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4732B1 - 차량의 탑재기기용 계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탑재기기용 계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732B1
KR920004732B1 KR1019920000574A KR920000574A KR920004732B1 KR 920004732 B1 KR920004732 B1 KR 920004732B1 KR 1019920000574 A KR1019920000574 A KR 1019920000574A KR 920000574 A KR920000574 A KR 920000574A KR 920004732 B1 KR920004732 B1 KR 920004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vehicle
side connector
engagement
vehicle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0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히코 카와사키
코우이치 이케다
시니치 키무라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쓰지 하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326485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35022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5138939U external-priority patent/JPS6246242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513893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3649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4021585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52196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044604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7824Y2/ja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60004753A external-priority patent/KR920003850B1/ko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쓰지 하루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920000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47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732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의 탑재기기용 계합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한 차량탑재기기의 전원 접속장치를 표시한 정면도.
제 2 도와 제 3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에 있어 차체측의 접속부를 표시한 정면도와 좌측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장치를 실시한 에어폿트 설치 상태도.
제 5 도는 제 4 도 에어폿트의 탄성지지장치를 표시한 단면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표시한 카폿트 등의 차량탑재용 기구 계합장치의 피계합 돌부에 대한 횡단면도.
제 7 도는 제 6 도 계합장치의 계합요부 횡단단면도.
제 8 도는 제 6 도의 계합장치의 계합요부와 피계합 돌부가 계합된 상태의 횡단단면도.
제 9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표시한 카폿트 등의 차량탑재용 기구 계합장치의 피계합 돌부에 대한 횡단면도.
제 10 도는 제 9 도 계합장치의 계합요부와 피계합 돌부가 계합한 상태의 횡단단면도.
제 11 도 내지 제 13 도는 전극단자와 전극 삽입부와의 관계도.
제 14 도는 2선식 배선도.
제 15 도는 3선식 배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에어폿트 4 : 탄성지지장치
8 : 소음재 9 : 스프링
10 : 지지체 11 : 크램프핀
13 : 기기측 접속기 14 : 전극판
15 : 차체측 접속기 19 : 지지금구
21 : 연결구 22 : 전원 코오드
101 : 차체 104 : 계합요부
105 : 피계합 돌부 111 : 케이스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하여 사용하는 전기폿트 등의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탑재용 기기의 차량 착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카폿트 등의 차량탑재용 기구는 차량탑재용 기구를 차체에 나사등으로 고정하는 형식의 것, 또는 전혀 차체에는 고정하지 않고 좌석 시트상에 방치하거나 창문틀에 걸어서 사용하는 형식의 것들이 주로 있었다.
그러나 차량탑재용 기구를 이동시키거나, 어떠한 위치나 방향에 고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서는 나사를 매번 풀을 필요가 있어서 매우 번거로웠다. 또한 시트위에 방치하거나 하면 안전상 바람직하지 않고, 차량탑재용 기구를 분실하는 사례도 있다. 또한 창문틀에 걸어 사용하는 형식의 것은 차체의 진동에 의하여 벗겨지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탑재용 기구와 그 착설장치와의 접속부가 차체의 격심한 횡방향 진동에 의하여 마모되어 기구의 사용수명이 짧아지는 결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폿트 등의 기기에 있어서는 물의 보급등을 고려하여 차체의 적당한 위치에 착탈할 수 있게 설치하게 되지만 착탈을 고려하고 설치한 경유에는 차량의 주행중 차체와 기기와는 상이한 진동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는 기기측 접속기와 차체측 접속기를 다같이 고정상태로 설치한 경우에는 차량주행중 양접속기가 서로 상이한 진동상태가 되기 때문에 양접속부의 파괴, 나아가서는 양접속기 자체가 파괴되게 되어 실용화에 있어서는 진동에 대하여 충분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더우기 장기간에 걸쳐 안정된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전원접속 장치가 요구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차체의 진동에 대한 내진성이 있고 사용하기에 편리한 카폿트 등의 차량탑재용 기기의 계합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1은 차체(2)의 적당한 위치에 부착한 기대, 3은 물끓이기와 보온 기능을 가진 에어폿트이고, 상기 폿트(3)는 기대(1)상에 탄성지지장치(4)에 의하여 착탈자재하게 설치한다.
