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676B1 - Circuit for retiming digital data and pulses automatically - Google Patents
Circuit for retiming digital data and pulses automatical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00007676B1 KR900007676B1 KR1019870014928A KR870014928A KR900007676B1 KR 900007676 B1 KR900007676 B1 KR 900007676B1 KR 1019870014928 A KR1019870014928 A KR 1019870014928A KR 870014928 A KR870014928 A KR 870014928A KR 900007676 B1 KR900007676 B1 KR 9000076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hase
- output
- input
- clock
- flo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도는 입력데이타 위상을 기준으로 한 본발명의 디지틀 자동 위상 조절 리타이밍 회로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automatic phase adjustment retiming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an input data phase.
제2도는 본 발명의 위상검출기 및 리타이밍기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one embodiment of a phase detector and a reti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클럭과 반전클럭의 오름천이 사이에 입력 데이타의 위상이 위치할때 제2도의 주요부분의 타이밍 파형도.3 is a timing waveform diagram of the main part of FIG. 2 when the phase of the input data is located between the clock and the inverted transition of the inversion clock.
제4도는 반전클럭과 클럭의 오름천이 사이에 입력 데이타의 위상이 위치할때 제2도의 주요부분의 타이밍 파형도.4 is a timing waveform diagram of the main part of FIG. 2 when the phase of the input data is located between the inverted clock and the ascending transition of the clock.
제5도는 본 발명의 위상검출기 및 리타이밍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hase detector and the retime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클럭과 반전클럭의 오름천이 사이에 입력 데이타의 위상이 위치할때 제5도의 주요부분의 타이밍 파형도.FIG. 6 is a timing waveform diagram of the main part of FIG. 5 when the phase of the input data is located between the clock and the inverted transition of the inversion clock.
제7도는 반전클럭과 클럭의 오름천이 사이에 입력 데이타의 위상이 일치할때 제5도의 주요부분의 타이밍 파형도.FIG. 7 is a timing waveform diagram of the main part of FIG. 5 when the phase of the input data coincides between the inverted clock and the ascending transition of the clock.
제8도는 본 발명의 루프 처리기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 loop proc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9도는 본 발명의 순차 디지틀 여파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quential digital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0도는 본 발명의 위상 이동기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phase shif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1도는 입력클럭위상을 기준으로 한 본 발명의 한 디지틀 자동 위상조절 리타이밍 회로의 구성도.1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automatic phase adjustment retiming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an input clock phas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2 : 위상검출기 및 리타이밍기 2,13 : 루프처리기1,12 phase detector and
3,14 : 위상이동기 4 : 반주기 지연회로3,14: phase shifter 4: half-cycle delay circuit
5a,5b : N분주기 6 : M분주기5a, 5b: N divider 6: M divider
7 : 순차 디지틀 여파기 8 : 업/다운 계수기 및 엔코더7: sequential digital filter 8: up / down counter and encoder
9 : 업/다운 계수기 10 : N으로의 프리세트 제어기9: Up / Down Counter 10: Preset Controller to N
11 : m : 1다중기 FF1∼FF8: D형 플립플롭11: m: 1 multiplier FF 1 to FF 8 : D flip-flop
OR1∼OR6: 논리합 게이트 EXOR1∼EXOR4: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OR 1 to OR 6 : logical OR gate EXOR 1 to EXOR 4 : exclusive OR gate
△1∼△m: 지연기능게이트△ 1 to △ m : delay function gate
본 발명은 디지틀 데이타 전송시스템에서 데이타와 클럭의 상대 위상차가 불확실하거나 시간에 따라 변화할경우 입력데이타의 눈모양(eye pattern)중심에 클럭의 유의순간(significant instant)을 위치시킴으로써 데이타 리타이밍(Retiming)오류를 예방하고, 클럭과 데이타의 상대 위상변화를 추적함으로써 입력지터(Jitter) 허용치를 크게한 디지틀 자동 위상조절 리타이밍 회로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relative phase difference between data and clock is uncertain or changes with time in a digital data transmission system, data retiming is performed by placing a significant instant of the clock in the eye pattern of the input dat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automatic phase adjustment retiming circuit that prevents errors and increases input jitter tolerance by tracking relative phase changes of clock and data.
