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8613B1 - 쇄어드 센스앰프(Shared sense amplifier)회로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쇄어드 센스앰프(Shared sense amplifier)회로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613B1
KR900008613B1 KR1019850003292A KR850003292A KR900008613B1 KR 900008613 B1 KR900008613 B1 KR 900008613B1 KR 1019850003292 A KR1019850003292 A KR 1019850003292A KR 850003292 A KR850003292 A KR 850003292A KR 900008613 B1 KR900008613 B1 KR 900008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line
transistor
clock
node
g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3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2098A (ko
Inventor
야마사기 구마노
가즈야스 후지시마
가쓰미 도오사가
히데도 히다까
히데시 미야다께
쓰도무 요시하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뎅기 가부시끼가이샤
가다야미 징 하찌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뎅기 가부시끼가이샤, 가다야미 징 하찌로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뎅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2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613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8Bit line organisation; Bit line lay-ou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쇄어드 센스앰프(Shared sense amplifier)회로의 구동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쇄어드 센스앰프 회로의 구성을 표현한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에 표현한 쇄어드 센스앰프 회로의 종래의 클록타이밍챠트.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쇄어드 센스앰프 회로에 있어서의 클록타이밍챠트.
제4도는 제3도의 클록ø2L2R)을 발생하기 위한 일구성예시도.
제5도는 제4도 회로의 클록타이밍챠트.
제6도 및 제8도는 제5도의 크램프클록 ø5L5R)을 발생하기 위한 회로구성의 예시도.
제7도 및 제9도는 각기 제6도 및 제8도의 클록타이밍챠트.
제10도는 제5도의 클록ø6L6R)을 발생하기 위한 회로구성의 예시도.
제11도는 제 10도의 회로의 클록타이밍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플립플롭 센스앰프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
3R, 4R, 3L, 4L: 각기 절환형 비트라인
5R(5L) 및 6R(6L) : 비트라인을 프리챠아지 하기 위한 트랜지스터
7R(7L) 및 8R(8L) : 트랜스퍼 트랜지스터
9, 10 : 센스노오드
MCNR(MCNL) 및 MC1R(MC1L) : 메모리셀
DC1R(DC1L) 및 DC2R(DC2L) : 더미 메모리셀
본 발명은 1트랜지스터 메모리셀형의 MOS 다이나믹(dynamic memory)에 관하여 특히 1개의 센스앰프를 2쌍의 절환형 비트라인(bit line) 또는 2쌍의 오픈형 비트라인으로 공유하는 소위 쇄어드 센스앰프 회로의 고속화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주로 2쌍의 절환형 비트라인을 공유하는 쇄어드 센스앰프 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쇄어드 센스앰프 회로의 구성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1) 및 (2)는 플립플롭(flip flop) 센스앰프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 3R, 4R및 3L, 4L은 각기 인접되고 평행하게 연장된 2쌍의 절환형 비트라인이다.
이하 R 및 L은 각기 바른편 및 왼편을 표시한 첨자(添字)이다.
MC1R(MC1L)는 워드라인 WL1R(WL1L)이 선택된 경우에 절환형 비트라인 3R(3L)에 정보가 판독되는 메모리셀이고, MCNR(MCNL)은 워드라인 WLNR(WLNL)이 선택된경우에 절환형 비트라인 4R(4L)에 정보가 판독되는 메모리셀이다.
DC1R(DC1L)는 더미 워드라인 DWL1R(DWL1L)에 의하여 DC2R(DC2L)는 더미 워드라인(dummy word line) DWL2R(DWL2L)에 의하여 각기 절환형 비트라인 3R(3L) 및 4R(4L)에 정보「0」의 판독전위와 정보「1」의 판독전위의 중간전위가 판독되는 더미 메모리셀이다.
5R(5L) 및 6R(6L)는 트랜지스터로서 각기 소오스(source)가 절환형 비트라인 3R(3L) 및 4R(4L)에 접속되어 게이트가 프리챠아지 클록 (precharge clock) ø1R1L)에 접속되어 드레인을 프리챠아지 전위 VREFR(VREFL)에 접속되며 절환형 비트라인 3R(3L) 및 4R(4L)를 프리챠아지 전위 VREF에 충전하는 것이다.
센스 노오드 9는 플립플롭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 1의 드레인 및 플립플롭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 2의 게이트에 접속되어 트랜스퍼(transfer) 트랜지스터 7R(7L)를 통하여 절환형 비트라인 3R(3L)에 접속되어 있다.
센스 노오드 10은 트랜지스터 2의 드레인 및 트랜지스터 1의 게이트에 접속되며 트랜스퍼 트랜지스터 7R(7L) 및 8R(8L)는 각기 게이트기 클록 ø2R2L)에 접속되어 있다.
클록 ø3은 트랜지스터 1 및 2의 소오스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절환형 비트라인 3L및 4L은 트랜스퍼 트랜지스터 11 및 12를 통하여 판독기입선1/01및 1/02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스퍼 트랜지스터 11 및 12는 각기 게이트가 클록 ø4에 접속되어 있다.
더우기 도면에는 WL1R, WLNR및 WL1L, WLNL의 4본 워드라인만이 표시되어 있지만 실제는 각 N본(N은 임의의 우수)의 워드라인이 존재하고 그것에 부수된 MC1R(MC1L)에서 MCNR(MCNL)까지의 각 N개의 메모리셀이 N/2개씩 절환형 비트라인 3R(3L) 및 4R(4L)에 접속되어 배런스되어 있다.
