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0104B1 - 크리스탈 발진기 회로 - Google Patents

크리스탈 발진기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104B1
KR920000104B1 KR1019840006752A KR840006752A KR920000104B1 KR 920000104 B1 KR920000104 B1 KR 920000104B1 KR 1019840006752 A KR1019840006752 A KR 1019840006752A KR 840006752 A KR840006752 A KR 840006752A KR 920000104 B1 KR920000104 B1 KR 920000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output
circuit
integrator
transis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6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640A (ko
Inventor
존 가이 마이클
거트만 죠안스
Original Assignee
모토로타 인코포레이티드
에이취 이보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타 인코포레이티드, 에이취 이보트선 filed Critical 모토로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50003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104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3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electromechanical resonator
    • H03B5/3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electromechanical resonator being a piezoelectric resonat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3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electromechanical resonator
    • H03B5/3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electromechanical resonator being a piezoelectric resonator
    • H03B5/36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electromechanical resonator being a piezoelectric resonator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3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electromechanical resonator
    • H03B5/3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electromechanical resonator being a piezoelectric resonator
    • H03B5/36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electromechanical resonator being a piezoelectric resonator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366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electromechanical resonator being a piezoelectric resonator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and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by a variable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oscillators covered by H03B
    • H03B2200/0014Structural aspects of oscillators
    • H03B2200/0026Structural aspects of oscillators relating to the pins of integra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oscillators covered by H03B
    • H03B2200/006Functional aspects of oscillators
    • H03B2200/0062Bias and operating poi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2Details
    • H03B5/04Modifications of generator to compensate for variations in physical values, e.g. power supply, load, temperature

Landscapes

  • Oscillators With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크리스탈 발진기 회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발진기 회로의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회로에 주파수 조정 수단이 부가된 발진기 회로도.
제3도는 제2도의 회로에 D.C. 바이어싱 회로가 부가된 발진기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차동 증폭기 20 : 크리스탈 회로
21 : 주파수 제어 회로
본 발명은 발진기 회로에 관한 것이며, 특히 크리스탈 제어 발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크리스탈 제어 발진기 회로의 문제점은 제어용 크리스탈의 오버톤 주파수에서 발진을 한다는 것이다.
오버톤 주파수에서의 발진은 기본 주파수에서 보다 오버톤 주파수에서 민감한 저이득을 가진 회로나, 양호하지 못한 위상 시피트에 민감한 회로를 사용하여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 공지되었다.
집적회로 기술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회로는 희망 응답을 제공하기 위해 저항-커패시터 시정수를 사용하여 만들어졌다.
온도와 제조 오차 현상으로 인한 시정수의 변화는 발진기의 루프 위상 시프트 변화를 초래하여 결과적으로 주파수 변화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증폭기와, 증폭기의 출력 및 입력 사이에 결합되며 제1적분기와, 제1적분기에 결합된 제2적분기를 포함한 발진 유지 귀환 루비를 구비하는 크리스탈 제어 발진기가 제공되어 오버톤 발진이 방지된다.
상기 두 개의 적분기는 각각 단지 이득만을 결정하는 RC 곱으로 규정되는 발진기의 90도 위상 시프트를 독립적으로 제공하여, 발진기가 온도나 제조 오차 현상으로 인한 시정수의 변화에 덜 민감하게 하도록 한다.
증폭기는 편의상 출력과 제1 및 제2입력을 갖는 차동 증폭기와, 차동 증폭기의 출력에 결합된 귀환 루프 및 제2적분기의 출력을 차동 증폭기의 제1 및 제2입력에 결합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제2적분기의 출력은 저항성 수단은 2개 단자 중 제1단자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두 단자는 차동 증폭기의 제1 및 제2입력 각각에 결합된다.
제1적분기는 차동 증폭기의 출력과 공급 단자 사이에 결합된 용량성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제2적분기는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를 가진 제1트랜지스터와, 제1트랜지스터의 입력 단자와 제1적분기 사이에 결합된 저항성 수단과, 제1트랜지스터의 출력 단자에 결합된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갖는 제2트랜지스터와, 제1트랜지스터의 입력 단자와 제2트랜지스터의 출력 단자 사이에 결합된 용량성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제2트랜지스터는 편의상 에미터 플로워로서 접속되어 있다.
발진기에는 발진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발진의 발진 주파수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은 두 개의 적분기중 제2적분기의 출력에 결합된 입력과 제2적분기의 입력에 결합된 출력을 가진 회로를 구비하여, 귀환 루프의 위상 시프트를 제어 회로에 의해 상기 입력에 인가된 제어 신호의 진폭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제로 위상 시프트에 대해 반대 방향의 루프 위상 시프트를 제공하는 진폭 범위를 갖는 제어 신호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제2적분기의 출력에 결합된 입력과 제어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출력을 가진 차동 증폭기 수단과 제어 신호의 진폭을 조정하기 위해 차동 증폭기 수단의 테일 전류(tailcurrent)를 변화시킬 수 있는 테일 전류 조정 수단을 구비한다.
