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10000468Y1 - 자동 상향류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상향류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468Y1
KR910000468Y1 KR2019880015935U KR880015935U KR910000468Y1 KR 910000468 Y1 KR910000468 Y1 KR 910000468Y1 KR 2019880015935 U KR2019880015935 U KR 2019880015935U KR 880015935 U KR880015935 U KR 880015935U KR 910000468 Y1 KR910000468 Y1 KR 9100004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hamber
filtration
pipe
backwas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59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6354U (ko
Inventor
김병열
Original Assignee
삼양정수공업 주식회사
장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양정수공업 주식회사, 장락순 filed Critical 삼양정수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59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468Y1/ko
Publication of KR9000063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3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4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468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6Upward filtration
    • B01D24/167Upward filtration the container having distribution or collection headers or pervious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42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with valves, e.g. rotat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4/4869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상향류 여과장치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상향류 여과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개략 종단면도로서, 제1도는 정상여과시의 작용을 보인 설명도.
제2도는 물과 공기에 의한 역세척 과정을 보인 설명도.
제3도는 물 단독 여과 과정을 보인 설명도.
제4도는 헹굼과정을 보인 설명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역류 방지밸브의 단면도.
제6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여과탱크 2 : 역류방지밸브
3 : 격판 4 : 정수유출관
5 : 정수실 6 : 여과층
7 : 여과실 8 : 가압실
9 : 헤드 탱크 10 : 원수공급관
11 : 원수유입관 20 : 역세수 배수밸브
21 : 역세수 배수관 22 : 집수트라프
24 : 공기공급밸브 25 : 공기공급관
27 : 레벨스위치 28 : 역세수 공급밸브
29 : 역세척용 정수공급관 30 : 레벨스위치
본 고안은 원수를 여과하는 여과층에 일정량 이상의 불순물이 집적되면 그 여과층을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다시 원수를 여과하는 자동상향류 여과기에 있어서, 역류방지밸브가 구비된 격판 하부의 여과실과 그 여과실하부의 가압실 일측에 액세수 배수관과 공기공급관을 각기 설치하고, 정수실의 하단과 가압실 사이에는 역세척용 정수공급관을 연결 설치하여, 여과층의 역세척 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킴과 아울러 역세척된 여과층에 안정기를 갖게하여 역세척이 완료되는 즉시 청정한 여과수를 공급할 수 있게한 자동 상향류 여과기에 관한것이다.
종래에도 격판에 설치된 역류용 밸브를 이용하여 헤드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상향 여과시킴과 아울러 여과층의 역세척시에도 상향 수류에 의한 세척이 이루어지게한 ″자동 상향류 여과기″가 본 고안 출원인에 의하여 선출원 (1985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718호, 공고번호 제87-3400호)되어 실용신안등록 제36398호로 등록된바 있다.
