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3851B1 - 차량의 탑재기기용 계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탑재기기용 계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851B1
KR920003851B1 KR1019910013895A KR910013895A KR920003851B1 KR 920003851 B1 KR920003851 B1 KR 920003851B1 KR 1019910013895 A KR1019910013895 A KR 1019910013895A KR 910013895 A KR910013895 A KR 910013895A KR 920003851 B1 KR920003851 B1 KR 920003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recess
support
vehicle
engage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3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히코 카와사키
코우이치 이케다
시니치 키무라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쓰지 하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326485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35022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5138939U external-priority patent/JPS6246242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513893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3649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4021585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52196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044604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7824Y2/ja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60004753A external-priority patent/KR920003850B1/ko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쓰지 하루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910013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8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851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의 탑재기기용 계합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의한 차량탑재기기의 전원 접속장치를 표시한 정면도.
제 2 도와 제 3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에 있어 차체측의 접속부를 표시한 정면도와 좌측면.
제 4 도는 본 발명장치를 실시한 에어폿트 설치상태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표시한 차량탑재용 기구의 요부횡단단면도.
제 6 도는 제 5 도 차량탑재용 기구의 자성체의 착설 상태를 표시한 분해 사시도.
제 7 도는 제 6 도 착설판의 횡단단면도.
제 8 도는 제 5 도 차량탑재용 기구와 착설판과의 계합 상태를 표시한 횡단단면도.
제 9 도 내지 제 11 도는 전극단자와 전극 삽입부와의 관계도.
제 12 도는 2선식 배선도.
제 13 도는 3선식 배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에어폿트 4 : 타성지지장치
8 : 소음재 9 : 스프링
10 : 지지체 11 : 크램프핀
13 : 기기측접속기 14 : 전극판
15 : 차체측접속기 19 : 지지금구
21 : 연결구 22 : 전원코오드
201 : 차체 204 : 계합요부
205 : 피계합돌부 206 : 자성체
207 : 강판 208 : 장공
210 : 지지공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하여 사용하는 전기폿트등의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탑재용 기기의 차량착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카폿트 등의 차량탑재용 기구는 차량탑재용 기구를 차체에 나사등으로 고정하는 형식의 것, 또는 전혀 차체에는 고정하지 않고 좌석 시트상에 방치하거나 창문틀에 걸어서 사용하는 형식의 것들이 주로 있었다.
그러나 차량탑재용 기구를 이동시키거나, 어떠한 위치나 방향에 고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서는 나사를 매번 풀을 필요가 있어서 매우 번거로웠다. 또한 시트위에 방치하거나 하면 안전상 바람직하지 않고, 차량탑재용 기구를 분실하는 사례도 있다. 또한 창문틀에 걸어 사용하는 형식의 것은 차체의 진동에 의하여 벗겨지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탑재용 기구와 그 착설장치와의 접속부가 차체의 격심한 횡방향 진동에 의하여 마모되어 기구의 사용수명이 짧아지는 결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폿트등의 기기에 있어서는 물의 보급등을 고려하여 차체의 적당한 위치에 착탈할 수 있게 설치하게 되지만 착탈을 고려하고 설치한 경우에는 차량의 주행중 차체와 기기와는 상이한 진동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는 기기측 접속기와 차체측 접속기를 다같이 고정상태로 설치한 경우에는 차량주행중 양접속기가 서로 상이한 진동상태가 되기 때문에 양접속부의 파괴, 나아가서는 양접속기 자체가 파괴되게 되어 실용화에 있어서는 진동에 대하여 충분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더우기 장기간에 걸쳐 안정된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전원접속장치가 요구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차체의 진동에 대한 내진성이 있고 사용하기에 편리한 카폿트 등의 차량탑재용 기기의 계합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1은 차체(2)의 적당한 위치에 부착한 기대, 3은 물끓이기와 보온 기능을 가진 에어폿트이고, 상기 폿트(3)는 기대(1)상에 자성체 구조에 의하여 착탈자재하게 설치한다. 13은 에어폿트(3)의 저부에 고설된 기기측 접속기로서 한쌍의 전극판(14)을 보유하고 있다. 15는 전극판(14)이 끼워지는 요구(16)를 형성하고 이 요구(16)의 내측에 전극받이(17)를 설치한 차체측 접속기로서 기대(1)상에 가동자재하게 지지된다. 18은 차체측 접속기(15)의 양측양단부에 형성한 요부 19는 기대(1)상에 입설한 지지금구로서, 그 선단의 절곡편(20)을 요부(18)내에 삽입하고 이 요부(18)에 의하여 허용되는 범위내에서 상하, 좌우, 전후에 어느 정도 이동할 수 있게 차체측접속기(15)를 지지하고 있다.