차동 증폭기 수단은 회로의 출력을 제공하도록 서로 결합된 출력과 제2적분기의 출력에 결합된 입력을 갖는 두 차동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두 개의 차동 증폭기 테일 전류의 상대적 조정을 하도록 테일 전류 조정 수단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증폭기는 증폭기에 정(靜)동작 D.C. 바이어싱을 제공하기 위해, 발진기 신호 주파수에서 비교적 낮은 이득을 갖는 보조 부귀환 루프에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제1도에 있어서, 도시된 발진기는 에미터 전극이 함께 결합되어 전류 2I를 통해 전류원(3)에 결합되어 있는 NPN형 트랜지스터(1, 2)를 갖는 차동 증폭기 형태로 증폭기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1)는 증폭기의 입력 단자(6)에 결합된 베이스 전극을 가지고 있다.
트랜지스터(1)의 콜렉터 전극은 전류 I를 공급하는 전류원(7)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2)의 콜렉터 전극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정공급 단자인 전위 공급 단자(8)에 결합되어 있다. 증폭기의 출력은 트랜지스터(1)의 콜렉터 전극에 결합된 단자(9)로부터 얻어지며, 증폭기의 출력 단자(9)는 입력 단자(6)에 다시 결합되어 하기에 기술되는 방식으로 발진 유지 귀환 루프를 제공한다.
증폭기의 출력 단자(9)는 에미터 플로워로서 결합된 NPN형 트랜지스터(10)의 베이스 전극에 결합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0)는 공급 단자(8)에 결합된 콜렉터 전극과 저항치 R2인 저항(11)을 통해 NPN형 트랜지스터(12)의 베이스 전극에 결합된 에미터 전극을 가지고 있다.
트랜지스터(12)는 전류원(13)에 결합되며 그리고 다른 NPN형 트랜지스터(14)의 베이스 전극에 결합된 콜렉터 전극을 가지고 있다. 트랜지스터(12)의 에미터 전극은 일반적으로 접지 단자인 제2공급 전극(15)에 결합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4)의 콜렉터 전극은 정공급 단자(8)에 결합되어 있는 반면, 에미터 전극은 차동 증폭기의 트랜지스터(2)의 베이스 전극과 용량 값 C2인 커패시터(16)의 한 단자에 결합되어 있다. 커패시터(16)의 제2단자는 트랜지스터(12)의 베이스 전극에 결합되어 있다. 용량 값 C1인 다른 커패시터(17)가 차동 증폭기의 출력 단자(9)와 접지 단자(15)사이에 결합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3)의 에미터 전극은 또한 제2단자가 차동 증폭기의 입력 단자(6)에 결합되어 있는 저항치 R1인 저항(18)의 한 단자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입력 단자(6)는 단자(6)와 접지 단자(15)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커패시터(19)와, 피에조 전극 크리스탈(20)을 구비하는 크리스탈 브랜치에 결합되어 있다.
출력 단자(9)와, 트랜지스터(1, 2)에 의해 형성된 차동 증폭기의 입력 단자(6) 사이에 결합된 발진 유지 귀환 루프는 직렬로 연결된 2개의 적분기를 포함한다. 제1적분기는 커패시터(17)로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제2적분기는 저항(11)과, 트랜지스터(12, 14)와 커패시터(16)로 형성되어 있다.
동작시, 트랜지스터(1)에 공급된 출력 전류는 커패시터(17)에 의해 적분된다. 커패시터(17)를 통해 나타난 전압은 트랜지스터(10)로 형성된 에미터 플로워를 통해 제2적분기에 인가된다.
제2적분기에 의해 공급되고, 트랜지스터(14)의 에미터 전극에서 발생된 출력 전압은 발진기의 회로망 저항을 형성하는 저항(18)에 인가되며, 커패시터(19) 및 크리스탈(20)에 인가된다. 저항(18)을 통해 나타난 전압은 저항(18)의 단자 사이에서 트랜지스터(1, 2)의 각 베이스 전극과의 결합에 의해 트랜지스터(1, 2)로 형성된 차동 증폭기에 입력 신호를 공급한다.
발진기 회로는 커패시터(19)와 크리스탈(20)로 형성된 크리스탈 브랜치가 회로망 저항(18)의 저항치 R보다 아주 적은 임피던스를 나타낼 때 크리스탈 브랜치와 함께 직렬 공진 상태로 발진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저항(18)을 통해 나타난 전압은 차동 증폭기에 입력으로 인가되어 제2적분기의 출력 전압과 실제로 동일하다.
