4는 본 발명 중 와류경로제공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중 원심력발생수단의 동작 및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중 분쇄수단의 동작 및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체 동작 및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인 식품분쇄기(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111)와 배출구(112)가 마련되고, 덮개(113)에 의해 개폐되는 분쇄공간(S)을 갖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1)의 배출구 직하방에 수직 마련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원심력과 와류를 발생시키는 원심력발생수단(120); 상기 원심력발생수단(120) 외곽 방향에 마련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 부분으로 집중되는 식품을 교반함과 동시에 타격과 마찰 및 절삭을 통해 분쇄하는 분쇄수단(130); 상기 분쇄수단(130) 하방의 하우징(110) 내주면 부분에서 에어를 분사하여, 식품 알갱이들이 분쇄수단(130)과 하우징(110) 사이에 집적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분말화되는 식품을 부양시켜 재차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일정한 입도로 분말화된 식품만 압력에 의해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에어분사수단(140); 상기 원심력발생수단(120)과 분쇄수단(130) 사이에 림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원심력발생수단(120) 방향과 분쇄수단(130) 방향을 순환하는 와류 경로를 제공하는 와류경로제공수단(150);을 포함하여서 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하우징(110)은 원통형 챔버로서, 분쇄공간(S)이 형성되는 본체의 측면에 식품 투입구(111)가 1개 또는 2개 또는 3개가 마련되고,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시키는 덮개(113)의 중앙부분에 분쇄된 식품분말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에서, 투입구(111)은 분쇄 동작이 진행되는 동안 별도의 캡에 의해 차단될 수도 있고, 투입구(111) 선단에 식품 공급배관 또는 식품 공급장치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112)은 선단 부분이 분말 회수부와 배관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집진기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덮개(113)는 본체와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개폐되고, 분쇄 동작 중 안전을 위해 잠금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원심력발생수단(120)은 원형 베이스1(121)의 외곽 부분에 방사상으로 블레이드(122)가 배열된 회전체로서,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123)의 선단부가 상기 베이스1(121)에 결합되어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원심력발생수단(120)의 일실시예로는, 상기 베이스1(121)의 상방에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림(환테)이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1(121)와 림 사이에 방사상으로 블레이드(122)가 배열되어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분쇄수단(130)은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2(134) 선단에 결합되어, 분쇄공간(S)의 하부에서 회전하는 베이스2(131); 상기 베이스2(131)의 상부면 외곽 부분에 간격을 두고 직립 상태로 고정 배열되어, 식품에 대해 타격분쇄와 절삭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분쇄부재(132); 상기 하우징(110)의 본체 내주면에 마련되는 환형경로에 각을 갖는 요철이 마련되어, 회전분쇄부재(132)에 대응하면서 마찰분쇄와 절삭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정분쇄부재(133);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베이스2(131)의 외경은 하우징(110) 본체의 내주면과 면접되지 않은 상태로 간격을 두고 회전하는 회전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분쇄부재(132)는 표면이 각진 직립 막대로서, 하단이 상기 베이스2(131)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될 수도 있고, 용접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분쇄부재(133)는 회전분쇄부재(132)와 동일하거나 높게 하우징(110) 본체 내주면에 형성되는 톱니 형태의 요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2(134)는 회전축1(123)과 동심을 가지며 외측에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관형 축일 수 있으며, 외주면은 하우징(110) 본체의 바닥면에 수직 고정된 관체로 이루어진 축고정수단(160)에 베어링 지지되고, 내주면은 상기 회전축1(123)을 베어링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서 원심력발생수단(120)과 분쇄수단(130)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고,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축1,2(123)(134)을 회전시키는 모터는 서로 다른 모터일 수도 있고, 동일 모터에 동력전달체(예 : 기어와 타이밍 벨트)가 역회전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으며, 상기 원심력발생수단(120)과 분쇄수단(130)의 회전 속도는 동일할 수도 상이할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에어분사수단(140)은 컴프레서(압축기)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분쇄수단(130)을 구성하는 베이스2(131)와 하우징(110) 본체의 내주면 사이의 틈으로 고압 분사하는 분사체일 수 있다.