이와같은 상향류 여과기에 의한 여과방법은 여과실의 하부로 공급된 원수가 조립(粗粒), 중립(中粒), 세립(細粒)층으로된 여과층을 차례로 통과하는 동안 원수중에 포함된 부유물질중 대립자는 조립층에서 중간입자는 중립층에서 소입자는 세립층에서 제거되는 것이므로, 그 여과효율이 하향류식 여과장치에 비하여 우수하며 여과층 전체를 이용하기 때문에 부유물질의 제거량에 비하여 손실수두의 증가는 비교적 적고 따라서 여과지속 시간이 연장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상향류 여과 방식에 있어서는 여과층에 포집되는 부유물질의 양이 많기 때문에 역세척수만을 이용한 물 단독 역세척 방식으로는 여과층에 포착된 부유물질의 효과적인 제거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결점과 역세척이 완료된 직후 즉, 여과재개 초기에 정수실로 공급되는 여과수중에는 역세척수의 일부가 포함되는 난점이 있으며, 상기 여과실의 중앙상부에는 통상 역세척수의 배수를 위한 사이펀관을 설치하여 여과탱크의 외부 설치되는 사이펀관의 하단부를 수봉조내에 봉입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여과탱크의 외부에 노출되는 사이펀관의 일측에는 사이펀을 형성하기 위한 사이펀 개시관과 플로우트 밸브가 구비된 별도의 수조등을 설치해야 하는 복잡한구성을 갖게되고, 동절기의 수봉조 보온관리에 많은 난점과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상향류 여과기가 가지는 제반결점과 문제점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것으로, 역류방지 밸브를 가진 격판으로 구획된 여과실의 일측벽 상부 및 하부의 가입실 일측에 여과실 상부로 유입된 역세척수를 즉시 배수할 수 있는 역세수 배수관과 공기공급관을 각기 설치하여 이들 배수관과 공급관이 헤드 탱크의 수위상승에 따라 동작되는 레벨스위치에 의하여 개방되게 하고, 정수실의 하부 일측에는 가압실과 연결된 원수 유입관에 연통되는 역세척용 정수공급관을 설치하여, 여과정항의 증대에 따른 여과층의 역세척의 개시 초기에는 여과실 상부의 역세수 배수관을 개방함과 아울러 공기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와 가압실에 공급되는 원수를 함께 이용한 역세척이 일정시간 동안 진행되게 하고, 이어 정수실로 부터 공급되는 다량의 정수와 헤드탱크의 원수에 의한 물 단독 고압 역세척이 이루어지게 하여 여과층의 역세척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게 하며, 역세척 종료단계에서는 헤ㅡ탱크에서 공급되는 원수에의한 여과층의 헹굼 및 안정화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역세척의 완료 즉시 청정한 여과수의 공급이 가능하게한 것인바,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여과탱크(1)의 중간부가 역류방지밸브(2)를 구비한 격판(3)으로 분리되어 정수유출관(4)이 설치된 상부의 정수실(5)의 여과층(6)을 가진 하부의 여과실(7)로 구획되고, 그 여과실(7) 하부의 가압실(8)에는 헤드탱크(9)로부터 원수공급관(10)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가 유입관(11)을 통해 유입되는 상향류 여과기에 있어서, 본 고안에 의한 상향류 여과장치는 상기 여과실(7)의 상부일측에 역세수 배수밸브(20)가 구비된 역세수 배수관(21)이 연결 설치되어 그 여과실(7)의 상측 중앙부로 연장시킨 역세수 배수관(21)의 상단부에 상부가 트여진 환상 집수트라프(trough)(22)가 수개의 연통관(22a)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고(제6도 참조), 그 역세수 배수관(21)의 하단은 통상의 배수거(23)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같이된 여과탱크(1) 하측의 가압실(8) 일측벽에는 공기공급밸브(24)를 가진 공기공급관(25)이 연결설치되어 있고, 그 가압실(8)과 여과실(7)을 구획하는 집수관(12)에는 상기 원수유입관(11)을 통하여 공급되는 원수와 공기공급관(25)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여과실(7)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는 공지 형태의 물, 공기 겸용 스트레이너(26)가 등간격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헤드탱크(9)에는 그 헤드탱크(9)의 수위증가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역세수 배수관(21)의 역세수 배수밸브(20)와 상기 공기공급관(25)의 공기공급밸브(24)를 타이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자동개방시키는 레벨스위치(27)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여과탱크(1) 상부의 정수실(5) 하단 일측벽과 상기 가압실(8)에 연통되는 원수유입관(11) 사이에는 역세수 공급밸브(28)가 구비된 역세척용 정수 공급관(29)이 연결설치되어 있다.