21은 차체측 접속기(15)의 양측면에 착설한 연결구로서 탄성재로 구성되고, 기기측 접속기(13)의 양측면에 괘착한다. 22는 전원코오드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에어폿트(3)의 지지체(10)를 기대(1)상의 계합보스(6)의 외주에 끼워 맞추면 기기측 접속기(13)의 전극판(14)이 차체측 접속기(15)의 요구(16)에 끼워져 그 내측의 전극받이(17)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에어폿트(3)에는 전원이 공급되는 한편 연결부(21)는 기기측 접속기(13)의 양측면에 탄성적으로 계착하여 접속기 (13)를 협착하므로서 접속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중 차체(2)측의 기대(1)와 에어폿트(3)는 상이한 진동상태를 나타내지만, 차체측 접속기(15)는 기대(1)에 대하여 어느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기기측 접속기(13)와 일체적으로 진동하게 되어 진동의 차이에 의하여 양접속기(13), (15)가 파괴된다는 염려가 없게 되는 동시에 접속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우기 상기 실시예에서는 차체측 접속기를 가동자재하게 하고 있지만, 기기측접속기를 가동자재하게 하여도 된다. 또한 연결구는 기기측 접속기에 설치하여도 같은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진동에 의하여 파괴되는 일 없이 장기간 안정된 접속상태를 발휘할 수 있는 전원접속장치를 제공할 수 있어서 설치 실시함에 있어서 매우 유익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 5 도 내지 제 8 도에 따라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카폿트 등의 차량탑재용 기구의 계합장치는 자체(201)의 일부(문짝등의 내면)에 차량탑재용기구(202)(카폿트)를 지지하기 위한 철재등의 금속재착설판(203)이 나사(203a)로 고정설치되고, 이 차량탑재용기구(202)와 착설판(203)중의 일방에 계합요부(204)가 형성되고, 이 차량탑재용기구(202)와 착설판(203)중의 타방에 상기의 계합요부(204)에 계탈자재하게 계합하는 피계합돌부(205)가 돌설되고 상기의 계합요부(204)의 저부에 적방체의 자성체(206)가 한쌍의 강판(207)에 협삭착설되고 상기의 피계합돌부(205)는 전기자성체(206)에 흡착하는 철재등의 흡착성재료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의 착설판(203)은 상기의 차체(201)의 내측에 돌출한 돌출 상면판(203b)과 상기의 차체(201)에 나사(203a)로 고정되는 고정판(203c)과 이 양판(203b), (203c)에 걸쳐진 돌출경사벽(203d)이 프레스 가공 또는 조임가공동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하게 된다(용접등으로 타의 부품을 고착시켜도 된다).
상기의 피계합돌부(205)는 상기의 돌출부상면판(203b)과 돌출부 경사벽(203d)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의 계합요부(204)는 상기의 차량탑재용기구(202)의 저면에 형성된 요부저판(202a)과 상기의 고정판(203c)에 이착좌(離着座)하는 이착판(202b)과 이양판(202a), (202b)에 걸쳐지는 요부경사벽(202c)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의 요부저판(202a)의 좌우각부에는 한쌍의 장공(208)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의 계합요부(204)의 상측에 상기의 강판(207)을 지지하는 판상의 제 1 지지체(209)가 설치되며, 이 제 1 지지체(209)에는 지지공(210)이 형성되고, 상기의 강판(207)은 상기의 장공(208)과 지지공(210)을 관통하여 착설되어 있다.
