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297B1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achine having a movable member and a fixed member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achine having a movable member and a fixed memb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00006297B1 KR900006297B1 KR1019860006466A KR860006466A KR900006297B1 KR 900006297 B1 KR900006297 B1 KR 900006297B1 KR 1019860006466 A KR1019860006466 A KR 1019860006466A KR 860006466 A KR860006466 A KR 860006466A KR 900006297 B1 KR900006297 B1 KR 9000062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d
- movable member
- speed
- signal
- nozz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512 die cas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claims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0088 plas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사출성형기와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a control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제2도는 제1도에 보인 사출성형기의 상세한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단면 측면도,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injection molding machine shown in FIG.
제3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나타내기에 유용한 노즐의 작동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도,3 is a graphical representation of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nozzle useful for demon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제4도는 제1도에 보여진 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륵다이아그램도,4 is a bla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system shown in FIG.
제5도는 제4도에 보여진 제어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는 흐름도,5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system shown in FIG.
제6a도는 특별한 경우에 있어서 사용하기 위한 흐름도,6a is a flow chart for use in a special case,
제6b도는 일반적인 경우에 있어 사용되는 흐름도.Figure 6b is a flow chart used in the general cas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Sf : 현 위치신호 Sn : 목표거리신호Sf: Current position signal Sn: Target distance signal
Si : 거리신호 Vn : 감속정보Si: Distance signal Vn: Deceleration information
Vd : Sn=Sf인 경우의 발생신호 30C : 가동금형Vd: Generated signal when Sn =
30B : 고정금형 I : 스크류30B: Fixed mold I: Screw
5 : 주입노즐 7 : 제2구동수단5: injection nozzle 7: second driving means
13 : 제1구동수단 14 : 위치감지수단13: first driving means 14: position detecting means
15 : 제어기 51 : Si신호발생기15
54 : 차감기 55 : 비교기54: Subtractor 55: Comparator
56 : 감속정보발생기56: deceleration information generator
본 발명은 가동 및 고정부재를 가지는 기계의 가동부재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사출성형기나 다이캐스팅 기계에서 가동부재가 고정부재를 향하여 전진하는 경우나 사출노즐이 고정금형(mold)을 향하여 전진하는 경우에 고속에서 충격없이 접촉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를 예로하여 설명되어질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vable member of a machine having a movable and stationary member, and more particularly, in a case where the movable member is advanced toward the stationary member in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or a die casting machine or the injection nozzle is fix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ntacting without impact at high speed when advancing toward the back sid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s an example.