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10005707Y1 - 낚시줄 가이드 - Google Patents

낚시줄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707Y1
KR910005707Y1 KR2019890004795U KR890004795U KR910005707Y1 KR 910005707 Y1 KR910005707 Y1 KR 910005707Y1 KR 2019890004795 U KR2019890004795 U KR 2019890004795U KR 890004795 U KR890004795 U KR 890004795U KR 910005707 Y1 KR910005707 Y1 KR 9100057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ole
ring
fishing line
fish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47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0465U (ko
Inventor
요시로오 야마또
Original Assignee
시마노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시마노 쇼우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시마노 쇼우조오 filed Critical 시마노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204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04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7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707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낚시줄 가이드
제 1 도는 본 고안 가이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 2 도는 도사링만을 형성하는 경우의 설명도.
제 3 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 4 도는 종래에 있어서의 가이드의 도사링을 형성하는 경우의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이드본체 2 : 도사링
11, 15 : 설치편 11a, 15a : 설치면
12 : 상승편 12b : 후방상승편
13 : 유지구멍 21 : 가이드구멍
22 : 직각구멍연부 23 : 원호구멍연부
30 : 낚싯대 40 : 낚싯줄
본 고안은 낚싯줄가이드, 상세하게는 낚싯대의 외면에 설치하여 낚싯대의 손잡이부에 설치하는 릴로 부터 초리선단에 낚싯 줄을 가이드하는 낚싯줄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싯줄가이드, 낚싯대에 설치되는 가이드 본체와 이 가이드본체에 설치하는 유지구멍에 감합되는 가이드 구멍을 가진 도사링으로 구성되고, 또 이 도사링은 그 가이드구멍에 의하여 낚싯줄을 안내하므로서 내마모성재료, 주로 세라믹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도사링의 가이드구멍은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내면을 반원형으로하여 이 원호상 내면의 정상부가 가이드 구머의 낚싯줄 도통방향중심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 본체에 설치하여 낚싯줄과의 접촉저항이 작아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도사링을 예를 들면 세라믹에 의하여 형성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구멍의 내면이 반원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 4 도와 같이 4반원상의 성형면을 가진 성형돌출부(B)를 구비한 한쌍의 분할형(割型)(C,C)를 사용하고 각 분할형(C,C)에 의하여 가이드구멍(H)의 낚싯줄 도통방향 전반부(前半部)와 후반부(後半部)로 형성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도사링(G)을 성형하는 경우 이상과 같이 분할형(C,C)을 사용하여 가이드구멍(H)의 전반부와 후반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으나, 분할형(C,C)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분할형(C,C)의 성형시에 있어서의 맞댐부간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사이드구멍(H)의 낚싯줄 도통방향 중심부에는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E)가 생기게된다.
그러나 이 맞댐돌기(E)가 있으면 낚싯줄의 가이드 구멍내면과의 접촉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종래에는 절삭하여 제거하고 있으나, 이 맞댐돌기의 제거작업이 번잡하여 가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낚싯줄가이드에 생기고 있는 상기 문제가 상기 가이드 구멍의 내면형상, 즉 낚싯줄과의 접촉저항을 적게하기 위하여 반원형상으로 하므로서 생긴다는데에 착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분할형을 사용하지 않고도 성형할 수 있게하여 그 성형형(型)을 간단히 할 수 있으면서 낚싯줄을 저항이 적게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는 낚싯줄가이드를 제공한데 있다.
즉 본 고안의 특성을 상기 도사링에 있어서의 가이드구멍의 내면형상을 분할형을 사용하지 아니해도 단일의 성형형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4반원상으로 하여 상기 도사링의 성형시에 생기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돌기를 없게하고, 상기 도사링의 제조상의 문제를 해소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본체의 유지구멍, 즉 상기 도사링을 설치하는 유지구멍을 경사시켜, 낚싯줄 도통시에 있어서의 접촉저항이 증대하는 것도 회피하고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낚싯줄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게한데에 있다.
