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0065B1 - 전기도체의 단부에 단편을 자동적으로 끼워맞춤하는 기계 - Google Patents

전기도체의 단부에 단편을 자동적으로 끼워맞춤하는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065B1
KR920000065B1 KR1019880004260A KR880004260A KR920000065B1 KR 920000065 B1 KR920000065 B1 KR 920000065B1 KR 1019880004260 A KR1019880004260 A KR 1019880004260A KR 880004260 A KR880004260 A KR 880004260A KR 920000065 B1 KR920000065 B1 KR 920000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carriage
peeling
crimping
pie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4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3273A (ko
Inventor
베레두니 아리
베나니 앙드레
밀레 쟝-마리
Original Assignee
라 텔레메카니끄 엘렉트리끄
알랭 카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 텔레메카니끄 엘렉트리끄, 알랭 카리아 filed Critical 라 텔레메카니끄 엘렉트리끄
Publication of KR880013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3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065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1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connecting unstripped conductors to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 cutting e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wire-insulation strip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36Separate tool stations for selective or successive operation on work
    • Y10T29/5137Separate tool stations for selective or successive operation on work including assembling or disassembling station
    • Y10T29/5139Separate tool stations for selective or successive operation on work including assembling or disassembling station and means to sever work prior to disassembling
    • Y10T29/514Separate tool stations for selective or successive operation on work including assembling or disassembling station and means to sever work prior to disassembling comprising means to strip insulation from wi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46Common reciprocating support for spaced t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09Terminal or connector
    • Y10T29/53213Assembled to wire-type conductor
    • Y10T29/53235Means to fasten by de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478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magazine supply
    • Y10T29/53522Means to fasten by defo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도체의 단부에 단편을 자동적으로 끼워맞춤하는 기계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단편 끼워맞춤 기계의 개략단면도.
제2도∼제12도는 제1도에 도시된 기계의 다른 동작위상을 예시한 축척도로서,
제2도는 공급수단에 의해 단편과 도체를 도입하는 동작도.
제3도는 소정의 위치에서 도체를 유지하고 절연외장부를 절단하는 동작도.
제4도 및 제5도는 도체의 외장을 박리하는 동작도.
제6도는 단편을 끼우기 위하여 캐리지를 이동하는 동작도.
제7도는 도체의 박리단부상에 단편을 위치시키는 동작도.
제8도 및 제9도는 단편을 크림핑하는 동작도.
제10도,제11도 및 제12도는 도체를 제거하면서 캐리지를 그의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동작도.
제13도는 도체의 박리단부상에 단편을 위치결정하는 동안 단편을 회전시키면서 단편을 수용하여 끼워맞춤하는 장치의 개략부분 축단면도.
제14도 및 제15도는 각각 본 발령의 기계의 변형예로서 사용 가능한 단편의 수용 및 크림핑 블록(제14도)과 박리블록(제15도)을 도시한 개략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체 2 : 평판
3,5 : 구멍부 4 : 도체
6 : 관형상부재 7,8 : 조오(Jaw)
12 : 이동체 13,14 : 캐리지 안내수단
15 : 캐리지 16,70 : 단편수용 및 크림핑장치
17,71 : 박리장치 19,20 : 진입구멍부
21,22,108,109 : 조오 23 : 공동부
24 : 단편 25,26,35,36,74∼77 : 레버
27,28 : 핀 29,30,37,38,86~89 : 로울러
31,90,91 : 캠 32 : 복귀스프링