각 트랜지스터(1, 2)를 통해 흐르는 바이어스 전류 I를 이용하여 회로 루프 이득은 다음 방정식과 같이 라플라스 변환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kpo00001
여기서 K는 볼쯔만 상수, T는 절대 온도, g는 전하, S는 복소 주파수이다.
상기 방정식(1)은 제로 위상 시프트를 나타내며 이득이 12dB/옥타브 정도로 떨어지는 것을 나타낸다. 크리스탈의 제3오버톤에서의 이득은 기본 상태에서의 이득보다 19dB이하이다.
제2도에서는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를 조정하는 주파수 조정 수단을 제외하고는 제1도에 도시된 발진기 회로와 근본적으로 같은 발진기 회로를 도시한다.
제1도와 제2도의 동일 부분은 동일한 참고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발진 주파수를 조정하기 위하여, 트랜지스터(14)의 에미터 전극에 의해 공급된 제2적분기의 출력에 결합된 입력(22)과 트랜지스터(12)의 베이스 전극에 의해 공급된 제2적분기의 제2입력(24)에 결합된 출력(23)을 포함한 제어회로(21)가 구비되어 있다.
제어 회로(21)는 조정 가능한 진폭의 출력 신호를 제2적분기의 제2입력(24)에 공급하며,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는 제어 신호의 진폭에 따라 조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는 테일 전류 조정을 위한 수단을 가진 차동 증폭기 회로로 구성되어 제어 신호의 조정된 진폭을 제공한다.
제어 회로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차동 증폭기 회로는 두 개의 차동 증폭기(25, 26)로 형성되어 있다. 차동 증폭기(25)는 NPN형 트랜지스터(27, 28)로 구성되며, 각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전극은 서로 결합되어 있고 전류 I1을 공급하는 전류원(29)에 결합되어 있다. 트랜지스터(28)의 콜렉터 전극은 제어 회로의 출력(23)에 결합되어 있는 반면 트랜지스터(27)의 콜렉터 전극은 공급 단자(8)에 결합되어 있다.
차동 증폭기(25)의 입력 단자를 제공하는 트랜지스터(27)의 베이스 전극은 제어 회로의 입력 단자(22)와 저항(18)의 제1단자에 결합되어 있는 반면, 차동 증폭기(25)에 대해 제2입력을 형성하는 트랜지스터(28)의 베이스 전극은 저항(18)의 제2단자에 결합되어 있다.
차동 증폭기(26)는 NPN형 트랜지스터(30, 31)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전극은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전류 I2를 공급하는 전류원(32)에 결합되어 있다.
트랜지스터(31)의 콜렉터 전극은 트랜지스터(28)의 콜렉터 전극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어 회로의 출력 단자(23)에 결합되어 있다. 트랜지스터(30)의 콜렉터 전극은 공급 단자(8)에 결합되어 있다. 증폭기(26)에 대해 입력인 트랜지스터(31)의 베이스 전극은 제어 회로의 입력 단자(22)와 저항(18)의 제1단자에 결합되어 있다. 반면에 트랜지스터(30)의 베이스 전극은 저항(18)의 제2단자에 결합되어 있다.
전류원(29, 32)에 의해 공급된 전류 I1과 I2에 의해 바이어스 된 차동 증폭기(25, 26)는 회로망 저항을 통해 나타난 전압을 입력으로서 수신한다. 제어 회로의 출력 단자(23)에 공급되어 제2적분기의 제2입력(24)에 공급되는 a, c 또는 신호 출력 전류는, 전류원(29, 32)에 의해 공급된 전류 I1과 I2가 같다면 제로가 되어(차동 증폭기(25, 26)의 트랜지스터가 이상적으로 특성이 정합된다고 가정을 함), 전류 I1과 I2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가 값이 변화될 수 있다.
2차 현상을 무시한다면, 크리스탈 회로의 직렬 공진 주파수에서 회로의 루프 이득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2
따라서 제어회로는
Figure kpo00003
의 주파수 W에서 위상 시프트를 발생시킨다. 위상 시프트는 동일 값 I1과 I2에 대해 제로를 통과하면서 진상하거나 지상 될 수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도시된 회로에 대한 지금까지의 설명은 정적인 동작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임의 수단에 대해서는 상세히 기술되지 않았다. 단자(6)와 적당한 바이어스 전압 사이에 간단히 저항을 부가시킴으로 D.C. 바이어스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것은 제로 주파수(적분기가 동작하지 않는 곳)에서 부귀한 루프를 발생시킬 것이다. 그러나 적분기의 동작 때문에 루프 이득이 아주 높은 주파수에서 180도 위상 시프트가 제공될 것이다. 회로에서 어떤 과도한 위상 시프트는 스피리어스(spurious)발진을 초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런 문제는 증폭기의 정적 동작 상태를 설정하기 위해서 발진기의 신호 주파수에서 낮은 이득을 갖는 보조 귀환 루프를 사용함으로써 극복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앞으로 참고로 할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3도에서는 제1도 및 제2도와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참고 번호를 사용한다.