PCM(Pulse Code Modulation)데이타 전송 중계기에서 자가(Self-timed)클럭 추출회로로 사용되는 공진기나 소우(SAW)여파기 또는 위상동기루프(PLL)등에 의해 추출된 클럭으로 입력데이타를 리타이밍할 경우나, 또는 크로스커넥터(Cross Connecter)소자들로 이루어진 교환시스템 및 가입자 시스템에서 입력 데이타를 입력클럭으로 리타이밍할 경우, 그리고 대부분의 측정장비 등에서 데이타와 클럭을 입력할 경우 여러분야에서 클럭과 데이타는 서로 독립적 위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독립적 위상을 갖는 클럭과 데이타의 위상차를 검출하여 입력 데이타의 중심위치에 클럭의 유의(significant)순간을 위치시킴으로써 리타이밍 오류를 방지하고, 외부원인에 의한 클럭과 데이타의 상대위상 변화를 추적 함으로써 지터허용치를 크게하는자동위상조절 리타이밍 회로가 필요하다.When retiming input data with a clock extracted by a resonator, SAW filter, or phase-locked loop (PLL) used as a self-timed clock extraction circuit in a PCM (Pulse Code Modulation) data transmission repeater When re-timing input data into an input clock in an exchange system and a subscriber system of cross-connector elements, or when inputting data and clock in most measuring equipment, the clock and data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has independent phase and detects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clock and data having this independent phase and locates the significant moment of the clock at the center of input data to prevent retiming error. An autophase retiming circuit is required that tracks phase changes to increase jitter tolerance. It is.
지터 허용치란 위상 흔들림이 있는 입력데이타를 타이밍클럭 재생회로에 인가하여 추출된 클럭으로 원래의 입력데이타를 리타이밍 할때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입력 데이타의 최대 지터값으로 정의된다.The jitter tolerance is defined as the maximum jitter value of input data that does not cause an error when retiming the original input data with the clock extracted by applying input data with phase fluctuations to the timing clock regeneration circuit.
종래의 자기조절 타이밍 클럭 재생회로는 자체에 전압제어 발진기를 내장하여 입력 데이타로 부터 클럭을 추출하고, 입력데이타의 중심에 리타이밍 클럭의 위치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고 있지만 클럭이 외부에서 제공됨으로써 클럭추출 기능이 아닌 리타이밍 기능한 필요할 경우에는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를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디지틀 제어를 이용한 자동 위상조절 회로가 발표된 것이 있지만 위상검출기의 일부분 이외의 구성은 발표되어 있지 않으며 여러개의 지연소자를 이용하여 위상 검출기가 구성됨으로써 실현이 복잡하고 눈모양 중심에 클럭의 유의순간을 위치시킬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 self-regulated timing clock regeneration circuits have a function of extracting a clock from input data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etiming clock at the center of the input data by incorporating a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in itself.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cannot be used if necessary with a retiming function instead of an extraction function. Although an automatic phase control circuit using digital control has been announced, a configuration other than a part of the phase detector has not been announced and several Since the phase detector is configured using the delay element, the realization is complicated and the significant moment of the clock cannot be located at the eye cent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인바, 외부에서 클럭이 주어질때 데이타를 올바로 리타이밍 하는데 사용되는 디지틀 자동 위상조절 리타이밍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digital automatic phase adjustment retiming circuit used to correctly retime data when a clock is given from the outside.