33,34,111,112 : 칼날부 40 : 멈춤부재
60 : 링기어 61 : 전기모우터
62 : 피니언 63 : 기어 휘일
72,73 : 고정체 78∼81 : 축
82∼85 : 헤드 92∼95 : 스프링
96,97 : 루울렛 링 98,99 :푸셔
101,102 : 스프링 104 : 로드
105 : 접합면 106,107 : 회전조인트
V1,V2,V3,V4: 작동기
본 발명은 전기도체의 박리된 단부에 접속편(단편)을 자동적으로 끼워맞춤하는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단부접속은 절연외장부로 피복된 멀티스트랜드전기도체에 단자를 죄어서 접속하는데 종종 사용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들면, 본 출원인이 프랑스특허 제1,468,859호에 기재한 바와 같이, 통상 도체의 피복되지 않은 단부를 수용하는 금속의 관형상부재와, 일측면에 관형상부재가 뻗어있고 내부에 절연외장부의 단부가 계합되는 절연슬리이브에 의해서 단부접속이 행해진다. 그러므로, 이와같은 단편 끼워맞춤은 다음과 같은 동작위상을 포함한다 즉, 전기도체의 절연외장부를 절단하여 박리하는 동작과, 이와같이 박리된 단부상에 단편을 위치결정하는 동작과, 도체와 관형상부재 사이에 확실한 전기연속을 부여하여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도체의 박리된 부분위에 관형상 금속부재 크림핑(crimping)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물론, 이러한 동작을 종래의 공구(와이어 스트립퍼, 크림핑프라이어)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수행해도 되나, 이 방법은 시간과 노력이 너무 많이 들어, 와이어제품을 공업적으로 대량생산하기에는 적당하지 않다. 또, 이러한 단편을 자동적으로 끼워맞춤하기 위하여 다음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기계가 이미 제안되어 있다. 즉, 단편공급장치와, 장착할 도체의 단부를 소정의 위치에 안내하고 유지하는 수단과, 이 단부의 외장을 벗기는 박리장치와, 도체의 박리된 단부에 단편을 끼우는 장치와, 상기 단부상에 위치결정된 단편을 크림핑하는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체의 단부를 소정의 위치에 지지고정하는 이러한 형태의 기계는 이 단부에 대해 연속적으로 위치결정하는 기구, 박리장치, 끼움장치 및 크림핑장치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상기 제안된 장치는 비교적 복잡하고, 정교하며, 고가이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 부품의 수를 현저히 감소, 특히 작동기를 박리장치와 크림핑장치에 공통으로 사용하여 역학적으로 매우 단순화된 기계기구에 의해 이러한 결점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기계는, 특히, 서로 평행한 두 축중 제1축을 따라 단편을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제2축을 따라 도체를 제위치에 안내 및 유지하는 유지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지지된 제2작동기의 영향하에서 상기 축에 평행하게 병진이동하는 이동체와, 상기 유지수단 및 공급수단에 대해서 이동체 및 이 이동체에 의해 지지된 제3작동기에 의해 상기 축에 수직인 직선경로를 따라 병진이동하는 캐리지로 구성되고, 박리수단 및 단편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단편을 수용하는 수용수단은 상기 캐리지에 의해 지지되어 각각의 축상에 위치하며, 상기 크림핑수단은 상기 캐리지에 의해 지지되어 제1축상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기계는, 상기 작동기와 상기 수단들을 제어하여 다음의 6단계로 구성되는 동작순서를 제공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즉, (가) 캐리지가, 고정체에 대해서, 상기 유지수단 및 상기 공급수단이 각각 박리수단 및 수용수단과 결합하는 제1위치를 점유하여, 박리수단에 대해서 유지수단 안쪽에 도체의 단부를 위치결정하고, 수용수단안으로 단편을 공급하며, 도체의 절연외장부를 박리하기 위하여 제1작동기를 박리수단에 연결하는 제1단계.
(나) 제1위치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진 제2위치로 캐리지를 운반하고 박리수단에 의해 도체의 절연외장부를 제거하는, 제2작동기에 의한 이동체의 제1병진운동을 포함하는 제2단계.
(다) 수용수단이 제2축상에 위치하는 제3위치로 캐리지를 운반하는, 제3작동기에 의한 캐리지의 제2병진운동을 포함하는 제3단계.
(라) 캐리지를 제4위치로 운반하는 동안 수용수단에 의해 지지된 단편이 도체의 박리단부상에 결합하는, 제2작동기에 의한 이동체의 제3병진운동을 포함하는 제4단계.
(마) 크림핑수단과 제1작동기의 결합에 의해 상기 박리단부상에 단편을 크림핑한 후, 제1작동키를 해제하여 크림핑수단을 작동정지시키는 제5단계.
(바) 제2작동기의 영향하에서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캐리지를 그의 제3위치로, 제3작동기의 영향하에서 캐리지의 이동에 의해 캐리지를 제2위치로, 최종적으로 제2작동기의 영향하에서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캐리지를 제1위치로 연속해서 리세트하는 제6단계.
상기 설명된 기재의 주요 이점은 단편을 크림핑하는 장치 및 절연외장부를 절단하는 박리장치의 부재를 작동시키는데 동일한 작동기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점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이 작동기는 캐리지가 상기 제1위치에 놓인 경우 박리장치에 대해서 작용하고, 캐리지가 그의 제4위치에 놓인 경우 단편수용수단에 내장된 크림핑장치에 대해서 작용할 수 있는 위치에서 이동체 위에 장착된다.
그래서, 적어도 작동기, 그의 지지부재 및 공급회로가 실제적으로 절약된다.
