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8751Y1 - 납땜장치 - Google Patents

납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751Y1
KR900008751Y1 KR2019900009031U KR900009031U KR900008751Y1 KR 900008751 Y1 KR900008751 Y1 KR 900008751Y1 KR 2019900009031 U KR2019900009031 U KR 2019900009031U KR 900009031 U KR900009031 U KR 900009031U KR 900008751 Y1 KR900008751 Y1 KR 9000087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dering
solder
tank
flexure
solder ba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90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쓰요시 모리
도시아끼 데라바야시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21995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81264A/ja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9000090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87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751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납땜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납땜장치의 전체의 종단면도.
제 2 도는 종래예의 납땜장치를 나타낸 전체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프린트 기판 4 : 제 1 플렉서
6 : 예비 가열장치 8 : 제 1 납땜조
10 : 제 2 납땜조 13 : 제 2 플렉서 장치
19 : 미스트 발생기
본 고안은 프린트 기판의 납땜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칩부품등을 고밀도로 장착하는 프린트 기판의 납땜에 적합한 납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프린트 기판의 납땜장치로서는 제 2 도에 나타낸 종단면과 같이 리드 부착 전자부품(1)이나 칩부품(2)이 탑재된 프린트기판(3)을 발포식(發泡式)의 제 1 플렉서(Fluxer)(4)에 의해 포스트 플렉스(post flux)(5)를 도포하여 예비가열장치(6)에서 플렉스의 용제를 증발시킴과 동시에 기판을 예열하여 열충격을 완화시켰다.
다음에 납땜조본체의 1차 납땜용의 제 1 납땜조(8)의 1차분출구(9)로부터 하이웨이브비드를 바람에 의해 기포를 적개하여 납땜할 부품에 땜납불량이 없게 하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1차 부출구(9)에 의해 납땜된 땜납용융면에는 하이웨이브비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고드름 모양이나 브릿지 모양등이 많이 발생하므로, 이것을 제 2 납땜조(10)에서 2차 부출구(11)에 의해 2차 납땜을 하여 고드름 모양이나 브릿지 모양의 납땜을 제거하도록 납땜비드가 낮은 용융 땜납면에서 고드름 모양이나 브릿지모양 등을 제거하고 있었다.
높은 비드에 의해 플렉스가 씻겨내려가거나 열에 의해 활성물이 손상되어 플레스 효과가 적어지게 되었다. 상기 납땜이 완료된 것은 송풍기(12)로 냉각시켜 꺼내도록 하고, 이들을 연속적으로 행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납땜장치에 의하여 장착 밀도가 높은 프린트기판의 납땜을 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먼저, 땜납에서 고드름 모양이나 브릿지모양에 의한 납땜 불량이 많이 발생하고, 소형이고 고밀도로 장착되기 때문에 수리작업이 곤란하고 능률이 낮았다.
다음, 수리를 하여도 납땜 인두를 사용하여야 하며 납땜 인두등에 의한 가열시간이 길어져 부품의 열 파손품 또는 인쇄패턴과 칩부품의 은전극(銀電極) 침식등의 2차 물량이 많이 발생하였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포스트 플렉서(4), 예비가열장치(6)를 가지며 일차분출구(9)를 가진 제 1 납땜조(8)와 2차 분출구(11)를 가진 제 2 납땜조(10)로 구성되는 납땜조 본체(14)에 의하면 전자부품(1)등을 프린트기판(3)에 부착하는 납땜장치에 있어서, 상기 납땜조본체(14)가 제 1 납땜조(8)와 제 2 납땜조(10)의 사이에 개재하는 제 2 플렉서장치(13)를 가지며, 이 제 2 플렉서장치(13)가 그 상부에 배설되는 미스트 발생기(19)에 의하여 플렉스의 안개(20)를 비산시키도록 구성되는 납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고도름 모양이나 브릿지 모양에 의한 납땜물량을 없게하는 것이다.
즉 제 2 납땜조의 앞에 플렉서 장치를 배치하고, 제 1 납땜조에서 1차납땜조을 완료하여 가열된 프린트 기판에 재차 플렉스를 도포하여 프린트 기판을 예열하고 상기 전후에 있는 땜납조의 열에 의하여 용제가 증발함과 동시에 상기 예열한 것을 제 2 납땜조에서 마무리 납땜을 하도록 하였으므로 제 2 납땜조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슬래그(slag)가 재차 도포된 플렉스의 효과에 의하여 땜납표면으로부터 제거됨과 동시에 제 2 납땜조에 침지되어 있는 동안에도 플렉스에 의한 활성화가 지속되고, 도포된 플렉스는 땜납열에 의하여 가스화되고 주위의 공기를 배제하여 땜납 부착면이 산화되지 않게되므로 깨끗한 필릿(fillet)이 형성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제 1 도의 종단면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종래 도면과 부품에는 동일한 번호로 표시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종래예와 다른 점은 제 1 납땜조(8)와 제 2 납땜조(10)의 장치 사이에 제 2 플렉서장치(13)를 설치하는 것이며, 그외는 종래예와 같다.
다음에 제 2 플렉서장치(13)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 1 납땜조(8)와 제 2 납땜조(10)와 제 2 플렉서장치(13)의 세가지 장치를 인접시켜서 입체화한 납땜조 본체(14)가 형성된다. 납땜조 본체(14)의 중앙에는 플렉서장치(13)를 배치하고, 플렉서장치(13)에는, 납땜조 본체(14)의 하부에 설치된 개구부(15)와, 이 개구부(15)의 위에 송풍기(16)를 배치하고, 그리하여 송풍이 내부상자(17)와 외부상자(18)로 이루어진 2중으로된 플렉스조와 주위에 방출되며, 제 1 납땜조(8)와 제 2 납땜조(10)의 장치로부터 나오는 열이 플렉스의 액온(液溫)이 상승되지 않도록 냉각시킴과 동시에 대류열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제 2 플렉서장치(13) 내에는 분무기 형상의 미스트 발생기(19)가 설치되어 있고, 프린트 기판이 근접함에 따라 검지기가 작동하여(도시생략) 미스트 발생기(19)로부터 플렉서의 안개(20)를 비산시켜 프린트기판(3)의 하면에 분무하여 부착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같이 본원 고안은 제 2 납매조(10)앞에도 플렉서장치(13)를 설치하여 제 1 납땜조(8)와 제 2 플렉서장치(13)와 제2납땜조(10)가 서로 인접되어 있으므로, 이들 세가지 장치를 연결하여 하나의 장치인 납땜조본체(14)를 형성함으로써 1차 납땜완료에서 2차 납땜작업까지의 거리가 짧다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즉 콘베이어에 의하여 이동되는 시간이 짧게되므로 1차 납땜에서 2차 납땜작업까지의 거리가 짧다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즉 콘베이어에 의하여 이동되는 시간이 짧게되므로 1차 납땜에서 가열된 프린트기판(3)이 그다지 냉각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2 납땜조(10)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납땜조(10)에 오기전의 공정에서는 예비가열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본 고안의 납땜장치는 종래의 납땜장치에 비해서는 대형이나, 통상의 플렉서장치(13)이후의 공정에서 예비가열장치를 설치하는 것이며, 그 예비가열장치를 설치한 것에 비해서는 소형이라고 할 것이다. 그러나 이는 종래와 동일한 기능을 구비하게 되며, 더욱이 예비가열장치를 불요하게 되므로 에너지 절약의 효과를 가지게 되어 또한 고밀도 장착품인 납땜에서도 땜납의 고드름 형상이나 브릿지 형상에 의한 불량품의 발생이 감소되고 고밀도 장착품의 납땜을 할 수 있으며, 수리품이 적어짐으로써 2차 불량품이나 인쇄패턴, 칩 부품의 은 전극부식의 발생이 적어지고 생산 능률이 좋은 납땜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포스트 플렉서(4), 예비가열장치(6)을 가지며, 일차분출구(9)를 가진 제 1 납땜조(8)와 2차 분출구(11)를 가진 제 2 납땜조(10)로 구성되는 납땜조본체(14)에 의하여 전자부품(1)등을 프린트 기판(3)에 부착하는 납땜장치에 있어서, 상기 납땜조본체(14)가 제 1 납땜조(8)와 제 2 납땜조(10)사이에 개재하는 제 2 플렉서장치(13)를 가지며, 이 제2 플렉서장치(13)가 그 상부에 배설되는 미스트 발생기(19)에 의하여 플렉스의 안개(20)를 비산시키도록 구성되는 납땜장치.
KR2019900009031U 1985-10-02 1990-06-26 납땜장치 Expired KR9000087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9031U KR900008751Y1 (ko) 1985-10-02 1990-06-26 납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5-219956 1985-10-02
JP60219956A JPS6281264A (ja) 1985-10-02 1985-10-02 半田付装置
KR1019860003424A KR870004649A (ko) 1985-10-02 1986-05-01 납땜 장치
KR2019900009031U KR900008751Y1 (ko) 1985-10-02 1990-06-26 납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3424A Division KR870004649A (ko) 1985-10-02 1986-05-01 납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751Y1 true KR900008751Y1 (ko) 1990-09-22

