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6200B1 - 형광램프 - Google Patents

형광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200B1
KR900006200B1 KR1019870005396A KR870005396A KR900006200B1 KR 900006200 B1 KR900006200 B1 KR 900006200B1 KR 1019870005396 A KR1019870005396 A KR 1019870005396A KR 870005396 A KR870005396 A KR 870005396A KR 900006200 B1 KR900006200 B1 KR 900006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fluorescent lamp
diameter
amalgam
bent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5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659A (ko
Inventor
마사히코 아사쿠라
기미오 시라이와
요이찌 핫도리
나오토시 도메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와다리 스기이찌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와다리 스기이찌로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70011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200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70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24Means for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ressure within the vessel
    • H01J61/28Means for producing, introducing, or replenishing gas or vapour during operation of the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3Special shape of cross-section, e.g. for producing cool spo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70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 H01J61/72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having a main light-emitting filling of easily vaporisable metal vapour, e.g. mercury

Landscapes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 Discharge Lamp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형광램프
제1도는 본 발명의 형광램프를 굴곡시킨 상태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의 굴곡부를 확대한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나타낸 형광램프의 한쪽 단부를 일부 절개한 정면도.
제4도 내지 제6도는 종래의 굴곡부 형광램프의 한 예인 유리전구의 굴곡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17 : 직관(直管)형 유리전구부 18 : 굴곡부
19 : 전구 본체 23 : 아말감 수납부
24 : 아말감(amalgam)
본 발명은 서로 거의 평행하게 설치된 복수의 직관형 유리전구부가 굴곡부에서 접속하여 일체로 형성된 형광램프에 관한 것이다.
서로 거의 평행하게 설치된 복수의 직관형 유리전구부가 굴곡부에서 접속하여 방전로를 형성하고 내면에 형광체 피막이 입혀진 전구 본체의 서로 나란하게 설치된 단부에 방전전극을 구비하며 전술한 단부쪽에 배기관을 설치하고 전구 본체의 단부쪽에 꼭지쇠를 설치한 형광램프가 전력을 절약하는 콤팩트한 광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형광램프는 유리전구를 U자형으로 만곡시켜 형성한 U자형으로 굽어진 곳에 접속부가 있는 것과, 직관의 유리전구를 단부에서 비교적 조금 떨어진 곳의 지관(枝管)에서 접속하여 H자형의 방전로를 형성하는 것등이 있다. 즉 종래의 유리전구 본체의 굴곡부는 직관형 유리전구부의 직경과 동일하게 U자형으로 만곡시킨 것, 또는 예를들면 제4도 내지 제6도에 나타낸 형상과 같은 것이다. 제4도 내지 제6도는 각각 종래의 굴곡형 형광램프의 유리전구를 굴곡시킨 부분의 정면도로 제4도는 굴곡부(1)를 U자형으로 만곡시킬 때 원형의 맨드릴(mandrel) 외주에 유리전구(2)를 둘러싸게 굴곡 성형시킨 것으로, 이 굴곡부(1)는 직관형 유리전구부(3)(4)의 접속부 부근에 유리전구(2)의 지름이 축소된 부분(5)과 그 중앙에 지름이 확장된 부분(7)을 지니고 있다.
전술한 지름이 확장된 부분(7)의 지름은 지름이 축소된 부분(5)이 형성될 때 증대하여 직관형 유리전구부(3)(4)의 지름보다 커지므로 전술한 지름이 확장된 부분(7)의 유리전구 안에서 바깥부분에 가까운 곳에 최냉부(最冷部)(6)가 생겨 이 최냉부(6)에서 수은 증기가 응집되어 휘도가 저하하여 휘도가 일정하지 않게 되어 전광속(全光束)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5도와 같은 구조는 직관형 유리전구부(8)(9)를 작은 지름의 지관(10)에서 접속시킨 구조로, 직관형 유리전구부(8)(9)의 꼭대기(11)(12) 근방에 최냉부(6)가 생겨서 수은 증기가 응집하여 지관(10)을 꼭대기(11)(12)에 근접시켜도 역시 평탄한 꼭대기의 구석에 수은 증기가 응집하여 휘도가 저하된다.