이하, 실시예만으로 제한되지 않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기계는 박리하고자 하는 도체(4)의 단부를 도입하는 도입구멍부(3)와 단편 공급용의 관형상부재(6)가 관통하는 구멍부(5)가 형성된 평판(2)을 가지는 대략 직사각형의 고정체(1)를 포함한다. 구멍부(3)의 축(X1X′1)과 관형상부재(6)의 축(X2X′2)은 서로 거리 d만큼 떨어져서 평행하게 위치되어 있다. 이들 두 축은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입구멍부(3)에는 직선위치에 도체(4)의 단부를 유지하는 장치를 장착하고 고정체(1)에 고착된 작동기(V1)에 의해 적어도 하나가 작동되는 두개의 조오(7)(8)를 가진다.
고정체(1)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작동기(V2)의 작용하에서, 축(X1X′1),(X2X′2)과 평행하게 병진이동 가능한 이동체(12)는, 점선(10),(11)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슬라이드수단에 의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이 고정체(1)상에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체(12)자체는 이 이동체(12)에 고착된 작동기(V3)에 의해 제어되는 운동을 가지고, 축(X1),(X2)과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캐리지(15)를 안내하는 수단(13)(14)으로 이루어진다.
캐리지(15)는 관형상부재(6)에 의해 공급된 단편을 수용하고 크림핑하는 장치(16) 뿐 아니라 박리장치(17)도 지지하고, 이러한 두 장치는 각각 거리 α만큼 떨어져서 축(X1X′1),(X2X′2)에 대해서 서로 평행하게 뻗어있는 두개의 진입구멍부(19),(20)를 가진다.
이러한 두개의 구멍부(19),(20)는 평판(2)과 대면하는 캐리지(15)의 측면에 형성된다.
특히, 단편을 수용 및 크림핑하는 장치(16)에는, 휴지위치에서 소정의 형상으로 크림핑된 단편(24)의 형상을 대략 보충하는 형상의 공동부(23)를 사이에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조오(21),(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두개의 조오(21)(22)는 적당한 전달장치에 의해 이동체(12)에 고정된 작동기(V4)에 의해 단편을 크림핑하기 위하여 작동된다.
이 예에 있어서, 이러한 전달장치는 각 조오(21)(22)에 대해서 캐리지(15)에 고정된 핀(27)(28)을 중심으로 피벗선회하기 위해 장착된 레버(25)(26)를 구비하고, 이들 레버(25)(26)의 일단부는 조오(21)(22)에 대해서 피벗선회하는 반면에, 타단부는 작동기(V4)의 로드에 의해 운반되는 캠(31)을 지지하게 되는 로울러(29)(30)를 움직인다. 이들 2개의 레버(25)(26)는 로울러(29)(30)에 대한 캠(31)의 작동에 의해 조오(21)(22)의 크림핑 동작이 가능하도록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레버(25)(26)는, 로울러(29)(30)에 대한 캠(31)의 작동이 없으면, 조오(21)(22)를 휴지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32)에 의해 부세된다.
박리장치(17)의 구조는 크림핑장치(16)의 구조와 유사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조오를 레버(35)(36)의 대응단부에 직접 고정된 칼날부(33)(34)로 대신한다. 또한, 이들 레버의 타단부는 작동기(V4)에 의해 운반된 캠(31)과 접촉하기 적합한 두개의 로울러(37)(38)를 가진다. 레버(35)(36)는 로울러(37)(38)에 대한 캠(31)의 작동하에서 서로 밀접하게 접근하는 칼날부(33)(34)가 도체에 손상을 주지않고 도체(4)의 절연외장부를 절단하도록 형성되며, 정확하게 말하면 박리동작은, 작동기(V2)의 영향하에서, 이동체(12) 즉 캐리지(15)를 이동하므로써 수행된다.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작동기(V2),(V3)의 상태에 따라, 캐리지(15)는 고정체(1)에 대해 4개의 고정위치, 즉, 오른쪽 상단에 있는 제1위치, 오른쪽 하단에 있는 제2위치, 왼쪽 하단에 있는 제3위치, 왼쪽 상단에 있는 제4위치를 점유할 수 있게 된다. 제1위치에 있어서(제2도 참조). 캐리지(15)의 위치는, 수용 및 크림핑장치(16)로의 진입구멍부(19)가 관형상부재(6)의 공급구멍부에 대해서, 그리고 박리장치(17)로의 진입구멍부(20)가 도체(4)의 도입구멍부(3)에 대해서 각각 동축이 되도록 유지된다.
