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0331Y1 - 자동차시이트 고정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시이트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331Y1
KR920000331Y1 KR2019890005852U KR890005852U KR920000331Y1 KR 920000331 Y1 KR920000331 Y1 KR 920000331Y1 KR 2019890005852 U KR2019890005852 U KR 2019890005852U KR 890005852 U KR890005852 U KR 890005852U KR 920000331 Y1 KR920000331 Y1 KR 9200003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hole
transverse
lever arm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58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799U (ko
Inventor
다츠나리 이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Publication of KR9000047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7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3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331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7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the socket having a resilient part on its out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7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the socket having a further molded-in or embedded component, e.g. a ring with snap-in teeth molded into 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4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44017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with specific mounting means for attaching to rigid or semirigid supporting structure or structure-to-be-secur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4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44017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with specific mounting means for attaching to rigid or semirigid supporting structure or structure-to-be-secured
    • Y10T24/44026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with specific mounting means for attaching to rigid or semirigid supporting structure or structure-to-be-secured for cooperating with aperture in supporting structure or structure-to-be-secu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시이트 고정구
제1도는 시이트 와이어와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시이트를 고정한 상태의 단면도.
제3도는 고정구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의 V-V선 단면도.
제6도는 레버아암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통형다리부
3 : 통벽 3′ : 통벽내부
4,5 : 상하플랜지 6 : 레버아암
7 : 걸림편 8 : 횡구멍
9 : 횡단면 10 : 조작편
11 : 스프링편 12 : 캠경사면
13 : 구멍 14 : 돌기
15,16 : 스톱퍼
본 고안은 자동차의 후부 좌석의 등받이나 좌석부(본 고안에서는 이들을 총칭하여 시이트라 함)를 자체 판넬에 붙이고 떼기 가능하게 고정하는 두개의 플라스틱제 부재로 되는 자동차 시이트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시이트의 고정구로서는, 자체 판넬에 대하여 고정하는 상자형의 외틀과 이 외틀의 내부에 지지되고 시이트내 내려오는 대략 U자형의 와이어를 물린 홀더로서 된 플라스틱제의 것을 본 출원인은 일본국 공개실용 신안공보 공개번호 소59-85731호, 공고번호 소63-13940호로서 제안한 바 있다.
이 고정구의 외틀내에 지지된 홀더는 와이어를 물어서 시이트를 고정한 닫침위치에서, 와이어를 분리하고 시이트를 벗겨낼 수 있는 열림위치로 외틀의 바깥에서 조작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에 따라 자동차의 수리등 필요할 때에는 홀더를 닫힘위치에서 열림위치로 조작하고 시이트를 자체에서 벗겨낸느 것이 가능하다.
이와같이 홀더를 열림위치와 닫침위치로 토글(Toggle)작용으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홀더에는 얇은 힌지부를 다수 설치하였기 때문에 이 힌지부에 의하여 홀더의 강도가 저하되고 시이트의 고정상태에서 큰 힘이 가해지면 홀더와 힌지부로 절단될 염려가 있다.
또 와이어를 몰려 있는 시이트에 고정하기 위하여는 외틀내의 홀더를 닫힘위치로 하여 두고, 이이트의 와이어가 외틀내로 강하되어 홀더를 아래로 튀어나오게 하면 홀더는 상기 토글작용으로 닫림위치로 변화되어 와이어를 물게 되고, 만약 외틀내에서 홀더가 닫힘위치로 되어 있으면 와이어가 홀더를 밑으로 튀어나오게 하여도 홀더는 와이어를 물 수가 없다.
그러나 상기 외틀내의 홀더가 바깥쪽에서 보아 열림위치인가 닫힘위치인가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일단 와이어로서 홀더를 아래로 튀어나오게 하여 홀더가 와이어를 물고 있지 않은 닫힘위치임을 알아낸 후 홀더를 열림위치로 변화시키고 다시 홀더를 아래로 당기는 것이 필요하게 되며 시이트의 고정작업의 능률이 저하된다.
또 시이트를 고정한 닫힘위치인 외틀내의 홀더를 여는 위치로 변화시키기 위하여는 외틀의 하단에서 밑으로 돌출하는 조작편을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고 조작하기도 어렵다.