상기 탄성지지장치(4)는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대(1)상에 입설한 볼트 등의 축(5)과 이 축(5)에 상하동 자재하게 감삽하고 외주에 계합용의 돌조(7)를 형성한 계합보스(6)와, 이 계합보스(6)와 기대(1)간에 끼운 고무등의 탄성재로된 소음재(8)와, 축(5)의 외주면이 계합보스(6)에 내장되어 보스(6)를 항상 하방으로 압압하는 스프링(9)과 폿트(3)의 저면요소에 내설한 환상의 지지체(10)와, 지지체(10)의 내주에 출몰자재하게 설치되어 주위방향에 등간격으로 배치한 복수개의 크램프핀(11)과, 지지체(10)내에 있고 크램프핀(11)을 항시 돌출방향으로 압압하는 스프링(12)으로 구성되어 있고, 에어폿트(3)는 저부의 지지체(10)를 계합보스(6)의 외주에 감압하고 각 크램프핀(11)을 돌조(7)에 계합시키므로서 기대(1)상에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에어폿트(3)는 소음재(8) 및 스프링(9)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가 된다.
더우기 에어폿트(3)를 큰 힘으로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크램프핀(11)이 스프링(12)에 반하고 후퇴하여 계합보스(6)의 돌조(7)와 계합을 해제하게 되고 에어폿트(3)는 해탈할 수 있게 된다. 13은 에어폿트(3)의 저부에 고설된 기기측 접속기로서, 한쌍의 전극판(14)을 보유하고 있다. 15는 전극판(14)이 끼워지는 요구(16)를 형성하고 이 요구(16)의 내측에 전극받이(17)를 설치한 차체측 접속기로서, 기대(1)상에 가동자재하게 지지된다. 18은 차체측 접속기(15)의 양측 양단부에 형성한 요부, 19는 기대(1)상에 입설한 지지금구로서, 그 선단의 절곡편(20)을 요부(18)내에 삽입하고 이 요부(18)에 의하여 허용되는 범위내에서 상하, 좌우, 전후에 어느정도 이동할 수 있게 차체측 접속기(15)를 지지하고 있다. 21은 차체측 접속기(15)의 양측면에 착설한 연결구로서 탄성재로 구성되고, 기기측 접속기(13)의 양측면에 괘착한다. 22는 전원 코오드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에어폿트(3)의 지지체(10)를 기대(1)상의 계합보스(6)의 외주에 끼워 맞추면 기기측 접속기(13)의 전극판(14)이 차체측 접속기(15)의 요구(16)에 끼워져 그 내측의 전극받이(17)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에어폿트(3)에는 전원이 공급되는 한편 연결구(21)는 기기측 접속기(13)의 양측면에 탄성적으로 계착하여 접속기(13)를 협착하므로서 접속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중 차체(2)측의 기대(1)와 에어폿트(3)는 상이한 진동상태를 나타내지만, 차체측 접속기(15)는 기대(1)에 대하여 어느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기 대문에 기기측 접속기(13)와 일체적으로 진동하게 되어 진동의 차이에 의하여 양접속기(13), (15)가 파괴된다는 염려가 없게 되는 동시에 접속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우기 상기 실시예에서는 차체측 접속기를 가동자재하게 하고 있지만, 기기측 접속기를 가동자재하게 하여도 된다. 또한 연결구는 기기측 접속기에 설치하여도 같은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진동에 의하여 파괴되는 일 없이 장기간 안정된 접속상태를 발휘할 수 있는 전원접속 장치를 제공할 수 있어서 설치 실시함에 있어서 매우 유익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 2 의 실시예를 제 6 도 내지 제 8 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카폿트 등의 차량탑재용 기구의 계합장치는 차체(101)의 일부(도어의 내측등)에 차량탑재용 기구(102)를 지지하기 위한 착설판(103)이 나사(103a)에 의하여 고정설치되며 이 차량탑재용 기구(102)와 착설판(103)중에 일방에 계합요부(104)가 형성되고, 이 차량탑재용 기구(102)와 착설판(103)중 타측에 전기계합 요부(104)에 계합하는 피계합 돌부(105)가 형성되며, 이 계합요부(104)와 피계합 돌부(105)는 스프링(106)에 지지된 계합편(107)에 의하여 계탈자재하게 계합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계합요부(104)는 상기의 차량탑재용 기구(102)에 상기의 계합돌부(105)는 상기의 착설판(103)에 설치되었다.