그래서, 제1동작위상 동안, 도체(4)의 단부는, 가능한 한 지정된 그의 박리단면 길이로 조정하면서 멈춤부재(40)상에 그의 단부가 지지될때까지 도입구멍부(3)를 관통해서 박리장치(17)로 끼워맞춤된다. 또한, 이러한 멈춤부재(40)는 사이클의 기동을 제어하는 민감한 멈춤부재로 형성해도 된다. 동시에, 관형상부재(6)는 휴지상태에 있는 조오(21)(22)의 공동부(23)에 결합되는 단편(24)을 공급한다.
이러한 제1위치에 있어서, 작동기(V4)에 의해 움직이는 캠(31)은 박리장치(17)의 칼날부(33)(34)를 작동하는 레버(35)(36)의 로울러(37)(38)와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다음 위상(제3도)동안, 작동기(V1)의 작동에 의해 조오(7)(8)가 죄어져서 그 결과 도체(4)는 박리될 부분의 상류 위치에 유지된다. 동시에, 작동기(V4)의 작동에 의해 캠(31)과 레버(35)(36)를 개재하여 칼날부(33)(34)가 폐쇄상태로 되어, 도체(4)의 외장부를 절단한다.
그후, 도체(4)의 박리될 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외장부는, 이동체(12) 결국 캐리지(15)가 축(X1)(X′1)과 평행하게 아래쪽으로 직진 운동하도록 작동기(V2)를 작동시키므로써 제거된다(제4도 참조).
이 운동동안, 칼날부(33),(34)는 여전히 폐쇄된 위치에서 캐리지(15)에 의해 구동되어 절연외장부를 제거하는 반면, 도체(4)의 나머지는 조오(7)(8)에 의해 유지된다.
그후, 작동기(V4)의 작동정지에 의해 캠(31)은 로울러(37)(38)로부터 해제되어 칼날부(33)(34)를 개방한다(제5도).
다음 위상동안, 작동기(V3)는 캐리지(15)가 제3위치에 달할때까지 캐리지(15)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된다(제6도).
이 위치에 있어서, 조오(21),(22)에 의해 형성된 공동부(23)에 결합되어 있는 단편(24)의 단부는 사전에 박리된 도체(4)의 단부(4′)와 대략 동축인 반면, 캠(31)은 크림핑장치의 조오(21)(22)를 작동하는 로울러(29)(30)를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그후, 이동체(12)/캐리지(15)부품의 상향 운동을 일으키기 위한 작동기(V2)의 작동에 의해서 단편(24)이 도체(4)의 박리 단부(4′)에 결합되는 반면, 사전에 제거된 외장부(40′)는 방출된다(제7도).
그후, 작동기(V4)에 작동에 의해, 캠(31), 레버(25)(26) 및 조오(21)(22)를 개재해서, 단편(24)을 도체(4)의 박리 단부(4′)상에 크림핑한다(제8도).
상기 직후, 작동기(V4)의 작동정지에 의해 단편(24)이 해제되고(제9도), 작동기(V2)의 작동에 의해 이동체(12)/캐리지(15)부품이 하강 운동한 후, 캐리지는 그의 제3위치로 복귀한다(제10도).
그후, 작동기(V1)의 작동정지에 의해 조오(7)(8)가 개방되면서, 도체(4)가 해제되어 제거된다(제11도). 동시에, 작동기(V3)의 작동에 의해 캐리티(15)가 이동하여 그의 제2위치로 복귀한다. 이 위치에 있어서, 단편을 수용하고 크림핑하는 장치(16)에 대한 진입구멍부(19)(20)와 박리장치(17)는 관형상부재(6)의 공급구멍부와 도체(4)의 도입구멍부에 대해서 각각 동축이다. 이동체(12)의 상향운동을 일으키기 위한 작동기(V2)의 작동에 의해 캐리지(15)는 그의 제1위치로 복귀한다.
이 위치에 있어서, 새로운 도체가 박리장치에 끼워맞춤되는 반면, 관형상부재(6)로부터 공급된 새로운 단편이 조오(21)(22)에 의해 형성된 공동부(23)에 걸어맞춤된다.
그후 새로운 동작사이클이 시작된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특히 공기식 실린더의 형태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작동기(V1)∼(V4)는, 유채식 또는 전기식 작동기로 형성해도 된다.
작동기(V4)와 각각의 칼날부(33)(34) 및 조오(21)(22)사이의 캡 및 레버전달장치는 다른 동등한 기계장치로 대신해도 된다.
더우기, 작동기(V4)는 생략하고, 캐리지, 즉 이동체와 고정체 사이의 상대운동을 이용하여 칼날부(33)(34)와 조오(21)(22)를 작동하는 수단으로 대신해도 된다.
또한, 단편에 도체(4)의 박리단부의 끼워맞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단편수용장치(16)는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편을 도입하는 동안 그의 축을 중심으로 단편(24)을 회전하는 수단으로 구성해도 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조오(21)(22)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동부(23)는 크림핑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단편(24)의 관형상금속부재의 하부를 수용하는 기능만을 한다.