트랜지스터(1)의 콜렉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원(7)은 PNP형 트랜지스터(33)와 저항(34)으로 형성되며, 트랜지스터(33)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1)의 콜렉터 전극에 결합되어 있으며 트랜지스터(33)의 에미터는 저항(34)을 통해 공급단자(8)에 결합되어 있다. 트랜지스터(33)의 D.C. 바이어스는 PNP형 트랜지스터(35, 36), NPN형 트랜지스터(37, 38) 및 저항(39 내지 44)을 포함한 D.C. 바이어스 체인에 의해 제공된다.
트랜지스터(33, 35)에 베이스 전극은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저항(40)을 통해 공급 단자(8)에 결합되어 있다. 트랜지스터(36)는 트랜지스터(35)의 콜렉터 전극에 결합된 베이스 전극과, 접지 단자(15)에 연결된 콜렉터 전극과, 트랜지스터(33, 35)의 베이스 전극에 결합된 에미터 전극을 갖는다. 트랜지스터(35)의 에미터 전극은 저항(39)을 통해 공급 단자(8)에 결합되어 있다.
트랜지스터(36)의 베이스 전극과 공급 단자 사이에서 결합되어 트랜지스터(33, 35, 36)에 의해 형성된 전류미러(currentmirror)의 안정성을 확실히 유지하도록 커패시터(45)가 제공되어 있다. 저항(40)은 트랜지스터(36)가 트랜지스터(33)의 콜렉터-베이스 용량을 통해 공급된 임의 신호 전류를 흡수하기 위해 적당히 바이어스 되는 것을 보증한다.
트랜지스터(35)의 콜렉터는 저항(41)을 통해 트랜지스터(37)의 콜렉터 전극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트랜지스터(37)의 에미터 전극은 저항(43)을 통해 접지 공급단자와 결합되어 있다. 트랜지스터(37)의 베이스에서 D.C. 레벨은, 트랜지스터(37)의 콜렉터 전극에 결합된 베이스 전극과 공급 단자에 결합된 콜렉터 전극 및 저항(42)을 통해 트랜지스터(37)의 베이스 전극에 결합된 에미터 전극을 갖는 트랜지스터(38)와, 트랜지스터(37)의 베이스 전극에 연결된 한 단자와 접지 공급 단자(15)에 연결된 다른 단자를 갖는 다른 저항(44)에 의해 설정된다.
바이어스 체인은 또한 NPN형 트랜지스터(46)와 저항(47)으로 형성된 전류원(29)에 D.C. 바이어스를 제공한다. 트랜지스터(46)의 콜렉터 전극은 차동 증폭기(25)에 테일 전류를 제공하며, 차동 증폭기(25)를 구비하는 트랜지스터(27, 28)의 에미터 전극에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46)의 에미터 전극은 저항(47)을 통해 접지 단자(15)에 결합되어 있는 반면, 베이스 전극은 트랜지스터(37)의 베이스 전극에 연결되어 있다.
조정 가능한 전류원이며 차동 증폭기(25)에 테일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원(32)은 NPN형 트랜지스터(48, 49)에 의해 동일하게 바이어스된다. 트랜지스터(48)는 베이스 전극이 트랜지스터(37, 46)의 베이스 전극에 연결되어 있으며, 콜렉터 전극은 차동 증폭기(26)의 테일 전류를 전달하며 차동 증폭기(26)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30, 31)의 에미터 전극에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48)의 에미터 전극은 저항(50)을 통해 접지 단자(15)에 결합되어 있다.
트랜지스터(49)는 에미터 전극이 저항(51)을 통해 트랜지스터(48)의 에미터 전극에 연결되어 있으며, 콜렉터 전극은 공급단자(8)에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49)의 베이스 전극은 동작중에 제어 전위가 인가될 수 있는 단자(52)에 연결된다. 제어 전위의 진폭은 차동 증폭기(26)의 테일 전류 I2의 값을 결정하여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전류 I1과 I2의 상대 크기를 결정한다.
트랜지스터(14)의 에미터 전극은, 베이스 전극이 트랜지스터(38)의 에미터 전극에 연결되어 있고, 에미터 전극이 저항(54)을 통해 접지 단자(15)에 연결되어 있으며, 콜렉터 전극이 트랜지스터(14)의 에미터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NPN형 트랜지스터(53)에 의해 제공된다.