상기 정수실(5)의 상부에는 그 정수실(5)의 최저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봉(30a)을 가진 레벨스위치(30)가 설치되어 있어, 정수실(5)의 수위가 최저수위(L.W.L)에 도달하면 개방된 역세척용 정수공급관(29)의 역세수 공급밸브(28)를 폐쇄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a는 역류방지밸브(2)의 변판을 보인 것이며, 13은 정수실(5) 상단에 설치된 공개배출관을 보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장치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상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 상향류 여과장치가 정상 여과시의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때에는 상기 역세수 배수관(21)의 배수밸브(20)와 공기공급관(25)의 공기공급밸브(24) 및 역세척용 정수공급관(29)의 역세수 공급밸브(28)가 각각 폐쇄된 상태에 있어, 헤드탱크(9)로부터 공급되어 원수공급관(10) 및 원수유입관(11)을 통해 가압실(8)로 유입되는 원수는 집수판(12)에 설치된 스트레이너(26)를 통하여 여과실(7)로 유입되어 그 여과층(6)을 거치는 동안 여과되고, 여과된 정수의 수압으로 격판(3)의 중앙부에 설치된 역류방지밸브(2)의 변판(2a)을 상향 개방시킨 상태에서 정수실(5)로 유입된 후 그 수위가 만수위(H.W.L)에 도달하면 정수유출관(4)을 통해 배출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원수의 여과가 계속 진행됨에 따라 여과층(6)의 여과 정항이 증가하게 되면 상기 헤드탱크(9)의 원수 수위가 점차 상승하게 되고, 이어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헤드탱크(9)의 수위가 만수위(H.W.L)에 도달하게 되면 그 레벨스위치(27)가 동작되어 상기 역세수 배수관(21)의 배수밸브(20)를 개방시킴과 아울러 공기공급관(25)의 공기공급밸브(24)를 타이머로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개방시키게 되므로, 여과실(7) 상부의 집수트라프(22)에 고여있는 여과수가 개방된 역세수 배수관(21)을 통하여 급속히 배수되면서 그 상측에 개방되어 있던 역류방지밸브(2)의 변판(2a)을 닫게되고, 이와 동시에 가압실(8)의 내부에는 개방된 공기공급관(25)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와 헤드탱크(9)에서 공급되는 원수가 각 스트레이너(26)를 통하여 여과층(6)의 상부로 유입되면서 공기와 물에 의한 여과층(6)을 역세척한 후 여과실(7)의 상부로 공급되는 혼탁한 역세척수는 그 상부의 집수트라프(22)와 역세수배수관(21)을 통해 원활히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물과 공기에 의한 역세척 과정은 상기한 바와같이 타이머로 설정된 시간 동안 계속되는 바, 역세척 개시후 일정시간(약4-5분)이 경과하면 상기 역세수 배수밸브(20)는 계속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공급 밸브(24)가 폐쇄되어 그 공기공급관(25)을 통한 공기의 공급이 차단됨과 동시에 상기 역세척용 정수공급관(29)의 역세수 공급밸브(28)가 자동개방된다.
따라서, 이와같은 역세척용 정수공급관(29)의 개방에 따라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정수실(5)에 채워져있던 다량의 정수가 일시에 가압실(8)로 공급되므로, 그 가압실(8)의 내부에는 정수실(5)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역세수와 상기 헤드탱크(9)로부터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원수의 수압이 함께 작용되면서 고압수에 의한 여과층(6)의 고속 역세척이 일정시간 동안 진행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정수실(5)의 수위가 점차 하강되어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정수실(5)의 수위가 저수위(L.W.L)에 도달하게 되면 레벨스위치(30)가 작동되어 역세수 공급밸브(28)를 폐쇄하게 되면서 역세척용 정수공급관(29)을 통한 정수의 공급을 차단하게 되고, 이때부터는 상기 헤드탱크(9)를 통한 원수의 공급만 타이머로 설정된 일정시간동안 계속되어 고속, 고압수에 의하여 역세척된 여과층(6)을 헹구어 냄과 아울러 여과층(6)을 안정화시키게 되며, 이때의 역세척수는 상기의 역세수 배수관(21)을 통하여 배수된다.