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사출성형기의 기본적인 구성도이다. 제2도에서 전기모터(7)과 (13)은 케이스(10)에 부착되어 있어서 모터(7)는 수지를 사출, 충전 및 계량하며 모터(13)는 금형을 고정하거나 노즐을 전진시킨다. 기어(41)과 기어(42)는 모터(13)의 축(13A)위에 장착되어 있는 한편, 기어(43)과 (44)는 모터(7)의 축(7A)에 장착되어 있고, 이 (41) 내지 (44)의 기어의 구동력은 각각 축(7A)와 (13A)의 끝단에 부착되어 있는 클러치 기구(45,46)의 작동에 의하여 단속된다. 운동 전달축(47A)와 (48A)는 클러치기구(47,48)의 작동에 의하여 구동력이 단속되는 케이싱(40)에 의하여 축수(journal)된다. 기어(49)와 (50)은 축(47A)에 장착되어 있고 기어(51)과 (52)는 축(48A)에 장착되어 있다.2 is a basic configuration of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FIG. 2, the
내부공동(cavity)을 가지는 금형(30)을 구성하는 가동금형(30C,제1도)을 이동시키는 구동축(30A)은 케이싱(40)에 의해 축수되고 있다. 케이싱(40)내부에, 축(30A)의 일단에 있는 클러치 기구(901)에 의하여 구동력이 단속되는 기어(32) 내지 (34)가 축(30A)에 장착되어 있다. 가동금형(30C)을 고정금형(30B)에 따라 왕복시킴으로써 금형을 개폐시키기 위해 금형지지부재(39)를 가이드 로드(guide rod)(38A,38B)에 따라 활주시키는 작동축(38)을 기어(37)를 통해 구동시키는 기어(36)가 왼쪽 케이싱(35)에 있는 구동축(30)에 장착되어 있다. 또 케이싱(40)에는 스크류(1)에 연결된 축(1A)가 있고, 이 축(1A)에는 기어(53)가 장착된다. 기어(55)는 베어링(54)를 통해 기어(53)로 지지되는 축에 장착된다. 상술한 사출성형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고정금형(30B)을 향한 가동금형(30C)의 전진, 모울드 고정압력증가를 위한 압력의 증가, 고정금형(30B)으로의 노즐전진, 사출에 의한 금형으로의 용융수지주입, 수지의 적량공급조절, 수지경화를 위한 냉각, 케이싱(40)쪽으로 노즐(5)후퇴, 압력감소 및 금형 개방, 금형에 있는 성형제품의 이탈(Ejection)등의 일련의 작동을 포함하며 반복된다. 제2도는 사출성형기의 초기상태를 나타낸다. 금형고정과 압력증가를 수행하기 위하여 기어(41) 및 (33)과 도시되어 있지 않은, 그 사이에 끼워진 기어를 통하여 구동축(30A)을구동시키기 위하여 모터(13)이 작동한다. 그리고 가동금형을 전진시키기 위하여 기어(36)과 (37)을 통하여축(38)이 구동된다.The
가동금형이 멈추고 금형이 고정되면 기어(33)에서 기어(36)으로의 구동력 전달을 멈추기 위하여 클러치(901)가 풀려진다. 동시에 클러치 기구(45,47)는 금형쪽으로 케이싱(40)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축(47A)만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접속되며, 그에 따라 고정금형(30B)쪽으로 노즐(5)이 전진한다. 가동금형(30C)을 후퇴시키기 위하여 금형고정 경우와는 반대쪽으로 모터를 회전시킴으로씨 금형이 개방되는 동안 노즐(5)은 모터(13)의 회전을 역전시킴으로써 후퇴한다. 노즐(5)이 고정금형(30B)을 향하여 전진함에 따라 스크류(1)는호퍼(3)에 담겨진 수지(4)를 사출실린더(2)에 이송시키기 위하여 회전한다. 이 사이에, 수지는 도시되지 않는 가열기에 의하여 가열되고 성형될 수 있도록 혼합되며 반죽된다. 실린더(2)에 담겨진 수지(6)의 압력때문에 스크류(1)는 화살표(N)방향으로 뒤로 밀려간다. 사출성형기는 수지의 정확한 계량을 위하여 호퍼(3)을 통하여 실린더(2)와 노즐(5)에 공기가 흡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재(39)에 고정된 가동금형(30C)과 고정금형(30B)이 모터(13)의 속도제어에 의하여 함께 고정될 때 가동금형(30C)은 고정금형(30B)으로 전진한다. 그리고, 가동금형(30C)이 고정금형(30B)에 충분히 접근함에 따라서, 제어는 압력제어상태로 전환된다. 맞물려진 이후에는 두 금형은 상호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하게 된다. 속도제어가 압력제어로 전환되는 시간이나 위치가 규정되어 있지 않으면 속도제어가 압력제어로 전환될 때 속도와 압력이 불연속하게 변한다.When the movable mold stops and the mold is fixed, the
더욱이, 고정금형이 물리기 위하여 접근하는 경우, 가동금형(30C)의 속도가 너무 클 때에는, 양 금형은 단단한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커다란 충격력에 의하여 손상을 받을수가 있다. 충격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은 양 금형이 소정의 압력하에서 완전히 접촉되는 시간 간격을 연장시킨다. 진동이 0이 되기 이전에 제동력이 가하여지는 때에는 불완전 접촉이 야기될 수도 있다. 또, 접촉시의 속도가 일정하지 않으면 금형고정력이 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노즐(5)이 금형(30)으로 진행시, 모터(13)의 속도는 속도 제어기(15)에 의하여 제어되며 제어는 가동금형(30C)이 고정금형(30B)에 충분히 접근한 때에 압력제어로 전환된다. 그러나 그러한 제어에서 속도제어가 압력제어로 전환되는 경우, 속도 제어가 압력제어로 전환되는 시간 또는 위치가 일정치 않기 때문에 속도나 압력이 변동하거나, 접촉속도가 높을 때에 노즐(5)과 금형(30)이 충격에 의하여 손상을 받든지, 접촉에 의하여 야기되는 진동에 의하여 노즐과 금형이 소정의 압력하에서 상호 접촉하기 이전까지 긴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한편, 진동의 감쇠가 완전히 끝나기 이전에 제동력이 노즐(5)에 가하여지는 경우 확실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더욱이 노즐의 속도가 일정치 않다면 금형에 대한 압력이 변동할 수도 있다.Moreover, when the stationary mold approaches for biting, when the speed of the