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본 발명의 디지틀 자동 위상조절 리타이밍 회로를 도시한 것으로 위상검출기 및 리타이밍기(1)와 루프처리기(2)와 위상 이동기(3)로 구성되며 상기 위상 검출기 및 리타이밍기(1)는 위상이동기(3)로 부터의 리타이밍 클럭(IC)과 입력데이타(ID)의 위상차를 검출하여 클럭에 대해 입력데이타의 위상이 앞서거나 뒤지거나 하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신호(UC), (DC)를 상기 루프처리기(2)에 인가하며 또한 위상이동기(3)에 의해 올바로 위상조절된 리타이밍 클럭(OC), () 및 이 클럭에 의해 리타이밍된(Retimed) 데이타(OD), ()를 출력하는 역활을 행하고, 상기 루프처리기(2)는 상기 위상검출기 및 리타이밍기(1)로 부터 입력된 위상상태 신호(UC),(DC)를 이용하여 데이타와 클럭신호 사이의 위상차를 올바로 조절하도록 리타이밍 클럭의 위상을 제어하는 위상 제어신호(PCS)를 발생시키며 이 제어신호를 상기 위상이동기(3)에 인가시키는 역활을 행하고, 상기 위상이동기(3)는 상기 루프처리기(2)의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클럭의 위상을 적절히 조절한 리타이밍 클럭(IC)을 상기 위상검출기 및 리타이밍기(1)로 출력하는 역활을 행하며, 이와같은 구성은 아날로그 위상동기루프(A-PLL)의 구성과 대응되는 디지탈 위상동기루프(D-PLL)의 구성으로 간주할 수 있다.1 shows a digital automatic phase adjustment retiming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mposed of a phase detector and a
제2도는 본 발명의 위상검출기 및 리타이밍기(1)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두개의 입력단(ID), (IC)과 여섯개의 출력단(UC, DC, OD,, OC,)을 갖고 있으며, 상기 입력단(ID)은 논리합게이트(OR1)에 입력되게 연결하고 상기 논리합게이트(OR1)의 한 출력(ID-1)은 D형 플립플롭(FF1)의 데이타 입력단(D)과 배타적논리합게이트(EXOR1)의 한 입력단에 연결하며, 상기 논리합게이트(OR1)의 나머지 한 출력(ID-2)은 D형 플립플롭(FF2)의 데이타 입력단(D)과 배타적논리합게이트(EXOR2)의 한 입력단에 연결한다.2 shows an embodiment of the phase detector and
위상이동기(3)로 부터의 입력단(IC)은 논리합게이트(OR2)에 입력되게 연결하고 상기 논리합게이트(OR2)의 한 출력()은 상기 플립플롭(FF1)의 클럭입력단에 연결하고, 상기 논리합게이트(OR2)의 나머지 한출력(OC)은 상기 플립플롭(FF2)의 클럭입력단에 연결하며, 상기 플립플롭(FF1)의 출력(S2-1)은 상기 배타적논리합게이트(EXOR1)의 나머지 한 입력단에 연결하고 상기 플립플롭(FF2)의 출력(OD)은 상기 배타적논리합게이트(EXOR2)의 나머지 한 입력단에 연결한다.Input stage (IC) according to the phase from the mobile device (3) is connected in input to the OR gate (OR 2) and the output of the OR gate (OR 2) ( ) Is connected to the clock input terminal of the flip-flop (FF 1 ), the other output OC of the logic sum gate (OR 2 ) is connected to the clock input terminal of the flip-flop (FF 2 ), the flip-flop (FF) 1) the output (S 2-1) is a remainder of the output (OD) is the exclusive-OR gate (EXOR 2) connected to the rest of the input stage and the flip-flop (FF 2) of the exclusive-OR gate (EXOR 1) of Connect to the input.
상기 배타적논리합게이트(EXOR1)의 출력(S2-2)은 D형 플립플롭(FF3)의 클럭입력단과 D형 플립플롭(FF4)의 리세트입력단(R)에 공통으로 연결하고, 상기 배타적논리합게이트(EXOR2)의 출력(S2-3)은 상기플립플롭(FF4)의 클럭입력단과 상기 플립플롭(FF3)의 리세트입력단(R)에 공통으로 연결하며 상기 플립플롭(FF3)의 출력()은 데이타 입력단(D)에 귀환 연결하고 상기 플립플롭(FF3)의 출력()은 데이타 입력단(D)에 귀환 연결한다.The output (S 2-2) of said exclusive OR gate (EXOR 1) and are commonly connected to the reset input terminal (R) of the D flip-flop clock input terminal and D-type flip-flop (FF 4) of (FF 3), the output (S 2-3) is the flip-flop (FF 4) commonly connected to the reset input terminal (R) of the clock input terminal and the flip-flop (FF 3) and the flip-flop of the exclusive OR gate (EXOR 2) Output of (FF 3 ) ( ) Is connected to the data input terminal (D) feedback and output of the flip-flop (FF 3 ) ) Is fed back to the data input (D).