한편, 절연슬리이브와 그것에 인접한 관형상부재의 일부로 이루어진 단편(24)의 상부는 캐리지(15)의 상부벽(15′)에 형성된 구멍부(23′) 및 상기 벽(15′)내에서 회전하기 위해 장착된 링기어(60)의 중심 공간내에서, 구멍부(23′) 및 공동부(23)에 동축으로 계합된다.
이러한 링기어(60)는, 전기모우터(61) 및 이 링기어(60)와 계합된 기어휘일(63)과 맞물린 모우터(61)의 축단부에 설치된 피니언(62)에 의해 형성된 감속기에 의해 회전된다.
또, 모우터(61)에 대한 전기공급은 도체(4)의 박리단부(4′)가 크림핑장치(16)에 끼워진후 이동체(12)의 운동을 유발하는 작동기(V2)의 작동과 동기하여 제공해도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크림핑장치(16)와 박리장치(17)의 작동은 작동기(V4)의 로드단부에 장착된 동일한 캠(31)에 의해 제공됨을 또한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성은, 단일의 작동기가 양장치를 작동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할지라도, 특히 쉽게 상호교환할 수 있는 독립블록의 형태로 이들 장치의 각각을 구성하는 것을 원하는 경우, 도체 또는 단편의 상이한 형태에 적합한 블록을 본 발명의 기계에서 사용하기에는 결점이 있다.
사실, 상기 기계에 사용하는 박리장치 및 크림장치의 전체 범위에 완전히 적합한 스트로우크와 외형을 가지는 동일한 작동기에 의해 작동되는 캠을 만드는 것은 어렵다.
제14도 및 제15도에 예시한 해결책은 양장치용의 단일 작동기(V4)의 원리를 유지하면서 이러한 결점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단편의 수용 및 크림핑장치(제14도) 및 박리장치(제15도)는 각각 다음의 구성을 가지는 독립블록(70),(71)의 형태이다. 즉, -이예에 있어서는, 축면만 도시된 경우로서 캐리지위에 장착하기 위하여 쉽게 분리가능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공정체(72),(73)와, -일단부에는 각 장치의 헤드(82)(83),(84)(85)를 타단부에는 로울러(86)(87),(88)(89)를 각각 가지고 축(78)(79),(80)(81)을 중심으로 피벗선회하기 위하여 고정체상에 장착된 각각 2개의 레버(74)(75),(76)(77)와, -각각 2개의 로울러(86)(87),(88)(89)사이에서 병진운동할 수 있도록 고정체(72),(73)에 의해 안내되는 캠(90),(91)과, -이예에 있어서, 고정체(72),(73)위에 지지되고, 캠의 윤곽에 대해서 로울러(86)(87),(88)(89)를 죄도록 작용하는 두개의 스프링(92)(93),(94)(95)으로 구성된 제1탄성수단과, -이 경우에 있어서, 캠(90),(91)에 부착된 푸셔(98),(99)의 일단부에 나사고정됨과 동시에 고정체(72)(73)에 형성된 원통형 통로에 슬라이딩하기 위하여 장착되어 케이스안쪽으로 이동가능한 루울렛링(96),(97)으로 이루어져서 캠과 일체로 된 조절가능한 멈춤부재와, -고정체(72),(73)위에 지지되어, 로울러(86)(87),(88)(89)사이의 최소공간에 상당하는 부분으로 되돌아가려는 경향의 힘을 캠(90),(91)에 가하는 스프링(101),(102)으로 이루어진 제2탄성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작동기(V4)의 로드(104)는 캠(31)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상기 설명한 두개의 볼록(70)(71)의 조절가능한 멈춤부재(링(96)(97))의 하나 또는 다른 것에 힘을 가하는 접합면(105)을 단순히 가진다.
물론, 상기 설명한 두 개의 블록에서 사용된 레버의 헤드(82),(83),(84),(85)는 이들 블록의 기능에 특정된다.
그래서, 제14도에 도시된 수용 및 크림핑블록(70)에 있어서, 고정체(72)에 의해 형성된 케이스의 상부 면상에서 슬라이딩하기 위하여 장착되어, 두개의 크림핑조오(108)(109)에 각각 형성된 하우징에 결합되는 두개의 각각의 회전 조인트(106)(107)를 가진다.
한편, 제15도에 도시된 박리블록에 있어서, 레버의 헤드(84)(85)는 레버(76)(77)의 세로축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뻗은 두개의 칼날부(111)(112)를 가진다.