본 발명의 목적은 충격없이 가동부재와 고정부재를 확고하게 맞물리게 하며 고정부개를 향하여 가동부재를 고속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제어를 고정부재 및 가동부재를 가지는 기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chine and a member having a stationary member and a movable member to control the movable member and the stationary member firmly without impact and to move the movable member at high speed toward the stationary opening. To provide.
본 발명의 한 특징은, 제어된 속도로 고정부재를 향하여 가동부재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 가동부재의 감속개시와 정지사이의 기대거리와 가동부재의 실제속도 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결정되는 시기에 가동부재의 구동수단에 감속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감속정보 제공에 따라 가동부재의 고정부재에 대한 접촉시기에 가동부재의 이동속도를 0으로 줄이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기계 작동시 접촉하였다가 이탈하는 고정부재와 가동부재를 가지는 기계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ve the movable member toward the stationary member at a controlled speed, and to operate at a time determin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cted distance between the deceleration start and stop of the movable member and the actual speed of the movable member. Providing deceleration information to the driving means of the member, and reducing the moving speed of the movable member to zero at the time of contact with the stationary member of the movable member in accordance with the deceleration information provided. It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 machine having a fixed member and a movable member.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기계의 작동중에 접근하였다가 이탈하는 고정부재 및 가동부재의 구동장치로 구성되는 기계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가동부재의 현재위치와 가동부재가 실제의 0속도에서 고정부재와 접촉하게 되는 점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신호(S1)를 발생하기 위한 장치와, 가동부재의 현재위치를 나타내는 신호(Sf)를 만들기 위하여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위치감지장치와, 목표거리를 나타내는 신호(Sn)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와, 신호차이(Sn-Sf)를 얻기 위한 장치와, 신호(S1)와 신호차이(Sn-Sf)비교한 뒤 두 신호가 일치하는 경우에 신호(Vd)를 만들기 위한 비교기와, 감속정보(Vn)를 구동수단에 보내기 위한 신호(Vd)에 응답하는 감속정보 발생기로 구성되는 것이다. 제1도와 2도에 보여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A fur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rol device for a machine comprising a fixed member and a drive member of a movable member approaching and disengaging during operation of the machine, wherein the control device is configured to have a current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and a movable member at actual zero. A device for generating a signal S1 indicativ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point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stationary member at a speed, a position sensing device driven by the drive to produce a signal Sf indicative of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When a device for generating a signal Sn indicating a target distance, a device for obtaining a signal difference Sn-Sf, and a signal S1 and a signal difference Sn-Sf are compared, and then the two signals coincide And a deceleration information generator in response to the signal Vd for sending the deceleration information Vn to the driving mean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 and 2 will be described.