Family

ID=27330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9031U Expired KR900008751Y1 (ko) 1985-10-02 1990-06-26 납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87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068324A (zh) 一种用重熔焊料作为可焊性保护层的制造电路板方法
JPS6281264A (ja) 半田付装置
CN113438822A (zh) 一种综合优化裸板表面处理及元件贴装的电路板制造方法
US2002001151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oldering electron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 boards
US6012624A (en) Solder apparatus and method
KR900008751Y1 (ko) 납땜장치
JP3735069B2 (ja) はんだ付けされた電子部品の取り外し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0188464A (ja) 自動はんだ付け装置
JPH0415414Y2 (ko)
JPS63124496A (ja) 多端子部品の取付方法
JP2597695Y2 (ja) リフロー炉
JPS6114077A (ja) 半田予備加熱装置
KR890005034Y1 (ko) 인쇄회로기판의 핫솔더 스팀 레벨링 장치
JPH0286152A (ja) はんだディップ装置
JPH09214115A (ja) ファインピッチ部品のはんだコート方法
JPS62137174A (ja) レ−ザはんだ付け方法
JPH0575197B2 (ko)
JP2654064B2 (ja) はんだ付け方法および基板
JPH01266792A (ja) プリント基板のはんだ付け方法および装置
JPS61147965A (ja) はんだ付け方法
KR850000141B1 (ko) 배선체의 납땜 처리방법
JPH10284820A (ja) Bgaパッケージ実装用プリント基板
CN113950197A (zh) 一种在裸板制作阶段进行通断检验的电路板制造方法
CN113973439A (zh) 一种解决阻焊进孔并增强孔壁爬锡能力的方法
JPH04360598A (ja) 電子部品はんだ付け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0062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0062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82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121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103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10320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41008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