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675B1 - Digital Data Phase Adjuster - Google Patents
Digital Data Phase Adjus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00007675B1 KR900007675B1 KR1019870014847A KR870014847A KR900007675B1 KR 900007675 B1 KR900007675 B1 KR 900007675B1 KR 1019870014847 A KR1019870014847 A KR 1019870014847A KR 870014847 A KR870014847 A KR 870014847A KR 900007675 B1 KR900007675 B1 KR 9000076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output
- transition
- input
-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16—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correction of synchronization errors
- H04L7/0033—Correction by dela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04L7/041—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using special codes as synchronising signal
- H04L7/042—Detectors therefor, e.g. correlators, state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의 천이검출기의 회로도.2 is a circuit diagram of a transition det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의 천이검출기의 입 출력 상태를 나타낸 파형도.3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the input and output states of the transition det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발명의 천이검출기와 천이신호 지연라인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4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nsition detector and a transition signal delay 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본 발명의 천이검출신호의 위상관계를 나타낸 회로도.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hase relationship of a transition detection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본 발명의 데이타와 지연라인의 회로도.6 is a circuit diagram of a data and delay 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본 발명의 데이타와 천이검출신호와의 위상관계를 나타낸 파형도.7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the phase relationship between the data and the transition detection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제8도는 본 발명의 데이타 지연신호의 위상관계를 나타낸 회로도.8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hase relationship of a data delay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제9도는 본 발명의 천이신호 지연라인 및 데이타 지연라인과 2중 4 : 1 선택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nsition signal delay line and a data delay line and a dual 4: 1 se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0도는 본 발명의 2중 4 : 1 선택기의 입력신호의 위상관계를 나타낸 파형도.10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the phase relationship between input signals of a double 4: 1 se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1도는 본 발명의 2중 4 : 1 선택기의 출력신호의 위상관계를 나타낸 파형도.11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the phase relationship of the output signal of the double 4: 1 se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2도는 본 발명의 위상검출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hase det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3도는 본 발명의 위상검출기가 정상동작할 때의 입·출력 상태를 나타낸 파형도.Fig. 13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input and output states when the phase det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normally.
제14도는 본 발명의 위상검출기의 입·출력 파형의 위상이 기준클럭에 대해 오른쪽으로 이동한 경우의 파형도.14 is a waveform diagram when the phase of the input / output waveform of the phase det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ifted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clock.
제15도는 본 발명의 위상검출기의 입·출력파형의 위상이 기준클럭에 대해 왼쪽으로 이동한 경우의 파형도.Fig. 15 is a waveform diagram when the phase of the input / output waveform of the phase det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ifted to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clock.
제16도는 본 발명의 계수기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16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u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7도는 본 발명의 계수기에서 계수가 감소된 경우에 데이타를 보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파형도.17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data is corrected when a coefficient is reduced in the cou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8도는 본 발명의 데이타 재생부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18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ata reproducing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9도는 본 발명의 데이타 재생부의 입·출력 상태를 나타낸 파형도.Fig. 19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input and output states of the data reproducing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표 1은 본 발명의 천이검출기의 논리표.Table 1 is a logical table of the transition det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표 2은 본 발명의 2중 4 :1 선택기의 논리표.Table 2 is a logical table of the double 4: 1 se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천이검출기 2 : 천이신호지연라인1: Transition Detector 2: Transition Signal Delay Line
3 : 데이타지연라인 4 : 2중 4 : 1선택기3: Data delay line 4: 2 4: 1 selector
5 : 위상검출기 6 : 계수기5: phase detector 6: counter
7 : 데이타 재생부7: data reproducing unit
본 발명은 데이타 위상조절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틀 소자만 이용하여 아날로그소자를 이용한 기존의 동기방식에 비해 클럭과 데이타의 동기를 쉽게 맞추고 데이타를 재생시키도록 한 디지틀 데이타 위상조절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데이타 위상절기는 중계기나 교환기의 스위칭네트워크에 디지틀 신호처리를 할 때 기준클럭에대해 상대적인 임의의 위상관계를 가지고 입력되는 데이타의 위상을 기준클럭에 대해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수 있도록(동기 되었다고 함)데이타의 위상을 조절함으로써 클럭이 데이타의 위상중심에서 데이타를 재생하도록 한 것임을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In general, the data phase season is always synchronized with the reference clock when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switching network of the repeater or the exchange. It is a known fact that the clock causes data to be regenerated at the center of the data by adjusting the phase of the data.