다시 상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은 낚싯대의 외면에 설치하는 낚싯줄가이드로서, 상기 낚싯대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설치면과, 이 설치면으로부터 일어서는 상승부를 가지고 이 상승부에 유지구멍을 가지는 가이드본체와, 이 가이드본체의 유지구멍에 설치되는 가이드구멍을 가지는 도사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유지구멍의 중심선은 상기 낚싯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경사되어 있고, 상기 도사링에 있어서의 가이드구멍은 그 내면이 4반원상으로 되어 있어 상기 도사링을 상기 유지구멍에 상기 가이드구멍의 원호상내면이 상기 유지구멍의 경사방향 외측으로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주로 세라믹을 사용하여 성형에 의하여 형성하는 상기 도사링에 있어서의 가이드구멍의 내면을 4반원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상기 도사링을 성형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 구멍은 단열의 성형 형에 의하여 성형할 수가 있다.
즉 상기 도사링의 성형은 한쌍의 분할형을 사용할 필요가 있으나 이들 분할형에, 제 4 도에 나타낸 종래예와 같이 각각 성형돌기를 설치하지 아니해도 한쪽의 분할형에만 상기 성형돌기를 설치하고 이 단일의 분할형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구멍의 성형이 될 수 있으므로 상기 구멍의 내면에는 종래예와 같은 돌기가 생기지 않고 성형할 수가 있다.
또, 가이드 본체에 있어서의 유지구멍의 중심선을 낚싯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경사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구멍의 원호상내면이 상기 유지구멍의 경사방향 외측으로 향하도록 상기 도사링을 유지구멍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구멍의 내면을 4반원상으로 한 것이면서도 사용시 낚싯줄은 상기 가이드 구멍의 직각구멍연부에 접촉하는일없이 원호상내면에 접촉하여 안내되게하므로 낚싯줄은 저항이 적고 항상 원활하게 안내시킬수가 있는 것이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있어서 1은 낚싯대(30)의 길이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설치면(11a)을 가진 설치편(11)과, 이 설치편(11)으로 부터 상기 낚싯대(30)의 반경방향 바깥쪽에 향하여 기립하는 상승편(12)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본체이고, 이 가이드본체(1)의 상승편(12)의 도중에는 유지구멍(13)을 설치하고 있다. 또 2는 낚싯줄(40)을 상기 낚싯대(30)의 길이방향에 따라 안내하는 가이드구멍(21)을 가지고 상기 유지구멍(13)에 설치하는 도사링이다.
제 1 도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본체(1)를 상기 설치면(11a)을 가진 한쌍의 설치편(11,11)과, 이들 설치편(11,11)으로 부터 경사상으로 상승하고 정상부에서 연속되어 있는 전방상승편(12a)과 후방상승편(12b)에 의하여 형성하고, 이들 각 상승편(12a,12b)의 도중에 각각 유지구멍(13,1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상승편(12a)은 그 상부가 상기 설치편(11)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져 있고 또 상기 상승편(12b)은 그 상부가 설치편(11)에 대하여 전방으로 경사져 있어 이들 각 상승편(12a,12b)에 설치되는 각 유지구멍(13)은 그 중심선(x-x)이 상기 낚싯대(30)의 길이방향으로 뻗는 중선(y-y)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향하여 전후방향으로 경사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사링(12)에 있어서의 가이드구멍(21)의 내면은 이 가이드구멍(21)의 낚싯줄 도통방향의 길이, 다시 말하면 도사링(2)의 두께를 반경으로 하는 원의 4반원상으로 하고 상기 도사링(2)의 두께방향 일측으로부터 타측에향하여 확경(擴徑)하는 벨마우스상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사링(2)의 두께방향 일측에는 직각구멍연부(22)가 형성되고 타측은 원호상 구멍연부(23)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도사링(2)은 상기 유지구멍(13)에 감합에 의하여 설치되나, 상기 가이드구멍(21)에 있어서의 원호상 내면이 상기 유지구멍(13)의 경사방향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가이드구멍(21)의 내면을 4반원상으로 형성하므로서 2개의 분할형으로 도사링(2)을 성형하는 경우 제 2 도와 같이 가이드구멍 성형용의 성형돌출부(B)를 한쪽의 분할형(C)에만 설치하여 성형할 수가 있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구멍(21)의 내면에는 종래와 같이 맞댐돌기가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이 맞댐돌기를 제거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그만큼 가격을 저감할 수 있게된다.
