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10005056Y1 - On, off식 고저수위 제어용 정수위 밸브 - Google Patents

On, off식 고저수위 제어용 정수위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056Y1
KR910005056Y1 KR2019880013629U KR880013629U KR910005056Y1 KR 910005056 Y1 KR910005056 Y1 KR 910005056Y1 KR 2019880013629 U KR2019880013629 U KR 2019880013629U KR 880013629 U KR880013629 U KR 880013629U KR 910005056 Y1 KR910005056 Y1 KR 9100050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lve
piston
disk
water lev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36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5023U (ko
Inventor
조진식
Original Assignee
조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진식 filed Critical 조진식
Priority to KR20198800136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056Y1/ko
Priority to JP1988125218U priority patent/JPH0523909Y2/ja
Priority to US07/257,271 priority patent/US4830042A/en
Priority to AT89114661T priority patent/ATE114796T1/de
Priority to EP89114661A priority patent/EP0358944B1/en
Priority to DE68919604T priority patent/DE68919604T2/de
Publication of KR9000050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0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0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056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4Overflow devices for basins or baths
    • E03C1/242Overflow devices for basins or baths automatically actuating supply or drain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3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ing on pilot valve controlling the cut-off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318Processes
    • Y10T137/0402Cleaning, repairing, or assembling
    • Y10T137/0491Valve or valve element assembling, disassembling, or replacing
    • Y10T137/053Float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598With repair, tapping, assembly, or disassembly means
    • Y10T137/6004Assembling or disassembling float or float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287Liquid level responsive or maintaining systems
    • Y10T137/7358By float controlled valve
    • Y10T137/7368Servo relay operation of control
    • Y10T137/7371Fluid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287Liquid level responsive or maintaining systems
    • Y10T137/7358By float controlled valve
    • Y10T137/7413Level adjustment or selection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287Liquid level responsive or maintaining systems
    • Y10T137/7358By float controlled valve
    • Y10T137/7423Rectilinearly traveling floa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287Liquid level responsive or maintaining systems
    • Y10T137/7358By float controlled valve
    • Y10T137/7439Float arm operated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loat Valves (AREA)