종래에는 중계기나 교환기의 스위칭네트워크에서 클럭이 데이타의 천이부분에서 데이타를 인출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항상 데이타의 중심에서 인출하도록 데이타의 위상을 조절함으로써 오류데이타의 발생을 막고 데이타의 좌,우흔들림을 제거하여 정상적인 데이타를 재생하기 위한 데이타를 데이타 위상조절기를 아날로그소자만을 이용하여 구성하였었다.Conventionally, in the switching network of a repeater or an exchange, the clock prevents the data from being fetched at the transition part of the data, and the phase of the data is adjusted so that the data is always fetched from the center of the data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error data and to prevent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data. The data phase adjuster was constructed using only an analog device to remove and reproduce normal data.
그러므로 전압제어발진기(VCO) 또는 루프필터(Loop Filter)등과 같은 아날로그 소자를 이용한 위상동기루프(PLL)인 종래의 데이타 위상조절기에 의하여서는 그 제작이 복잡하고 집적화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data phase regulator, which is a phase locked loop (PLL) using an analog device such as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or a loop filter, has a problem in that its manufacture is complicated and not easy to integrate.
이에따라 본 발명은 제작이 용이하고 동기화가 간단히 이루어지도록 한 디지틀 데이타 위상조절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data phase adjuster that is easy to manufacture and simple to synchronize.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기술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외부로 부터 입력데이타(IC)를 입력받아 데이타의 천이 순간, 즉 Low에서 High 또는 High에서 Low로변화하는 순간을 검출하여 일정한 폭을 갖는 구형파를 출력하는 천이검출기(Trandtion Detector)(1)와, 천이검출기(1)로 부터 입력되는 천이검출신호(T0)와 이를 일정한 시간 만큼씩의 지연시간을 갖도록 한 천이출력신호(T1),(T2),(T3)를 출력하는 천이신호 지연라인(2)과 외부로 부터의 입력데이타(ID)가 지연회로(K)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타신호(D0)와 이를 일정한 시간만큼씩의 지연시간을 갖도록한 출력신호(D1),(D2),(D3)를 출력하는 데이타 지연라인(3)와, 천이신호 지연라인(2)의 천이신호(T0)∼(T3) 및 데이타 지연라인(3)의 데이타신호(D1)∼(D3)가 입력되며 개수기(6)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천이 및 데이타신호중 하나씩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2중 4 : 1 선택기(Dual 4 : 1 Selector)(4)와, 2중 4 : 1 선택기(4)로 부터의 천이신호(T0)∼(T3)중 하나가 입력되며 기준클럭(CK+) 및 반전클럭(CK-)을 이용하여 샘플링하여 계수기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위상검출기(Phase Detector) (5)와, 위상검출기(5)로 부터의 계수기 제어신호에 따라 2진 출력을 가감하면서 제어신호를 2중 4 : 1 선택기(4)로 출력하는 계수기(Counter)(6)와,2중 4 : 1선택기(4)로 부터의 데이타신호(D0)∼(D3) 중 하나가 입력되며 지연회로(a)를 경유한 기준클럭(CK+) 및 반전클릭(K-)을 이용하여 샘플링하여 기준클럭(CK+)에 동기된 출력데이타(0D)를 출력시키는 데이타 재생부(Data Regeneration)(7)들로 구성한 것이다.Transition detector (1) which receives input data (IC) from the outside and detects the moment of data transition, that is, the moment of change from low to high or high to low, and outputs a square wave having a constant width, Transition
제2도는 천이검출기(1)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외부로 부터의 입력데이타(ID)가 지연회로(D)를 거치거나 직접 배타적 논리합게이트(EXOR1)의 양측으로 입력되도록 하여 출력단에서 천이검출신호(T0)가 출력되도록 한 것이다.FIG. 2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그러므로 제3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일정주기동안(t1∼t2)인 폭(W)만큼 LOW의 값을 갖는 입력 데이타(ID)가 지연회로(D)를 거친것(X1)과 직접 입력되는 것(X2)과는 지연회로(D)에서의 지연시간(α)만큼의 위상차가 있게 되고, 상기의 두신호(X1),(X2)가 입력되는 배타적 논리합게이트(EXOR1)는 표 1(논리표)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입력되는 1의 값(High)이 홀수개일때 1의 값(High)이 출력되므로 배타적 논리합게이트(exor1)의 출력인 천이검출신호(T0)는 지연회로(D)에 의해 지연되는 동안, 즉 t1 부터 t1+α의 사이와t2 부터 t2+α의 사이에서만 High 값을 갖는 구형파로 출력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3, input data ID having a value of LOW for a width W, which is a predetermined period (t1 to t2), is directly input through the delay circuit D (X1). There is a phase difference from (X2) by the delay time α in the delay circuit D, and the exclusive logic sum gate EXOR1 to which the two signals X1 and X2 are input is shown in Table 1 (logical table). As shown in Fig. 2), when the
여기서 지연시간(α)은 입력데이타(ID)의 폭(W)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The delay time α can be arbitrarily set according to the width W of the input data ID.