또한 상기 도사링(2)의 가이드구멍(21)은 그 원호상내면이 상기 유지구멍(13)의 경사방향 바깥쪽에 향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낚싯대의 길이방향에 따라 안내하는 낚싯줄(40)을 제 1 도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구멍(21)의 지각연부(22)에 접촉되는 일 없이 원활하게 안내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제 1 실시예는 한쌍의 상승편(12a,12b)을 설치하여 이들 상승편(12a,12b)에 각각 유지구멍(13)을 설치하여 도사링(2)을 설치했으나, 제 3 도와 같이 도사링(2)은 1개이더라도 된다.
이경우 상기 가이드본체(1)를 설치면(11a)을 가진 설치편(11)을 유지구멍(13)을 가진 상승편(12)과에 의하여 대략 L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상승편(12)을 상기 중심선(Y-Y)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경사시킴과 동시에 이 상승편(12)의 선단에 대략 V자형의 각 편(脚片)(14)을 연설(連設)하고, 이 각편(14)의 선단에 상기 낚싯줄의 길이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설치면(15a)을 가진 설치편(15)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가이드본체(1)는 주로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하게 되나, 이 가이드본체(1)의 재료 및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도사링(2)은 세라믹으로 형성하는 것이나, 그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낚싯대의 길이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설치면(11a)을 가진 가이드본체(1)에 유지구멍(13)을 설치하여 그 유지구멍(13)에 낚싯줄을 안내하는 가이드구멍(21)을 가진 도사링(2)을 설치한 낚싯줄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본체(1)에 있어서의 유지구멍(13)의 중심선(X-X)을 상기 낚싯대의 길이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Y-Y)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경사시킴과 동시에 상기 도사링(2)에 있어서의 가이드 구멍(21)의 내면을 4반원상으로하여 상기 도사링(2)을 상기 가이드구멍(21)의 원호상내면이 상기 유지구멍(13)의 경사방향 바깥쪽에 향하도록 상기 유지구멍(13)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낚싯줄을 상기 가이드구멍(21)의 구멍연부에 접촉시키지 않고 접촉저항이 저고 원활하게 안내시킬수가 있으면서 또한 상기 도사링(2)을 상기 가이드 구멍(21)의 내면에 맞댐돌기가 생기지 않도록 분할형으로 성형할 수가 있으므로 맞댐돌기의 제거작업이 불필요하고 그만큼 도사링(2) 나아가서는 가이드전체의 가격을 절감할 수 있어 저렴한 가격의 낚싯줄가이드를 형성할 수가 있다.

Claims (2)

  1. 낚싯대의 외면에 설치되는 낚싯줄가이드로서, 상기 낚싯대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설치면과, 이 설치면으로부터 상승하는 상승부를 가지고, 이 상승부에 유지구멍을 가진 가이드본체와, 이 가이드본체의 유지구멍에 설치되는 가이드 구멍을 가진 도사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유지구멍의 중심선은 상기 낚싯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도사링에 있어서의 가이드구멍은 그 내면이 4반원상으로 되어 있어 상기 도사링을 상기 유지구멍에 상기 가이드구멍의 원호상 내면이 상기 유지구멍의 경사방향 바깥방향으로 향하여 설치되어 있는 낚싯줄 가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본체는 설치면을 가진 한쌍의 설치편과 이들 설치편으로부터 경사상으로 상승하고 정상부에 있어서 연속되어 있는 전방 상승편과 후방 상승편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각 상승편에는 각각 유지구멍을 가지고 있고, 이들 유지구멍에 4반원상의 내면을 가진 가이드구멍을 구비한 상기 도사링을 상기 가이드 구멍의 원호상내면이 상기 유지구멍의 경사방향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각각 설치되어 있는 낚싯줄가이드.
