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8564Y1 - 소형 누름 보턴 스위치 - Google Patents

소형 누름 보턴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564Y1
KR900008564Y1 KR2019870017908U KR870017908U KR900008564Y1 KR 900008564 Y1 KR900008564 Y1 KR 900008564Y1 KR 2019870017908 U KR2019870017908 U KR 2019870017908U KR 870017908 U KR870017908 U KR 870017908U KR 900008564 Y1 KR900008564 Y1 KR 9000085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terminal
push button
switch
solder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79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8590U (ko
Inventor
죠오지 츠츠미
요오이치 핫도리
Original Assignee
아루푸스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가다오까 가츠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루푸스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가다오까 가츠다로오 filed Critical 아루푸스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85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85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5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564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1/5805Connections to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형 누름 보턴 스위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A-A선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스위치의 결선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B-B선 단면도.
제 7 도는, 종래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 8 도는, 제 7 도의 C-C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3 : 접점
4 : 접점단자 5 : 접점단자
6 : 판스프링 7 : 누름보턴
7a : 플랜지부 7b : 밀어누름부
7c : 머리부 8 : 내열성필름
9 : 커버 10 : 끼워통하는 구멍
11 : 접지단자 12 : 프린트 배선기판
13 : 배선패턴 14 : 땜납
51 : 케이스 52, 53 : 접점
54 : 접점단자 56 : 판스프링
57 : 누름보턴 57a : 플랜지부
57b : 밀어누름부 57c : 머리부
58 : 내열설 필림 59 : 커버
60 : 끼워통하는 구멍 61 : 접지단자
62 : 프린트 배선기판 63 : 배선패턴
64 : 땜납
본 고안은, 방수방전구조의 소형누름보턴 스위치를, 프린트 배선기판에 포개어서, 배선패턴에 단자를 납땜할때에, 고온에 의하여, 착설후의스위치의 내부가 저압으로 되어서, 스위치의 동작이 잘 조정되지 않게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소형누름보턴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에와서, 전자기구의 소형경량화가 진보됨에 따라서, 프린트 배선기판위의 부품의 실제적인 장착 밀도를 높게하기 위하여, 프린트 배선기판위에 포개어서, 배선패턴에 단자를 직접 납땜하는 소형 누름보턴 스위치가 많이 사용되게 되었다.
그리고,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61-14261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방수방전 장치를 실시한 스위치가 제공되고 있다.
제 7 도와 제 8 도는, 종래의 이와같은 종류의 스위치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51)은 윗면을 개구한 상자형상의, 내열성 전기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로서, 그의 안쪽 바닥면에 형성된 접점(52), (53)은, 각각 케이스(51)의 측면에 인서어트 성형한 접점단자(54), (54)에 접속되고, 양쪽의 접점단자(54), (54)의 바깥끝단부는, 케이스(51)의 측면의 아래끝단에서 "L"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세워져 있다.
제 8 도 좌우의 양쪽 접점(52)위에는, 아래로 향한 사발형상의 예를들면 인청동제의 판스프링(56)이 얹어져서, 평상시에는 중앙의 접점(53)보다 약간 떨어지고 있다.
케이스(51)의 안쪽 원부분에는, 케이스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누름 보턴(57)의 플랜지부(57a)가 승강이 자유롭게 끼워 맞춤되고, 플랜지부(57a)의 아래면 중앙에 돌출하여 형성한 반구형상의 밀어누름부(57b)가, 판스프링(56)의 윗면 중앙에 맞닿고 있다.
누름보턴(57)의 플랜지부(57a)와 중앙의 머리부(57c)의 윗면에는, 합성수지제의 유연한 내열성 필름(58)이 포개어져 있고, 그의 둘레부는 케이스(51)의 위쪽 끝단면에, 내열성의 접착재로서 접착되어서, 케이스(51)의 안쪽을 기밀하게 밀폐 하고있다.
내열성 필름(58)의 윗면에는, 납땜하기 쉽도록, 미리 땜납도금을 실시한 스테인리스 강판제의 커버(59)가 포개어지도록 케이스(51)에 고정형성되어서, 누름보턴(57)을 위쪽방향에서 누르고, 커버(59)의 중앙에 절결하여 형성한 끼워통하는 구멍(60)에서, 내열필름(58)에 덮어 씌워진 누름보턴(57)의 머리부(57c)가 돌출하고 있다.