본 고안은 상시 닫힘위치로 스프링작용하고 시이트의 와이어를 밑으로 눌러내리면 와이어로 스프링작용에 대항하여 일단 열리고 와이어가 밑으로 통과하면 탄발력으로 닫힘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함과 아울러 스프링 작용에 대항하여 닫힘위치에서 열림위치로 조작하는 것이 용이하며, 또한 매우 견고하며 강도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면이 개방된 통형다리부와, 이 통형다리부의 상단위에 연하여 점한 통벽과, 이 통벽의 상하에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바깥쪽으로 연장된 상하의 플랜지를 일체로 형성한 플라스틱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하 플랜지의 간격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플라스틱 레저아암으로 되며, 상기 본체는 하부 플랜지과의 사이에 판넬의 구멍가장자리를 아래쪽으로 부터 끼워 넣어 본체를 판넬에 대하여 고정하는 걸림편을 상기 통형다리붕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통벽에 횡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레버아암은 상기 횡구멍내에 끼워넣어 통벽의 내부를 횡으로 나누는 횡단편과, 이 횡단편과 배치(背置)되어 상기 상하부 플랜지의 간격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조작편과, 상기 통벽의 외면에 슬라이드접촉하며 상기 횡단편을 횡구멍에 끼워넣은 상태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편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횡단편의 상면에는 이 횡단편의 선단을 향하여 밑판의 캠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통벽은 횡구멍과 대향하는 위치에 구멍을 가지며 레버아암은 횡간면의 선단으로 상기 구멍에 끼워넣어지는 돌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체의 상하 두개의 플랜지가 일방 또는 쌍방과, 레버아암과의 사이에는 레버아암을 스프링편의 탄발력에 대향하여 회동하여 횡단편을 횡구멍에서 뽑아낸 때에 맞닿는 스톱퍼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면에서 (1)은 플라스틱으로 성형한 본체로서, 상면이 개방된 통형다리부(2)와 이 통형다리부(2)의 상단위에 연하여 접한 통벽(3)과, 이 통벽(3)의 상하에서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바깥으로 연장된 상하부 플랜지(4)(5)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6)은 본체(1)의 상하부 플랜지(4)(5)이 간격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아암이다.
상기 본체(1)는 하부 플랜지(5)와의 사이에서 판넬(P)의 구멍가장자리(P′)를 상하에서 끼워 본체(1)를 판넬(P)에 고정하는 걸림편(7)(7)을 상기 통형다리부(2)에 구비함과 아울러 통벽(3)에 횡구멍(8)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레버아암(6)은 횡구멍(8)내에 끼워넣어져서 통벽(3)의 내부(3′)를 횡으로 나누는 횡단편(9)와 이 횡단편(9)과 배치(背置)되어 상하부 플랜지(4)(5)의 간격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조작편(10)과, 통벽(3)의 외면에 슬라이드접촉되며 상기 횡단편(9)을 횡구멍(8)에 끼워넣은 상태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편(11)을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횡단면(9)의 상면에는 이 횡단면(9)이 선단을 향하여 밑판의 캠경사면(12)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본체(1)의 통벽(3)은 횡구멍(8)과 대항하는 위치로 구멍(13)을 가지며, 레버아암(6)은 횡단편(9)의 선단에 상기 구멍(13)에 끼워넣어지는 돌기(14)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본체(1)의 상하부 플랜지(4)(5)의 일방 또는 쌍방과 레버아암(6)의 사이에는 레버아암(6)을 스프링편(11)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횡단편(9)을 횡구멍(8)으로 부터 빼어낸때 맞닿는 스톱퍼(15)(16)를 설치한다.
본체(1)의 통형다리부(2), 통벽(3), 상하부 플랜지(4)(5)는 가늘고 기다란 형상이며, 횡구멍(8)은 통벽(3)의 일방의 직선변의 중앙에 개방설치하며, 닺형상의 걸림편(7)은 통형다리부(2)의 쌍방직선변의 중앙에서 역U자형의 슬리트(17)로 둘러사여져 있다.
상기 레버아암(6)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하부 플랜지(4)(5)의 일방의 반원형 단부에는 원형구멍(18)을 상하로 대항하여 천공하고 있다.
상기 레버아암(6)의 두께는 본체(1)의 상하부 플랜지(4)(5)의 상하 방향의 간격 보다 약간 작게 한다.