더우기 제1도에서는 1개의 플립플롭 센스앰프만이 표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복수개의 센스앰프가 종으로 병설 메모리셀의 어레이를 구성하는 것이 통상의 메모리셀이다.
이후 설명의 간단화를 위하여 1개의 센스앰프, 2본의 워드라인만으로서 동작설명으로 하기로 한다.
또한 첨자 R 또는 L의 어느 한쪽만이 선택되어서 선택된 쪽의 워드라인 WL1과 WLN의 1본과 더미 워드라인 DWL1이나 DWLN의 전위만이 상승된다.
선택되지 않은 쪽의 워드라인 WL1, WLN및 더미 워드라인 DWL1, DWLN는 로우레벨상태이다.
다음은 제2도의 클록타이밍챠트에 따라 NMOS를 가정하여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시각 T1까지의 대기상태에서는 클록 ø1L가 하이레벨이고 트랜지스터 5L및 6L를 개재하여 비트라인 3L및 4L은 프리챠아지 전위 VREFL에 충전되어 또한 클록 ø1R도 하이레벨이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5R및 6R을 개재하여 절환형 비트라인 3R및 4R도 프리챠아지 전위 VREFR에 충전된다.
이 기간에 클록 ø3은 하이레벨이기 때문에 센스앰프는 대기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첨자 R측이 선택되었다고 가정한다.
첨자 L측의 워드라인 WLIL에서 워드라인 WLNL까지와 더미 워드라인 DWL1L, DWL2L의 2본의 시각 T3가 되어도 로우레벨을 유지한다.
한편 첨자 R측에 있어서는 워드라인 WL1R에서 워드라인 WLNR의 N본의 워드라인의 1본과 더미 워드라인 DWL1R, DWL2R의 2본중 1본이 선택되어 전위는 상승한다.
일예로서 워드라인 WL1R와 더미 워드라인 DWL2R이 선택된 경우를 설명한다.
시각 T2에 클록 ø2L가 로우레벨이 되고 트랜스퍼 트랜지스터 7L, 8L는 비도통이 되고 센스 노오스 9, 10은 절환형 비트라인 3L, 4L와 전기적으로 단절된다.
시각 T3에 제2도의 워드라인 WL, 더미 워드라인 DWL의 파형으로 워드라인 WL1R와 더미 워드라인 DWL2R의 전위가 상승하고 메모리셀 MC1R에 축적되어있던 정보가 절환형 비트라인 3R에 더미 메모리셀 DC2R에 축적되었던 전하가 절환형 비트라인 4R에 각각 판독된다.
판독된 정보는 클록 ø2R이 하이레벨인 시각 T4까지의 기간에 트랜스퍼 트랜지스터 7R, 8R을 개재하여 센스 노오드 9, 10에 전하여 진다.
시각 T4로 클록 ø2R의 레벨이 약간 하강되어 트랜스퍼 트랜지스터 7R, 8R의 임피던스가 높아진다.
시각 T5로 클록 ø3이 로우레벨이 되어 센스앰프가 활성화되어 센스 노오드 9, 10에 전달된 정보는 증폭된다.
증폭된 정보는 트랜스퍼 트랜지스터 7R, 8R을 통하여 절환형 비트라인 3R, 4R에 복귀되고 선택이 계속되고 있는 메모리셀 MC1R에 증폭된 정보가 재기입된다.
시각 T6으로 클록 ø2R이 재차 하이레벨이 되어 증폭된 정보가 트랜스퍼 트랜지스터 7L, 8L을 통하여 절환형 비트라인 3L, 4L에 전달된다.
시각 T7으로 클록ø4가 하이레벨이 되어 증폭된 정보가 트랜스퍼 트랜지스터 11, 12를 개재하여 판독기입선 I/01, I/02에 전달된다.
시각 T8로 선택된 워드라인 및 더미 워드라인 및 클록ø4가 로우레벨로 복귀하고 시각 T9로 클록 ø1R, ø1L, ø3, ø2R이 하이레벨이 되어 절환형 비트라인 VREFR, VREFL에 충전되어 센스앰프는 대기상태로 복귀한다.
이상이 일련의 판독, 재기입동작인 것이다.
더우기 트랜스퍼 트랜지스터 7R, 8R과 임피던스를 센스앰프 증폭시에 높게 하려면 센스 노오드 9, 10의 용량부하를 저감시켜서 증폭감도를 증대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첨자 L측이 선택된 때에는 클록 ø2L과 ø2R의 파형이 교체한다.
이와같이 쇄어드 센스앰프를 사용하면 워드라인이 선택되기 이전에 선택되지 않은 측의 절환형 비트라인이 센스앰프와 전기적으로 단절되어 선택된 메모리셀의 정보가 센스앰프에 의하여 증폭된 후에 재차 접속되므로 1개의 센스앰프를 2쌍의 절환형 비트라인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으로 명확한 바와같이 쇄어드 센스앰프에 있어서는 클록 ø2R및 ø2L의 파형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비선택측(상기 예에서는 ø2L)은 워드라인이 상향하기전에 로우레벨이 될 필요가 있으므로 이 파형의 하향이 늦어지면 고속판독이 불가능하다.