이들 칼날부의 절단에지의 경사면(113)(114)은 도체를 유도하기 위한 구멍부의 방향으로 배향된다. 더우기, 칼날부(111)(112)의 평면에 있어서 이들 절단에지의 윤곽은, 다른 단면의 도체가 박리되도록 타원형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작동기(V4)가 작동되는 경우 캠(91)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접개들이 쐐기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기계의 사용자가 예를들면, 정교한 조절(공장에서 수행하는 멈춤부재(96)(97)의 조절)을 행할 필요없이, 다른 형태의 도체 및/또는 단편에 기계를 적용하거나 작동을 유지하기 위하여 블록(70),(71)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9)

  1. 단편공급수단과, 도체의 단부를 제위치에 안내하고 유지하는 유지수단과, 제1작동기와 협력하여 상기 단부로부터 절연외장부를 제거하는 절단 및 박리수단과, 상기 도체의 박리단부에 단편을 끼우는 수단과, 상기 단부상에 단편을 크림핑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전기도체의 단부에 단편을 자동적으로 끼워맞춤하는 기계에 있어서, 서로 평행한 두 축중 제1축(X1X′1)를 따라 단편을 공급하는 공급수단(6)과 제2축(X2X′2)을 따라 도체(4)를 제위치에 안내 및 유지하는 유지수단(3)이 배치되어 있는 고정체(1)와, 상기 고정체(1)에 지지된 제2작동기(V2)의 영향하에서 상기 축(X1X′1),(X2X′2)에 평행하게 병진 이동하는 이동체(12)와, 상기 유지수단(3) 및 공급수단(6)에 대해서 이동체(12) 및 이 이동체에 의해 지지된 제3작동기(V3)에 의해상기 축(X1X′1),(X2X′2)에 수직인 직선경로를 따라 병진 이동하는 캐리지(15)로 구성되고, 박리수단(17) 및 단편공급수단(6)으로부터 공급된 단편을 수용하는 수용수단(16)은 상기 캐리지에 의해 지지되어 각각의 축상에 위치하고, 상기 크림핑수단(16)은 상기 캐리지에 의해 지지되어 제1축상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기(V2),(V3), 상기 유지수단. 상기 절단 및 박리수단, 상기 공급수단, 상기 수용수단 및 상기 크림핑수단의 동작을 제어하여 다음의 6단계로 구성된 동작순서를 제공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체의 단부에 단편을 자동적으로 끼워맞춤하는 기계 (가) 캐리지(15)가, 고정체(1)에 대해서, 상기 유지수단(3) 및 상기 공급수단(6)이 각각 박리수단(17) 및 수용수단(16)과 결합하는 제1위치를 점유하여, 절단 및 박리수단(17)에 대해서 유지수단(3)안쪽에 도체(4)의 단부를 위치결정하고 수용수단(16)안으로 단편을 공급하며, 도체의 절연외장부를 박리하기 위하여 제1작동기(V1)를 절단 및 박리수단에 연결하는 제1단계. (나) 제1위치로부터 소정간격 떨어진 제2위치로 캐리지(15)를 운반하고 절단 및 박리수단에 의해 절연외장부를 제거하는, 제2작동기(V2)에 의한 이동체(12)의 제1병진운동을 포함하는 제2단계. (다) 수용수단(16)이 제2축상에 위치하는 제3위치로 캐리지(15)를 운반하는, 제3작동기(V3)에 의한 캐리지의 제2병진운동을 포함하는 제3단계. (라) 캐리지(15)를 제4위치로 운반하는 동안 수용수단에 의해 지지된 단편(24)이 도체(4)의 박리단부(4′)상에 결합하는, 제2작동기(V2)에 의한 이동체(12)의 제3병진운동을 포함하는 제4단계. (마) 크림핑수단과 제1작동기(V1)의 결합에 의해 상기 박리단부상에 단편(24)을 크림핑한 후, 제1작동기(V1)를 해제하여 크림핑수단을 작동정지시키는 제5단계. (바) 제2작동기(V2)의 영향하에서 이동체(12)의 이동에 의해 캐리지(15)를 그의 제3위치로, 제3작동기(V3)의 영향하에서 캐리지(15)의 이동에 의해 제2위치로, 최종적으로 제2작동기(V2)의 영향하에서 이동체(12)의 이동에 의해 제1위치로 연속해서 리세트하는 제6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편수용수단 및 크림핑수단(16)은 적어도 두개의 클램핑 조오(21),(22)와, 캐리지(15)가 그의 제4위치에 있을때 상기 제1작동기(V1)를 상기 클램핑 조오(21),(22)에 연결하는 기계적 전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 및 박리수단(17)은 적어도 2개의 칼날부(33),(34)와, 캐리지(15)가 그의 제1위치에 있을때 상기 제1작동기(V1)에 상기 칼날부(33),(34)를 연결하는 또 다른 기계적 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체의 단부에 단편을 자동적으로 끼워맞춤하는 기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기(V1)는 캠(31)에 고정된 로드를 가진 작동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기계적 전달수단 및 또 다른 기계적 전달수단은 각각, 상기 캠(31)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25,26),(35,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체의 단부에 단편을 자동적으로 끼워맞춤하는 기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적어도 하나가 상기 고정체(1)에 고착된 제4작동기(V4)에 의해 작동하는 2개의 조오(7),(8)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체의 단부에 단편을 자동적으로 끼워맞춤하는 기계.