상기에서, 에어분사수단(140)은 하우징(110)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마련되는 환형의 파이프 상방에 간격을 두고 통공이 형성된 것일 수도 있고 분사노즐이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에어분사수단(140)은 분쇄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할 수도 있고, 사전에 설정된 주기에 따라 간헐 분사할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와류경로제공수단(150)은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의 직경이 하단부의 직경 보다 큰 환형 블록체로서, 상단에 마련된 지지부재에 의해 하우징(110) 본체의 상단 주연 부분에 고정되어, 분쇄공간(S) 중 원심력발생수단(120)과 분쇄수단(130) 사이의 격벽을 형성하여 와류가 순환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인 식품분쇄기(100)는 투입구(111)와 배출구(112)가 마련되고, 덮개(113)에 의해 개폐되는 분쇄공간(S)을 갖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1)의 배출구 직하방에 수직 마련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원심력과 와류를 발생시키는 원심력발생수단(120); 상기 원심력발생수단(120) 외곽 방향에 마련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 부분으로 집중되는 식품을 교반함과 동시에 타격과 마찰 및 절삭을 통해 분쇄하는 분쇄수단(130); 상기 분쇄수단(130) 하방의 하우징(110) 내주면 부분에서 에어를 분사하여, 식품 알갱이들이 분쇄수단(130)과 하우징(110) 사이에 집적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분말화되는 식품을 부양시켜 재차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일정한 입도로 분말화된 식품만 압력에 의해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에어분사수단(140); 상기 원심력발생수단(120)과 분쇄수단(130) 사이에 림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원심력발생수단(120) 방향과 분쇄수단(130) 방향을 순환하는 와류 경로를 제공하는 와류경로제공수단(150);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에 의해 원심력발생수단(120)을 구성하는 베이스1(121)이 회전하면 베이스1(121) 상에 방사상으로 배열된 블레이드가 회전하면서 분쇄공간(S)에 원심력과 와류 환경이 조성되도록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에 의해 분쇄수단(130)의 베이스2(131)가 회전하여 회전분쇄부재(132)가 고정분쇄부재(133)에 대응하여 회전하면서 분쇄 가능 상태가 되도록 하고, 이와 더불어, 컴프레서에서 공급되는 에어가 에어분사수단(140)을 통해 상기 분쇄수단(130)을 구성하는 베이스2(131)와 하우징(110) 본체의 내주면 사이의 틈으로 고압 분사한다.
상기와 같이 분쇄 가능 환경이 만들어진 하우징(110) 내부로 투입구(111)를 통해 식품이 투입되면,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이 원심력에 의해 하우징(110) 본체의 내주면 방향으로 유도되면, 분쇄수단(130)의 베이스2(131)이 회전하여 회전분쇄부재(132)가 고정분쇄부재(133)에 대응하여 회전하면서 식품을 타격을 통해 교반함과 동시에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때, 타격ㆍ절삭ㆍ마찰을 통해 입체적인 분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분사수단(140)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공기는 분쇄되는 식품이 분쇄수단(130)과 하우징(110) 내주면에 끼워 집적되지 않도록 하며, 분쇄된 알갱이들을 부유시켜 미세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원심력발생수단(120)의 회전에 의해 또한 분쇄수단(130)의 분쇄 과정 및 에어분사수단(140)의 공기의 고압 분사에 의해 분쇄공간(S) 내부에는 극심한 와류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와류는 와류경로제공수단(150)에 의해 순환경로가 형성되어, 분쇄되는 식품이 와류경로제공수단(150)을 따라 회전하면서 식품의 균일한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정리하자면, 상기 원심력발생수단(120)이 분쇄공간(S) 내에 원심력을 발생시켜, 식품이 하우징(110)의 내주면 방향 마련된 분쇄수단(120) 방향으로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분쇄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한편, 식품을 분쇄하는 과정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식품 알갱이가 배출구(112) 방향으로 튀어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쇄수단(130)이 원심력에 의해 하우징(110)의 내주면 부분으로 집중되는 식품을 교반함과 동시에 타격과 마찰 및 절삭을 통해 입체적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어분사수단(140)이 분쇄수단(130) 하방의 하우징(110) 내주면 부분에서 에어를 분사하여, 식품 알갱이들이 분쇄수단(130)과 하우징(110) 사이에 집적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분쇄수단(130)이 회전 시에 부하(모터에 발생되는 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분쇄기(100)의 수명 단축요인을 제거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어분사수단(140)이 에어 분사를 통해 분말화되는 식품을 부양시켜 재차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분쇄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식품의 신속한 미세 분말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어분사수단(140)이 상기와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하도록 함과 동시에, 일정한 입도로 분말화된 식품만 압력에 의해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별도의 집진기를 배출구에 결합시키지 않고도 집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식품분쇄기 110 : 하우징