또한 이 파형의 상향이 늦어지면 센스앰프에 의하여 증폭된 정보가 판독기입선에 전달된 것이 늦어지므로 고속판독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된 것으로서 워드라인이 선택되기 이전에 선택되지 않은 절환형 비트라인을 고속으로 컷트오프(cutoff)하고, 또한 재접속을 자동적으로 고속으로 할수 있게 되는 쇄어드 센스앰프 회로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요약하면 제1의 비트라인 쌍이 선택된 때에는 제2의 비트라인 쌍과 센스앰프와를 결합하는 트랜스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위를 제2의 비트라인 쌍의 프리챠아지 전위에 같게 하므로서 제2의 비트라인 쌍을 센스앰프에서 일시적으로 단절함과 동시에 센스앰프의 증폭동작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재접속하고 반대로 제2의 비트라인 쌍과 선택된 때에는 제1의 비트라인 쌍과 센스앰프와를 결합하는 트랜스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위를 제1의 비트라인 쌍의 프리챠아지 전위와 같게 하므로서 제1의 비트라인 쌍을 센스앰프에서 일시적으로 단절함과 동시에 센스앰프의 증폭동작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재접속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바와같은 목적과 기타의 목적과 특징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므로서 더욱 명확하게 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쇄어드 센스앰프에 있어서의 클록타이밍챠트이다.
더우기 쇄어드 센스앰프의 기본회로구성은 제1도의 것과 동일하여도 무방하다.
대기상태에 있어서는 클록 ø1에 의하여 비트라인 3R, 4R및 3L, 4L은 각기 프리챠아지 전위 VREFR, VREFL에 충전되지만 통상 이들의 전위는 동일하게 설정되므로 이후 VREF로 표시한다.
이때 클록ø2L의 레벨을 적당하게 설명하면 센스 노오드 9, 10도 VREF에 프리챠아지 된다.
이 회로의 특징은 워드라인이 선택되기 이전에 비선택측의 클록ø2L의 레벨을 로우레벨하는 것이 아니고, 비트라인의 프리챠아지 전위 VREF에 클램프하는 것이다.
즉 비트라인 및 센스 노오드의 전위가 VREF이므로 게이트전위를 VREF에 클램프하게 되면 트랜스퍼 트랜지스터 7L, 8L은 드레인, 소오스 및 게이트가 동일 레벨이 되어 컷트오프하게 된다.
당연한 것이지만 클록 ø2L의 레벨을 로우레벨하는 것보다는 VREF로 하는 것이 고속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일예로서 메모리셀 MC1R에 로우레벨의 전하가 축적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제3도에 따라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V3R, V3L은 각기 비트라인 3R, 3L의 전위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V9는 센스 노오드 9의 전위를 표시하고 있다.
시각 T1에 클록 ø1이 로우레벨이 되지만 V3R, V3L은 VREF인 것이다.
시각 T2에 클록 ø2L이 VREF로 하강하면 비트라인 3L은 센스 노오드 9와 전기적으로 단절된다.
한편 클록 ø2R은 고 레벨인 대로 이어서 비트라인 3R은 센스 노오드 9와 접속되어 있는 상태이다.
시각 T3에 워드라인 WL1R의 전위가 상승하여 메모리셀 MC1R의 정보가 비트라인 3R에 판독된다.
이때에 V3R은 MC1R과 3R의 용량비로 결정되는 값만큼 근소하게 저하한다.
통상으로 이 값은 트랜지스터의 최저치의 전압 VTH보다도 작기 때문에 트랜스퍼 트랜지스터는 온되지 아니하다.
시각 T5의 클록 ø3이 로우레벨이 되어 센스앰프가 활성화되면 센스 노오드의 전위 V9은 저하되기 시작한다.
한편 이 경우 클록 ø2R이 VREF로 저하되어 비트라인 3R도 일시적으로 센스 노오드 9에서 단절되므로 용량부하가 저감되어 증폭감도가 향상한다.
시각 T5에서 △T만큼 후에 이 (VREF-VTH)까지 저하하면 트랜스퍼 트랜지스터 7L및 7R이 온되기 시작하여 비트라인 3L및 3R은 자동적으로 센스 노오드 9와 재접속된다.
그후 시각 T6에 클록 ø3의 반전지연신호 클록 ø3이 하이레벨되면 클록 ø2R, ø2L은 이것에 의하여 승압되어 VREF보다 높은 레벨이 되고 판독시에 충분히 전달되게 할수도 있다.
그 이유는 트랜스퍼 트랜지스터 7R및 7L의 온 저항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워드라인이 선택되기 이전에 비선택측의 트랜스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위를 비트라인의 프리챠아지 전압으로 클램프하므로서 고속인 컷트오프가 실현되고 또한 센스앰프의 증폭작용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재접속되므로서 고속판독이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그때 트랜스퍼 트랜지스터 7R및 7L의 게이트전위를 비트라인의 프리챠아지 전위 VREF와 트랜지스터의 최저치전압 VTH을 더한 것보다도 높게 하므로서 충분한 판독레벨을 얻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에서 상기한 실시예의 쇄어드센스앰프회로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회로의 구성예를 설명한다. 더우기 여기에서는 비트라인 프리챠아지전위 VREF가 전원전압 Vcc와 동등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클록 ø2L, ø2R의 발생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Q1∼Q8은 트랜지스터 C1∼C5는 캐패시터이다.