상기 플립플롭(FF3)의 나머지 출력(UC)과 상기 플립플롭(FF4)의 나머지 출력(DC)은 루프처리기(2)로 출력신호를 인가한다.Remaining output (DC) of the other output (UC) and the flip-flop (FF 4) of the flip-flop (FF 3) is applied to an output signal to the loop processor (2).
상기한 구성을 갖는 위상검출기 및 리타이밍기(1)에서, 먼저 입력데이타의 위상 즉 입력데이타의 천이 순간이 클럭(OC)의 오름천이와 반전클럭()의 오름천이 사이에 위치할 경우 제3도에 도시한 파형과 함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phase detector and the
입력단(ID)에서 데이타의 천이가 발생할때마다 입력 데이타와 반전클럭()에 의해 동작하는 플립플롭(FF1)에 의해 리타이밍한 데이타(SD-1)를 배타적 논리합게이트(EXOR1)에 인가하면 상기 배타적 논리합게이트(EXOR1)의 출력시호(S2-2)는 입력데이타(ID)의 천이시각과 반전클럭()의 오름천이 시각 사이의 시간동안만 "0"이 되고, 또한 입력데이타(ID)와 클럭(OC)에 의해 동작하는 플립플롭(FF2)에 의해 D 리타이밍한 데이타(OD)를 배타적논리합게이트(EXOR2)에 인가하면 상기 배타적논리합게이트(EXOR2)의 출력신호(S2-3)는 입력데이타(ID)의 천이시각과 클럭(OC)의 오름천이 시각 사이의 시간동안만 "0"이 된다.Whenever data transition occurs at the input (ID), the input data and the inverted clock ( When the data SD-1 retimed by the flip-flop FF 1 operated by the sigma is applied to the exclusive logic sum gate EXOR 1 , the output signal S 2-2 of the exclusive logic sum gate EXOR 1 is applied. Is the transition time of the input data (ID) and the inversion clock ( Exclusive logical sum of D retiming data (OD) by flip-flop (FF 2 ) operated by input data (ID) and clock (OC). gate (EXOR 2) is applied only for a time between when the exclusive-OR gate (EXOR 2) the output signal (S 2-3) transition is a rise time of the input data (ID) and the transition time clock (OC) of the "0 "Becomes.
따라서 플립플롭(FF3)의 출력(UC)는 상기 출력신호(S2-2)가 "0"에서 "1"로 천이하는 순간 "1"이 되었다가 상기 출력신호(S2-3)가 "0"에서 "1"로 천이되는 순간 "0"으로 천이함으로써 입력데이타(ID)의 위상이 클럭(OC)의 오름천이와 반전클럭()의 오름천이 사이에 있음을 나타내는 업클럭(UC)을 발생한다.Therefore, the output UC of the flip-flop FF 3 becomes "1" at the moment when the output signal S 2-2 transitions from "0" to "1", and then the output signal S 2-3 becomes As soon as it transitions from "0" to "1", it shifts to "0" so that the phase of the input data ID shifts the clock OC and the inverted clock ( Generates an upclock (UC) indicating that the upstream transition is between.
이때 플립플롭(FF4)은 미세트입력단(R)으로의 입력신호(S2-2)가 "1"인 상태에서 클럭 입력신호(IC)가 인입되어 클럭에 의해 동작하지 않으므로 "0"인 상태 그대로 머므르게 되고 입력데이타(ID)의 위상이 ()의 오름천이와 클럭(OC)의 오름천이 사이에 위치할 경우, 또는 이와 반대인 경우에도 상기 동작과 같은 원리에 의해 동작하며 이 경우는 다운 클럭(DC)신호만이 활성화되고 이때의 파형도를 제4도에 도시하였다.At this time, the flip-flop FF 4 has a value of "0" because the clock input signal IC is inserted in the state where the input signal S 2-2 to the minute input terminal R is "1" and is not operated by the clock. It stays as it is and the phase of the input data (ID) In the case of the rising transition of) and the rising edge of the clock (OC), or vice versa, it operates according to the same principle as the above operation, in which case only the down clock (DC) signal is activated and the waveform at this time Is shown in FIG.