상기 레버아암(6)의 횡단면(9)는 상기 통벽(3)의 일방의 직선변의 중앙으로 뚫린 횡구멍(8)에 끼워넣어져 통벽(3)의 내부(3′)를 횡단하고, 그 선단은 타방의 직선변에 맞닿는 것에 대하여, 스프링편(11)의 자유단은 통벽(3)의 타방의 직선변에 슬라이드접촉하도록 부드럽게 만곡형성하고, 이에 따라 횡단편(9)을 횡구멍(8)에 끼워넣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즉 레버암(6)은 통벽(3)의 일방의 반원형 단부를 에워싸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편(1)의 기부의 상하에서는 상기 원형구멍(18)에 끼워 넣어지는 짧은축(19)이 일체로 끼워 넣어진다.
상기 본체(1)와 레버아암(6)을 조립하기 위하여는 횡단편(9)을 횡구멍(8)내로 넣으면서 레버아암(6)을 상하부 플랜지(4)(5)사이로 밀어넣고 플랜지(4)(5)의 간격을 짧은축(19)으로 넓히고, 짧은축(19)를 플랜지(4)(5)에 있는 원형구멍(18)에 끼워넣으면 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3도 및 제5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조립상태로 되고 스프링편 (11)은 약간 만곡을 이루게 변형되고 횡단면(9)을 횡구멍(8)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탄력지지하게 된다.
상기고정구를 고정할 차체판넬(P)에는 통형다리부(2)의 단면형상에 대응한 타원형의 구멍을 뚫어 놓고 하부 플랜지(5)의 하면이 판넬(P)의 상면에 맞닿을 때 까지 통형다리부(2)를 그 구멍에 상부로 부터 끼워넣는다.
이에 따라 통형다리부(2)에서 경사상 방향으로 길게 늘어난 걸림편(7)(7)은 구멍을 위에서 아래로 통과할때 구멍가장자리(P′)로 일단 눌려 넣어지게 되나, 구멍을 아래에서 통과한 후에 원상태로 복원되고 하부 플랜지(5)와 협동하여 구멍가장자리(P′)를 사이에 두고 본체(1)를 판넬(P)에 대하여 고정하게 된다.
시이트를 고정하기 위하여는 시이트에서 수직 방향으로 굽어진 U자형 와이어 (W)를 통벽(3)의 내부(3′)에 위에서 눌러 넣는다(제1도 화살표).
이것에 의하여 와이어의 상단은 횡단편(9)의 상면의 경사면(12)를 아래로 눌러지게 하고 이 경사면(12)에 생긴 분력으로 횡단편(9)은 횡구멍(8)에서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레버아암(6)은 제5도에서 화살표와 반대방향으로 짧은축 (19)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스프링편(11)은 재차 만곡하여 탄성력을 비축한다.
와이어(W)의 상단이 횡단편(9)의 선단을 아래로 통과하면 처음 조립상태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스프링편(11)의 복원력으로 레버아암(6)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횡단편(9)은 다시 통벽(3)의 내부(3′)를 횡단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시이트를 판넬(P)에서 위로 들러올리고자 하여도 와이어(W)의 하단이 횡단편(9)에 아래에서 걸려서 불가능하게 된다.
수리등의 이유로 시이트를 벗길 때는 조작편(10)에 손을 걸어 레버아암(6)을 제5도의 화살표로 표시한 반시계방향으로 스프링편(11)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돌리면, 횡단편(9)은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횡구멍(8)에서 빠지게 되고 이 상태 그대로 시이트를 들어올려 와이어(W)를 통벽(3)의 내부(3′)에서 끌어올리면 된다.
상길 본체(1)와 레버아암(6)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는 짧은축(19)의 상단을 레버아암(6)의 눌러넣는 방향을 향하여 도시와 같이 판의 경사면으로 하고 경사면의 하단은 상부 플랜지(4)의 상면, 하부 플랜지(5)의 하면과 동일 레벨로 하면 된다.
또 본체(1)의 통벽(3)에는 횡구멍(8)과 대향하는 구멍(13)을 뚫고 레버아암 (6)의 횡단면(9)의 선단에는 횡단편(9)이 횡구멍(8)에 끼워 넣어져서 통벽(3)의 내부(3′)를 횡단한 때 상기 구멍(13)에 끼워 넣어지는 돌기(14)를 설치하여 놓으면 고정한 시이트에 상향력이 가하여져서 와이어(W)의 하단이 횡단편(9)을 강한 힘으로 끌어올리게 되어 횡단편(9)은 파손되는 일이 없고 그 힘에 저항할 수 없다.