커버(59)의 한쪽끝단에는, 아래방향으로 향하여서 "ㄷ"자 형상으로 굴곡한 접지단자(61)가 연이어 형성되고, 그의 아래쪽 끝단과 상기 접점단자(54), (54)의 아래쪽 끝단은,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스위치는,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프린트 배선기판(62)의 크리임 땜납(도시생략함)을 도포한 배선패턴(63)위에 얹어놓아서, 고온분위기(200℃이상) 중에서 가열하면, 용융한 땜납(64)이 각각의 단자(54), (54), (61)에 용착하여, 프린트 배선기판(62)에 착설되고, 누름보턴(57)의 머리부(57c)의 밀어누름조작에 의하여, 판스프링(56)이 탄력성있게 휘어져서, 양쪽 접점(52), (53)이 닫히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스위치는, 케이스(51)의 윗면에 내열성 필름(58)으로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납땜을 할때에, 스위치가 고온이 되면, 케이스(51) 안쪽의 공기가 팽창하여 고압으로 되고, 케이스(51)와 접점단자(54), (54)의 케이스(51) 관통부의 사이의 미세한 간격에서, 공기가 유출된다.
그리고, 납땜이 종료하여, 스위치의 온도가 저하함에 따라서, 케이스 안쪽의 공기가 수축하여 외부공기보다 저압이 되기 때문에, 케이스(51)와 케이스(51)에서 돌출한 접점단자(54), (54)의 경계부근에 부착한 크리임 땜납중의 고온저 점토의 플럭스가, 외부공기와 함께 상기 간격의 안쪽으로 흡입되어서, 냉각됨에 따라 고점토로 되어서 간격을 폐색하는 것이어서, 케이스(51)안쪽이 대기압으로 복귀되지 않으며, 이로인하여 커버(59)가 약간 안쪽 방향으로 좁혀져서, 프린트 배선기판(62)에 착설된 스위치의 동작이 잘 조정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배선 패턴에 단자를 납땜할때에 발생하는 플럭스가 침입하지 않는 위치에, 배선패턴에 납땜하지 않는 접점단자를 1개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의 해결을 도모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스위치는, 배선패턴에 단자를 납땜할 때에 발생하는 플럭스가 침입하지 않는 위치에 배선패턴에 납땜을 하지 않는 단자를 적어도 1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어서, 스위치의 납땜을 할때에는, 크리임 땜납부에서 떨어져 있고, 스위치의 납땜을 할때에는, 크리임 땜납부에서 떨어져 있고, 따라서 케이스와 접점단자와의 간격에, 플럭스가 침입할 염려가 없으며, 프린트 배선기판에 착설된 후에도, 스위치의 케이스 안밖의 공기의 유통은 확보되어서, 케이스안쪽은 항상 외부기압과 같게 유지되기 때문에, 스위치의 동작이 잘조정되지 않게되는 일이 없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1)은 상기(51)과 마찬가지의 케이스이고, (2), (3)은 각각 상기(52), (53)과 마찬가지의 접점으로서, 접점(2), (3)은 상기 (54)와 마찬가지로, 케이스(1)의 측면의 아래쪽 끝단에 인서어트 성형된 "L"자형상의 접점단자(4)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접점단자(5)는, 접점(2)에 접속되어 케이스의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6)은 상기(56)과 마찬가지의 판스프링이고, (7)은 상기 (57)과 마찬가지의 누름보턴이고, (7a)는 플랜지부이고, (7b)는 밀어누름부이며, (7c)는 머리부이다.
(8)은 상기(58)과 마찬가지의 내열성 필름이고, (9)와 (10)과 (11)은, 각각 상기(59), (60), (61)과 마찬가지의, 커버와 끼워통하는 구멍과 접지단자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스위치는,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프린트 배선기판(12)의 크리임 땜납(도시생략함)을 도포한 배선 패턴(13)위에 얹어 놓아서, 고온 분위기(200℃이상) 중에서 가열하면, 용융한 땜납(14)이 자(4), (11)를 배선패턴(13)에 용착한다.
그러나, 접점단자(5)는, 배선패턴(13)이나 단자(4), (11)에서 현저하게 떨어져 있기 때문에, 땜납(14)이 부착되지 않고, 또한 땜납(14)의 주위에서 고온저점토의 플럭스가 확산 되더라도, 케이스(1)와 케이스(1)에서 돌출한 접점단자(5)의 경제까지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납땜종료후에 스위치가 냉각되더라도, 플럭스가 케이스(1)와 접점단자(5)의 사이의 미세한 간격에 흡입되지 않고, 통기성이 확보되어 있는 것이어서, 케이스(1) 안쪽은 평상시의 압력으로 되어, 프린트 배선기판(12)에 착설된 스위치는, 누름보턴(7)의 조작에 의하여, 항상 바람직한 조정상태로 개폐동작을 한다.
제 4 도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 1실시예와, 동일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접점단자(5)에 대신하여, 접점단자(21)가, 케이스(1)의 접점단자(4)가 없는 측면의 적당한 장소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더라도, 접점단자(21)가, 접점(4), (11) 및 크리임 땜납부에는 현저하게 떨어져 있기 때문에,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제 5 도와 제 6 도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 1실시예와 동일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접점단자(5), (21)에 대신하여 접점단자(31)가, 접점단자(4)와 동판측면의 아래쪽 끝단에서 약간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케이스(1)에서의 접점단자(31)의 아래쪽에는 절결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면, 접점단자(31)의 아래쪽에 크리임 땜납이 있더라도, 접점단자(31)에 부착되지 않고, 또한 접점단자(31)와 크리임 땜납 사이의 케이스(1)의 표면위의 거리가 현저하게 길어지는 것이어서, 납땜할때의 고온 저점토의 플럭스가, 접점단자(31)의 밑에까지 확산되는 일은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스위치는, 적어도 1개의 접점단자가, 배선패턴에로 직접 납땜하는 다른단자에서 현저하게 떨어져 있기 때문에, 스위치를 프린트 배선기판에로 납땜할때에, 케이스와 상기 접점단자의 사이에, 플럭스가 침입할 염려가 없고, 프린트 배선기판에 착설된 후에도, 스위치의 케이스 안밖의 공기의 유통이 확보되어서, 케이스 안쪽은 항상 외부공기와 같은 입력으로 유지되는 것이기 때문에, 스위치의 동작이 잘 조정되지 않게되는 일은 없는 것이다.