발진기 귀환 루프의 증폭기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1, 2)는 종래의 바이어스 체인에 의해 바이어스되는 것이 아니라 발진기 신호 주파수에서 낮은 이득을 갖는 보조 귀환 루프에 의해 바이어스된다. 차동 증폭기의 트랜지스터(1, 2)에 테일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원(3)은, 콜렉터 전극이 트랜지스터(1, 2)의 에미터 전극에 연결되어 있고 에미터 전극이 저항(56)을 통해 접지 단자(15)에 연결된 NPN형 트랜지스터(55)로 형성되어 있다. 트랜지스터(55)는 직렬 연결된 접지 단자에 두 개의 다이오드(57, 58)와 저항(59)을 통해 접지 단자에 연결된 에미터를 갖는 트랜지스터(12)를 통해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바이어스된다. 트랜지스터(55)의 베이스 전극은 다이오드(57, 58)사이의 노드에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55)와 저항(56)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트랜지스터(1, 2)의 에미터 전극을 제공하는 전류원은 트랜지스터(12)의 에미터 회로에서 다이오드(18)와 저항(59)의 직렬 결합을 통해 나타난 전압으로 바이어스된다. 트랜지스터(1, 2)의 에미터에 공급된 전류는 이와 같이 트랜지스터(12)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연결은 보조 부귀환 루프를 형성하여 트랜지스터(33)와 저항(34)으로 형성된 전류원에 의해 공급된 정(靜)동작 전류와 트랜지스터(1)의 콜렉터내에서 흐르는 정동작 전류를 정합시키는 작용을 하여 결과적으로 트랜지스터(12)에서 흐르는 정동작 전류와, 트랜지스터(12)의 정동작 콜렉터 전압과 트랜지스터(14)의 에미터 전극 및 트랜지스터(1, 2, 27, 28, 30, 31)의 베이스 전극에서의 정동작 전압을 한정시킨다.
트랜지스터(28, 31)의 콜렉터 전극에 연결된 트랜지스터(12)의 베이스 전극에서의 정동작 전압은 트랜지스터(12)의 베이스 에미터 접합의 전압 강하와 다이오드(57, 58)의 전압 강하 및 저항(59)를 통해 나타난(사실상) 작은 전압을 합한 것에 의해 결정된다.
트랜지스터(1)의 콜렉터에서의 정동작 전압은, 저항(11)을 통해 흐르는 트랜지스터(28, 31)의 콜렉터 전류로 인한 전압 강하와 트랜지스터(10)의 베이스-에미터 전압에 의해 트랜지스터(12)의 베이스 전극에서의 정동작 전압 이상으로 상승된다. 트랜지스터(10)에서 트랜지스터(10)의 에미터 전극과 접지 단자(15) 사이에 결합된 저항(60)에 의한 부가적인 에미터 바이어스 전류가 공급된다.
트랜지스터(12)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1,2)의 베이스간의 정동작 전압차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부가적인 NPN형 트랜지스터가 부가되었다. 트랜지스터(61)는 베이스 전극이 트랜지스터(12)의 콜렉터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반면에, 에미터 전극은 트랜지스터(14)의 베이스 전극에 연결되어 있으며 저항(62)에 의해 트랜지스터(2)의 베이스 전극에 결합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의 베이스 전극은 부가적인 NPN형 트랜지스터(63)의 에미터 전극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트랜지스터(63)의 콜렉터 전극은 공급 단자(8)에 연결되어 있고, 베이스 전극은 트랜지스터(37)의 콜렉터 전극과 트랜지스터(38)의 베이스 전극에 연결되어 있다.
전원이 발진기 회로에 인가되었을 때 “래치-아웃(latch-out)” 상태를 방지하기 위해 트랜지스터(63)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상태는 만일 전류원(3)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트랜지스터(55)가 포화되었을 때 발생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63)의 베이스 전극은 트랜지스터(37, 38)와 저항(42 내지 44)에 의해 규정되고, 트랜지스터(55)가 포화되는 것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으며, 반면에 정상 동작 상태하에서 트랜지스터(63)가 비도통을 유지할 정도로 충분히 낮은 전압으로 바이어스된다.
제1도와 제2도에 있어서 커패시터(19)와 크리스탈(20)로 형성된 크리스탈 브랜치가 직렬 공진에서 제로 임피던스를 갖는다고 가정하면, 그 주파수에서 회로의 루프 이득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kpo00004
여기서
Figure kpo00005
여기서 I33, I46, I48은 트랜지스터(33, 46, 48)에 의해 각각 공급된 전류이고, n은 트랜지스터(12)에서 흐르는 전류와 트랜지스터(55)에 의해 공급된 전류의 비이고, Re는 트랜지스터(12)와 다이오드(57, 58) 및 저항(59)결합의 상호 콘덕턴스의 연수이다.