  • Control Of Non-Electrical Variable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ON.OFF식 고저수위 제어용 정수위 밸브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절취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디스크 부분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일부 종단면도로써, (a)도는 만수위가 된 상태도, (b)도는 수위가 내려가 유체실의 물이 제거되는 상태도, (c)도는 수압에 의해디스크가 개방되는 상태도, (d)도는 만수위가 되어 디스크가 닫혀지는 상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중간 격판이 없는 종단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이단 피스톤의 일부 절취 사시도.
제 6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로써, (a)도는 만수위가 된 상태도, (b)도는 수위가 내려가 유체실의 물이 제거되는 상태도, (c)도는 유입구가 수압에 의해 이단피스톤이 개방되는 상태도, (d)도는 만수위가 되어 이단피스톤이 닫혀지는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도압관 5 : 거름망
6 : 중간격판 7 : 안내편
8, 8' : 디스크 9 : 축
9' : 중심축 10, 10' : 피스톤
11 : 유로공 14 : 배수로
15 : 배출공 A : 유체실
16 : 밸브시트 18 : 이단피스톤
본 고안은 수위조절용 정수위 밸브를 순간적으로 전개 또는 폐쇄시키면서 고수위와 저수위를 제어 가능토록하여 급수펌프의 구동신호를 급수관로 자체에서 취함으로 급수에너지의 절감과 급수 시스템 설치 공사비를 줄일수 있게 한 ON, OFF식 고주수위 제어용 정수위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부력식 정수위 밸브는 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수조에 물이 공급되고 수조의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정수위 밸브도 차츰 닫히기 때문에 설정 최고 수위에 가까워 질수록 급수량도 줄어들고 엄격한 의미에서 최고 수위에 도달하는데 무한대의 시간이 걸리고 정수위 밸브는 완전히 폐쇄되지 않아 계속되는 펌프의 작동으로 필요 이상의 전력이 소모되며, 또 수압이 높을시는 수압을 견디지 못하여 파손되어 누수가 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인의 선출원된 실용신안출원 제 86-12418호의 정수위 밸브를 이용하여 부구의 부력 자체로만 밸브를 개폐시켜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저수조의 담수능력에 따라 사용되는 것으로, 밸브가 대구경으로 커질 경우 부구와 밸브를 연결한 레바를 길게 하든지 부구를 키우는 방법이 있으나 이럴 경우 저수조를 필요이상 크게 하여야 하므로 경제적 손실과 저수능력 저하 등의 문제점이 많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출원된 실용신안출원 제86-12418호의 정수위 밸브를 덮개 부분의 배수로에 결합한 연결파이프에 연결하여서 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측면 유입구(2)가 있는 밸브 몸체(1)의 상부단턱(3)에 도압관(4)과 거름망(5)이 있는 중간격판(6)을 얹고 안내편(7)과 디스크(8)가 형성된 축(9)을 중앙통공(6a)에 삽입하여 유로공(11)이 있는 피스톤(10)과 볼트(12)로 고정하고 상측으로 배수로(14)가 형성된 덮게(13)를 결합하여 유체실(A)을 형성하고 하부단턱(3')에는 배출공(15)이 있는 밸브시트(16)를 삽입 강수관(17)으로 고정하였고, 또 수압이 적게 작용하는 중,소 구경의 밸브에는 중간격판(6)을 제거하여 사용하며, 그리고 디스크(8) 아래의 안내편(7)을 제거하고 피스톤 (10')과 디스크(8')를 동일크기로 중심축(9')에 일체로 이단피스톤(18)을 만들어 피스톤(10')에는 도압관(4)과 거름망(5)을 형성시키고 디스크(8') 외주연에는 다수위 요홈(19)을 만들어서 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20"은 수위조절용 부구, "21"은 부구안내봉, "22"는작동레바, "23"은 밸브, "24"는 연결파이프, "25"는 고정핀, "B"는 피스톤 상부, "C"는 피스톤하부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저수조의 수위가 만수위가 된 상태에서 물의 사용으로 저수조내의 수위가 낮아져 수위조절용 부구(20)가 부구안내보(21) 하단에 도달하면 수위조절용 부구(20)의 무게가 작용하여 작동레바(22)를 아래로 당기면 밸브(3) 내부의 디스크가 개방되어진다.
이렇게 개방되면 유체실(A)에 모여 있던 물과 수압이 덮개(13)상측배수도(14)를 지나 연결파이프(24)를 통해 저수조로 유출된다.
그리고 나면 유체실(A) 내부에 팽창된 압력이 제거되어 측면 유입구(2)를 통해 유입되던 물이 외부로 흐르려는 압력에 의해 거름망(5)과 도압관(4)을 지나 피스톤(10) 하부(C)에 압력이 가해지면 천천히 위로 상승 작용을 하여 축(9)에 일체로 된 디스크(8)와 안내편(7)이 위로 상승 작용을 하여 배출공(15)이 개방되면 아래의 저수조로 급수가 시작되는 것이다.
이렇게 유입되는 물은 대부분 밸브시트(16)의 배출공(15)을 지나 직접 저수조에 흐르나 일부 극소량은 거름망(5) 및 도압관(4)과 피스톤(10)의 유로공(11)을 거쳐 상부덮개(13)의 배수로(14)를 통해 저수조로 배출된다.
이와같이 계속되는 급수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수위가 상승하여 제 3d 도의와 같이 수위조절용 부근(20)가 수위의 높이에 따라 부구안내봉(21)을 따라 차츰 위로 상승하여 고정편(25)에 도착된 상태에서 물이 계속 유입되어 수위가 높아지면 작동레바(22)에 압력이 가해져서 작동레바(22)선단에 연접된 밸브(23)의 디스크가 페쇄되면 유체실(A)에 충만되는 물의 수압이 피스톤(10) 상부(B)를 아래로 밀어주게 된다.