상기의 착설판(103)은 상기의 차체(101)에 고정되는 고정판(103b)과, 상기의 차체(101)에서 돌출하며 당해 차체(101)와 착설판(103)사이에 간극(108)을 형성하는 돌판(103c)과 이 돌판(103c)과 상기의 고정판(103b)에 일체로 형성된 입상판(103d)으로 형성되며, 상기의 돌판(103c)의 표면의 실질적인 중앙부에 상기의 피계합 돌부(105)가 돌설되었다.
그리고 이 피계합 돌부(105)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서 이 피계합 돌부(105)는 그 선단이 도면에서 d1칫수로 형성되며 최대지름이 d2칫수가 되어 이 피계합 돌부(105)를 상기의 계합요부(104)에 계합할 때, 상기의 스프링(106)에 지지된 계합편(107)을 압압하는 우산형의 제 1 사면(105a)과, 이 피계합 돌부(105)를 상기의 계합요부(104)에 계합한 때에 이 피계합 돌부(105)와 계합요부(104)의 해탈방지 기능을 달성하는 상기의 제 1 사면(105a)과 반대경사의 제 2 사면(105b)과, 이 제 2 사면(105b)에 연속하는 도면중 d3칫수의 지름을 가진 목부분(105c)에 의하여 제 6, 8 도에서 표시된 바와같이 버섯형으로 형성되었다.
그리고 이 제 2 사면(105b)는 상기의 제 1 사면(105a)보다도 급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피계합 돌부(105)는 대략 중앙을 관통하는 착설나사(109)에 의하여 상기의 돌판(103c)에 고정된다.
또한 착설나사(109)는 돌판(103c)를 관통하여 하단에 너트(109a)가 나합되고, 또한 착설나사(109)의 큰지름 머리부(109c)는 피계합 돌부(105)의 중앙요부(105e)의 저면에 맞닿아 이 머리부(109c) 및 너트(109a)에 의하여 상기의 피계합 돌부(105)는 착설판(103)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의 계합요부(104)는 상기의 이 계합돌부(105)가 계합요부(104)에 계합한 경우에 이 피계합 돌부(105)의 선단 일부가 끼워지는 개입공간(110)이 연설되었다.
그리고 상기의 계합요부(104)의 내주벽 4개소 케이스(111)가 고정되고, 이 케이스(111)의 관통공(111a)에서 계합요부(104)의 중심방향을 향하여 상기의 계합편(107)이 관통돌출하고, 이 계합편(107)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편(107a)이 케이스(111)에 내장되고, 이 지지편(107a)과 케이스(111)의 내벽과의 사이에 상기의 계합편(107)을 계합요부(104)의 중심방향으로 압압하는 스프링(106)이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의 계합편(107)은 상기의 피계합 돌부(105)가 계합시에 상기의 피계합 돌부(105)의 제 1 사면(105a) 및 제 2 사면(105b)에 밀어붙쳐서 이 제 2 사면(105b)에 계합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의 계합요부(104)의 좌우폭은 상기의 피계합요부(105)의 최대지름 d2과 대략 동등한 폭으로 형성되면 상기의 개입공간(110) 좌우폭은 상기의 피계합 돌부(105)의 선단칫수 d1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었다.
다음에서 작용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차량탑재용 기구(102)의 적당한 부분을 잡고 피계합 돌부(105)에 계합요부(104)를 끼우도록 하여 계합한다.
이때 피계합 돌부(105)에 형성된 제 1 사면(105a)이 계합편(107)을 압압하면서 계합요부(104)가 들어간다. 이것은 계합편(107)을 지지하는 지지편(107a)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다시 차량탑재용 기구(102)를 밀어서 보다 깊게 계합하면 계합편(107)은 스프링(106)의 탄발력에 의하여 제 1 사면(105a)을 타넘고 제 2 사면(105b)에 계합하여 계합요부(104)가 피계합 돌부(105)에 완전히 끼워진다.