KR2019890004795U 1988-04-23 1989-04-19 낚시줄 가이드 Expired KR91000570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8054736U JPH0751893Y2 (ja) 1988-04-23 1988-04-23 釣糸ガイド
JP88-54736(U) 1988-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0465U KR890020465U (ko) 1989-11-01
KR910005707Y1 true KR910005707Y1 (ko) 1991-08-02

Family

ID=12979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4795U Expired KR910005707Y1 (ko) 1988-04-23 1989-04-19 낚시줄 가이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88906A (ko)
JP (1) JPH0751893Y2 (ko)
KR (1) KR91000570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866U (ja) * 1991-07-05 1993-03-30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糸ガイド
US5347743A (en) * 1991-10-23 1994-09-20 Shimano Inc. Guide for use on a fishing rod
JP3066312B2 (ja) * 1996-02-28 2000-07-17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導糸環
JP3770349B2 (ja) * 1996-09-06 2006-04-26 株式会社シマノ 中通し竿用糸導入ガイド
JPH10313743A (ja) * 1997-05-16 1998-12-02 Shimano Inc ラインガイド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4882A (en) * 1956-09-07 1959-12-01 Aetna Products & Mfg Co Fishing rod guide
JPS5819257B2 (ja) * 1980-10-14 1983-04-16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用導糸環
JPS58158119A (ja) * 1982-03-17 1983-09-20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用導糸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163967U (ko) 1989-11-15
US4888906A (en) 1989-12-26
JPH0751893Y2 (ja) 1995-11-29
KR890020465U (ko) 198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2100A (en) Hand-operated tool for bending pipes
KR910005707Y1 (ko) 낚시줄 가이드
KR100225981B1 (ko) 선삭 및 홈가공을 위한 칩형성 인서트(chip forming insert, espceially for turning and sloting)
KR19990062704A (ko) 변속기용 시프트 포크
KR100286124B1 (ko) 압출가공용 조합다이스 및 압출가공방법
RU2082906C1 (ru) Гвоздь
US6632039B2 (en) Keycap assembly
JP2903056B2 (ja) スパイラル刃物
CN109351789B (zh) 用于小半径圆角矩形漆包线成形的精密拉拔模具
JPH01186219A (ja) プレスブレーキ用金型
KR910011419A (ko) 성형부품 및 성형 금형
KR940007678Y1 (ko) 콤파스용 잉크펜(pen)
JP3602186B2 (ja) 溝付きピンの製造方法及びチェン連結用溝付きピン
CN211683064U (zh) 一种光学透镜花纹镶件
JPS587407B2 (ja) 接点材料の切断方法
KR830001131Y1 (ko) 재봉용 바이아스 테이프 작성구
KR960005455Y1 (ko) 철선의 나선요철성형다이스
JPS6319432Y2 (ko)
JP2631813B2 (ja) V字曲げ加工機用の上型装置及びパンチ
JPH06168664A (ja) 蛍光表示管のリード切断金型
JPS6313641A (ja) ボルトの成型方法
JP2595159Y2 (ja) バルブホルダの取付構造
JPH088156Y2 (ja) シャープペンシルのチャックリング
JPH01159513A (ja) 切断火口
ES1023280U (es) Puya para tauromaqu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9041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9041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070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110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112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1120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8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8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7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7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7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7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7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7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3

Year of fee payment: 1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