120 : 원심력발생수단 121 : 베이스1
122 : 블레이드 123 : 회전축1
130 : 분쇄수단 131 : 베이스2
132 : 회전분쇄부재 133 : 고정분쇄부재
134 : 회전축2 140 : 에어분사수단
150 : 와류경로제공수단 S : 분쇄공간

Claims (1)

  1. 투입구(111)와 배출구(112)가 마련되고, 덮개(113)에 의해 개폐되는 분쇄공간(S)을 갖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배출구 직하방에 수직 마련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원심력과 와류를 발생시키는 원심력발생수단(120);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2(134) 선단에 결합되어, 분쇄공간(S)의 하부에서 회전하는 베이스2(131)와, 상기 베이스2(131)의 상부면 외곽 부분에 간격을 두고 직립 상태로 고정 배열되어, 식품에 대해 타격분쇄와 절삭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분쇄부재(132)와, 상기 하우징(110)의 본체 내주면에 마련되는 환형경로에 각을 갖는 요철이 마련되어, 회전분쇄부재(132)에 대응하면서 마찰분쇄와 절삭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정분쇄부재(133)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원심력발생수단(120) 외곽 방향에 마련되어, 회전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 부분으로 집중되는 식품을 교반함과 동시에 타격과 마찰 및 절삭을 통해 분쇄하는 분쇄수단(130);
    상기 분쇄수단(130) 하방의 하우징(110) 내주면 부분에서 에어를 분사하여, 식품 알갱이들이 분쇄수단(130)과 하우징(110) 사이에 집적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분말화되는 식품을 부양시켜 재차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일정한 입도로 분말화된 식품만 압력에 의해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에어분사수단(140);
    상기 상단부의 직경이 하단부의 직경 보다 큰 환형 블록체로서, 상단에 마련된 지지부재에 의해 하우징(110) 본체의 상단 주연 부분에 고정되어, 분쇄공간(S) 중 원심력발생수단(120)과 분쇄수단(130) 사이의 격벽을 형성하여 와류가 순환되도록 하는 와류경로제공수단(1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분쇄기.
KR1020150038186A 2015-03-19 2015-03-19 식품분쇄기 Active KR101647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186A KR101647681B1 (ko) 2015-03-19 2015-03-19 식품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186A KR101647681B1 (ko) 2015-03-19 2015-03-19 식품분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681B1 true KR101647681B1 (ko) 2016-08-23

Family

ID=56875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186A Active KR101647681B1 (ko) 2015-03-19 2015-03-19 식품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6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441B1 (ko) * 2022-08-19 2023-02-24 (주) 태흥산업 터보형 디스크 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947B2 (ja) * 1989-02-04 1994-06-08 不二パウダル株式会社 微粉砕機
JP2001259451A (ja) * 2001-04-27 2001-09-25 Hosokawa Micron Corp 微粉砕装置及び粉体製品製造システム
KR100906419B1 (ko) * 2008-10-01 2009-07-09 (주)제이분체 건식 분쇄장치 및 그 건식 분쇄장치를 이용한 분쇄시스템
KR20110100917A (ko) * 2010-03-05 2011-09-15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식품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947B2 (ja) * 1989-02-04 1994-06-08 不二パウダル株式会社 微粉砕機
JP2001259451A (ja) * 2001-04-27 2001-09-25 Hosokawa Micron Corp 微粉砕装置及び粉体製品製造システム
KR100906419B1 (ko) * 2008-10-01 2009-07-09 (주)제이분체 건식 분쇄장치 및 그 건식 분쇄장치를 이용한 분쇄시스템
KR20110100917A (ko) * 2010-03-05 2011-09-15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식품가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441B1 (ko) * 2022-08-19 2023-02-24 (주) 태흥산업 터보형 디스크 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9770B1 (ko) 원뿔형 충격 분쇄기
JP5927517B2 (ja) 粉砕機
JP2018069136A (ja) 電動粉挽き機
KR102176788B1 (ko) 식품 분쇄기
CN103611611B (zh) 一种高糖类物料粉碎装置
KR101647681B1 (ko) 식품분쇄기
CN207342804U (zh) 一种餐厨垃圾粉碎研磨装置
KR101704258B1 (ko) 초미분 분쇄기
KR101530421B1 (ko) 곡물분쇄장치용 임펠러
JP5810441B2 (ja) 粉砕機
KR20150003375U (ko) 농작물 복합분쇄로터
JP2014018755A (ja) 粉砕機
RU2565259C1 (ru) Дезинтегратор
CN203663958U (zh) 一种高油脂物料粉碎装置
CN201988428U (zh) 超细粉碎机
KR200448700Y1 (ko) 곡물 분쇄기
KR100743574B1 (ko) 분쇄기
KR101065755B1 (ko) 분쇄기
KR100670756B1 (ko) 분쇄기
KR100469759B1 (ko) 분쇄기
JPH07256127A (ja) 多機能ミル
CN205550459U (zh) 对转式粉碎机
CN104437742A (zh) 一种谷物粗粉碎用的粉碎机
CN204735271U (zh) 分级粉碎机
JP2014018756A (ja) 粉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8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8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