만약 트랜지스터(12)가 정동작 전류I12를 통하여 저항(59)의 값이 R59라면
Figure kpo00006
C0는 트랜지스터(12)이 콜렉터와 저항(22) 사이의 노드에서 전체 표유 용량을 나타낸다.
커패시터(17, 16)에서 사용된 값 C1과 C2는 적당한 표유 용량을 각각 포함하여야 한다. 트랜지스터(12)의 콜렉터-베이스 용량은 C0뿐 아니라 C2의 값에 포함되어 있다. 저항(18)의 값 R1은 크리스탈(20)의 특성과, 필요한 주파수 조정 범위 및 동조를 위해 선택된 위상 시프트 범위에 따라 계산된다.
본 발명은 특히 집적 회로로 실체화하는데 적당하며 직접회로에 대해 물론 외부에 있을 수 있는 커패시터(19)와 크리스탈(20)로 형성된 크리스탈 브랜치는 단지 회로의 단일 단자에 연결만 되면 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단일 커패시터(19)만이 크리스탈(20)과 직렬로 배치될 필요가 있을 뿐이다. 발진기는 온도 강도가 개선되며, 전형적으로 5볼트 전원 하나로 작동될 수 있다.

Claims (11)

  1. 크리스탈 제어 발진기 회로로서 입력(6)과 출력(9)을 갖는 증폭기(1, 2)와, 증폭기의 입력과 출력 사이에 결합된 발진 유지 귀환 루프(10, 12, 14, 11, 16, 17)을 구비하며, 상기 입력(6)은 발진기의 공진 회로 형성을 위해 크리스탈 공진기를 증폭기에 결합시키며, 상기 루프는 제1적분기(17)와, 적분기(17)에 결합된 제2적분기(11, 12, 14, 16)를 포함하며, 상기 적분기 각각은 오버톤 주파수에서 루프 이득을 저감시키기 위해 발진기 공진 회로에 사실상 90°위상 시프트를 독립적으로 제공하는 크리스탈 제어 발진기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증폭기는 출력(9)과, 제1 및 제2입력을 갖는 차동 증폭기(1, 2)로 구성되며, 귀환 루프(10, 12, 14, 11, 16, 17)는 차동 증폭기의 출력(9)에 결합되어 있고, 제2적분기의 출력을 차동 증폭기의 제1 및 제2입력에 결합시키는 수단(18)이 제공되어 있는 크리스탈 발진기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제2적분기의 출력은 저항성 수단(18)의 두 개 단자 중 제1단자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두 개의 단자는 차동 증폭기의 제1 및 제2입력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크리스탈 발진기 회로.
  4. 제1, 2 또는 3항에 있어서, 발진 주파수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21)을 포함하는 크리스탈 발진기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발진 주파수를 조정하는 수단은 2개의 적분기중 제2적분기(11, 12, 14, 16)의 출력에 결합된 입력(22)과 제2적분기의 제어 입력(24)에 결합된 출력(23)을 또는 제어 회로(21)를 구비하는 크리스탈 발진기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제어 회로는 진폭 범위가 제로 위상 시프트에 대해 반대 방향의 루프 위상 시프트를 제공하는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크리스탈 발진기 회로.
  7. 제5항에 있어서, 제어 회로(21)는 제2적분기의 출력에 결합된 입력(22)과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출력(23)을 갖는 차동 증폭기 수단(25, 26)과, 제어 신호의 진폭을 제어하기 위해 차동 증폭기 수단의 테일 전류를 변화시키는 조정 수단(29, 32)을 구비하는 크리스탈 발진기 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차동 증폭기 수단은 제어 회로(21)의 출력(23)을 공급하기 위해 서로 결합된 출력과 제2적분기의 출력에 결합된 입력(22)을 각각 포함하는 두 차동 증폭기(25, 26)를 포함하며, 테일 전류 조정 수단(29, 32)은 두 차동 증폭기의 테일 전류의 상대적 조정을 제공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크리스탈 발진기 회로.
  9. 제1, 2 또는 3항에 있어서, 증폭기(1, 2)는 증폭기에 정동작 D.C. 바이어스를 공급하기 위해 발진 신호 주파수에서 비교적 낮은 이득을 갖는 보조 부귀환 루프(57, 58, 59, 55, 56)에 결합되어 있는 크리스탈 발진기 회로.
  10. 제1, 2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집적 회로 형태로 제공되는 크리스탈 발진기 회로.
