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10004228Y1 - 다단식 푸쉬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다단식 푸쉬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228Y1
KR910004228Y1 KR2019880021094U KR880021094U KR910004228Y1 KR 910004228 Y1 KR910004228 Y1 KR 910004228Y1 KR 2019880021094 U KR2019880021094 U KR 2019880021094U KR 880021094 U KR880021094 U KR 880021094U KR 910004228 Y1 KR910004228 Y1 KR 9100042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groove
driving pin
case
push butt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10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3317U (ko
Inventor
남선우
Original Assignee
정풍물산 주식회사
이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풍물산 주식회사, 이명 filed Critical 정풍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210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4228Y1/ko
Publication of KR9000133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33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2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228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3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flexing of blade spring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단식 푸쉬버튼 스위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평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캠부의 홈을 전개시킨 상태도.
제 4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캠부와 구동핀의 동작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작동간
3 : 압압부 4 : 캠부
5 : 판스프링 6 : 구동핀
7 : 캠 8 : 벽면
9 : 홈 10, 11, 12 : 굴곡부
본 고안은 푸쉬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위치의 로크를 실행시키는 캠에 다수개의 굴곡부를 형성시켜, 1개의 푸쉬 버튼스위치로 다수조의 접점을 절환시킬 수 있도록 된 다단식 푸쉬버튼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오디오제품등에 사용되는 푸쉬버튼스위치는 대부분 그 구조가 2조의 접점을 절환시키는 푸쉬버튼스위치는 그 아래쪽에 접점편이 설치되면서 윗쪽면에 하아트캠홈이 형성된 슬라이드 블럭을 가진 조작간과, 접점편의 위치에 따라 전기적접속이 절환되는 복수의 단자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블럭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케이스와, 이 케이스윗쪽 끝에 고정지지되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블럭에 형성된 하아트캠홈에 걸어 맞추어지는 구동핀이 설치되어 있어, 조작간을 눌러주게 되면 슬라이드블럭이 이동하여 단자간의 전기적접속이 절환하는 동시에 조작간의 압압상태를 구동핀과 하아트캠홈에 의해 걸려지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이 푸쉬버튼스위치를 사용해서 3조 이상의 접점을 절환시킬려면 접점의 수의 같은 수위 다수개 푸쉬버튼스위치가 필요하게 되고, 그 때문에 푸쉬버튼스위치의 설치가 복잡해지게 될 뿐만 아니라 푸쉬버튼 스위치의 설치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설치되는 푸쉬버튼스위치의 갯수가 많아짐에 따라 제품의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스위치의 로크를 실행시키는 캠에 다수개의 굴곡부를 형성시켜, 1개의 푸쉬버튼스위치로 다수개의 접점을 절환시키도록 됨으로써, 전자제품의 스위치설치작업이 간단해지게 되고, 부품의 수도 절감될 수 있도록 된 다단식 푸쉬버튼스위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케이스에 삽입되는 작동간의 앞쪽에 형성된 누름부와, 그 뒤쪽에 다수의 굴곡부를 갖춘 캠 및, 이 캠의 주위의 벽면사이에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의 윗쪽에 한쪽끝에 걸려져 지지되면서 판스프링에 탄력 지지된 구동핀의 다른 한쪽끝이 상기 캠의 굴곡부와 홈에 의해 걸려져 스위치접점되도록 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플라스틱판으로 된 케이스(1)와 이 케이스(1)에 삽입되는 작동간(2)으로 이루어지면서, 이 작동간(2)에는 압압부(3)와 캠부(4)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의 상측에는 상기 작동간(2)에 형성된 캠부(4)와 상응하는 판스프링(5)과 구동핀(6)이 설치되며, 상기 캠부(4)에는 캠(7)이 형성되면서, 이 캠(7)과 캠(7)주위의 벽면(8) 사이에 홈(9)이 형성되고, 상기 캠(7)의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굴곡부(10, 11, 12)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핀(6)의 일단이 상기 홈(9)내에서 여러 단계로 로크되어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A와 B, C, D, A', B', C' 및 D'는 단자이고, 13은 웨이퍼, 31~40은 턱이며, 42는 제 1 위치 밑면, 43은 제 2 위치밑면, 44는 제 3 위치밑면, 45는 제 4 