금형고정위치정보(Sc), 사출금형노즐 접촉위치정보(Sn), 스크류 정보(Si)가 제어기(15)에 연속적으로 가하여진다고 가정한다. 처음에, 금형고정시기에 정상속도에서 B방향으로 고정금형을 향하여 가동금형(30C)을 움직이게 계산된 속도신호(Vc)가 모터(13)의 회전은 기어(41), 기어(55), 기어(33), 구동축(30A), 기어(36), 기어(37)를 통해 축(38)에 전달되며, 따라서 가동금형(30C)은 전진한다. 상기 전진을 하는 동안, 위치감지기(14)는 주기적으로 가동금형(30C)의 위치(S)를 나타내는 피드백 신호(Sf)를 제어기(15)에 공급하기 위하여 축(38)의 축위치를 검색한다. 따라서 제어기(15)는 가동금형(30C)의 속도와 위치를 검지하게 된다.It is assumed that mold fixing position information Sc, injection mold nozzle contact position information Sn, and screw information Si are continuously applied to the controller 15. Initially, the speed signal Vc calculated to move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금형(30)을 고정한 후에, 노즐(5)이 고정금형(30B)을 향해 전진하는 경우, 정상 속도에서 노즐(5)을 전진시키기 위하여 계산된 속도신호(Vn)가 기어(41)와 기어(55)를 통하여 볼 스크류(ballscrew)(11)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에 공급된다. 또 지지부재(10)에 장착된 노즐(5)은 볼 너트(12)를 통하여 볼 스크류(11)에 의하여 구동되며 고정금형(30B)을 향해 전진한다. 이 사이에 모터(13)에 연결된 위치감지기(14)는 주기적으로 볼 너트(12)의 위치, 즉 노즐(5)의 위치를 나타내는 피드백 신호(Sf)를 제어기(15)로 보낸다. 따라서 제어기(15)는 노즐(5)의 속도와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After fixing the
노즐(5)의 전단이 고정금형(30B)을 향해 전진하면 수지가 금형에 주입된다. 이때, 스크류 위치정보(Si)에 의하여 계산된 스크류 회전신호(Ri)가 모터(M2,7)에 보내지며, 모터(7)은 스크류(1)를 회전시킨다. 호퍼(3)에서 실린더(2)로 보내진 수지(4)는 스크류(1)에 의하여 잘려져 반죽되며 이와 같이 소성된 수지(6)는 실린더(2)를 채우며 금형에 주입된다. 실린더(2)에 담겨진 수지(6)의 압력때문에, 스크류(1)는 N방향으로후퇴한다. 이때, 외부공기가 실린더(2)로 흡입되는 것이 방지되며, 정확한 양의 수지가 측정된다. 모터(7)에 연결된 회전수 감지기(8)는 제어기(15)에 스크류 회전수 피드백 신호(Rf)를 보내기 위하여 스크류(1)의회전수(n)를 검출한다.When the front end of the nozzle 5 advances toward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동금형(30C)이나 노즐(5)이 고속으로 전진하다가 가동금형(30C)이나 노즐이 고정금형(30B)과 접촉할 때 또는 바로전에 0으로 감속되어, 가동금형(30C)이나 노즐(5)이 고정금형(30B)과 저속저압으로 접촉되도록 속도제어가 수행되므로, 접촉시의 충격이 작게 되고 단시간내에 완전한 접촉이 이루어진다. 고정금형(30B)을 향하여 가동금형(30C)이나 노즐(5)을 전진시키는 작동은 공동모터(M1,13)가 단순히 클러치(901)에 접속됨에 의하여 수행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작동의 제어방법도 동일하므로 다음에 금형을 향한 노즐(5)의 전진의 제어방법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제3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네 유용한 노즐(5)의 작동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가로 좌표축은 시간 t, 세로 좌표축은 노즐(5)의 속도를 나타낸다. 시간 t0에서의 노즐속도는 V0이다. 특성곡선(LL0)에 의하여 보여지는 속도정보가 시간 대에서 시작되지만 노즐(5)의 실제속도는 속도가 시간 t3에서 0이 되는 특성곡선(LL1)에 의하여 보여지고 있다. 제3도에서 U는 감속을. wc는 속도루프이득(speed loop gain)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원리는 제3도의 작동특성에 의하여 설명될 것이다. 