제5도는 위상검출기 및 리타이밍기(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두개의 입력단(ID, IC)과 여섯개의 출력단(UC, DC, OD,, OC,)를 갖는 회로이다.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hase detector and the
상기 입력단(ID)은 논리합 게이트(OR3)에 입력되게 연결하고 상기 논리합게이트(OR3)의 한 출력(ID-3)은 (FF5)의 데이타 입력단(D)에 연결한다.The input stage (ID) is connected in input to the OR gate (OR 3) and connected to the data input terminal (D) of the logical sum output (ID-3) of the gate (OR 3) is (FF 5).
상기 입력단(IC)은 논리합 게이트(OR4)에 입력되게 연결하고, 상기 논리합게이트(OR4)의 한 출력()은 상기 플립플롭(FF5)의 클럭입력단에 연결하며, 상기 논리합 게이트(OR4)의 나머지 한 출력(OC)은 D형 플립플롭(FF6)의 클럭입력단에 연결한다.The input terminal IC is connected to be input to the OR gate OR 4 , and an output of an OR gate OR 4 is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IC. ) Is connected to the clock input of the flip-flop FF 5 , and the other output OC of the OR gate OR 4 is connected to the clock input of the D-type flip-flop FF 6 .
상기 반주기 지연회로(4)의 출력(S5-2)의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EXOR3)의 한 입력단에 연결하고, 상기 플립플롭(FF5)의 출력(S5-1)은 상기 플립플롭(FF6)의 데이타 입력단(D)과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EXOR4)의 한 입력단에 연결하며, 상기 플립플롭(FF6)의 한 출력()은 상기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EXOR3)의 나머지 입력단에 연결하고, 상기 플립플롭(FF6)의 나머지 한 출력(OD)은 상기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EXOR4)의 나머지 한 입력단에 연결한다.The output (S 5-1) is the output of flip-flop coupled to one input terminal of exclusive-OR gate (EXOR 3) of the (S 5-2), and the flip-flop (FF 5) of the half-period delay circuit 4 ( FF 6 is connected to one input of the data input terminal D and the exclusive OR gate EXOR 4 , and one output of the flip-flop FF 6 . ) Is connected to the other input terminal of the exclusive OR gate EXOR 3 , and the other output OD of the flip-flop FF 6 is connected to the other input terminal of the exclusive OR gate EXOR 4 .
상기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EXOR3)의 출력(S5-3)은 D형 플립플롭(FF7)의 클럭입력단 및 D형 플립플롭(FF8)의 리세트 입력단(R)에 공통으로 연결하고, 상기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EXOR4)의 출력(S5-4)은 상기 플립플롭(FF8)의 클럭입력단 및 상기 플립플롭(FF7)의 리세트 입력단(R)에 공통으로 연결하며, 상기 플립플롭(FF7)의 출력()은 데이타 입력단(D)에 귀환 연결하고 상기 플립플롭(FF8)의 출력()은 자체데이타 입력단(D)에 귀환 연결한다.The output (S 5-3) of said exclusive OR gate (EXOR 3) and are commonly connected to the reset input terminal (R) of the clock input terminal and D-type flip-flop (FF 8) of the D flip-flop (FF 7), the output (S 5-4) of said exclusive OR gate (EXOR 4), and is commonly connected to the reset input terminal (R) of the clock input, and the flip-flop (FF 7) of said flip-flop (FF 8), the flip- Output of flop (FF 7 ) ) Is connected to the data input terminal (D) feedback and the output of the flip-flop (FF 8 ) ( ) Feedback to its own data input (D).