또한 제6도와 같은 형상인 유리전구의 형광램프(예를들면 미국특허 제4,481,442호)는 직관형 유리전구부(13)(14)의 지름(A), 이 안지름(A)과 양 직관형 유리전구부(13)(14)를 접속시키는 굴곡부(15) 중앙(16)의 지름(B), 이 굴곡부(15)의 양쪽과 양 직관형 유리전구부(13)(14)로 형성되는 코너부(17)(18)의 지름(C)중에서 코너부의 안지름이 가장 크므로 코너부(17)(18)의 바깥둘레와 가까운 곳에 최냉부가 생겨 수은 증기가 응집되어 어두운 곳을 만들며 한결같은 휘도를 얻을 수 없으므로 전광속을 저하시킨다.
또한, 굴곡부 전체가 예를들면 미국특허 제4,353,007호와 같이 동일한 직경의 형광램프일지라도 굴곡부안에서 방전전극으로부터 가장 먼 곳이 최냉부가 되므로 휘도가 균일하지 않아 광속이 저하된다. 따라서 굴곡부를 피조명 방향을 향해서 설치한 경우, 피조명부에 광량이 충분치 않게 된다. 또한 형광램프의 설치자세에 따라서 수은 증기압이 일정하지 않게 되기 쉬우므로 방전특성 즉 광특성이 일정치가 않다.
전술한 바와같이 종래의 굴곡형 형광램프는 굴곡부안에 최냉부가 생기므로 그곳에 수은 증기가 응집하여 램프 전체의 휘도가 일정하지 않으며 또한 램프의 설치 형태에 따라서도 광특성이 일정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결점을 제거하여 굴곡형 형광램프의 휘도가 일정하게 되어 전광속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 개량된 형광램프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서로 거의 평행하게 설치된 복수의 직관형 유리전구부가 U자형으로 구부러진 부분에서 접속되어 방전로를 형성하여 내면에 형광체 피막이 입혀진 전구 본체의 서로 나란하게 설치된 단부에 방전전극을 구비한 형광램프의 전구 본체의 굴곡부는 전술한 직관형 유리전구부보다 전구의 안지름이 작으며 전구 본체 안에 아말감이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굴곡형 형광램프는 전구 본체의 U자형으로 굽혀서 이루어진 굴곡부 안지름이 직관형 유리전구부의 안지름보다 작게 되며 또한 전구의 단부에 설치한 수납부 안에 인듐 등의 아말감이 수납되어 있는 구성으로 굴곡부의 안지름이 작게 되어 있으므로 굴곡부에 최냉부가 발생하지 않으며 또한 전구안에 아말감이 수납되어 있으므로 양자의 상승효과로 전구 본체의 굴곡부에 수은이 응집되지 않으며, 전구 본체가 검게되는 등의 현상도 적게 발생하여 안정된 특성의 밝은 형광램프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굴곡형 형광램프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일부 확대도, 제3도는 배기관 부분을 일부 절개한 정면도이다. 서로 거의 평행하게 두 개의 직관형 유리전구부(16)(17)가 설치되고, 이 직관형 유리전구부(16)(17)는 직관의 유리전구를 가열 완곡시켜 형성되는 굴곡부(18)에서 연결되어 전구 본체(19)를 구성하고 있다.
전술한 전구 본체(19)인 직관형 유리전구부(16)(17)의 하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방전 전극을 설치한 스템이 부착되어 밀봉되어 있으며 또한 꼭지쇠(20)가 설치되어 있다. 한쪽 스템의 일부가 제3도에 "21"로 나타나 있다. "22"는 꼭지쇠(20)의 단자 핀이다. 전구 본체(19) 꼭대기의 굴곡부(18)는 그 지름이 굴곡부(18) 양쪽에서 중앙을 향해 서서히 축소되어 있다. 그러므로 굴곡부(18)의 안지름은 전체적으로 직관형 유리전구부(16)(17)의 안지름보다 작게되어 있다.
예를들면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그 중앙의 지름(A)과, 직관형 유리전구부(16)(17)의 지름(B) 및 전술한 굴곡부(18) 중앙에 이르는 도중의 지름, 예를들면 수평면으로부터 30°각도에서의 지름(C)이 A<C<B의 관계이다. 즉 예를들면 직관형 유리전구부(16)(17)의 지름(B)이 24mm, 굴곡부(18)의 전술한 30°각도에서의 지름(C)이 22mm, 굴곡부(18) 중앙에서의 지름(A)이 20mm이다. 따라서 유리전구의 두께는 1mm로 일정하므로 각각의 부위의 안지름은 안지름(A′)이 약 18mm, 안지름(B′)이 약 22mm, 안지름(C′)이 약 20mm로, 굴곡부(18)의 안지름이 전구의 다른 곳보다 작다.