제4도는 천이검출기(1)와 천이신호 지연라인(2)과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천이검출기(1)의 배타적 논리합게이트(EXOR1)의 출력인 천이검출신호(T0)가 지연회로(a1)에 의해 지연된 천이출력신호(T1)와, 다시 지연회로(a2)에 의해 지연된 천이출력신호(T2) 및 다시 지연회로(a3)에 의해 지연된 천이출력신호(T3)가 천이검출신호(T0)와 함께 2중 4 : 1 선택기(4)로 출력되도록 한 것이다4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그러므로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로 부터의 입력데이타(ID)가 천이검출기(1)를 경유한 천이검출기신호(T0)는 천이시각(t1),(t2)부터 지연시간(α)만큼의 폭을 갖는 구형파가 되고, 상기 천이검출신호(T0)가 지연회로(a1),(a2),(a3)에 의해 순차적으로 지연시간(a),(2a),(3a)만큼 지연된 천이출력신호(T1),(T2),(T3)는 각각 천이검출신호(T0)가 지연시간(a),(2a),(3a)만큼 씩 지연된 구형파로서 상기의 천이검출신호(T0)와 천이출력신호 (T1),(T2),(T3)는 2중 4 : 1 선택기(4)로 출력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transition detector signal T0 through which the input data ID from the outside passes through the
여기서 지연기간(a)온 데이타의 폭(W)의 1/4에 해당하는 값으로 설정하고 지연시간 (α)은 지연시간(a)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한다.Here, the delay period (a) is set to a value corresponding to 1/4 of the width (W) of the data, and the delay time (α) is set to a value smaller than the delay time (a).
제6도는 데이타 지연회로(3)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입력데이타(ID)가 지연회로(K)를 거치면서 지연시간(K)만큼 지연된 데이타신호(D0)와, 데이타신호(D0) 가 지연회로(a4)에 의해 지연시간(a)만큼 지연된 데이타 출력신호(D1)와, 데이타출력신호(D1)가 지연회로(D5)에 의해 다시 지연시간(a)만큼지연된 데이타 출력신호(D2) 및 데이타출력신호(D2)가 지연회로(D6)에 의해 다시 지연시간(a)만큼지연된 데이타출력신호(D3)가 모두 2중 4 : 1 선택기(4)로 출력되도록 한 것이다.6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그러므로 외부로 부터의 입력데이타(ID)가 지연회로(K)에 의해 지연시간(K=α/2)만큼지연된 데이타신호(D0)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천이검출기(1)의 출력인 천이 검출신호(T0)의 High 값의 폭(α)의 중간에서 천이순간을 갖게 된다.Therefore, the data signal D0 whose input data ID from the outside has been delayed by the delay circuit K by the delay time K = α / 2 is outputted from the
그리고, 제8도에 도시한 것과같이 입력데이타(ID)보다 지연시간(K)만큼 지연된 데이타신호(D0)와, 지연회로(a4),(a5),(a6)에 의해 입력데이타(ID)보다 (K+a),(K+a2),(K+3a)만큼 각각 지연된 데이타 출력신호(D1),(D2),(D3)는 2중 4 : 1 선택기(4)로 출력된다. 제9도는 2중 4 : 1 선택기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천이검출신호(T0)와 함께 지연회로(a1),(a2),(a3)에 의해 순차적으로 지연된 천이 출력신호(T1),(T2),(T3)가 입력단(Ti0),(Ti1),(Ti3)으로 입력되는 4 : 1 천이신호선택부(4a)와, 데이타신호(D0)와 함께 지연회로(a4),(a5),(a6)에 의해 순차적으로 지연된 데이타출력신호(D1),(D2),(D3)가 입력단(D10),(D11),(D12),(D13)으로 입력되는 4 : 1 데이타 선택부(4b)로 이루어진 2중 4 : 1 선택기(4)는 계수기(6)로 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S0),(S1)에 의해 4 : 1 천이신호선택부(4a)와, 4 : 1 데이타 선택부(4b)로 입력되는 4개의신호(T0),(T1),(T2).