상기 플립플롭(FF7)의 나머지 출력(DC)과 상기 플립플롭(FF8)의 나머지 출력(UC)은 루프처리기(2)로 출력신호를 인가한다.The remaining outputs (UC) of the other output (DC) and the flip-flop (FF 8) of said flip-flop (FF 7) is applied to an output signal to the loop processor (2).
상기한 구성에서 먼저 입력데이타(ID)의 위상이 클럭(OC)의 오름천이와 반전클럭()의 오름천이 사이에 위치할 경우 제6도에 도시된 파형도에서 알 수 있듯이 입력데이타(ID)의 천이 발생시 입력데이타(ID)의 위상에 관계없이 상기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EXOR4)의 출력(S5-4)은 일정한 펄스폭의 구형파를 만드는 반면에 상기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EXOR3)의 출력(S5-3)은 입력데이타(ID)의 위상, 즉 반주기 지연회로(4)에 의해 반주기 지연된 입력데이타(ID)의 위상에 의존하는 펄스폭의 구형파를 만든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first, the phase of the input data ID shifts the clock OC and the inverted clock ( If the ascending stream is located between, the output of the exclusive OR gate EXOR 4 when the transition of the input data ID occurs, as shown in the waveform diagram of FIG. 6, regardless of the phase of the input data ID. S 5-4 ) produces a square wave having a constant pulse width, while the output S 5-3 of the exclusive OR gate EXOR 3 is half-period by the phase of the input data ID, that is, the half-
또한 상기 두 출력신호(S5-3)(S5-4)의 내림천이 시간이 일치하므로 상기 플립플롭(FF8)의 출력(UC)은 상기 신호(S5-4)가 "0"에서 "1"로 천이하는 순간 "1"이 되었다가 상기 리세트 입력신호(S5-3)가 "0"에서 "1"로 천이하는 천이하는 순간 "0"으로 천이함으로써 입력데이타(ID)의 위상이 클럭(OC)의 오름천이와 반전클럭()의 오름천이 사이에 있음을 나타내는 업클럭(UC)을 루프처리기(2)에 인가한다.In addition, since the descending transition times of the two output signals S 5-3 and S 5-4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output UC of the flip-flop FF 8 is equal to the signal S 5-4 at " 0 ". When the transition to "1" is made to "1" and the reset input signal (S 5-3 ) transitions from "0" to "1", the transition to "0" by the transition of the input data (ID) Phase shift of clock (OC) and inversion clock ( The upclock UC is applied to the
이때 상기 플립플롭(FF7)은 리세트 단자(R)로 클럭입력신호(S5-4)가 "1"인 상태에서 클럭입력신호(S5-3)가 인입되므로 클럭에 의해 동작하지 않으므로 "0"인 상태 그대로 머물게 된다.In this case, the flip-flop FF 7 does not operate by a clock because the clock input signal S 5-3 is inserted into the reset terminal R while the clock input signal S 5-4 is “1”. It stays as "0".
입력데이타(ID)의 위상이 반전클럭()의 오름천이와 클럭(OC)의 오름천이 사이에 위치할 경우 또는 이와 반대인 경우에도 상기 동작과 같은 원리에 의해 동작하며 이 경우는 다운클럭(DC) 신호만이 활성화 되고 이때의 파형도를 제7도에 도시하였다.Phase of input data ID is inverted clock In the case of rising between the rising edge of the clock and the rising edge of the clock (OC) or vice versa, it operates according to the same principle as the above operation, in which case only the down clock (DC) signal is activated and the waveform diagram at this time is 7 is shown.