더욱 상세히는, 노즐속도는 값 V0를 가지도록 제어되며 상기 속도와 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검사된다. 노즐(5)이 금형(30)과 접촉하게 되는 위치와 현재위치와의 차이가, 노즐속도가 노즐이 금형(30)에 접촉하는 때에 0이 되는 현재 속도를 감속시키기에 필요한 거리와 동일하게 될 때에는, 감속이 개시된다. 더욱 상세히는, 시간 t0에서 특성(LL0)의 속도정보가 발하게 되면, 노즐(5)가 이 정보에 따라 이동하는 한, 노즐속도는 시간 t2에서 0이 된다. 그러나 노즐(5)이 관성을 가지기 때문에 실제속도는 속도가 시간 t3에서 0으로 되도록 감소되는 때에 노즐(5)가 금형(30)에 접촉할 수 있게 특성(LL1)에 의하여 보여지고 있다. 특성(LL1)의 0속도에서의 슬로프(Slope)는 감속 U의 슬로프와 동일하다. 시간 t1에서의 속도(V1)는 특정(LL2)과 일정속도(V0)를 나타내는 직선 사이에서 만나는 점(C)에서의 속도루프이득(wc)의 역수와 동일 하기 때문에, 속도(V1)은 ()가 된다.3 is a graph showing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four useful nozzles 5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abscissa axis represents time t, and the ordinate axis represents the speed of the nozzle 5. The nozzle speed at time t 0 is V 0 . Although the velocity information shown by the characteristic curve LL0 starts in the time zone, the actual speed of the nozzle 5 is shown by the characteristic curve LL1 in which the velocity becomes zero at time t 3 . In Figure 3 U decelerates. wc stands for speed loop gain. The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plained by the operating characteristic of FIG. More specifically, the nozzle speed is controlled to have a value V 0 and the speed and position are periodically checked as described abov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 where the nozzle 5 is in contact with the
따라서, 시간 t3은 (V0/u+1/wc)에 해당한다.Thus, time t 3 corresponds to (V 0 / u + 1 / wc).
노즐(5)이 금형(30)과 접촉할 때의 속도를 0으로 감속시키는데 필요한 거리가 점 A, B, C, D에 의해 둘러싸인 면적(S1)과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다음식이 성립한다. Assuming that the distance required to reduce the speed when the nozzle 5 is in contact with the
그러나 노즐(5)의 실제이동은 특성곡선(LL1)으로 나타나므로, t0에서의 위치와 속도가 거의 0이 되는 위치사이의 거리는 직선 AB, AD, 곡선(LL1)에 의하여 둘러싸인 면적(S2)와 대응하게 된다. 직선 DC, BC와 곡선(LL1)에 의해 둘러싸인 면적을 S3라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을 얻는다.However, since the actual movement of the nozzle 5 is represented by the characteristic curve LL1,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at t 0 and the position at which the velocity is almost zero is the area S 2 surrounded by the straight lines AB, AD, and the curve LL1. ). If the area surrounded by the straight lines DC, BC and the curve LL1 is S 3 , the following equation is obtained.