트랜지스터 Q1의 드레인은 전원라인 Vcc에 저속하고 게이트는 프리챠아지 클록 ø1에 또한 소오스는 내부 노오드 N2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Q2의 드레인은 ø1의 반전신호 ø1에 게이트는 Vcc에 소오스는 내부 노오드 N1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Q3의 드레인은 Vcc에 게이트는 노오드 N1에, 소오스는 노오드 N2에 접속되었다.
트랜지스터 Q4의 드레인은 Vcc에 게이트 N2에 소오스는 클록의 출력노오드 ø2L2R)에 접속되었다.
트랜지스터 Q5의 드레인은 Vcc에 게이트는 노오드 N3에 소오스는 클록의 노오드 ø2L2R)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Q6의 드레인은 Vcc에 게이트는 노오드 N4에 소오스는 노오드 N3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Q7의 드레인은 클록 ø1의 반전신호 ø1에 게이트는 Vcc에 소오스는 노오드 N4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Q8의 드레인은 Vcc에 접속되었고 게이트는 클록 ø1에 또한 소오스는 노오드 N3에 접속되었다.
또한 캐패시터 C1의 일단은 노오드 N1에 타단은 클수록 ø3의 반전지연신호 ø3'에 접속되었다.
캐패시터 C2의 일단은 노오드 N2에 타단은 후에 설명되는 클램프 클록 ø5L5R)에 접속되어 있다.
캐패시터 C3의 일단은 클록의 출력노오드 ø2L2R)에 타단은 이것도 후에 설명되는 클록 ø6L6R)에 접속되어 있다.
캐패시터 C4의 일단은 노오드 N3에 타단은 클록 ø3의 반전신호 ø3에 접속되어 있다.
캐패시터 C5의 일단은 노오드 N4에 타단은 클록ø3의 반전지연신호 ø3'에 접속되었다.
여기서 ø2L발생회로와 ø2R발생회로는 동일한 구성이고 R측이 선택된 경우와 L측이 선택된 경우에서 각기 상호파형이 교체되게 되어있다.
다음은 편의상 R측이 선택되어ø2L의 클램프 클록 øR이 하이레벨이 되고 ø2R의 클램프 클록 ø5R이 로우레벨이 되었을 경우에 대하여 제5도의 클록타이밍챠트를 사용하여 제4도의 회로동작을 설명한다.
시각 T1까지의 대기상태에서는 클록 ø1및 ø3이 하이레벨이고 출력노오드 ø2L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캐패시터 C3의 용량결합에 의하여 전원전압 Vcc이상의 하이레벨에 프리챠아지 되어있다.
노오드 N2, N3는 Q1, Q8에 의하여 하이레벨에 프리챠아지 되었으나 Q4, Q5는 소오스의 전위가 게이트의 전위보다도 높으므로 오프하고 있다.
또한 ø1이 로우레벨이므로 노오드 N1및 N4는 각기 트랜지스터 Q2, Q7을 통하여 로우레벨로 되어있다. 그 때문에 트랜지스터 Q3, Q6는 오프하고 있다.
다음에서는 시각 T1에 ø이 로우레벨로 되고 ø1가 하아레벨로 되면 트랜지스터 Q2, Q7을 통하여 N1, N4는 하이레벨이 된다.
다음에 시각 T2에 ø5L이 하이레벨이 되면 캐패시터 C2의 용량합에 의하여 노오드 N2가 Vcc보다 충분히 높은 레벨로 펌프(pump)된다.
이 때문에 트랜지스터 Q4가 강하게 온되고 출력 노오드 ø2L를 Vcc이상의 하이레벨에서 Vcc레벨로 클램프한다.
한편 øL도 로우레벨이 되므로 캐패시터 C3의 용량결합에 의하여서도 ø2L의 레벨은 로우에 끌려서 보다 한층 고속으로 Vcc레벨에 클램프되게 된다.
다음은 시각 T5에 클록 ø3가 로우레벨이 되고
Figure kpo00001
가 하이레벨이 되면 캐패시터 C4의 용량 결합에 의하여 노오드 N3가 Vcc보다 충분히 높은 레벨로 펌프된다.
그 때문에 트랜지스터 Q5가 강하게 온 하지만 이 경우 기히 ø2L은 Vcc레벨에 클램프 되어 있으므로 변화는 없다.
다음은 시각 T5'에 ø3의 반전지연신호
Figure kpo00002
가 하이레벨이 되면 캐패시터 C1및 C5의 용량 결합에 의하여 노오드 N1, N4가 Vcc보다 충분히 높은 레벨로 펌프된다.
그 때문에 트랜지스터 Q3, Q6이 강하게 온 되고 노오드 N2및 N3가 Vcc레벨로 클램프 되며 그것에 의하여 트랜지스터 Q4, Q5는 오프된다.
다음에서 시각 T6이 되어 ø6L가 재차 하이레벨이 되면 ø2L은 캐패시터 C3의 용량결합에 의하여 Vcc이상의 하이레벨이 된다.