따라서 차체(101)의 진동에 대하여도 계합편(107)은 제 2 사면(105b)에 계합하고 있으므로 차량탑재용 기구(102)가 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계합요부의 좌우폭은 돌부(105)의 최대지름 d2와 대략 같은 폭이므로 계합편(107)이 제 1 경사벽(105a)을 타넘었을때 계합편(107)의 전부가 케이스(111)에 들어가게된다.
그리고 차량탑재용 기구(102)를 착설판(103)에서 해탈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차량탑재용 기구(102)의 적당한 부분을 잡고 잡아 빼는 것같이 하면, 계합편(107)이 제 2 사면(105b)을 타넘기 때문에 쉽게 해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계합요부를 차량탑재용 기구에, 또한 피계합 돌부를 착설판측에 배치하였으나 반대로 계합요부를 착설판측에 피계합 돌부를 차량탑재용 기구측에 배치하여도 된다.
다시 계합편을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계합요부에 배치하는 대신 피계합 돌부에 배치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설명에 의하여 명확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차체 일부에 차량탑재용 기구를 지지하기 위한 착설판이 설치되고, 이 차량탑재용 기구와 착설판 중의 일방에 계합요부가 형성되며, 이 차량탑재용 기구와 착설판 중의 타방에 전기계합요부에 계합하는 피계합 돌부가 형성되며, 이 계합요부와 피계합 돌부는 스프링에 지지된 계합편에 의하여 계탈 자재하게 계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용 기구의 계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계합요부가 스프링에 의하여 피계합 돌부에 계합하므로서 차체의 진동에 대하여 강하고 또한 해탈도 용이하게 되므로 카폿트 등의 차량탑재용 기구의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제 9 도 내지 제 10 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제 6 도∼제 8 도)의 부재와 동일한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차량탑재용기구(102)에 계합요부(104)가 형성되며 착설판(103)에는 상기의 계합요부(104)에 계합하는 피계합 돌부(105)가 돌설되고, 이 피계합 돌부(105)와 이것을 지지하는 상기의 착설판(103)간에 제 1 스프링 A가 장치되며, 이 계합요부(104)와 피계합 돌부(105)는 제 2 스프링(106)에 지지된 계합핀(107)에 의하여 계탈자재하게 계합된 것이다.
제 1 사면(105a)의 선단간은 도면중 d1칫수로 형성되고, 제 1 사면(105a)의 하단 최대지름이 d2칫수로 형성되고, 목부분(105c)은 d3칫수로 형성된다. 상기의 피계합 돌부(105)는 그 대략 중앙을 관통하는 착설나사(109)에 의하여 상기의 돌판(103c)에 고정된다.
또한 착설나사(109)는 돌판(103c)을 관통하여 하단에 너트(109a)가 나합되며, 또한 착설나사(109)의 큰지름 두부(109c)의 하면과 피계합 돌부(105)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중앙요부(105e)의 저면과의 사이에 전기 제 1 스프링 A가 장착되고 이 두부(109c) 및 너트(109a)에 의하여 전기 피계합 돌부(105)는 착설판(103)에 고정된다.
또한 이 피계합 돌부(105)와 전기돌판(103c)의 표면간에 완충기능을 가진 흡음재(109d)가 장치되었다. 여기서 차체(101)의 진동이 심하지 않을 경우 차량탑재용 기구(102)는 돌판(103c)에 안정되게 착설되어 있지만 진동이 격심하게 되면 제 10 도와 같이 차량탑재용 기구(102)는 돌판(103c)에서 떨어진다.
그러나 이때 피계합 돌부(105)는 제 1 스프링 A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이 제 1 스프링 A가 완충기능을 달성하고 차량탑재용 기구(102)가 떨어지더라도 직시에 계합요부(104)와 피계합요부(105)가 해탈하는 일은 없다.