즉 한쌍의 강판(207)의 중앙에 자성체(206)가 끼워져 있고 강판의 상부양측에 절단부분(207a)이 형성되며 이 절단부분(207a)에 의하여 상기의 강판(207)의 상단양측부에 상기의 지지체(209)에 계합하는 계합편(207b)이 형성된다. 일방지지공(210)은 장공부(210A)와 그 중앙부에서 좌우양측에 형성된 소공부(210B)에 의하여 +자형으로 형성되고 장공부(210A)의 전장 A는 상기의 강판(207)의 폭이 되고 또한 장공부의 좌우폭 B는 적어도 강판(207)의 2판의 두께보다도 크게 되며, 또한 지지공(210)의 소공부(210B)는 전장 C가 상기의 강판(207)의 절단부(207a)의 폭과 같은 칫수로 된다.
그리고 상기의 강판(207)은 그 계합편(207b)이 상기의 지지체(209)의 소공부(210B)의 공벽(210a)에 계합된다. 상기의 제 1 지지체(209)는 상기의 계합요부(204)의 측부에 형성된 제 2 지지체(211)에 지지된다. 다음은 작용을 설명하면, 착설판(203)에 형성된 피계합돌부(205)를 차량탑재용기구(202)에 형성된 계합요부(204)에 끼워지게 계합한다. 이때 강판(207)에 형성된 제 1 돌편(207a)이 돌출부상면판(203b)에 압착된다.
이것은 자성체(206)의 자력이 강판(207)을 통하여 금속제의 돌출부상면판(203b)을 흡착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자성체(206)에 의한 흡착력은 미끄러지는 방향(제 14 도의 D방향)에 대하여서는 약하므로 미끄러지는 방향의 힘이 차량 탑재용기구(202)에 걸렸을때(예를들면 차량정지시의 관성력이 작용한때), 차량탑재용기구(202)에 착설된 강판(207)이 돌출부상면판(203b)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것을 피계합돌부(205)와 계합요부(204)의 양 경사벽(202c), (203d)이 맞물림하여 방지하여 준다. 이것에 의하여 자체의 상하, 좌우의 진동에 대한 흡착유지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요철의 형상이 차량탑재용기구(202)를 착설판(203)에 상측 방향에서 재치할때에 위치마추기의 가이드역활도 한다. 차량탑재용기구(202)를 이동하고져 할때에는 사용자가 차량탑재용 기구(202)를 잡고 자성체(206)의 흡착력보다도 큰 힘으로 착설판(203)에서 해탈하면 된다.
또한 조립공정에 있어서는 강판(207)을 지지공(210)에 계합할 경우 한쌍의 강판(207)의 판면을 맞추고 지지공(210)의 장공부(210A)에서 관통하고 그후 양강판(207)사이를 떼어놓고 각 강판(207)에 형성된 절단부(207a)를 소공부(210B)에 끼워서 계합판(207b)을 소공부(210B)의 공벽(210a)에 계합하고, 그후 양강판(207)으로 자성체(206)를 협지하여 강판(207)을 자성체(206)로 흡착한다.