이와같이 하여 원수에 의한 여과층(6)의 헹굼 및 안정화가 완료되면 역세수 배수관(21)의 역세수 배수밸브(20)를 폐쇄하여 상기 제1도와 같은 정상 여과가 재게되므로 여과개시 즉시 청정한 여과수를 정수실(5)로 공급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상향류 여과장치는 여과실의 일측벽과 가압실의 일측에 여과실 상부의 역세척수를 배수할 수 있는 역세수 배수관과 공기공급관을 각각 설치하여 이들 배수관과 공급관에 각기 설치된 배수밸브와 공기밸브가 헤드탱크의 수위증가에 따라 동작되는 레벨스위치에 의하여 개방되게 하고, 정수실의 하단과 가압실로 연결된 원수유입과 사이에는 고압의 역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정수공급관을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므로, 여과정항의 증대에 따른 여과층이 역세척 개시초기에는 공기와 물에 의한 혼합 역세작용이 진행되게 하고, 이어 정수실로부터 공급되는 다량의 정수와 헤드탱크의 원수에 의한 물 단독 고압 역세척이 진행되게 하며, 역세척의 종료단계에서는 헤드탱크에서 공급되는 원수에 의한 여과층의 헹굼 및 안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함으로써, 여과층에 대한 역세척 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여과층의 역세척이 완료되는 즉시 청정한 여과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여과탱크(1)의 중간부가 역류방지밸브(2)를 구비한 격판(3)으로 분리되어 정수유출관(4)이 설치되는 정수실(5)과 여과층(6)을 가진 여과실(7)로 구획되고, 여과실(7) 하부의 가압실(8)에는 헤드탱크(9)로부터 공급되는 원수가 원수공급관(10) 및 원수유입관(11)을 통해 유입되는 상향류 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실(7)의 상부 일측벽과 가압실(8)의 일측에 환상 집수트라프(22)를 상단에 가진 역세수 배수관(21)과 공기공급관(25)을 각기 설치하여 그 역세수 배수관(21)과 공기공급관(25)에는 헤드탱크(9)의 수위 증가에 따라 동작되는 레벨스위치(27)에 의해 개방되는 역세수 배수밸브(20)와 공기 공급밸브(24)를 설치하고, 상기 정수실(5)의 하단과 원수유입관(11) 사이에는 정수실(5)의 저수위 감지용 레벨스위치(30)로 폐쇄되는 역세수 공급밸브(28)가 구비된 역세척용 정수공급관(29)을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상향류 여과장치.
KR2019880015935U 1988-09-29 1988-09-29 자동 상향류 여과장치 Expired KR9100004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5935U KR910000468Y1 (ko) 1988-09-29 1988-09-29 자동 상향류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5935U KR910000468Y1 (ko) 1988-09-29 1988-09-29 자동 상향류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354U KR900006354U (ko) 1990-04-02
KR910000468Y1 true KR910000468Y1 (ko) 1991-01-25

Family

ID=19279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5935U Expired KR910000468Y1 (ko) 1988-09-29 1988-09-29 자동 상향류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46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100A (ko) * 2000-01-25 2001-08-11 김병창 여과식 폐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354U (ko) 199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1069604A3 (ru) Фильтр,работающий под давлением
JP3984145B2 (ja) 固液分離装置の洗浄方法
KR910000468Y1 (ko) 자동 상향류 여과장치
JP2690852B2 (ja) 自然ろ過装置の運転方法
RU234775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ой воды
JP3147720B2 (ja) 下向流濾過装置の洗浄方法
JP3377635B2 (ja) 排水処理設備
KR0138580B1 (ko) 여과부재 동시세척 연속 여과방법 및 여과장치
KR200159128Y1 (ko) 고도처리용 상향류 복합층 여과장치
JP3122024B2 (ja) 下向流型複層濾過器における洗浄装置及び方法
KR200304549Y1 (ko) 오폐수 여과장치
JP3465383B2 (ja) 下向流濾過装置の濾過方法
JP3031402B2 (ja) 外圧式膜ろ過装置
KR870003400Y1 (ko) 자동 상향류 여과기
JPH0728886Y2 (ja) 重力式ろ過装置
JPH1080683A (ja) イオン交換装置
KR200188537Y1 (ko) 역세정 효율을 증대한 압력식 여과장치
KR900002815B1 (ko) 급속여과지의 역세척 배수 분리방법 및 장치
KR930003040B1 (ko) 급속 여과지의 역 세척방법
JP3106859B2 (ja) 沈澱池のろ過装置
SU103952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200410182Y1 (ko) 물과 공기를 병용하는 역세척방식의 급속여과기
WO2004045742A1 (en) Water filter and a method of water purification, backwashing and rinsing
JPH0717365Y2 (ja) 連続式砂ろ過装置
JPH01960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80929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121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104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107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0

Payment date: 199107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04

Year of fee payment: 1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3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