  11. 크리스탈 제어 발진기 회로로서, 출력(9)과 제1 및 제2입력을 갖는 차동 증폭기(1, 2)와, 제1입력(6)과 공급 단자(15)간에 결합되어 발진기의 공진 회로를 형성하는 크리스탈 회로(20)와, 차동 증폭기의 출력(9)에 결합된 발진 유지 귀환 루프(10, 12, 14, 11, 16, 17)와, 제2적분기의 출력을 차동 증폭기의 제1 및 제2입력에 결합시키는 수단(18)과, 제2적분기의 출력에 결합된 입력(22)과 조정 가능 진폭 주파수 제어 신호를 제2적분기의 제어 입력(24)에 공급하도록 결합된 출력(23)을 갖는 주파수 제어 회로(21)와, 발진기 신호 주파수에서 비교적 낮은 이득을 갖고 차동 증폭기(1, 2)에 결합되어 이 증폭기에 정동작 D.C. 바이어싱을 설정하는 보조 부귀환 루프(57, 58, 59, 55, 56)를 구비하며, 상기 루프는 제1적분기(17)와, 이 적분기에 결합된 제2적분기(11, 12, 14, 16)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적분기 각각은 오버톤 주파수에서 루프 이득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발진기의 공진 회로에 사실상 90°위상 시프트를 독립적으로 제공하는 크리스탈 제어 발진기 회로.
KR1019840006752A 1983-11-01 1984-10-30 크리스탈 발진기 회로 Expired KR9200001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8329131A GB2152312B (en) 1983-11-01 1983-11-01 Oscillator circuit
GB8329131 1983-11-01
GB83-29131 1983-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640A KR850003640A (ko) 1985-06-20
KR920000104B1 true KR920000104B1 (ko) 1992-01-09

Family

ID=10551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6752A Expired KR920000104B1 (ko) 1983-11-01 1984-10-30 크리스탈 발진기 회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571558A (ko)
EP (1) EP0140343B1 (ko)
JP (1) JPS60144004A (ko)
KR (1) KR920000104B1 (ko)
DE (1) DE3486100T2 (ko)
GB (1) GB2152312B (ko)
HK (1) HK102189A (ko)
SG (1) SG42289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0899A (en) * 1985-02-11 1986-07-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Dual mode crystal phase shift transistor oscillator
US4646033A (en) * 1986-04-03 1987-02-24 Motorola, Inc. Crystal controlled oscillator
US4896293A (en) * 1988-06-09 1990-01-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ynamic ram cell with isolated trench capacitors
US4864256A (en) * 1988-09-09 1989-09-05 Spectrum Control, Inc. Oscillator with reduced harmonics
DE3918061C2 (de) * 1989-06-02 1997-05-28 Philips Patentverwaltung Oszillator
DE4011795C2 (de) * 1990-04-12 1995-06-01 Telefunken Microelectron Quarzoszillatorschaltung
US5185585A (en) * 1990-05-30 1993-02-09 New Sd, Inc. Crystal oscillator and method with amplitude and phase control
US5136263A (en) * 1991-06-24 1992-08-04 At&T Bell Laboratories Harmonic oscillator
JPH0514054A (ja) * 1991-07-02 1993-01-22 Canon Inc 信号発生装置
US5352993A (en) * 1992-09-30 1994-10-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Voltage controlled saw oscillator
DE69426875T2 (de) * 1994-07-01 2001-06-21 Stmicroelectronics S.R.L., Agrate Brianza Integrierter Crystal-Oszillator mit einem einzigen Anschluss
US5675294A (en) * 1996-01-04 1997-10-07 Sierra Semiconductor Single pin crystal oscillator circuit
US5646580A (en) * 1996-03-04 1997-07-0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crystals in a crystal controlled oscillator
EP0896761B1 (de) * 1996-04-29 2001-08-01 Infineon Technologies AG Integrierte takterzeugungsschaltung
RU2132590C1 (ru) * 1998-04-20 1999-06-27 Прокопенко Вадим Георгиевич Кварцевый генератор
US6169459B1 (en) * 1999-05-19 2001-01-02 Sandia Corporation Active-bridge oscillator
RU2159502C1 (ru) * 1999-10-19 2000-11-20 ЗАО НИИ "Инмикротех" Кварцевый транзисторный низкочастотный генератор
GB0030694D0 (en) 2000-12-15 2001-01-31 Nokia Mobile Phones Ltd An electronic circuit supplied with power via current generator means
DE60122586T2 (de) * 2001-02-13 2007-09-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ifferenzoszillator
US6542042B1 (en) * 2001-02-20 2003-04-01 Analog Devices, Inc. Low power crystal oscillator with feedback resistor pair
US6628175B1 (en) 2002-03-27 2003-09-30 Pericom Semiconductor Corp. Voltage-controlled crystal oscillator (VCXO) using MOS varactors coupled to an adjustable frequency-tuning voltage
US6768389B2 (en) * 2002-09-23 2004-07-27 Ericsson Inc. Integrated, digitally-controlled crystal oscillator
WO2005008881A1 (en) * 2003-07-22 2005-01-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ccurate untrimmed crystal oscillator
US7292114B2 (en) * 2005-08-01 2007-11-06 Marvell World Trade Ltd. Low-noise high-stability crystal oscillator