그리고 지지체(209)에 지지된 강판(207)의 하단을 계합요부(204)의 장공(208)에서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그후 제 1 지지체(209)와 제 2 지지체(211)를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계합요부를 차량탑재용기구에, 피계합돌부를 착설판측에 배치하였지만, 반대로 계합요부를 착설판측에 피계합돌부를 차량탑재용기구측에 배치하여도 된다. 더우기 이 강판의 선단의 위치는 차량탑재용기구(202) 저부의 가장 돌출한 외곽위치에서 칫수(h)만큼 요입된 위치이지만 동일한 면 또는 반대로 돌출한 위치에 있으면 차량탑재용기구(202)를 방치한 장소에서 철계통의 이물질을 강판(207)에 흡착하여 실제로 차체측의 착설판(203)에 계합시킬 때 이물질이 장애가 되어 정규한 위치에 계합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설명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체일부에 차량탑재용 기구를 지지하기 위한 착설판이 설치되어 차량탑재용기구의 착설판중 일방에 계합요부가 형성되고 차량탑재용 기구와 착설판중 타방에 상기의 계합요부에 계탈지재하게 계합하는 피계합돌부가 형성되고 상기의 계합요부의 저부에 자성체가 착설되고, 상기의 피계합돌부는 상기의 자성체에 흡착되는 흡착성재료로 되었음을 특징으로 한 차량탑재용기구의 계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성체의 흡착력으로 차량탑재용 기구가 착설판에 탁탈자재하게 착설되므로 이동을 필요로 할 경우 그 해탈이 용이하고 또한 자성체의 흡착력과 피계합요부와 계합돌부의 계합에 의하여 차체의 진동에 대하여 강하고 차량탑재용기구의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차량탑재용기기의 전원접속장치에 있어서는 한쌍의 전극판(14)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한쌍의 전극판(14)의 각각의 길이는 동일하여도 되지만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2매의 전극판으로 하지 않고 3매의 전극판으로 하여로 된다. 보통 차량탑재용기기에 관한 배선구성은 전기용량에 의하여 2선식과 3선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배선구성을 제 12 도 및 제 13 도에 도시한다. 제 12 도에 표시한 2선식의 것은 전원선 a'와 어스선 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3 도에 도시한 3선식의 것은 전기용량의 큰때에 채용되는 것으로 전원선 c', 어스선 d' 및 콘트롤선 e'로 구성되고, 릴레이 f'를 통하여 전원선 c'의 통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었다.
제 9 도 및 제 10 도는 3선식의 배선구성을 가진 전기기구의 각 전극단자와 각 전급삽입부와의 관계를 표시한 것이다. 제 9 도는 전기기구(301)의 하부에 설치된 각 전극단자(321), (322), (323)중 중앙에 위치한 콘트롤회로의 전극단자(322)의 길이를 그 양측에 위치한 전원회로의 각 전극단자 (321) (323)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함과 동시에 이들 각 전극단자(321), (322), (323)에 대응하는 기반(302)상의 각 전극 삽입부(331), (332), (333)은 동일형상, 동일 높이로 형성한 것이다.
즉, 콘트롤회로의 전극단자(322)를 전원회로의 전극단자(321) (323)보다 길이 l2만큼 짧게 하고 있다. 이 경우 전기기구(301)를 기반(302)상에 임시 재치한 상태에서는 양측의 전극단자(321), (323)가 이들에 대응하는 기반(302)상의 전극삽입부(331), (333)에 각각 접촉하고 중앙전극단자(322)가 이것에 대응하는 전극삽입부(332)와 비접속상태가 된다. 또한 제 10 도는 전기기구(301)의 하부에 설치된 각 전극단자(324), (325), (326)의 길이를 각각 상이하게 한 것으로서, 좌측의 전원회로의 전극단자(324)를 가장 길게 하고 중앙의 콘트롤회로의 전극단자(325)를 가장 짧게 형성한 것이다.
즉 좌측의 전극단자(324)에 대하여 우측의 전극단자(326)를 길이 l4만큼 짧게 하고, 우측의 전극단자(326)에 대하여 중앙의 전극단자(325)를 길이 l3만큼 짧게 한 것이다.