  5. 제1항에 있어서, 단편수용수단(16)은 그들 각각의 축에 대해서 단편(24)을 회전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체의 단부에 단편을 자동적으로 끼워맞춤하는 기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핑수단 및 수용수단과, 상기 절단 및 박리수단은 각각 제거 가능한 독립블록(70),(71)의 형태이며, 각 블록은 각각 크림핑 및 절단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체의 단부에 단편을 자동적으로 끼워맞춤하는 기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70),(71)은 각각, 고정체(72),(73)와, 축을 중심으로 피벗선회하기 위하여 고정체상에 장착되어 일단부에는 상기 동작수단(82,83),(84,85)을, 타단부에는 로울러수단(86,87),(88,89)을 각각 가지는 2개의 레버(74,75),(76,77)와, 고정체(72),(73)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로울러수단사이에서 병진운동을 수행하는 캠(90),(91)과, 고정체(72),(73)상에 지지되어 캠의 윤곽에 대해서 로울러수단(86,87),(88,89)을 죄도록 하는 제1탄성수단과, 상기 캠과 일체로 된 조절 가능한 멈춤부재(96),(97)와, 로울러수단(86,87),(88,89)사이의 최소공간에 상당하는 부분으로 되돌아가려는 경향의 힘을 캠(90),(91)에 가하는 제2탄성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1작동기(V1)는 상기 블록(70),(71) 각각의 조절가능한 멈춤부재와 결합하는 접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체의 단부에 단편을 자동적으로 끼워맞춤하는 기계.
  8. 제7항에 있어서, 크림핑 및 수용수단(70)은 2개의 조오(108),(109)로 이루어지고, 크림핑 및 수용수단외 2개의 각각의 레버(74),(75)의 동작수단은 각각 각 조오(108),(109)에 형성된 각각의 하우징에 결합하는 회전 조인트(106),(1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체의 단부에 단편을 자동적으로 끼워맞춤하는 기계.
  9. 제7항에 있어서, 절단 및 박리수단의 2개의 각각의 레버(76),(77)의 동작수단은 각각의 레버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뻗은 칼날부(111),(11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체의 단부에 단편을 끼워맞춤하는 기계.
KR1019880004260A 1987-04-14 1988-04-14 전기도체의 단부에 단편을 자동적으로 끼워맞춤하는 기계 Expired KR920000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705464 1987-04-14
FR8705464A FR2614144B1 (fr) 1987-04-14 1987-04-14 Machine pour la pose automatique d'embouts de raccordement sur les extremites de conducteurs electriqu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273A KR880013273A (ko) 1988-11-30
KR920000065B1 true KR920000065B1 (ko) 1992-01-06

Family

ID=9350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4260A Expired KR920000065B1 (ko) 1987-04-14 1988-04-14 전기도체의 단부에 단편을 자동적으로 끼워맞춤하는 기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852241A (ko)
JP (1) JPS63279586A (ko)
KR (1) KR920000065B1 (ko)
CH (1) CH675932A5 (ko)
DE (1) DE3812460A1 (ko)
FR (1) FR2614144B1 (ko)
IT (1) IT12174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8260A (en) * 1989-09-18 1991-10-22 Amp Incorporated Wire processing apparatus
DE4127843C2 (de) * 1991-08-22 1996-12-19 Guenther Ing Gr Wallrabenstein Kabel-Konfektionier-Maschine
DE4312990A1 (de) * 1993-04-21 1994-10-27 Eichler Holzaepfel Gmbh Vorrichtung zum Anbringen einer Aderendhülse an einem Leitungsende und mit dieser Vorrichtung durchgeführtes Verfahren
US5392509A (en) * 1993-07-29 1995-02-28 Krell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capping used or unsanitary needles
FR2723484B1 (fr) * 1994-08-05 1996-10-31 Endreprise Ind Sa L Machine de preparation de faisceaux electriques comportant plusieurs postes de sertissage
DE69510021T2 (de) * 1994-12-15 2000-02-0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Einrichtung zur Lagekorrektur eines Drahtes
EP2797182B1 (de) * 2013-04-24 2020-06-17 Komax Holding AG Kabelkonfektioniervorrichtung zum Ablängen, Abisolieren und Konfektionieren eines Kabels mit Crimpkontakte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68859A (fr) * 1965-10-20 1967-02-10 Telemecanique Electrique Embout perfectionné pour raccordement de conducteur électrique
GB1207889A (en) * 1968-05-03 1970-10-07 Amp Inc Insulation stripping unit for attachment to an electrical connector crimping press and a connector crimping press having insulation stripping means