(T4)와 (D0),(D1),(D2),(D3)중 하나씩을 출력단(Zt),(Zd)을 통하여 출력하도록 한것이다.Then, as shown in FIG. 8, the data signal D0 delayed by the delay time K from the input data ID, and the input data ID by the delay circuits a4, a5, and a6. The data output signals D1, D2, and D3 delayed by (K + a), (K + a2), and (K + 3a), respectively, are output to the dual 4: 1 selector (4). 9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dual 4: 1 selector, which is sequentially delayed by the delay circuits a1, a2, and a3 together with the transition detection signal T0. ), (T3) is input to the input terminals Ti0, (Ti1), (Ti3) and the delay circuits a4, a5, together with the 4: 1
그러므로 2중 4 : 1 선택기(4)의 4 : 1 천이신호선택부(4a)와 4 : 1 데이타 선택부(4b)로 각각 입력되는 천이신호(T0),(T1),(T2),(T3)와 데이타신호(D0),(D1),(D2),(D3)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력데이타(1D)가 지연시간(K)만큼 지연된 데이타신호(D0)와 지연시간(α)만큼의 폭을 갖는 구형파인 천이검출신호(T0)에서 각각 지연시간(a),(2a),(3a)만큼씩 지연된 데이타 출력신호(D1),(D2),(D3)와 천이출력신호(T1),(T2),(T3)이므로 항상 같은 위상관계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4 : 1 천이신호선택부(4a)와 데이타선택부(4b)가 공통으로 입력되는 제어신호(S0),(S1)에 의해 동일한 동작 특성을 갖게 된다. 또한 2진 카운터인 계수기(6)로 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S0),(S1)는 표 2의 논리표에 나타난 바와같이 제어신호(S0),(S1)가 (OQ), (01),(1.0),(1.1)로 입력됨에 따라 2중 4 : 1 선택기(4)의 두 출력단(Zt),(Zd)에서는 천이검출신호(T0)와 데이타신호(D0), 천이출력신호(T1)와 데이타 출력신호(D1), 천이출력신호(T2)와 데이타 출력신호(D2), 천이출력신호(T3)와 데이타 출력신호(D3)가 각각 출력되면서 제11도에 도시한 것과같이 천이신호(Tx)가 High 값을 갖는 폭(α)의 중간 지점에서 데이타신호(Dx)의 천이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X는 0.1.2.3이다)Therefore, the transition signals (T0), (T1), (T2), and (4) input to the 4: 1
제12도는 위상검출기(5)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2중 4 : 1 선택기(4)의 4 : 1 천이신호선택부(4a)의 출력단(Zt)과 입력단(D1),(D2)이 연결된 두 플립플롭(FF1),(FF2)의 클럭단자(CP1),(CP2)에는 기준클럭(CK+)과 반전클럭(CK-)이 각각 입력되도록 하여 상기 두 플립프롭(FF1),(FF2)의 출력단(Q1),(Q2)에서 계수기 제어신호(QL),(QR)가 각각 출력되도록 한 것이다.12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그러므로 위상검출기(5)가 정상적으로 동작할때에는 제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준클럭(CK+)과 반전클럭(CK-)이 모두 천이신호(Tx)(여기서 X는 0.1.2.3)의 보호영역에 의치하는 위상관계를 유지하게 되고,이에 따라 위상검출기(5)의 두 플립플롭(FF1),(FF2)의 출력인 계수기 제어신호(QL),(QR)의 값(①,②)은항상 같은 값(여기서는 LOW)을 갖게 된다.Therefore, when the
따라서 후술되는 데이타 재생부(7)의 출력을 재생하는 지연클럭(CKm)이 2중 4 : 1 선택부(4)의 출력단(Zd)에서 출력되는 데이타신호(Dx)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위상을 가지므로 오류없이 데이타 재생부(7)에서출력데이타(0D)를 출력할 수 있으며, 계수기 제어신호(QL),(QR)의 값이 변하지 않으므로 2중 4 : 1 출력기(4)의 출력단(Zt)(Zd)에서는 현재의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Therefore, the delay clock CKm for reproducing the output of the