한편 ø2R발생회로의 쪽은 시각 T2가 되어도 ø5R이 로우레벨인 대로 ø6R이 하이레벨로 되어 있어서 노오드 N2는 Vcc레벨대로 이고 ø2R은 Vcc이상의 하이레벨대로 이다.
그리고 시각 T5로 되어
Figure kpo00003
이 하이레벨로 되어 ø6R이 로우레벨이 되면 캐패시터 C4에 의하여 트랜지스터 Q5가 강하게 온 되고 출력노오드 ø2R을 Vcc레벨로 클램프한다.
이때 캐패시터 C3에 의하여 보다 한층 고속으로 클램프 된다.
그 후의 동작은 ø2L의 경우와 완전동일하다.
이와같이 제4도의 회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쇄어드센스앰프회로를 실현하기 위한 클록 ø2L2R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제4도에서 클램프 클록 øSLSR)발생회로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클램프 클록 발생회로는 R측 L측 어느것이 선택된다 하여도 워드라인 선택신호(일반적으로 어드레스신호)가 입력되면 즉시 출력을 발생하는 고속인 발생회로와 그 신호를 선택된 어드레스에 상응하여 øSL또는 øSR의 어느 한쪽만을 발생시키는 데코오드 회로의 2개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6도는 상기ø5L5R) 발생회로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M1∼M11은 트랜지스터, C6은 부우스트 캐패시터, N5∼N7은 내부 노오드이다.
또한 ø1
Figure kpo00004
은 프리챠아지 클록 및 그 반전신호이다.
이 예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ø1을 사용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어드레스 스트로부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øA
Figure kpo00005
A는 워드라인 선택신호(어드레스 신호) 및 그 보수신호(이 경우 øA가 하이레벨인 때는
Figure kpo00006
A는 로우레벨을 유지)이다.
그리고
Figure kpo00007
3'는 센스개시신호 ø3의 반전지연신호이다.
트랜지스터 M1의 드레인은 전원라인 Vcc에 게이트는 클록 ø1에 소오스는 노오드 N5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M2의 드레인은 노오드 N5'게이트는 클록 øA에 접속되어 소오스에 접지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M3의 드레인은 노오드 N5'게이트는 클록
Figure kpo00008
A에 접속되며 소오스는 접지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M4의 드레인은 클록
Figure kpo00009
에, 게이트는 노오드 N5에, 소오스는 노오드 N6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M5의 드레인은 노오드 N6'게이트는 클록
Figure kpo00010
3'에 접속되며 소오스는 접지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M6의 드레인은 Vcc에, 게이트는 노오드 N6에, 소오스는 노오드 N7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M7의 드레인은 노오드 N7'클록
Figure kpo00011
3'에 접속되며 소오스는 접지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M8의 드레인은 노오드 N7'게이트 N5에 접속되며 소오스는 접지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M9의 드레인은 Vcc에, 게이트는 노오드 N7에, 소오스는 ø5의 출력노오드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M10의 드레인은 ø5의 출력노오드에 게이트는 노오드 N5에 접지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M11의 드레인은 ø5에 출력노오드에 게이트는 클록
Figure kpo00012
3
캐패시터 C6의 일단은 노오드 N6에 접속되며 다른 단은 노오드 N7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서는 제7도의 클록타이밍챠트를 사용하여 제6도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시각 T1까지의 대기상태에서는 클록 ø1이 하이레벨이고 트랜지스터 M1을 개재하여 노오드 N5는 하이레벨로 프리챠아지 된다.
이 때문에 트랜지스터 M4, M8, M10은 온 되어있고 노오드 N6, N7및 ø5의 출력노오드는 로우레벨이다.
다음에는 시각 T1에 클록 ø1이 로우레벨이 되고 그 반전신호
Figure kpo00013
1이 하이레벨이 되면 트랜지스터 M1은 오프되지만 노오드 N5는 하이레벨을 유지한 대로 이어서(즉 노오드 N5의 하이레벨은 제7도에 표시된 시간 T2에 의하여 로우레벨로 변환된다) 트랜지스터 M4를 개재하여 노오드 N6이 하이레벨이 된다.
이 때문에 트랜지스터 M6이 온 되지만 노오드 N5가 하이레벨을 유지하고 있어 트랜지스터 M6도 온을 계속유지하고 있다.
트랜지스트 M6과 M8의 사이를 적당히 선택하면 노오드 N7을 로우레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시각 T2에 øA도는
Figure kpo00014
A의 어느 일방이 하이레벨이 되면 트랜지스터 M2또는 M3의 어느 일방이 온되어 노오드 N5를 로우레벨로 떨어뜨린다.
그 때문에 트랜지스터 M4가 오프되고 노오드 N6은 하이 프로팅(high floating)이 된다.
한편 트랜지스터 M8, M10도 오프되게 되어서 노오드 N7의 레벨이 상승되기 시작한다.
그러면 캐패시터 C6의 용량결합에 의하여 노오드 N6은 더 한층 하이레벨에서 부스트되고 트랜지스터(M6)가 강하게 온 되어 노오드 N7을 전원전압 Vcc의 레벨까지 상승시킨다.
이에 의하여 트랜지스터 M9가 온되어 출력노오드 ø5를 고속으로 하이레벨 시킨다.
그후 시각 T6
Figure kpo00015
3.가 하이레벨이 되면 트랜지스터 M5, M7및 출력노오드 ø5를 로우레벨로 떨어뜨린다.