이렇게 계속되는 수압으로 피스톤(10)이 아래로 내려오면서 축(9)과 함께 디스크(8)가 배출공(15)을 폐쇄하면 물의 흐름이 차단되는 것으로 안내편(7)은 디스크(8)의 상하작동시 배출공(15)으로부터 이탈을 막아준다.
그리고 도압관(4)으로 유입되는 물에 섞인 찌꺼기나 불순물은 거름망(5)이 걸러주어 물의 흐름을 좋게 하여 밸브의 수명을 연장하여 주며, 배추공(15) 하부의 강수관(17)은 밸브가 열렸을 때 흐르는 물의 비산과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특히 대구경의 밸브로 사용할 겨우 중간격판(6)은 물의 유동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수압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개폐속도를 유지시켜 주어 워터함마 발생을 막아준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구조에서 중, 소구경으로 만들어 사용할 경우 제 4 도와 같이 중간격판(6)을 제거하면 유입구(2)에서 유입된 물이 유체실(A)의 압이 제거된 상태에서는 직접 피스톤(10) 하부(C)에 압력을 가해도 밸브의 속도는 일정하게 작동할 수 있어 물의 흐름을 쉽게 조절할 수 있고 또 제 6 도와 같이 중간격판(6)과 피스톤(10) 및 축(9)에서 디스크(8)와 안내편(7)을 제거하고 제 5 도와 같이 피스톤(10')과 디스크(8')를 동일크기로 중심축(9')을 일체로 이단피스톤(18)을 만들어 밸브몸체(1)에 삽입하여 사용하면 상태에서는 제 6a 도와 같이 밸브시트(16)의 배출공(15)을 차단하고 있는 상태에서 저수조의 수위가 내려가 수위조절용 부구(20)가 하강하여 작동레바(22)를 움직이면 유체실(A)에 모여있던 물이 배수로 (14)를 통해 배출되면서 수압이 모두 제거되면 유입구(2)에서 정지되어 있던 물의 수압이 상승하여 이단피스톤(20)의 피스톤(10')아래를 밀어주어 이단피스톤(18)은 천천히 위로 상승하여 밸브시트(16)의 배출공(15)이 개방되어 물이 저수조로 급수가 시작된다.
이렇게 계속되는 급수로 수위가 높아져 수위조절용 부구(20)가 작동레바(22)를 움직여 밸브(23)가 잠겨지면 유입구(2)에 유입된 물은 천천히 피스톤(10')의 거름망(5)과 도압관(4)을 지나 유체실(A)에 모이면서 유체실(A)에서 생긴 수압이 이단피스톤(18)의 상부를 아래로 밀어주어 배출공(15)이 차단되는 것으로 디스크(8')외주연에 형성된 다수의 요홈(19)은 디스크(8')에 직접적으로 전해오는 수압의 면적을 피스톤(10')면적보다 적게하여 개폐 작용을 쉽게 하기 위해 형성시킨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급수가 시작될 때나 차단될 때 피스톤이 천천히 작동하므로 급수로 인한 워터함마가 없어 밸브의 수명을 연장시켜 줄 뿐아니라 각종 건물의 옥상수조에 펌프로써 양수할 경우 펌프 토출배관에 간단한 입력 스위치를 하나 설치하여 펌프실내에서 급수시스템을 자동 제어할 수 있으므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극봉 방식 수위제어에서 오는 자동제어 공사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부전도성 유체의 액면 제어 및 경사지에 위치한 다수의 수조에 한 대의 펌프로서 급수가 가능한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측면 유입구가 있는 밸브 몸체의 상부단턱에 도압관(4)과 거름망(5)이 있는 중간격판(6)을 얹고 안내편(7)과 디스크(8)가 형성된 축(9)을 중앙공통에 삽입하여 유로공(11)이 있는 피스톤(10)과 볼트로 고정하고 상측으로 배수로(14)가 형성된 덮개를 결합하여 유체실(A)을 형성하고 하단턱에는 배출공(15)이 있는 밸브시트(16)을 삽입, 강수관으로 고정하여서 된 ON, OFF식 고저수의 제어용 정수위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밸브 몸체의 중간격판(6)을 제거하여 사용하는 ON, OFF식 고조수의 제어용 정수위밸브.