US3753280A (en) * 1971-12-17 1973-08-21 Bunker Ramo Insulation stripping device adapted for use with terminal attaching machine
US3867754A (en) * 1974-02-22 1975-02-25 Amp Inc Stripper crimper machine
US4232443A (en) * 1979-03-26 1980-11-11 Vip Industries, Inc. Wire insertion guide
US4443936A (en) * 1981-09-30 1984-04-24 The Boeing Company Contact crimper and method of using
DE3205413A1 (de) * 1982-02-16 1983-08-25 Weiszhaar, Johann, 7063 Welzheim Vorrichtung zum aufpressen von huelsen
JPS61501480A (ja) * 1984-03-09 1986-07-17 ソーラー アンド フローリッヒ ゲゼルシヤフト・ミッ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電線端部に接続部材を圧着する圧着機
DE3508397C2 (de) * 1984-03-09 1986-06-12 Zoller & Fröhlich GmbH & Co KG, 7988 Wangen Maschine zum Aufquetschbestücken von Kabeladerenden mit Aderendhülsen o.dgl. Anschlußelementen
ATE43939T1 (de) * 1984-03-09 1989-06-15 Zoller & Froehlich Maschine zum aufquetschbestuecken von kabeladerenden mit aderendhuelsen od. dgl. anschlusselementen.
DE3408742A1 (de) * 1984-03-09 1985-09-19 Zoller & Fröhlich GmbH & Co KG, 7988 Wangen Maschine zum aufquetschbestuecken von kabeladerenden mit aderendhuelsen (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279586A (ja) 1988-11-16
FR2614144A1 (fr) 1988-10-21
DE3812460A1 (de) 1988-10-27
KR880013273A (ko) 1988-11-30
IT1217418B (it) 1990-03-22
FR2614144B1 (fr) 1992-09-11
CH675932A5 (ko) 1990-11-15
IT8820202A0 (it) 1988-04-14
US4852241A (en) 198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1374A (en) Rotary wire stripper
US3570100A (en) Insulation stripping attachment for electrical connector crimping press and connector crimping press having insulation stripping means
US3909900A (en) Apparatus for producing electrical conductors
US38756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earing the free end portions of a plurality of leads, moving the ends of the leads after shearing, and applying terminals to the ends after they have been sheared
JPH0272576A (ja) ワイヤ処理装置
JP5320396B2 (ja) ワイヤ終端機用のワイヤ位置決め装置
EP0127330B1 (en) Modular lead maker
GB1105700A (en) Conductor insulating stripping apparatus
US8544172B2 (en) Clamping apparatus for a crimping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a crimped connection with a crimping machine and the clam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invention
KR920000065B1 (ko) 전기도체의 단부에 단편을 자동적으로 끼워맞춤하는 기계
CN107005015B (zh) 用于将构件安装在被剥离绝缘层的线缆的端部上的方法
US4084310A (en) Apparatus for stripping and positioning an insulation conductor
KR100952992B1 (ko) 전선의 탈피 겸용 압착장치
EP0040490B1 (en) Apparatus for, and a method of, terminating flat, multi-conductor cables
US2684004A (en) Tool for crimping electrical connectors
CN111146661B (zh) 套环站
US3779290A (en) Apparatus for untwisting and stripping twisted wire pair leads
US38812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positioning of the free end sections of a plurality of leads in a plurality of grooves
IL273972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Preparing an End Portion of a Shielded Electrical Cable
PL72409B1 (ko)
US3555672A (en) High speed semiautomatic termination of coaxial cable
KR910008272B1 (ko) 전기도체에 단편을 삽입 및 크림핑하는 장치
US6601290B2 (en) Terminal applicator having a retractable cam
JPS6144388B2 (ko)
EP0167985A2 (en) Automatic wiring station particularly for machines for preparing cut-to-size electrical wire leads fitted with insulatable electrical termi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701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70107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