루프처리기(2)는 입력데이타에 관련된 잡음과 펄스간 상호간섭에 의한 입력데이타 위상의 변화에 대해 효과적인 동작을 얻기위해 사용되며 이러한 기능을 하는 간단한 하드웨어로는 디지탈 위상동기루프(D-PLL)분야에서 사용되는 순간 디지틀 여파기가 적합하므로 이를 제8도에 도시하였으며 상기 루프처리기(2)의 구성은 순차디지틀 여파기(7)와 업/다운 계수기 및 엔코더(8)로 구성하였으며 상기 순차디지틀 여파기(7)는 업클럭(UC)과 다운클럭(DC)을 인가받아 각각의 N분주기(5a),(5b)에 의해 계수값이 N을 초과하면 각각 업제어신호(UCON)와 다운제어신호(DCON)을 업/다운 계수기 및 엔코더(8)에 인가한다.The loop processor (2) is used to obtain an effective operation against the change of the input data phase due to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input data and the pulse. The simple hardware that performs this function is the digital phase synchronous loop (D-PLL) field. The instantaneous digital filt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8, and the
또한 상기 업클럭(UC)과 다운클럭(DC)을 논리합 게이트(OR5)에 인가받아 M분주기(6)에서 분주하며 분주된 값이 M을 초과하면 모든 분주기(5a), (5b), (6)을 리세트(Rest)시키는 기능을 한다.In addition, the up clock UC and the down clock DC are applied to the OR gate OR 5 to divide in the
여기서 두개의 N분주 계수기(5a), (5b)중 어느것이라도 N계수값을 초과하기 전에 M분주 계수기(6)가 M을 초과하면 N분주 계수기(5a), (5b)는 리세트 됨으로써 업제어신호(UCON)과 다운제어신호(DCON)는 변화가 없게 된다. 이는 실제 원치않는 신호에 의해 업제어신호(UCON)와 다운제어신호(DCON)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Here, if any of the two N division counters 5a and 5b exceeds the N coefficient value, and the
제9도는 상기 루프처리기(2)내의 순차 디지틀 여파기(7)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ψ에서 2N까지 셀수있는 업/다운 계수기(9)의 초기상태를 N으로 한뒤 업클럭(UC) 및 다운클럭(DC)에 의해 ψ나 2N이 되면 N의로의 프리세트 제어기(10)에 의해 상기 업/다운 계수기(9)를 N으로 세트함과 동시에 업제어신호(UCON)나 다운제어신호(DCON)를 발생하며 그 동작성능은 상기 제8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9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sequential
상기 업/다운 계수기 및 엔코더(8)를 어드레스번지 제어기로 사용하여 업제어신호(UCON)나 다운제어신호(DCON)가 인입될때 적절한 위상제어를 위한 위상제어신호(PCS)를 위상동기(3)내의 m : 1 다중기(11)로 출력한다.Phase synchronization (3) for phase control signal (PCS) for proper phase control when up control signal (UCON) or down control signal (DCON) is input by using the up / down counter and encoder (8) as an address address controller. M: 1 is output to the multiplexer (11).
위상이동기(3)는 그 종류가 대단히 많으며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제10도에 도시하였다.There are many kinds of
제10도의 위상이동기(3)는 여러 위상의 신호를 만들기 위한 단위위상 지연치(△)를 갖는 m개의 지연기능 게이트(△1∼△n)와 이 입력중 적절한 위상의 입력을 선택하는 m : 1 다중기(11)로 구성되며 상기 입력 데이타의 단위 위상지연치(△)와 m : 1 다중기(11)의 m값은 △×m=2T(여기서 T는 동작주기이다)를 만족시켜야 한다.The
그리고 m : 1 멀티플렉서(11)에서 선택한 리타이밍 클럭(위상 제어된 입력데이타)는 위상검출기 및 리타이밍기(1)로 출력한다.The retiming clock (phase controlled input data) selected by the m: 1
이와같은 디지틀 자동위상조절 리타이밍 회로의 동작은 입력데이타의 위상을 기준으로하여 입력클럭의 위상을 데이타내로 자동조절하게 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성과는 반대로 입력데이타가 아닌 입력클럭을 기준으로 하여 입력데이타의 위상을 자동조절하는 방법도 가능한데 이에대한 실시예를 제11도에 도시하였으며 제1도와 비교하면 모든 부분의 구성은 똑같이 되고 단지 입력클럭이 위상검출기 및 리타이밍기(12)로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위상검출기 및 리타이밍기(12)로 부터의 상태신호가 입력되는 루프처리기(13)에서는 위상제어신호(PCS)를 위상이동기(14)로 출력하여 외부에서 위상이동기(14)로 입력되는 입력데이타의 위상을 적절히 조절하여 위상제어된 입력데이타를 상기 위상검출기 및 리타이밍기(12)로 출력하도록한 것으로서, 입력클럭을 기준으로 하여 입력데이타의 위상이 올바른 위치에서 리타이밍 되도록한 점만이 다르며 성능면에서도 전혀 차이가 없다.The operation of the digital automatic phase adjustment retiming circuit adopts a method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phase of the input clock into the data based on the phase of the input data. Contrary to this configuration, it is based on the input clock rather than the input data. It is also possible to automatically adjust the phase of the input data. An embodiment thereof is shown in FIG. 11, and in comparison with FIG. 1, the configuration of all parts is the same and only the input clock is input to the phase detector and the retiming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클럭이 외부에서 주어질때 데이타를 올바로 리타이밍 하는데 사용되는 디지틀 자동 위상조절 리타이밍 회로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는 디지틀 소자로만 구성됨으로써 직접회로나 주문형 반도체 제작이 용이하고 큰 지터허용치를 가질뿐만 아니라 고속동작이 가능하다는 점에 효과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configuring a digital automatic phase adjustment retiming