  3. 제 2 항에 있어서, 디스크(8) 아래의 안내편(7)을 제거하고, 피스톤(10')과 디스크(8')의 크기를 동일하게한 이단피스톤(18)을 만들어 디스크 외준연에 다수의 요홈(19)을 만들어서 된 ON, OFF식 고저수의 제어용 정수위밸브.
KR2019880013629U 1988-08-19 1988-08-19 On, off식 고저수위 제어용 정수위 밸브 Expired KR9100050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3629U KR910005056Y1 (ko) 1988-08-19 1988-08-19 On, off식 고저수위 제어용 정수위 밸브
JP1988125218U JPH0523909Y2 (ko) 1988-08-19 1988-09-27
US07/257,271 US4830042A (en) 1988-08-19 1988-10-13 Liquid level control float valve
AT89114661T ATE114796T1 (de) 1988-08-19 1989-08-08 Schwimmergesteuertes ventil zur niveauregelung von flüssigkeiten.
EP89114661A EP0358944B1 (en) 1988-08-19 1989-08-08 Liquid level control float valve
DE68919604T DE68919604T2 (de) 1988-08-19 1989-08-08 Schwimmergesteuertes Ventil zur Niveauregelung von Flüssigkeit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3629U KR910005056Y1 (ko) 1988-08-19 1988-08-19 On, off식 고저수위 제어용 정수위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023U KR900005023U (ko) 1990-03-08
KR910005056Y1 true KR910005056Y1 (ko) 1991-07-15

Family

ID=19278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3629U Expired KR910005056Y1 (ko) 1988-08-19 1988-08-19 On, off식 고저수위 제어용 정수위 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30042A (ko)
EP (1) EP0358944B1 (ko)
JP (1) JPH0523909Y2 (ko)
KR (1) KR910005056Y1 (ko)
AT (1) ATE114796T1 (ko)
DE (1) DE6891960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2752A (en) * 1993-08-23 1997-07-01 Kabushiki Kaisha Yokota Seisakusho Controllable constant flow regulating lift valve
US6263905B1 (en) * 1996-10-08 2001-07-24 Kabushiki Kaisha Yokota Seisakusho Automatic regulating valve apparatus
GB9709587D0 (en) * 1997-05-12 1997-07-02 Risbridger W & J Ltd Overfill protection for fuel tanks
USD421788S (en) * 1999-04-29 2000-03-21 Moen Incorporated Fill valve float
AUPQ060299A0 (en) * 1999-05-27 1999-06-17 Multiflo Australia Pty Ltd Flow control valve assembly
AU2002952390A0 (en) 2002-10-31 2002-11-14 Multiflo Australia Pty Ltd Valve assembly
DE10257570A1 (de) * 2002-12-10 2004-06-24 Adam Opel Ag Schwimmerventil für ein Luftfiltergehäuse
USD538888S1 (en) * 2005-01-21 2007-03-20 Oliveira & Irmao, S.A. Float-operated feed valve
CA2620233C (en) * 2007-01-19 2015-02-10 Flomeg, Llc Flow control valve
CN105114689B (zh) * 2015-09-01 2017-12-19 中国恩菲工程技术有限公司 减压水箱
CN105090558B (zh) * 2015-09-01 2017-11-17 中国恩菲工程技术有限公司 浮球阀
CN107986368B (zh) * 2018-01-12 2023-12-01 内蒙古工业大学 基于碟式聚光的太阳能风能互补驱动多效含盐水淡化装置
CN111536262B (zh) * 2020-06-08 2025-05-02 杭州聚川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机械式真空液位控制阀
CN112065079B (zh) * 2020-09-23 2025-04-15 新疆冶金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养护混凝土的喷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096A (en) * 1904-02-02 Valve
US993628A (en) * 1910-06-04 1911-05-30 Orbert E Williams Feed-water regulator.
US1302538A (en) * 1918-01-28 1919-05-06 David E Gulick Ball-cock, otherwise known as float-valve.