US7541883B2 (en) * 2005-11-17 2009-06-02 Cts Corporation Coaxial resonator base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phased locked loop synthesizer module
WO2008063507A2 (en) * 2006-11-17 2008-05-29 Cts Corporatio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module with ball grid array resonator
US8704605B1 (en) 2011-01-19 2014-04-22 Marvell International Ltd. Class-AB XTAL circuit
FR3107628B1 (fr) 2020-02-21 2022-12-02 St Microelectronics Grenoble 2 Compensation de dérive
FR3107626B1 (fr) 2020-02-21 2022-03-11 St Microelectronics Grenoble 2 Compensation de dériv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6033A (en) * 1958-07-21 1963-01-16 Solartron Electronic Group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lectrical oscillation generators
GB1245714A (en) * 1969-10-30 1971-09-08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one generators
US3676801A (en) * 1970-10-28 1972-07-11 Motorola Inc Stabilized complementary micro-power square wave oscillator
IT958959B (it) * 1972-05-24 1973-10-30 Della Ferrera R Dispositivo di comando per una slit ta di macchina utensile dotata di moto alternativo
US3800241A (en) * 1972-09-20 1974-03-26 Fluke J Mfg Co Inc Voltage peak sampled amplitude controlled phase shift oscillator
US3973221A (en) * 1975-04-07 1976-08-03 Motorola, Inc. Voltage controlled crystal oscillator apparatus
US4020500A (en) * 1975-11-19 1977-04-26 Rca Corporation Controlled oscillator
US4081766A (en) * 1977-01-24 1978-03-28 Motorola, Inc. Crystal tune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CA1140076A (en) * 1977-04-07 1983-01-25 Franco Donadelli Solution of tissue-regenerating extracts treated electrolytically and with alternating electric field
US4230953A (en) * 1978-07-31 1980-10-28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Non-linear control circuit
GB2039438B (en) * 1979-01-12 1983-03-02 Plessey Co Ltd Tunable oscillator
US4243953A (en) * 1979-02-16 1981-01-06 Rca Corporatio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presenting high impedance to parallel resonant tank circuit
US4286235A (en) * 1979-06-25 1981-08-25 Rca Corporation VFO having plural feedback loo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486100D1 (de) 1993-04-22
KR850003640A (ko) 1985-06-20
GB8329131D0 (en) 1983-12-07
HK102189A (en) 1990-01-05
JPS60144004A (ja) 1985-07-30
EP0140343A2 (en) 1985-05-08
EP0140343B1 (en) 1993-03-17
GB2152312A (en) 1985-07-31
EP0140343A3 (en) 1987-01-14
US4571558A (en) 1986-02-18
DE3486100T2 (de) 1993-07-01
GB2152312B (en) 1987-04-23
SG42289G (en) 1989-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104B1 (ko) 크리스탈 발진기 회로
US4581593A (en) Variable frequency oscillating circuit
US4139826A (en) Crystal overtone oscillator using cascade connected transistors
US4760353A (en) Integrated gyrator oscillator
KR960016733B1 (ko) 발진 회로
US3979693A (en) Crystal-controlled oscillator having sinusoidal and square-wave output signals
JPS644364B2 (ko)
US6411170B2 (en) Oscillation circuit
EP0535883B1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employing negative resistance
JPH01108801A (ja) 温度補償型圧電発振器
US5245298A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having cascoded output
JP3001284B2 (ja) 電圧制御発振システム
US3321715A (en) Crystal oscillator circuit using feedback control techniques
US4065728A (en) Crystal oscillator including a pair of push-pull complementary transistor amplifiers
US5130674A (en) Voltage controlled oscilator having controlled bias voltage, AGC and output amplifier
US4994764A (en) Single-pin oscillator
US2797328A (en) Transistor oscillator
US5030927A (en) Reactance control circuit with a DC amplifier for minimizing a variation of a reference reactance value
US3199052A (en) Crystal oscillator
EP0988698A1 (en) Gyrator
US5012205A (en) Balanced spurious free oscillator
JPH0129852Y2 (ko)
JPH0462485B2 (ko)
JP2956985B2 (ja) 水晶発振器の駆動回路
JP2877564B2 (ja) 半導体キャパシタンス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9011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9011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