S2=S1-S3… (2)S 2 = S 1 -S 3 ... (2)
따라서 노즐(5)이 금형(30)과 접촉하기전의 거리가 면적(S1)에 대응하는 거리와 동일하게 될때 감속정보를 말하면 금형(30)과 노즐의 접촉이전에 노즐속도를 0으로 감속시키는 것이 언제나 가능하다. 노즐속도가 0이되는 시기까지의 시간은 속도루프이득(wc)에 의하여 결정되며, 더 큰 속도이득(wc)을 선택하면 금형(30)에 더욱 가까운 점에서 노즐속도를 0으로 하는 것이 항상 가능하다. 환언하면, 금형(30)에 가까운 점에서노즐속도가 0이 되게 감속정보를 발하게 되면, 노즐속도가 0이 되기 이전에 노즐(5)이 금형(30)과 접촉하는경우가 생길 수 있으며, 그에따라 충격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이 금형과 접촉할 때의 노즐속도를 실제로 0이 되게 줄이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노즐속도가 0이 된 후에는 속도제어로부터 압력제어로의 제어전환에 의하여 노즐은 어떤 진동이나 충격없이 금형(30)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금형고정시에 고정부재(30B)에 대한 가동부재(30C)의 전진의 제어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Therefore, when the distance before the nozzle 5 is in contact with the
모터는 DC 또는 AC모터의 어느 쪽이어도 좋으며 가동금형과 노즐을 볼 스크류와 볼 너트를 사용하여 이동시키는 대신 전기모터를 사용하여 안내부재를 따라 이동시킬 수도 있다.The motor may be either a DC or AC motor and may be moved along the guide member using an electric motor instead of moving the moving mold and nozzle using ball screws and ball nut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가동금형이 고정금형에 접촉하기 위해 접근하는 때나, 노즐이 금형(30)에 접촉하기 위하여 가까이 오는 때에, 노즐과 가동금형(30C)의 속도를 0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접촉시의 충격이나 진동의 발생이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접착력도 가동금형이나 노즐의 속도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되어, 따라서 생산시간의 감소와 균질한 제품생산이 가능하게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ozzle and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실린더에 부어진 용융금속이 피스톤에 의하여 금형에 주조된다는 점에서 사출성형기와는 다른 다이캐스트 기계에 적용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diecasting machine other than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in that molten metal poured into a cylinder is cast into a mold by a piston.
더 넓게보면,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고정부재로부터 가동부재가 전진하거나 후퇴하는 부재들을가진 어떠한 기계에도 적용될 수 있다.More broad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machine having members in which the movable member advances or retracts from the fixed member at a relatively high speed.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가 설명될 것이다. 제4도는 제1,2도에서 사용되어진 제어시스템의 세부를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제4도에서 블록(51)은 식(1)에 보인 신호(S1)를 발생시키는 발생기를 나타낸다. 신호(S1)은 각각의 검출 사이클(cycle)이나 펄스(pulse)에서 콤퓨터가 면적(S1)을 연속적으로 계산함으로써 얻어진다. 블록(14)은 제1도에서 보인 위치 감지기(14)에 해당하며, 가동금형의 현 위치를 나타내어 피드백(feed back)신호로 이용되는 신호(Sf)를 발생시킨다. 블록(53)은 목표거리(Sn)설정기이다. 제 3도에서 보인 경우에 있어 상기 목표거리(Sn)는 위치 A와 가동금형의 또는 노즐의 속도가 0으로 줄어드는시간 t3나 B사이의 거리와 일치한다. 신호(Sf)와 (Sn)은 가동금형이 이동하여야 하는 남은 거리를 나타내는 차이신호(Sn-Sf)을 얻기 위하여 차감기(54)에 보내어진다. 신호(S1)과 (Sn-Sf)는 감속신호(Vn)을 모터(13)에 보내기 위해 비교된 신호가 동일할 때 신호(Vd)를 감속정보발생기(56)에 보내는 비교기(55)에 가해진다.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used in FIGS. In FIG. 4, block 51 represents a generator that generates the signal S1 shown in equation (1). The signal S1 is obtained by the computer continuously calculating the area S1 at each detection cycle or pulse. The
제5도에 보여진 흐름도에서, 단계(101)에서 감속거리(S1)는 식(1)에 의해 콤퓨터로 계산된다. 즉, 감속작동을 위하여 요구되는 거리(S1)는 가동부재의 속도와 감속 파라미터(parameter)에 의하여 결정되어 진다. 다음, 단계(102)에서 위치 피드백 신호(Sf)가 기록되며, 단계(103)에서는 남은 거리(Sn-Sf)가 상술한바와 같이 결정된다. 단계(104)에서 S1=Sn-Sf인지를 판단하는 점검이 수행된다. 점검결과가 NO이면 프로그램은 단계(102), 단계(103)를 다시 실시하기 위하여 단계(102)로 보내어지며, YES이면 단계(105)에서모터(13)는 속도가 0이 될 때까지 감속된다. 제6a도의 특수한 경우에 있어, 단계(110)에서 가동부재속도(V)와 그의 증감분(△V)이 설정된다. 단계(111)에서 S1은 V와 △V를 사용하여 계산되고, 단계(112)에서 목표거리(Sn) 이 설정된다. 단계(113)에서, 식 P=Sn-Sf가 계산되고, 단계(114)에서 피드백 신호(Sf)가 설정된다. 그후, 단계(115)에서 P=Sf인지를 점검한다.In the flowchart shown in FIG. 5, the deceleration distance S1 in step 101 is calculated with a computer by equation (1). That is, the distance S1 required for the deceleration operation is determined by the speed and the deceleration parameter of the movable member. Next, in step 102, the position feedback signal Sf is recorded, and in
만일 그 결과가 NO이면 프로그램은 단계(114)로 보내지고 점검 결과가 YES이면 단계(116)에서 감속정보가 모터(13)에 발해진다. 제6b도에 보여진 흐름도는 일반적인 경우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며, 단계(120), (121), (122), (123), (125)에서의 작동은 각각 제6a도에서 보인 단계(110), (111), (112), (114), (116)의 작동과 동일하다. 제6b도의 흐름도는 제6a도와는 단계(124)에서 점검이 S1이 (Sn-Sf)와 동일한가 아닌가를 알기 위하여 수행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점검결과가 NO이면, 프로그램은 단계(120), (121), (122), (123)을 다시 수행하기 위하여 단계(120)으로 보내어지고 YES이면, 단계(125)에서 감속정보가 발하여진다.If the result is NO, the program is sent to step 114 and if the check result is YES, deceleration information is issued to the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60006466A KR900006297B1 (en) | 1986-08-05 | 1986-08-05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achine having a movable member and a fixed memb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60006466A KR900006297B1 (en) | 1986-08-05 | 1986-08-05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achine having a movable member and a fixed memb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02644A KR880002644A (en) | 1988-05-10 |