circuit used to correctly retime data when a clock is given from the outside, and it is easy to manufacture an integrated circuit or a custom semiconductor by using only a digital device. In addition to having a large jitter tolerance, high speed operation is effectiv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70014928A KR900007676B1 (en) | 1987-12-24 | 1987-12-24 | Circuit for retiming digital data and pulses automatical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70014928A KR900007676B1 (en) | 1987-12-24 | 1987-12-24 | Circuit for retiming digital data and pulses automaticall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11266A KR890011266A (en) | 1989-08-14 |
KR900007676B1 true KR900007676B1 (en) | 1990-10-18 |
Family
ID=19267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70014928A KR900007676B1 (en) | 1987-12-24 | 1987-12-24 | Circuit for retiming digital data and pulses automatical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0000767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66970B1 (en) * | 1994-03-07 | 2000-09-15 | 김영환 | Error detector of timing phase |
-
1987
- 1987-12-24 KR KR1019870014928A patent/KR90000767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11266A (en) | 1989-08-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03031B2 (en) | Low jitter clock recovery circuit | |
US4789996A (en) | Center frequency high resolution digital phase-lock loop circuit | |
US4604582A (en) | Digital phase correlator | |
US606950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digital delay locked loop circuits | |
US4847870A (en) | High resolution digital phase-lock loop circuit | |
EP0317159B1 (en) | Clock recovery arrangement | |
US5457718A (en) | Compact phase recovery scheme using digital circuits | |
JPS60227541A (en) | Digital phase locked loop type decoder | |
US7170964B2 (en) | Transition insensitive timing recovery method and apparatus | |
JPH04313917A (en) | Double pll device | |
US6577694B1 (en) | Binary self-correcting phase detector for clock and data recovery | |
US5025461A (en) | Method of and circuit arrangement for recovering a bit clock from a received digital communication signal | |
US6389090B2 (en) | Digital clock/data signal recovery method and apparatus | |
US6801066B2 (en) | Apparatus for generating quadrature phase signals and data recovery circuit using the same | |
US4686482A (en) | Clock signal arrangement for regenerating a clock signal | |
US686813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a clock signal from an asynchronous data signal | |
KR900007676B1 (en) | Circuit for retiming digital data and pulses automatically | |
US7382163B2 (en) | Phase frequency detector used in digital PLL system | |
JP2702257B2 (en) | Bit phase synchronization circuit | |
JP2015100017A (en) | Phase comparison circuit and clock data recovery circuit | |
US4818894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high frequency resolution of a low frequency signal | |
KR100223027B1 (en) | Phase detector | |
WO1996021296A1 (en) | Data recovery circuit | |
KR900007675B1 (en) | Digital Data Phase Adjuster | |
JP3131172B2 (en) | Bit synchronization circu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712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712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198802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0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00917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101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10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10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310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609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706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8092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809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