그리고 파형의 크기가 시각축으로 변조되어 신호가 좌 우로 흔들리는 지터(Jiter)성분에 의하여 위상관계가 벗어나면 2중 4 : 1 선택기(4)의 출력인 천이신호(Tx) 및 데이타신호(Dx)가 기준클럭(ck+)에 대해 상대적으로 오른쪽으로 이동하거나 (제14도의 파형도), 왼쪽으로 이동하여 (제15도의 파형도) 기준클럭(CK+)또는 반전클럭(CK-)이 좌·우의 경계영역(α)에 위치하게 된다.If the phase is out of phase relation by the jitter component in which the magnitude of the waveform is modulated on the visual axis and the signal shakes left and right, the transition signal Tx and the data signal Dx, which are outputs of the double 4: 1
이러한 위상관계에서는 위상검출기(5)의 기준클럭(CK+)과 반전클럭(CK-)을 이용하여 4 : 1 천이신호선택부(4a)의 출력이 천이신호(Tx)를 선택할 경우에, 오른쪽으로 이동한 제14도의 경우는 기준클럭(CK+)에 의한 샘플링 값이 High 반전클럭(CK-)에 의한 샘플링 값이 LOW가 되고, 왼쪽으로 이동한 제15도의경우는 기준클럭(CK+)에 의한 샘플링 값이 LOW, 반전클럭(CK-)에 의한 샘플링 값이 High가 되어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In this phase relationship, when the output of the 4: 1 transition
따라서 천이신호(Tx)의 지연시간(α)의 값은 기준클럭(CK+) 또는 반전클럭(CK-)이 4 : 1 데이타 선택부(4b)의 출력인 데이타신호(Dx)의 천이지점에 근접하는 경계영역을 표시하며 지연클럭(CKm)이 데이타신호(Dx)의 중심(d=2a)으로 부터 이동할 수 있는 좌.우편차(최대 d=2a-k, k=α/2)를 결정하는 변수로써데이타의 전송속도(1/w, w=4a)와 데이타의 허용지티를 고려하여 결정하게 된다.Therefore, the value of the delay time α of the transition signal Tx is close to the transition point of the data signal Dx of which the reference clock CK + or the inverted clock CK- is the output of the 4: 1
그러므로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른쪽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지연클럭(CKm)이 데이타신호(Dx)의 천이부근에서 샘플링하게 되고 이에 따라 데이타신호(Dx)의 혼들림 현상으로 인하여 지연클럭(CKm)이 오류데이타를 발생할 확룰이 높아 지므로, 지연클럭(CKm)이 데이타신호(Dx)의 천이지점에서 보다 안정된거리(d)를 유지하기 위하여 데이타신호(Dx) 및 천이신호(Tx)가 왼쪽으로 이동하여야 하며, 이는 2중 4 : 1선택기(4)의 출력인 데이타신호(Dx)가 입력단(D1x-1)의 값으로, 천이신호(Tx)도 입력단(T1x-1)의 값으로 변경되어야 하기 때문에 계수기(6)의 출력인 제어신호(S0),(S1)가 감소되도록 계수기 제어신호(QL)를High로 출력시킨다.Therefore, in the case of moving to the right as shown in FIG. 14, the delay clock CKm is sampled near the transition of the data signal Dx. Accordingly, the delay clock CKm is caused by the confusion of the data signal Dx. Since the probability of generating error data increases, the data signal Dx and the transition signal Tx are shifted to the left in order to keep the delay clock CKm more stable at the transition point of the data signal Dx. The data signal Dx, which is the output of the 4: 1
그리고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왼쪽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제14도의 경우와 반대로 데이타신호(Dx)가입력단(D1x+l)의 값으로, 천이신호(Tx)도 입력단(Tix+1)의 값으로 변졍되어야 하므로 계수기 제어신호(OR)를 High로 출력시킨다.In the case of moving to the left as shown in FIG. 15, the data signal Dx is the value of the input terminal D1x + l, and the transition signal Tx is the same as that of FIG. Since it needs to be converted to a value, the counter control signal (OR) is output high.