위치밑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캠(7)에 굴곡부(10, 11, 12)가 다수 형성되어져 있어서, 상기 작동간(2)이 케이스(1)에 대해 여러단계로 위치시켜지게 되어 다수조의 접점단자(A), (B), (C), (D), (A'), (B'), (C'), (D')를 연결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푸쉬버튼스위치의 일부를 절결시켜 놓은 상태의 일부절결사시도로서, 케이스(1)의 작동간(2) 및 웨이퍼(13)로 이루어지면서, 작동간(2)이 케이스(1)내에서 미끄럼운동을 하면서 단계적으로 로크되어지게 되고, 이렇게 작동간(2)이 단계적으로 로크되어짐에 따라 웨이퍼(13)에 삽입되어져 있는 접점단자들(A), (B), (C), (D), (A'), (B'), (C'), (D')이 차례로 접속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와 작동간(2)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또한 케이스(1)의 내측상단부에는 판스프링(5)과 "ㄷ"자형 구동핀(6)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구동핀(6)의 일단이 작동간(2)에 형성된 캠부(4)에 끼워지게 되어 작동간(2)을 로크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간(2)의 록크는 전술한 구동핀(8)의 일단이 캠부(4)내의 홈(9)에 걸려짐으로서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에는 본 고안에 따른 캠부(4)내의 홈(9)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작동간의 캠부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고, 제 3 도는 캠부(4)의 홈형태로를 알기 쉽게 전개시켜 캠부(4)와 구동핀(6)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상세도인바, 즉 캠부(4)의 중앙에는 캠(7)이 형성되고, 이 캠(7)에는 다수개의 굴곡부(10, 11, 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캠(7)의 주위에는 벽면(3)이 형성되고, 캠(7)과 벽면(8) 사이에는 구동핀(6)의 일단이 이동하게 되는 홈(9)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캠(7) 주위 홈(9)에는 제 2 도 및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31~40)이 홈(9)의 반시계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구동핀(6)의 일단이 캠(7)주위의 홈(9)내를 이동할때는, 시계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반시계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제 4 도에는 캠부(4)와 구동핀(6)의 동작과정이 도시되어 있는바, 이를 참조로 하여 구동핀(6)과 캠부(4)의 동작과 더불어 푸쉬버튼스위치의 로크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핀(6)의 일단은 처음에는 제 4a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9)의 제 1 위치 밑면(42)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이 구동핀(6)의 일단은 턱(31)에 의해 그 위치가 지지되어짐과 더불어 단자(A)와 단자(B)가 접속되게 되고, 단자(A')와 단자(B')도 접속되게 된다.
이어, 작동간(2)이 압압부(3)를 통해 힘을 받아 이동하게 되면 작동간(2)의 상측에 형성된 캠부(4)도 이동하게 되는바 이렇게 캠부(7)가 이동하게 되면 홈(9) 내에서의 구동핀(6)의 위치가 변경되게 된다.
즉, 구동핀(6)의 일단이 캠(7)의 측면을 따라 홈(9)내를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해서 도면상 캠의 우측에 형성되어져 있는 굴곡부(10)에 위치하게 된다. 왜냐하면 턱(31)이 형성되어져 있어서 구동핀(6)의 일단이 이 턱(31)이 걸려지게 됨으로서, 이 구동핀(6)의 일단이 홈(9)내에서 시계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반시계방향으로만 이동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구동핀(6)의 일단이 굴곡부(10)에 위치하게 되면, 이 구동핀(6)의 일단이 제 4b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위치밑면(43)위에 위치하게 되는 바, 이 경우 제 1 도에 도시되어져 있는 단자(B)와 단자(C)가 접속되고, 또 단자(B')(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단자(C')(도시되어 있지 않음)도 접속되게 된다.
이어, 다시 작동간(2)의 압압부(3)에 힘을 가해주게 되면, 상기 구동핀(6)의 일단이 홈(9)에 턱(3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턱(33)에 걸려져 홈(9)내를 시계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 4c 도에서 구동핀(6)이 캠(7) 상측의 3단위치에 있는 굴곡부(11)에 걸려져 있는 제 3 위치밑면(44)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구동핀(6)의 일단에 제 3 위치밑면(44) 위에 위치하게 되면, 단자(C)와 단자(D)가 접속되게 되고, 단자(C')(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단자(D')(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접속되게 된다.
이어 계속해서 작동간(2)의 압압부(3)에다 힘을 가해주게 되면, 홈(9)에 턱(36)이 형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구동핀(6)의 일단이 홈(9)내에서 시계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반시계방향으로만 이동한 다음, 제 4d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7)의 좌측에 형성되어져 있는 굴곡부(12)에 걸려지면서 제 4 도 위치밑면(45)위에 위치하게 되는 바, 이때에도 단자(B)와 단자(C)가 다시 접속되고, 단자(B')와 단자(C')도 다시 접속되게 된다.