이 예시에서는
Figure kpo00016
3'
이와같이 제6도의 회로구성에 의하면 워드라인 선택신호가 발신되면 즉시 발생하는 클램프 클록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전기 데코오드 회로의 구성에 대하여 그 일예를 설명한다.
제8도는 데코오드 회로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M12∼M18은 트랜지스터, 1은 프리챠아지 클록,
Figure kpo00017
AA)는 워드라인 선택신호이고 ø5는 제6도의 회로에서 얻어지는 클램프 클록, ø5L5R)은 그 데코오드된 신호이고, N8, N9는 내부노오드이다.
트랜지스터 M12의 드레인은 전원라인 Vcc에 게이트는 클록 ø1에, 소오스는 노오드 N8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M13의 드레인은 노오드 N8에, 게이트는 클록
Figure kpo00018
AA)에 접속되어 있고 소오스는 접지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M14의 드레인은 클록 ø5에, 게이트는 노오드 N8에, 소오스 ø5L5R)의 출력노오드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M15의 드레인은 ø5L5R)의 출력 노오드에 게이트는 노오드 N9에 접속되어 있고, 소오스는 접지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M16의 드레인은 Vcc에 게이트 클록 ø1에 소오스는 노오드 N9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M17의 드레인은 노오드 N9에 게이트는 ø5L5R)의 출력노오드에 접속되어 있고, 소오스는 접지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M18의 드레인은 ø5L5R)의 출력노오드에 접속되어있고 게이트는 반대측의 출력 ø5R5L)에 접속되었고 소오스는 접지되었다.
더욱 제8도에 도시된 데코오드 회로는 ø5L에 대응된 것과 ø5R에 대응하는 것의 2조가 있다.
다음에 제9도의 클록타이밍챠트를 사용하여 제8도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시각(T1)까지의 대기상태에서는 클록(ø1)이 하이레벨이고 트랜지스터 (M12), (M16)를 개재하여 노오드(N8), (N9)는 하이레벨에 프리챠아지되어 있고 그 때문에 트랜지스터(M14), (M15)가 온되고 ø5L(ø5R)의 출력노오드는 로우레벨로 되어 있다.
다음에 시각(T2)에 R측이 선택되어 클록(øA)이 하이레벨이 되었다고 한다면 그 보수신호(
Figure kpo00019
A)는 로우레벨상태이므로 시각(T2)이 되어도 노오드(N8)는 하이레벨을 유지하고 트랜지스터(M14)를 사이에두고 ø5의 레벨이 그대로 ø5L의 출력노오드에 전달된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M15)이 온되어 노오드(N9)를 로우레벨로 떨어뜨리므로 트랜지스터(M15)는 오프된다.
한편 트랜지스터(M13)의 게이트에 øA가 접속되어 있는 ø5R측에서는 시각(T2)에 트랜지스터(M13)이 온되게되므로 노오드(N8)이 로우레벨이 되어 트랜지스터(M14)가 컷트오프한다.
그 때문에 ø5의 레벨은 ø5R의 출력노오드에는 전달되지않고 트랜지스터(M17)이 온되지 않으므로 트랜지스터(M15)가 온을 계속하여 ø5R는 로우레벨을 유지한 대로이다.
다시 트랜지스터(M18)가 온되므로 확실하게 로우레벨을 한 대로이다.
이와같이 제8도의 회로를 사용하면 제6도의 회로에 의하여 발생된 고속클램프 클록을 제4도에 도시된 클록(ø2L), (ø2R)발생회로에 확실하게 데코오드하여 전달시킬 수 있게된다.
다음은 제4도에 도시된 클록 ø6L6R)발생회로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0도 ø6L6R)발생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M19∼M27은 트랜지스터, ø1프리챠아지 클록,
Figure kpo00020
3 3 3'
Figure kpo00022
3"
ø5L5R)는 제6도 및 제8도의 회로로 발생된 클램프 클록이다.
트랜지스터(M19)의 드레인은 Vcc에, 게이트는 클록 ø1, 소오스는 내부노오드(N10)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M20)의 드레인은 노오드(N10)에, 게이트는 클록
Figure kpo00023
3'에 접속되며 소오스는접지되어 있다.
트랜지스터(M21)의 드레인은 클록
Figure kpo00024
3에, 게이트는 노오드(N10)에, 소오스는 노오드(N11)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M22)의 드레인은 노오드(N11)에, 게이트는 클록
Figure kpo00025
3'에 접속되면 소오스는 접지되어 있다.
트랜지스터(M23)의 드레인은 노오드(N11)에, 게이트는 클록 ø1접속되며 소오스는 접지되어 있다.
트랜지스터(M24)의 드레인은 Vcc에, 게이트는 클록 ø1에 소오스는 출력노오드 ø6L6R)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M25)의 드레인은 Vcc에, 게이트는 클록
Figure kpo00026
3"에, 소오스는 출력노오드 ø6L6R)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M26)의 드레인은 출력노오드 ø6L6R)에 게이트는 노오드(N11)에 접속되어 있고 소오스는 접지되어 있다.
트랜지스터(M27)의 드레인은 출력노오드 ø6L6R)에 게이트는 클록 ø5L5R)에 접속되어 있고 소오스는 접지되어 있다.