제16도는 계수기(6)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카운터(6a)의 다운단자(DOWN)와 업단자(UP)로 각각 입력되는 계수기 제어신호(QL),(OR)가 배타적 논리합게이트(EXOR2)를 경유하여 클럭단자(CP)로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카운터(6a)의 출력단(P0),(P1)에서 제어신호(S0),(S1)가 출력되도록 한 것이다.16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counter 6, in which the counter control signals QL and OR respectively input to the down terminal DOWN and the up terminal UP of the counter 6a are exclusive logical sum gates EXOR2. The control signals S0 and S1 are outputted from the output terminals P0 and P1 of the counter 6a by being applied to the clock terminal CP via.
그러므로 카운터(6a)의 다운단자(DOWN)로 계수기 제어신호(QL)가 High로 입력되면서 업단자(UP)로계수기 제어신호(QR)로 LOW로 입력되면 두 계수기 제어신호(QL),(QR)가 배타적 논리합게이트(EXOR2)를 거치면서 High로 클럭단자(CP)에 인가되어 카운터(6a)의 출력단(P0),(P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S0),(S1)가 감소된 상태로 출력하는 한편, 반대로 두 계수기 제어신호(QL),(QR)가 각각 LOW와 High의 값으로 인가되면 카운더(6a)의 출력단에서는 제어신호(S0),(S1)를 증가된 상태로 출력한다.Therefore, when the counter control signal QL is input high to the down terminal DOWN of the counter 6a and the counter control signal QR is input low to the up terminal UP, the two counter control signals QL and QR are inputted. ) Is applied to the clock terminal CP at high while passing through the exclusive OR gate EXOR2, and the control signals S0 and S1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s P0 and P1 of the counter 6a are reduc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two counter control signals QL and QR are applied to the values LOW and High, respectively, the output of the counter 6a outputs the control signals S0 and S1 in an increased state. do.
제17도는 제14도에 도시한 것과같이 오른쪽으로 이동한 상태를 보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데이타신호(Dx)의 천이지점과 천이신호(Tx)의 경계영역(α)에 기준클럭(CK+)와 반전클럭(CK-)이 위치하게 되면 위상검출기(5)로 부터 계수기 제어신호(QL),(QR)이 각각 High와 LOW로 입력되면서 출력단자(CP)로도 High가 입력되므로 제어신호(S0),(S1)가 감소된 상태로 2중 4 : 1 선택기(4)로 출력되어 바로전의 입력단(Dix-1)(T1x-l)으로 입력되는 데이타신호(DX-1)와 천이신호(TX-1)가 2중 4 : 1 선택기(4)에서 출력되도록 하여 기준클럭(CK+)와 반전클럭(CK-)이 천이신호(TX-1)의 보호영역에 위치하는 정상상태가 되도록 한다.FIG. 17 shows a process of correcting the state shifted to the right as shown in FIG. 14. The reference clock CK + is applied to the transition point of the data signal Dx and the boundary region α of the transition signal Tx. When the inverted clock CK- is positioned, the counter control signals QL and QR are input from the
제18도는 데이타 재생부(7)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2중 4 : 1 선택기(4)의 4 : 1 데이타 선택부(4b)의 출력단(Zd)과 입력단(D3)이 연결된 플립플롭(FF3)의 클럭단자(CP3)에는 기준클럭(CK+)이 지연회로(a)에 의해 지연시간(a)만큼 지연된 지연클럭(CKm)이 입력되도록 하고, 플립플릅(FF3)의 출력단(Q3)과 입력단(D4)이 연결된 플립플롭(FF4)의 클럭단자(CP4)에는 반전클럭(CK-)이 입력되도록 하고, 플립플롭(FF4)의 출력단(Q4)과 입력단(D5)이 연결된 플립플롭(FF5)의 클럭단자(CP6)에는 기준클럭(CK+)이 입력되도록 하여 이의 출력단(Q5)에서 출력데이다(0D)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한 것이다.18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그러므로 데이타 재생부(7)에는 제1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데이타 선택부(4b)에서 출력되는 데이타신호(DX)를 지연출력(DKm)의 상승에지에서 천이되도록 한 파형이 플립플롭(FF3)의 출력단(Q3)에서 출력되고, 다시 플립플롭(FF4)에서 반전클럭(CK-)의 상숭에지에서 천이되도록 한 파형이 플립플롭(FF5)의 출력단(4)에서 출력되도록 한후, 다시 플립플롭(FF5)의 기준클럭(CK+)의 상승에지에서 천이되도록 한 출력데이타(0D)가 출력단(Q5)에서 출력되도록 하여 기준클럭(CK+)에 동기된 출력데이타(0D)가 동기신호로출력되도록 한다.Therefore, in the