다음에는 구동핀(6)의 일단이 원상태로 위치하게 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작동간(2)의 압압부(3)에 재차 힘을 가하게 되면, 홈(9)에 턱(39)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구동핀(6)의 일단이 이 턱(39)에 걸려져 홈(9)내에서 시계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반시계방향으로만 이동해서, 제 4a 도에 도시된 위치로 되돌아가 제 1 위치밑면(42)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작동간(2)에 있는 캠(7)에 3개의 굴곡부(10, 11, 12)를 형성시켜 놓음으로써, 구동핀(6)의 일단이 홈(9)내에서 3가지 위치로 로크되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작동간(2)이 케이스(1)내에서 3단계로 위치하게 됨으로서, 1개의 푸쉬버튼스위치로써 3개의 접점단자를 절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다수개의 접점단자를 접속시킬 목적으로 푸쉬버튼스위치를 설치해야 할 경우, 설치되는 푸쉬버튼스위치의 개수를 적게 할 수가 있고, 또 그 수가 적어지게 됨으로써 푸쉬버튼스위치의 설치작업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스위치설치면적을 대폭 축소시킬 수가 있게 된다.

Claims (1)

  1. 플라스틱판으로 된 케이스(1)와 이 케이스(1)에 삽입되는 작동간(2)으로 이루어지면서, 이 작동간(2)에는 압압부(3)와 캠부(4)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의 상측에는 상기 작동간(2)에 안내되는 구동핀(6)이 판스프링(5)을 매개로 해서 탄력설치되며, 상기 캠부(4)에는 캠(7)이 형성되면서 이 캠(7)과 작동간(2)의 벽면(8) 사이에 홈(9)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푸쉬버튼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핀(6)의 일단이 상기 홈(9)내에서 여러 단계로 로크되어지는 상기 캠(7)의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굴곡부(10, 11, 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푸쉬버튼스위치.
KR2019880021094U 1988-12-20 1988-12-20 다단식 푸쉬버튼 스위치 Expired KR9100042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1094U KR910004228Y1 (ko) 1988-12-20 1988-12-20 다단식 푸쉬버튼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1094U KR910004228Y1 (ko) 1988-12-20 1988-12-20 다단식 푸쉬버튼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317U KR900013317U (ko) 1990-07-05
KR910004228Y1 true KR910004228Y1 (ko) 1991-06-29

Family

ID=19282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1094U Expired KR910004228Y1 (ko) 1988-12-20 1988-12-20 다단식 푸쉬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42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855B1 (ko) * 1999-06-30 2002-03-14 배명진 차량용 백 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855B1 (ko) * 1999-06-30 2002-03-14 배명진 차량용 백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317U (ko) 199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2592B1 (ko) 접편 매설지지형 잭
JPH0684426A (ja) スイッチ
US4055734A (en) Keyboard switch assembly with hinged pushbuttons and cantilevered terminal members
JPH0927241A (ja) 薄型スイッチ
US4707765A (en) Printed wiring board mounted control instrument
KR910004228Y1 (ko) 다단식 푸쉬버튼 스위치
US6689967B2 (en) Slide switch
US5816833A (en)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CN1237563C (zh) 滑块启动开关
US4200781A (en) Manual switch for portable tools
US4152556A (en) Noise suppression pushbutton interlocked switch assembly
US4426559A (en) Push button switch having two resilient contacts operated at different times
US3482064A (en) Electrical switch having pressure contacts
US4144419A (en) Push-button actuated slide switch
KR100324785B1 (ko) 푸쉬스위치장치
KR0128810Y1 (ko) 전자접촉기의 상호쇄정장치
US4926012A (en) Miniature electric switch designed to be used in particular in printed circuits
US20050115817A1 (en) Push button switch
US4050759A (en) Zero-insertion-withdrawal force connector
JP4023884B2 (ja) スイッチ装置の接点開閉機構
US4398070A (en) Two-motion push-button switch
KR200154988Y1 (ko) 다용도 누름버튼
US2714639A (en) Electric switches
US3219766A (en) Push button switch
KR930006388Y1 (ko) 무선호출기용 페이저(Pager)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8122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8122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10408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052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109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112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1121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6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6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6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6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11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6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