US1555755A (en) * 1922-10-11 1925-09-29 William A Pratt Valve
GB218805A (en) * 1923-06-01 1924-07-17 John Edmund Blakeborough An improvements in valves for controlling supplies of liquid
US1525247A (en) * 1924-01-28 1925-02-03 Irvin W Leiss Flush-valve apparatus
US1571396A (en) * 1924-03-24 1926-02-02 Darrow Henry Edgar Pressure-equalizer valve
US1676084A (en) * 1927-05-09 1928-07-03 Charles N Flagg Combination float and diaphragm valve
US1694072A (en) * 1927-06-29 1928-12-04 Cyrus R Manion Flush valve
US1826088A (en) * 1929-03-11 1931-10-06 Ostlind Oscar Joel Pressure operated valve
US2092670A (en) * 1936-04-30 1937-09-07 Charles W Hess Flush valve
FR906942A (fr) * 1944-09-14 1946-02-25 Robinetterie S A J Soc D Soupapes à piston perfectionnées, et dispositif, en comportant application, pour la distribution de fluides sous pression
US2825526A (en) * 1957-01-02 1958-03-04 United Aircraft Corp Gate valve
JPS417222Y1 (ko) * 1964-09-05 1966-04-13
DE2246506A1 (de) * 1970-07-30 1974-04-04 Licentia Gmbh Verfahren zur korrektur von einfachen und ueberlappenden fehlerbuendeln
SE366812B (ko) * 1971-09-22 1974-05-06 Neles Ab
US3907248A (en) * 1973-07-20 1975-09-23 Coulbeck M G Ltd Stopcocks
US4172466A (en) * 1977-07-01 1979-10-30 Target Rock Corporation Self-actuated pilot-controlled safety valve
US4741358A (en) * 1986-10-01 1988-05-03 Cho Jin S Liquid level control float valve
JPH04313906A (ja) * 1991-04-12 1992-11-05 Fujitsu Ltd 弾性表面波素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58944B1 (en) 1994-11-30
JPH0231972U (ko) 1990-02-28
US4830042A (en) 1989-05-16
DE68919604T2 (de) 1995-06-14
DE68919604D1 (de) 1995-01-12
JPH0523909Y2 (ko) 1993-06-17
KR900005023U (ko) 1990-03-08
ATE114796T1 (de) 1994-12-15
EP0358944A1 (en) 1990-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5056Y1 (ko) On, off식 고저수위 제어용 정수위 밸브
EP1167848B1 (en) Double funnel float valve
US20020043283A1 (en) Device for controlling a liquid flow
CN2715207Y (zh) 水力上下液位控制浮球阀
CN216428455U (zh) 马桶
CN215211341U (zh) 一种浮筒装置及进水阀和排水阀
KR910005055Y1 (ko) On, off식 고저수위 제어용 정수위 밸브
KR200215632Y1 (ko) 하수맨홀용 개폐밸브
WO2004086154A2 (en)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 device with float valve using internal water pressure gravity and buoyancy
CN86210146U (zh) 农田灌溉水力自动阀
CN110529653A (zh) 一种水位控制选择阀及其使用方法
JP3049695U (ja) 直通式節水便器
CN217949272U (zh) 一种输水管道排泥阀湿井
CN220225583U (zh) 进水阀、冲洗系统和智能马桶
CN2324197Y (zh) 直通式节水马桶
KR200318451Y1 (ko) 내부수압과 중력 및 부력을 이용한 플로트 밸브가 구비된자동수위조절장치
CN2368060Y (zh) 一种自来水自控放水阀门
KR20020057669A (ko) 우수토실의 유량제어밸브
CN2510689Y (zh) 低水箱座便器水箱配件换向补水阀
KR200225139Y1 (ko) 우수토실의 유량제어밸브
SU1211388A2 (ru) Гидрант
SU1589257A1 (ru) Вакуумный регул тор расхода
SU1160264A1 (ru) "ctehд для иcпыtahия tуpбokomпpeccopa"
US2784734A (en) Control for floats
CN2361914Y (zh) 常压锅炉回水自控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8081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8081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061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110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110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1101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7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6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7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7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7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6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7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30

Year of fee payment: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6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