다음은 제11도의 클록타이밍챠아트를 사용하여 제10도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시각(T1)까지의 지속상태에서는 프리챠아지 클록 ø1하이레벨이고 트랜지스터 (M19), (M23), (M24)는 온되어 있고 내부노오드(N10)는 하이레벨, N11은 로우레벨이고 출력노오드 ø6L은 하이레벨이다.
시각(T1)에 ø1은 로우레벨이고 트랜지스터(M19), (M23), (M24)는 오프하지만 N10및 출력노오드ø6L는 하이레벨을 유지하고 N11은 로우레벨을 지속하다.
시간(T2)에 ø5L가 하이레벨이 되면 트랜지스터(M27)이 온하고 출력노오드 ø6L를 로우레벨로 떨어뜨린다.
다음에 시각(T5)에 ø3이 로우레벨이 되어
Figure kpo00027
3이 하이레벨이 되면 N10이 하이레벨이므로 트랜지스터(M21)를 통하여 N11이 하이레벨이 된다.
그 때문에 트랜지스터(M26)가 온되지만 출력노우드 ø6L는 기히 로우레벨이 되어있으므로 변화는 없다.
시각(T5')에 클록
Figure kpo00028
3'가 하이레벨(
Figure kpo00029
3'
Figure kpo00030
3의 지연신호임)이 되어 ø5L이 로우레벨이되면 트랜지스터 (M20), (M22)가 온되고 M27이 오프된다.
그 때문에 노오드(N10) 및 (N11)은 로우레벨이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M21), (M26)도 오프하게 된다.
시각(T6)에 클록
Figure kpo00031
3"가 하이레벨(
Figure kpo00032
3"
Figure kpo00033
3'의 지연신호임)되면 트랜지스터M25가 온되어 출력노오드 ø6L을 재차 하이레벨한다.
한편 출력노오드 ø6R측의 회로에 대하여는 시각(T2)이 되어도 ø5R은 로우레벨을 유지하므로 ø6R은 하이레벨상태를 지속한다.
시각(T5)에 ø3이 하이레벨이되면 트랜지스터 M26이 온되어 출력노오드 ø6R를 로우레벨로 떨어뜨린다. 그후의 동작은 ø6L와 전혀 동일하다.
상기한 바와같이 제10도의 회로를 이용하면 제4도에서의 클록 ø6L6R)을 얻을 수 있게된다.
이와같이 하여 제4도, 제6도, 제8도 및 제10도의 회로를 이용하게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쇄어드 센스앰프회로에 필요한 클록 ø2L2R)발생회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더우기 상기한 설명서에서는 1개의 센스앰프를 2쌍의 절환형 비트라인(3L, 3R), (4L, 4R)으로 공유하는 경우에 대하여서만 설명하였으나 이것을 2쌍의 오픈형 비트라인으로 공유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 경우는 제1도의 3L, 3R을 1쌍, 4L, 4R을 다시 1쌍의 오픈형 비트라인, 또는 3L, 4R을 1쌍 3R, 4L을 다시 1쌍의 오픈형 비트라인으로 간주하고 전자의 경우는 트랜스퍼트랜지스터 7L및 7R의 게이트에 클록 ø2L에 상당하는 클록을 입력하고 트랜스퍼트랜지스터 8L및 8R의 게이트에 클록 ø2L에 상당하는 클록을 입력하면 되고 후자의 경우는 트랜스퍼트랜지스터 7L및 8R의 게이트에 클록ø2L에 상당하는 클록을 입력하고 트랜스퍼트랜지스터 8L및 7R의 게이트에 클록 ø2R에 상당하는 클록을 입력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워드라인이 선택되기 이전에 비선택측의 트랜스퍼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위를 비트라인의 프리챠아지전위에 플램프하도록 하였으므로 고속의 컷트오프가 실현되며 또한 센스앰프의 증폭작용에 의해 자동적으로 재접속되므로 고속판독도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센스앰프(1), (2)와 제1의 비트선(3R)과 제2의 비트선(4R)으로 형성된 제1비트라인쌍과, 상기 제1비트선(3R)을 상기 센스엠프(1), (2)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1트랜스퍼트랜지스터(7R)와 상기 제2비트선(4R)을 상기 센스앰프(1), (2)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2트랜스퍼트랜지스터(8R)와 제3비트선(3L)과 제4비트선(4L)으로 형성된 제2비트라인쌍과 상기 제3비트선(3L)을 상기 센스앰프(1), (2)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3트랜스퍼트랜지스터(7L)와 상기 제4비트선(4L)을 상기 센스앰프(1), (2)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4트랜스퍼트랜지스터(8L)와를 구비한 쇄어드센스앰프회로를 구동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비트라인쌍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제3 및 제4트랜스퍼트랜지스터(7L), (8L)의 게이트전위를 상기 제2의 비트라인쌍의 프리챠아지전위(VREF)와 동등하게하므로서 제2비트라인쌍을 상기 센스앰프(1), (2)에서 일시적으로 단절시킴과 동시에 센스앰프(1), (2)의 증폭동작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재접속하고 상기 제2의 비트라인조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트랜스퍼트랜지스터((7R), (8R)의 게이트전위를 상기 제1의 비트라인조의 프리챠아지전위(VREF)와 동등하게 하므로서 상기 제1비트라인조를 상기 센스앰프(1), (2)에서 일시적으로 단절함과 동시에 센스앰프(1), (2)의 증폭동작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재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한 쇄어드센스앰프회로의 구동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판독동작이전에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제4의 트랜스퍼트랜지스터(7R),(8R), (7L), (8L)의 게이트전위를 각기 제1 및 제2의 비트라인쌍(3R), (4R), (3L), (4L)의 프리챠아지전위(VREF)와 그들의 트랜지스터의 최저치전압(VTH)의 합산치보다도 높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어드센스앰프회로의 구동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비트라인쌍(3R), (4R) 및 (3L), (4L)은 각기 절환형 비트라인으로 형성되는 쇄어드센스앰프회로의 구동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비트라인쌍(3R), (4R) 및 (3L), (4L)은 각기 오픈형 비트라인으로 형성되는 쇄어드센스앰프회로의 구동방법.