또한 제 1 실시예의 제 1 도∼제 3 도에서 설명한 전원장치에 의하여 차량주행중 차체(2)측의 착설판(1)과 차량탑재용 기구(3)와는 상이한 진동상태를 나타내지만 차체측 접속기(15)는 착설판(1)에 대하여 어느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기기측 접속기(13)와 일체적으로 진동하게 되어 진동의 차이에 의하여 양접속기(13), (15)가 파괴된다는 염려가 없게됨과 동시에 접속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계합요부를 차량탑재용 기구에 또는 피계합 돌부를 착설판에 배치하였지만, 반대로 계합요부를 착설판측에 피계합 돌부를 차량탑재용 기구측에 배치하여도 된다. 다시 계합편을 상기 실시예와 같이 계합요부에 배치하는 대신 피계합 돌부에 배치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설명에서 분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차체일부에 차량탑재용 기구를 지지하기 위한 착설판이 설치되며, 이 차량탑재용 기구와 착설판중 어느 일방에 계합요부가 형성되고 이 차량탑재용 기구와 착설판중의 타방에 전기 계합요부에 계합하는 피계합 돌부가 돌설되고 이 피계합 돌부 또는 계합요부에 차체의 진동에 의한 차량탑재용 기구의 진동을 완충하는 제 1 스프링이 설치되고, 전기 계합요부와 피계합 돌부와는 제 2 스프링에 지지된 계합편에 의하여 계탈자재하게 계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용 기구의 계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계합요부가 스프링에 의하여 피계합 돌부에 계합함으로서 차체의 진동에 대하여 강하고 또한 해탈하기도 용이하므로서 카폿트 등의 차량탑재용 기구는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차량탑재용 기기의 전원 접속장치에 있어서는 한쌍의 전극판(14)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한쌍의 전극판(14)의 각각의 길이는 동일하여도 되지만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2매의 전극판으로 하지 않고 3매의 전극판으로 하여도 된다. 보통 차량탑재용 기기에 관한 배선구성은 전기용량에 의하여 2선식과 3선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배선구성을 제 14 도 및 제 15 도에 도시한다. 제 14 도에 표시한 2선식의 것은 전원선 a'와 어스선 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5 도에 도시한 3선식의 것은 전기용량이 큰때에 채용되는 것으로 전원선 c', 어스선 d'및 콘트롤선 e'로 구성되고, 릴레이 f'를 통하여 전원선 c'의 통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었다.
제 11 도 및 제 12 도는 3선식의 배선구성을 가진 전기기구의 각 전극단자와 각 전극삽입부와의 관계를 표시한 것이다. 제 11 도는 전기기구(301)의 하부에 설치된 각 전극단자(321), (322), (323)중 중앙에 위치한 콘트롤회로의 전극단자(322)의 길이를 그 양측에 위치한 전원회로의 각 전극단자(321), (323)이 길이보다 짧게 형성함과 동시에 이들 각 전극단자(321), (322), (323)에 대응하는 기반(302)상의 각 전극 삽입부(331), (332), (333)은 동일형상, 동일 높이로 형성한 것이다.
즉, 콘드롤회로의 전극단자(322)를 전원회로의 전극단자(321)(323)보다 길이 12만큼 짧게하고 있다.
이 경우 전기기구(301)를 기반(302)상에 임시 재치한 상태에서는 양측의 전극단자(321), (323)가 이들에 대응하는 기반(302)상의 전극삽입부(331), (333)에 각각 접촉하고 중앙전극단자(322)가 이것에 대응하는 전극삽입부(332)와 비접속상태가 된다.
또한 제 12 도는 전기기구(301)의 하부에 설치된 각 전극단자(324), (325), (326)의 길이를 각각 상이하게 한것으로서, 좌측의 전원회로의 전극단자(324)를 가장길게 하고 중앙의 콘트롤회로의 전극단자(325)를 가장 짧게 형성한 것이다.
즉 좌측의 전극단자(324)에 대하여 우측의 전극단자(326)를 길이 14만큼 짧게하고, 우측의 전극단자(326)에 대하여 중앙의 전극단자(325)를 길이 13만큼 짧게한 것이다.