이 경우 전기기기(301)를 기반(302)상에 임시로 재치한 상태에서는 좌측의 전기단자(324)만이 이것에 대응한 기반(302)상의 전극삽입부(334)에 접촉하거나, 또는 양측의 전극단자(324), (326)가 이들에 대응한 기반(302)상의 각 전극 삽입부(334), (336)에 각각 접촉하게 되고 적어도 중앙의 전극단자(325)와 이것에 대응한 전극삽입부(335)가 비접속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전극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제 11 도는 2선식 배선구성을 가진 전기기구(301)의 양전극기구(327), (328)와 기반(302)상에 설치된 양전극삽입부(337), (338)와의 관계를 표시한 것이고, 전원회로의 일방의 전극단자(328)의 길이를 전원회로의 타방의 전극단자(327)의 길이보다 길이 l3만큼 짧게 형성한 것이다.
이 경우 전기기구(301)를 기반(302)상에 임시 재치한 상태에서는 일방의 전극단자(328)와 이것에 대응하는 기반(302)상의 전극 삽입부(338)가 비접촉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전기기구(301)가 기반(302)상에 임시 재치한 상태가 되었다 하여도 전원회로의 전극이 전압이 인가되지 아니하므로 불안정한 접촉상태라 할지라도 아아크가 발생하지 않고 전극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단, 상기한 어느 경우(제 9 도 내지 제 11 도)에 있어서도 짧게 형성한 전극단자는 전기기기(301)를 기반(302)상에 확실하게 계합고정시킨때 전극삽입부에 확실하게 삽입되는 길이 일 것은 당연한 것이다.
더우기 상기 각 실시예(제 9 도 내지 제 11 도)에서는 전극 단자의 길이를 다르게 하므로서 목적을 달성하고 있지만, 전극단자의 길이는 동일하게 하고 전극삽입부의 칫수를 다르게 하므로서 또는 기반(305)의 상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전극 삽입부가 설정되는 높이의 위치를 다르게 하므로서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하여도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기기구의 전원 접속구조에 의하면 전기기기구가 기반상에 확실하게 계합고정되지 않은 임시 재치환 상태에서의 접촉불량에 의한 아아크의 발생 및 이것에 의한 전극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카폿트를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타의 차량탑재용기기에 본 발명이 사용되어도 되는 것이다.
더우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상기 실시예에 많은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6)

  1. 진동하는 구조의 일부이고 또는 진동하는 구조에 부착할 수 있는 차체측 접속기(15)에 기기측접속기(13)를 착탈자재하게 설치하고, 상기 차체측접속기(15)와 기기측접속기(13)중 어느 일방에는 피계합돌부(205)를 돌설하고, 타방에는 상기 피계합돌부(205)를 수용하는 계합요부(204)를 갖는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합요부(204)에 수용된 상기 피계합돌부(205)를 자성적으로 가동자재하게 지지하기 위한 자성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계합요부(204)는 요부저판(202a), 그리고 상기 계합요부(204)를 둘러싸는 이착판(202b)으로부터 상기 요부저판(202a)의 부근까지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안쪽으로 경사져 있는 요부경사벽(202c)를 포함하며, 상기 피계합돌부(205)는 상기 요부경사벽(202c)과 동일하게 경사진 돌출경사벽(203d)을 상기 자성체 수단에 의해 계합하기 위한 돌출 상면판(203b)을 구비하여서, 상기 피계합돌부(205)가 상기 계합요부(204)에 계합되어 있을때 상기 요부 경사벽(202c)과 상기 돌출경사벽(203d)이 서로 면접하도록 놓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기구의 계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수단은 자성체(206)가 끼워져 있고, 상기 피계합돌부(205)의 일부분과 계합하기 위하여 상기 계합요부(204)에 설치된 대응의 강판(207)이 배치된 한쌍의 제 1 지지체(20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용 기구의 계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저판(202a)은 상기 제 1 지지체의 끝이 관통되게 한쌍의 장공(208)이 형성되고, 상기 강판(207)이 상기 요부 저판(202a)을 통하여 상기 계합요부(204)로 돌출하는 제 1 지지체(209)이 끝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기구의 계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요부(204)의 계합되는 제 1 지지체(209)는 상기 계합요부 (204)와 이탈되어 상기 요부저판(202a)의 일측면의 위치에서 고정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지체(209)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요부저판(202a)의 배면 사이에 배치된 상기 자성체(26)와 계합되고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용 기구의 계합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장치는 전기적 장치(301)이고, 상기 전기적장치(301)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전기적장치와 지지체의 일방에 설치된 일측은 지지체 복수의 전극단자를 (321~328)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적장치(301)와 지지체의 타방에 설치된 타측은 상기 각 전극단자를 수용하여 계합하는 복수의 전극 삽입부(331~338)를 구비하며, 상기 전극단자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것보다 짧으며, 또는 상기 전극삽입부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것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용 기구의 계합장치 .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의 계합장치가 차체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기구의 계합장치.