그리고 여기서 반전클럭(CK-)을 이용하여 샘플링함으로써 기준클럭(CK+)의 셋업(Set-Up)시간을 보충하도록 하면서 기준클럭(CK+)에 완전하게 동기된 출력데이타(0D)가 출력되도록 한 것이다.In this case, by using the inverted clock CK- to compensate for the set-up time of the reference clock CK +, the output data 0D perfectly synchronized to the reference clock CK + is output. .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70014847A KR900007675B1 (en) | 1987-12-23 | 1987-12-23 | Digital Data Phase Adjus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70014847A KR900007675B1 (en) | 1987-12-23 | 1987-12-23 | Digital Data Phase Adjus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11265A KR890011265A (en) | 1989-08-14 |
KR900007675B1 true KR900007675B1 (en) | 1990-10-18 |
Family
ID=19267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70014847A Expired KR900007675B1 (en) | 1987-12-23 | 1987-12-23 | Digital Data Phase Adjus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00007675B1 (en) |
-
1987
- 1987-12-23 KR KR1019870014847A patent/KR900007675B1/en not_active Expir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11265A (en) | 1989-08-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140042B1 (en) | Digital phase lock loop circuit | |
US4215430A (en) | Fast synchronization circuit for phase locked looped decoder | |
JPH04313917A (en) | Double pll device | |
KR900001593B1 (en) | Digital signal reproducing circuit | |
US5272730A (en) | Digital phase-locked loop filter | |
US4831338A (en) | Synchronizing clock signal generator | |
US4686482A (en) | Clock signal arrangement for regenerating a clock signal | |
KR900007675B1 (en) | Digital Data Phase Adjuster | |
JP2550985B2 (en) | CMI code decoder | |
KR880000676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phase of input signal and output signal of oscillator | |
US4628519A (en) | Digital phase-locked loop circuit | |
JP2702257B2 (en) | Bit phase synchronization circuit | |
KR900007676B1 (en) | Circuit for retiming digital data and pulses automatically | |
JP2982138B2 (en) | Bit phase synchronization circuit | |
JP2959511B2 (en) | Data strobe device | |
JPS6037665B2 (en) | Phase synchronization method | |
JPH03216025A (en) | Parallel/serial converter | |
JP2636349B2 (en) | Phase control circuit | |
KR0172459B1 (en) | Clock playback method and device | |
JPS63122066A (en) | clock synchronization circuit | |
JPS61225927A (en) | Phase comparator of digital logic pll circuit | |
JP2754577B2 (en) | Clock regeneration circuit | |
JPH07201137A (en) | Lock detection method and lock detector for phase locked loop | |
JPS6382128A (en) | Phase locked loop circuit | |
JPS61227271A (en) | Data strobe circu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8092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1999101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91019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