이 경우 전기기구(301)를 기반(302)상에 임시로 재치한 상태에서는 좌측의 전기단자(324)만이 이것에 대응하는 기반(302)상의 전극삽입부(334)에 접촉하거나, 또는 양측의 전극단자(324), (326)가 이들에 대응한 기반(302)상의 각 전극 삽입부(334), (336)에 각각 접촉하게되고 적어도 중앙의 전극단자(325)와 이것에 대응한 전극삽입부(335)가 비접속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전극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제 13 도는 2선식 배선구성을 가진 전기기구(301)의 양전극기구(327), (328)와 기반(302)상에 설치된 양전극 삽입부(337), (338)와의 관계를 표시한 것이고, 전원회로의 일방의 전극단자(328)의 길이를 전원회로의 타방의 전극단자(327)의 길이보다 길이 13만큼 짧게 형성한 것이다.
이 경우 전기기구(301)를 기반(302)상 임시 재치한 상태에서는 일방의 전극단자(328)와 이것에 대응하는 기반(302)상의 전극삽입부(338)가 비접촉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전기기구(301)가 기반(302)상에 임시 재치한 상태가 되었다 하여도 전원회로의 전극이 전압이 인가되지 아니하므로 불안정한 접속상태가 할지라도 아아크가 발생하지 않고 전극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단, 상기한 어느경우(제 11 도 내지 제 13 도)에 있어서도 짧게 형성한 전극단자는 전기기구(301)를 기반(302)상에 확실하게 계합고정시킨 때 전극삽입부에 확실하게 삽입되는 길이 일 것은 당연한 것이다.
더우기 상기 각 실시예(제 11도 내지 제 13 도)에서는 전극단자의 길이를 다르게 하므로서 목적을 달성하고 있지만, 전극단자의 길이는 동일하게 하고 전극삽입부의 칫수를 다르게 하므로서 또는 기반(305)의 상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전극 삽입부가 설정되는 높이의 위치를 다르게 하므로서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하여도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기기구의 전원 접속구조에 의하면 전기기구가 기반상에 확실하게 계합고정되지 않은 임시 재치한 상태에서의 접촉불량에 의한 아아크의 발생 및 이것에 의한 전극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카폿트를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타의 차량탑재용 기기에 본 발명이 사용되어도 되는 것이다.
더우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상기 실시예에 많은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3)

  1. 진동하는 구조의 일부이고 또는 진동하는 구조에 부착할 수 있는 차체측 접속기(15)에 기기측 접속기(13)를 착탈 자재하게 설치하고, 상기 차체측 접속기(15)와 기기측 접속기(13)중 어느 일방에는 피계합 돌부(105)를 돌설하고, 타방에는 상기 피계합 돌부(105)를 수용하는 계합요부(104)를 갖는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합요부(104)내에 수용된 상기 피계합 돌부(105)를 가동자재하게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106) 압압의 계합수단과, 상기 차체측 접속기(15)와 기기측 접속기(13)중 어느 일방으로부터 돌출하여 있고 아울러 중앙을 관통하는 착설 나사(109)에 의하여 고정되는 보스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피계합 돌부(10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용 기구의 계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측 접속기(15)의 진동에 의해 발생된 상기 기기측 접속기(13)의 진동을 완충하기 위하여 스프링 수단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용 기구의 계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단은 상기 피계합 돌부(105)가 상기 계합요부(104)에 수용되어 있을 때 상기 차체측 접속기(15)에 대하여 상기 기기측 접속기(13)의 소정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홰재용 기구의 계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재는 상기 계합수단에 의하여 상기 계합요부(104)에 계합되어 있고 아울러 상기 스프링 수단의 압압에 대항하여 상기 기기측 접속기(13)와 차체측 접속기(15)중 어느 하나에 해탈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용 기구의 계합장치.
  5. 제 4 항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단은 상기 착설나사(109)로 관통하여 보스부재에 배치되고 아울러 상기 착설나사(109)와 상기 보스부재의 내부 사이에 압압되어 있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용 기구의 계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수단은 상기 보스부재의 위측과 계합하기 위하여 상기 계합요부(104)의 중심방향으로 압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용 기구의 계합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재는 버섯모양의 구조를 갖고, 그리고 상기 계합수단은 상기 보스부재의 머리부(109c) 아래에서 계합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용 기구의 계합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요부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각 스프링에 의해서 중심방향으로 압압되어 있는 복수의 상기 계합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용 기구의 계합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수단과 이와 대응하는 스프링은 상기 계합요부(104)내에 고정된 케이스(111)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계합수단은 상기 케이스(111)의 내벽에 있는 각 관통공(111a)을 통하여 중심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용 기구의 계합장치.