KR1019850003292A 1984-08-17 1985-05-14 쇄어드 센스앰프(Shared sense amplifier)회로의 구동방법 Expired KR900008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172005A JPS6150284A (ja) 1984-08-17 1984-08-17 シエアドセンスアンプ回路の駆動方法
JP172005 1984-08-17
JP59-172005 1984-08-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098A KR860002098A (ko) 1986-03-26
KR900008613B1 true KR900008613B1 (ko) 1990-11-26

Family

ID=15933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3292A Expired KR900008613B1 (ko) 1984-08-17 1985-05-14 쇄어드 센스앰프(Shared sense amplifier)회로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10901A (ko)
JP (1) JPS6150284A (ko)
KR (1) KR900008613B1 (ko)
DE (1) DE35294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0897A (ja) * 1985-10-04 1987-04-14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5058073A (en) * 1988-03-10 1991-10-15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CMOS RAM having a complementary channel sense amplifier
US5148399A (en) * 1988-06-28 1992-09-15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Sense amplifier circuitry selectively separable from bit lines for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US4969125A (en) * 1989-06-23 1990-11-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synchronous segmented precharge architecture
US5270591A (en) * 1992-02-28 1993-12-14 Xerox Corporation Content addressable memory architecture and circuits
US5721875A (en) * 1993-11-12 1998-02-24 Intel Corporation I/O transceiver having a pulsed latch receiver circuit
JPH08171796A (ja) * 1994-12-16 1996-07-02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1999A (en) * 1975-12-29 1977-12-06 Mostek Corporation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ystem
US4053873A (en) * 1976-06-30 1977-10-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f-isolating cross-coupled sense amplifier latch circuit
JPS5457921A (en) * 1977-10-18 1979-05-10 Fujitsu Ltd Sense amplifier circuit
US4233675A (en) * 1979-06-08 1980-11-11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X Sense AMP memory
JPS5693178A (en) * 1979-12-26 1981-07-28 Toshiba Corp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4287576A (en) * 1980-03-26 1981-09-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nse amplifying system for memories with small cells
JPS6045499B2 (ja) * 1980-04-15 1985-10-09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US4363111A (en) * 1980-10-06 1982-12-07 Heightley John D Dummy cell arrangement for an MOS memory
US4351034A (en) * 1980-10-10 1982-09-21 Inmos Corporation Folded bit line-shared sense amplifiers
JPS5873095A (ja) * 1981-10-23 1983-05-02 Toshiba Corp ダイナミツク型メモリ装置
JPS5995728A (ja) * 1982-11-24 1984-06-01 Sanyo Electric Co Ltd Most出力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50284A (ja) 1986-03-12
DE3529476A1 (de) 1986-02-27
US4710901A (en) 1987-12-01
DE3529476C2 (ko) 1990-06-13
KR860002098A (ko) 1986-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7776B1 (ko) 고집적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타 센싱회로
KR940008296B1 (ko) 고속 센싱동작을 수행하는 센스앰프
KR0147448B1 (ko) 반도체 집적회로
US5091885A (en) Dynamic type random-access memory having improved timing characteristics
US4397000A (en) Output circuit
EP0474238B1 (en) Semiconductor memory circuit
US5184324A (en) Dynamic semiconductor multi-value memory device
US4622655A (en) Semiconductor memory
US5323345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read/write circuitry
US4133049A (en) Memory circuit arrangement utilizing one-transistor-per-bit memory cells
US5014246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shared sense amplifi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0089720A2 (en) Single transistor, single capacitor MOS random access memory
US4451906A (en) Dynamic type memory device having improved operation speed
JP2900854B2 (ja) 半導体記憶装置
EP0454061B1 (en)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with improved power supply system for speed-up of rewriting operation on data bits read-out from memory cells
KR900008613B1 (ko) 쇄어드 센스앰프(Shared sense amplifier)회로의 구동방법
US6452833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4680734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292417B1 (en) Memory device with reduced bit line pre-charge voltage
US5515315A (en)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US4069474A (en) MO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having an improved sensing circuit
EP0166642A2 (en) Block-divide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divided bit lines
KR960000891B1 (ko) 데이타 읽어내기 완료 타이밍을 빠르게한 다이내믹 ram
US4733373A (en) Dynamic memory with improved arrangement for precharging bit lines
EP0426071B1 (en)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10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011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01127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