상기 돌기(14)는 횡단편(9)의 전폭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도시한 바와 같이 폭의 일부에서 돌출시키는 것으로 충분하다.
시이트를 벗기기 위하여 레버아암(6)의 조작편(10)을 제5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횡단편(9)을 횡구멍(8)로 부터 바같쪽으로 빼낼때 상하부 플랜지(4)(5)의 일방 또는 쌍방에서 바깥쪽으로 길게 나오게 설치한 스톱퍼(15)에 레버아암스톱퍼 (16)이 맞닿고 그 이상으로 레버아암스톱퍼(1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없도록 하면 레버아암(6)의 스프링편(1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하부 플랜지(4)(5)의 사이에는 레버아암(6)의 장입 및 그 동작을 재해하지 않도록 연결벽(20)으로 접속하고 보강하여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플랜지(4)(5)사이에 레버아암(6)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플랜지(4)(5)에 원구멍(18), 레버아암(6)에 짧은축(19)을 설치하였으나 반대로 원구멍(18)을 레버아암(6)에 설치하고 짧은축(19)을 플랜지(4)(5)의 대향한 면에 대향 설치하여도 좋다.
본 고안에서는 레버아암의 횡단면이 탄발력에 의하여 항상 통벽의 횡구멍에 끼워넣어져 통벽의 내부를 횡단한 닫힘위치에 있고, 횡단면의 상면은 선단을 향하여 밑판의 경사면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시이트의 와이어 하단을 통벽의 내부에 눌러주면 레버아암의 횡단면은 탄발력에 대항하여 횡구멍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와이어의 하단이 밑으로 통과하면 횡단편은 탄발력에 의하여 재차 닫힘위치로 복귀하여 시이트를 고정한다.
따라서 레버아암의 횡단편이 닫힘 위치인가 열림 위치인가를 알아볼 필요가 없이 시이트 고정이 행하여져서 시이트의 고정작업이 일층 향상된다.
또한 레버아암의 조작편을 조작하고 횡단편을 탄발력에 대항하여 통벽의 횡구멍에서 빼내고 시이트를 벗겨내는 것이 가능하지만 레버아암은 본체의 상, 하부 플랜지의 사이에 있고 차체판넬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그 조작을 행하기가 쉽다.
또 횡단편을 통벽의 횡구멍에 끼워넣은 상태로 하는 탄발력은 스프링이나 기타 다른 스프링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본체와 레버아암의 2개의 부재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본체(1)에는 상면이 개방된 통형다리부(2)와 이 통형다리부(2)의 상단 위에 연이어 접하는 통벽(3)과 이 통벽(3)의 상하에서 연장되는 상하부 플랜지(4)(5)를 형성하며, 상기 통형다리부(2)에는 하부플랜지(5)와의 사이에서 판넬(P)의 구멍가장자리 (P′)에 대하여 고정하는 걸림편(7)을 형성하고, 상기 통벽(3)에는 횡구멍(8)을 천공하며, 상기 본체의 상하부 플랜지(4)(5)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아암(6)에는 상기 횡구멍(8)에 끼워 넣어져서 통벽(3)의 내부(3′)를 횡으로 나누는 횡단편(9)과 이 횡단편(9)과 배치되어 상하부 플랜지(4)(5)의 사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조작편 10)과 상기 통벽(3)의 외면에 슬라이드 접촉되며 횡단편을 횡구멍에 끼워넣어진 상태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편(11)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횡단편(9)의 상면에는 이 횡단편(9)의 선단을 향하여 밑판의 캠경사면(12)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이트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통벽(3)은 횡구멍(8)과 대향한 위치에 구멍 (13)을 가지며 레버아암(6)은 횡단편(9)의 선단으로 상기 구멍(13)에 끼워넣어지는 돌기(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이트 고정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상하 두개의 플랜지(4)(5)의 일방 또는 쌍방과, 레버아암(6)의 사이에는 레버아암(6)을 스프링편(11)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회동하여 횡단편(9)을 횡구멍(8)으로 부터 빼낼때에 맞닿는 스톱펀(15)(16)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이트 고정구.