  10.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측 접속기(15)에 대한 상기 기기측 접속기(13)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접속기(13), (15) 사이에 설치된 흡음재(109)가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용 기구의 계합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109)는 상기 보스부재의 일부로 형성되어 있고 아울러 상기 접속기(13), (15)중 어느 하나의 상기 보스부재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용 기구의 계합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측 접속기(13)는 전기장치이고, 상기 차체측 접속기(15)에서 상기 기기측 접속기(13)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접속기(13), (15)중 일방에 설치되고 아울러 복수의 전극단자(321∼328)를 구비한 제 1 결합부재와, 상기 접속기(13), (15)중 타방에 설치되고 아울러 상기 전극단자의 각각을 계합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전극 삽입부(331∼338)를 포함하는 제 2 결합부재를 구비한 2선식 배선구성이 제공되며, 상기 전극단자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것보다도 짧거나 또는 상기 전극 삽입부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것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용 기구의 계합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장치는 차체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용 기구의 계합장치.
KR1019920000574A 1985-06-18 1992-01-16 차량의 탑재기기용 계합장치 Expired KR920004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0574A KR920004732B1 (ko) 1985-06-18 1992-01-16 차량의 탑재기기용 계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5-93264 1985-06-18
JP9326485U JPH0535022Y2 (ko) 1985-06-18 1985-06-18
JP1985138939U JPS6246242U (ko) 1985-09-10 1985-09-10
JP85-138938 1985-09-10
JP85-138939 1985-09-10
JP1985138938U JPH0513649Y2 (ko) 1985-09-10 1985-09-10
JP14021585U JPH0352196Y2 (ko) 1985-09-12 1985-09-12
JP85-140215 1985-09-12
JP1986044604U JPH0517824Y2 (ko) 1986-03-25 1986-03-25
JP86-44604 1986-03-25
KR1019860004753A KR920003850B1 (ko) 1985-06-18 1986-06-16 차량탑재기기의 전원접속장치
KR1019920000574A KR920004732B1 (ko) 1985-06-18 1992-01-16 차량의 탑재기기용 계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4753A Division KR920003850B1 (ko) 1985-06-18 1986-06-16 차량탑재기기의 전원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732B1 true KR920004732B1 (ko) 1992-06-15

Family

ID=27550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0574A Expired KR920004732B1 (ko) 1985-06-18 1992-01-16 차량의 탑재기기용 계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473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3850B1 (ko) 차량탑재기기의 전원접속장치
KR101862667B1 (ko) 접지형 콘센트장치
US5128847A (en) Detachable, low wattage track mounting lamp
US4992765A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KR920004732B1 (ko) 차량의 탑재기기용 계합장치
CN217691715U (zh) 摄像头及摄像头连接器安装结构
KR102064445B1 (ko) 커넥터용 고정클립 지지유닛
US20040212538A1 (en) Antenna contact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EP0618760A1 (en) Clip for attaching a print circuit board
KR920003851B1 (ko) 차량의 탑재기기용 계합장치
JPH0722085A (ja) 端子台装置
KR200142569Y1 (ko) 배터리 단자 및 커넥터
KR102064446B1 (ko) 커넥터용 고정클립 지지유닛
CN217421484U (zh) 空气压缩机
KR100334262B1 (ko) 자동차의 콘넥터 고정용 프로텍터
KR102064426B1 (ko) 커넥터용 고정클립 지지유닛
CN114122776B (zh) 一种连接器及连接装置
KR200299043Y1 (ko) 배터리-팩 충전장치의 어댑터
US4070079A (en) Lamp socket and clamping device
KR100399751B1 (ko) 배터리 케이블 단자 체결 구조
KR200160586Y1 (ko) 전동차의 고정접촉자부용 판스프링
KR200171666Y1 (ko) 커넥터소켓
JP2990366B2 (ja) バッテリ端子の接続構造
KR200263423Y1 (ko) 자동차용 박스의 커넥터 조립구조
KR930008010Y1 (ko) 전지의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5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199906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90616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