KR900006297B1 true KR900006297B1 (en) | 1990-08-28 |
Family
ID=19251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60006466A Expired KR900006297B1 (en) | 1986-08-05 | 1986-08-05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achine having a movable member and a fixed memb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0000629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200195A1 (en) | 2015-06-11 | 2016-12-15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Collapsible container and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same |
-
1986
- 1986-08-05 KR KR1019860006466A patent/KR900006297B1/en not_active Expir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02644A (en) | 1988-05-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723848B1 (en) | Injection apparatus for an electric injection molding machine | |
US10391553B2 (en) | Molding machine | |
EP0804324B1 (en) | Compensating for efficiency variations in electric motors | |
US6416694B1 (en) | Injection controlling method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 |
KR100467984B1 (en) |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w position in the same | |
EP0965431B1 (en) | Method for adjusting zero point for load cell in a motor-driven injection molding machine | |
KR90000629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achine having a movable member and a fixed member | |
US4240996A (en) | Process for controlling part density in fast injection molding machines | |
KR100466521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injection molding machine capable of reducing variations in weight of molded products | |
EP0253906B1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machines having movable and stationary members | |
CN8610525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aving a movable part and a stationary part | |
CA1279389C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achines having movable and stationary members | |
JP3140996B2 (en) | Injection device of electric injection molding machine | |
JP2000167875A (en) | Nozzle touch-off method and mechanism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 |
JP2000061607A (en) | Mechanism for separating formed product from di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 |
KR860000137A (en) |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 |
JP2880674B2 (en) | Injection device of electric injection molding machine | |
EP4538015A1 (en) |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method of detecting abnormality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 |
JP5226191B2 (en) | Mold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H0372453B2 (en) | ||
JP3575782B2 (en) |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its injection molding method | |
JP2548324B2 (en) | Injection molding machine plasticization control method | |
JPH0544896B2 (en) | ||
JPS61222718A (en) | Injection control of electrically operated injection unit | |
JPS6127227A (en) | Method of controlling injection mold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608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608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0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00727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11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0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0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307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407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507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607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707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807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907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007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07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80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71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71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712 Year of fee payment: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71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