KR1019910013895A 1985-06-18 1991-08-12 차량의 탑재기기용 계합장치 Expired KR920003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3895A KR920003851B1 (ko) 1985-06-18 1991-08-12 차량의 탑재기기용 계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6485U JPH0535022Y2 (ko) 1985-06-18 1985-06-18
JP60-93264 1985-06-18
JP60-138938 1985-09-10
JP1985138939U JPS6246242U (ko) 1985-09-10 1985-09-10
JP60-138939 1985-09-10
JP1985138938U JPH0513649Y2 (ko) 1985-09-10 1985-09-10
JP14021585U JPH0352196Y2 (ko) 1985-09-12 1985-09-12
JP60-140215 1985-09-12
JP61-44064 1986-03-25
JP1986044604U JPH0517824Y2 (ko) 1986-03-25 1986-03-25
KR1019860004753A KR920003850B1 (ko) 1985-06-18 1986-06-16 차량탑재기기의 전원접속장치
KR1019910013895A KR920003851B1 (ko) 1985-06-18 1991-08-12 차량의 탑재기기용 계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4753A Division KR920003850B1 (ko) 1985-06-18 1986-06-16 차량탑재기기의 전원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851B1 true KR920003851B1 (ko) 1992-05-15

Family

ID=33437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3895A Expired KR920003851B1 (ko) 1985-06-18 1991-08-12 차량의 탑재기기용 계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85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3850B1 (ko) 차량탑재기기의 전원접속장치
JPH0463560B2 (ko)
JPH09288956A (ja) 接触器の接触ユニットスライド
CN212778175U (zh) 冰箱门体
KR900005847A (ko) 전기기기의 레일부착장치
CN114400411A (zh) 换电导向限位组件、电池包总成及含其的电动车
KR920003851B1 (ko) 차량의 탑재기기용 계합장치
EP0707325B1 (en) Improved fuse holder assembly having improved fuse clips for mounting on a printed circuit board
KR102105469B1 (ko) 누전 차단기
CN217273997U (zh) 超薄轨道灯
KR100230937B1 (ko) 연장 지지판을 가지고 있는 가동 커넥터
CN212571594U (zh) 便于接电的轨道灯导电盒结构
CN210040078U (zh) 触头支架以及接触器
GB2209892A (en) Anti-vibration, connector for mounting a water heater in a car
CN212298888U (zh) 轨道灯导电盒结构
CN220287342U (zh) 一种磁吸盒以及磁吸轨道灯
CN212298669U (zh) 便于安装的轨道灯导电盒结构
CN222813519U (zh) 一种控制器安装结构及断路器
CN210467630U (zh) 一种便于安装的开关
CN215069823U (zh) 一种接触器的双线圈切换机构
KR0119118Y1 (ko) 기중차단기용 컨넥터장치
CN2428884Y (zh) 防脱落插头插座
KR960004512Y1 (ko) 캠코더의 마이크 고정장치
KR200209709Y1 (ko) 휴즈홀더 고정대
KR910001772Y1 (ko) 휴즈, 터미날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50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199905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90516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