KR2019890005852U 1988-08-26 1989-05-04 자동차시이트 고정구 Expired KR92000033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8111302U JPH0523398Y2 (ko) 1988-08-26 1988-08-26
JP63-111302 1988-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799U KR900004799U (ko) 1990-03-07
KR920000331Y1 true KR920000331Y1 (ko) 1992-01-15

Family

ID=14557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5852U Expired KR920000331Y1 (ko) 1988-08-26 1989-05-04 자동차시이트 고정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916778A (ko)
JP (1) JPH0523398Y2 (ko)
KR (1) KR92000033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16357D0 (en) * 1990-07-25 1990-09-12 Dunlop Cox Ltd Vehicle seat attachment
FR2689824B1 (fr) * 1992-04-08 1996-10-04 Peugeot Dispositif a douille d'engagement pour la fixation d'un siege avant de vehicule automobile sur le plancher de ce vehicule.
FR2729439B1 (fr) * 1995-01-16 1997-04-04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Systeme de montage d'un element de siege sur un vehicule automobile
GB2301025A (en) * 1995-05-26 1996-11-27 Ford Motor Co A mounting system for vehicle seats
FR2946925B1 (fr) * 2009-06-23 2011-07-15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solidarisation d'une assise au plancher d'un vehicule
FR2957561B1 (fr) * 2010-03-18 2012-10-12 Raymond A & Cie Dispositif de fixation d'une assise de banquette sur un chassis de vehicule automobile, et ensemble comprenant une assise de banquette et un chassis equipe d'au moins un tel dispositif
FR2990165B1 (fr) * 2012-05-04 2014-05-09 Trw Automotive Electron & Comp Clip de fixation
CN104512280B (zh) * 2013-09-29 2017-08-04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坐垫锁止装置及具有其的车辆
DE102021112176A1 (de) * 2020-05-18 2021-11-18 Illinois Tool Works Inc. Befestigungsanordnung
EP4067671B1 (en) * 2021-04-01 2024-07-03 A. Raymond et Cie Lock for holding a first part to a second part and assembly of a first part and a second part
EP4067673B1 (en) 2021-04-01 2024-06-26 A. Raymond et Cie Lock for holding a first part to a second part and method of assembly and disassembly of a first part and a second par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887A (en) * 1890-09-02 Island
US1761497A (en) * 1929-07-16 1930-06-03 Barney C Garoff Supporter for fishing rods
US2038971A (en) * 1933-09-01 1936-04-28 Eugene Ltd Permanent waving
US3852943A (en) * 1973-08-27 1974-12-10 Meyer Ind Inc Portable safety clamp
JPH06313940A (ja) * 1993-03-04 1994-11-08 Fuji Photo Film Co Ltd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23398Y2 (ko) 1993-06-15
US4916778A (en) 1990-04-17
KR900004799U (ko) 1990-03-07
JPH0233144U (ko) 1990-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331Y1 (ko) 자동차시이트 고정구
US5494245A (en) Wiring harness retainer clip
JP3848427B2 (ja) プラスチック製アシストグリップ
KR20000064377A (ko) 힌지
KR100249364B1 (ko) 냉장고의 힌지 구조
JP2983906B2 (ja) 可撓性牽引ラッチ
US6622343B2 (en) Hinge for furniture
FR2590194A1 (fr) Mecanisme d'agrafeuse
US6471263B1 (en) Glass release button assembly of automotive tailgate
EP0643187B1 (fr) Chariot de lève-vitre pour véhicule automobile
EP0410864B1 (fr) Gâche de serrure pour battant de véhicule automobile par exemple
KR940001966Y1 (ko) 힌지 암을 갖는 힌지
KR19980046835U (ko) 자동차의 콘솔 박스 개폐장치
EP0773566B1 (fr) Appareil électrique à contact(s) mobile(s) monté(s) rotatif(s) sur un support de contact(s)
JP2530338Y2 (ja) 開閉体用トーションバーのハンガー装置
KR200244551Y1 (ko)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도어
KR0164985B1 (ko) 트렁크 리드용 밸런스-스프링의 비틀림량 조절장치
KR19980053169U (ko) 자동차의 뒷등받이 체결구조
JPS6120219Y2 (ko)
EP0778435B1 (fr) Dispositif de fixation d'une conduite à une paroi
KR970006969Y1 (ko) 자동차의 후드 래치
JPS6214304Y2 (ko)
JPH069276Y2 (ja) 自動車のスライド式ドアにおけるストッパー装置
JP2545922Y2 (ja) 排水栓の操作装置
KR970004292Y1 (ko) 냉장고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9050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9050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10517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112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203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203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2033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12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1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2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8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2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2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6

Year of fee payment: 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