Claims (4)

  1. 프린트 배선기판(62)에 포개어서, 배선패턴(63)에 단자(54), (54), (61)를, 직접 납땜하여 착설하는 방수 방진 구조의 소형 누름보턴 스위치에 있어서, 배선패턴(13)에 단자(4)를 납땜할때에 발생하는 플럭스가 침입하지 않는 위치에, 배선패턴(13)에는 직접 납땜하지 않는 단자(5)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누름 보턴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납땜하지 않는 단자(21)를 케이스(1)의 측면 윗쪽부분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누름 보턴 스위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납땜하지 않는 단자(31)를, 납땜하는 단자(4)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케이스(1)의 측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누름 보턴 스위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1 항에 있어서, 케이스(1)에서의 납땜하지 않는 단자(5), (21), (31)의 아래쪽의 부분을 절결한 소형누름 보턴 스위치.
KR2019870017908U 1987-03-09 1987-10-21 소형 누름 보턴 스위치 Expired KR90000856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286 1987-03-09
JP1987034286U JPH0518815Y2 (ko) 1987-03-09 1987-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8590U KR880018590U (ko) 1988-10-29
KR900008564Y1 true KR900008564Y1 (ko) 1990-09-22

Family

ID=30842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7908U Expired KR900008564Y1 (ko) 1987-03-09 1987-10-21 소형 누름 보턴 스위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18815Y2 (ko)
KR (1) KR90000856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3852A (ja) * 2010-11-22 2012-06-14 Sumitomo Electric Printed Circuit Inc スイッチ部品及びスイッチモジュール
KR102361114B1 (ko) * 2020-08-31 2022-02-11 주식회사 주니온 콜 부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8590U (ko) 1988-10-29
JPH0518815Y2 (ko) 1993-05-19
JPS63141525U (ko) 198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895Y1 (ko) 푸쉬버튼 스위치
US4913285A (en) Water-and-dust-proof push-button switch housing dummy terminal for air venting
EP0001892B1 (en) Lead frame and package for establishing electrical connections to electronic components
US5648750A (en) Surface-mount type microminiature electric current fuse
CA1174759A (en) Electrical circuit package
US4599596A (en) Chip type fuse
KR960009380A (ko) 마이크로파발진기와 그 제조방법
JPS5985123A (ja) 圧電振動子用気密ベ−ス
CA1238106A (en) Casing for electrical components, component assemblies or integrated circuits
KR900008564Y1 (ko) 소형 누름 보턴 스위치
US4658104A (en) Printed wiring board
US5043695A (en) Housing assembly for miniature electronic device
KR100322773B1 (ko) 전기부품및이전기부품의부착구조
JP2816040B2 (ja) コンタクト
GB2160366A (en) A printed circuit board
US5132864A (en) Printed circuit board
JPH0422496Y2 (ko)
JPH0441545Y2 (ko)
US467681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hermetically sealed component housing, in particular for quartz resonators
EP0098626B1 (en) Electric circuit assembly comprising a printed wiring board
JP3365426B2 (ja) チップ型電子部品
JP2012113852A (ja) スイッチ部品及びスイッチモジュール
GB2313489B (en) Mounting structure for mounting an electrical device with terminal pins on a printed wiring board
JP2750595B2 (ja) 表面実装用電子部品の接続部材
JPH023626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7102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7102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82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12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102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1020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6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12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2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2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2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2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2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8

Year of fee payment: 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2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