제3도는 전술한 형광램프의 전구 본체(19) 한쪽의 직관형 유리전구부(16)에 형성된 스템(21)의 플레어(flare)와 배기관(23)의 일부를 절개한 정면도이다. 또한 이 배기관(23)은 나중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아말감 수납부이다. 직관형 유리전구부(16)에 설치되어 밀봉된 스템(21)의 배기관 즉 아말감 수납부(23)안에 예를들면 인듐 아말감(24)이 수납되어 있다. 다른쪽의 직관형 유리전구부(17)의 배기관(25)은 전구 본체(19)에서 배기할 때 아말감(24)이 수납부(23)로부터 전구 본체(19)안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부위에 설치한 둑이며, "26"은 아말감 수납부(23)의 봉함단(封緘端)이다. 또한 방전전극의 근방에 보조 아말감을 설치해도 된다.
전술한 보조 아말감은 형광램프의 광속(光束)을 양호하게 발생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말감 수납부(23)안에 수납한 아말감은 인듐, 비스무트(bismuth)와 수은 0.75 내지 6중량%의 합금 또는 인듐과 비스무트와 은의 합금을 베이스로 한 아말감 등을 사용한다.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형광램프와 제6도에 나타낸 종래 구성의 형광램프로 점등 시험을 했다. 시험은 17W 형광램프를 사용하여 전구안에 인듐 아말감을 봉입하고 본 발명과 종래의 램프 100개에 정격(定格) 전압으로 점등하여 100시간 점등시킨 후에 초광속(初光束), 1000시간 점등시킨 후의 광속 유지율, 수은 증기의 응집으로 인해 전구가 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시험했다.
그 결과는 다음의 표에 나타내었다. 초광속은 본 발명을 100으로 했을 때 종래제품의 초광속이 나타낸 비율을 %로 표시하고, 전구가 검어지는 현상에 대해서는 검어지지 않은 것을 ○, 약간 검어진 것은 △, 현저하게 검어진 것을 ×로 표시했다.
[표]
Figure kpo00001
표 1에서 분명하게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굴곡형 형광램프는 종래의 램프보다 초광속이 크며 더구나 장기간 사용한 후의 광속 유지율 및 수은 응집으로 인한 검어지는 현상의 발생이 현저하게 적다. 또한, 전술한 시험은 17W 형광램프의 결과를 나타냈는데 본 발명자들은 다른 와트수의 형광램프, 유리전구의 바깥지름이 다른 것에 대해서도 시험한 결과 모두 다 본 발명품이 뛰어난 것을 확인했다.
위와 같은 결과로 본 발명의 형광램프는 초기 특성이 높으며 또한 1000시간 동안 점등한 후의 광속유지율도 높다는 것이 분명하다. 이것은 전구의 굴곡부가 직관형 유리전구부보다 가늘어서 최냉부가 생기지 않으므로 수은 증기의 응집이 적으며 전구가 검어지는 현상이 적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전구안의 소정 부분에 아말감을 수납하고 있으므로 전구안의 수은 증기압이 형광램프의 설치형태나 주위 온도에 의한 변화가 적으므로 안정된 광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지금까지의 실시예에서는 전구 본체의 직관형 유리전구부가 2개인 예를 설명했는데, 2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4개 이상 짝수의 복수일 경우에도 굴곡부가 직관형 유리전구부보다 가늘기만 하면된다. 또한 직관형 유리전구부가 거의 평행하게 되어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같이 전구 본체의 굴곡부가 직관형 유리전구부보다 전구의 안지름보다 가늘며, 전구 본체의 소정 부위에 설치한 수납부 안에 아말감이 수납되어 있는 구성의 형광램프로, 최냉부가 전구 본체의 굴곡부 안에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전구 본체의 휘도가 일정하게 되어 전광속도 저하되지 않고 수납부 안의 아밀감으로 수은 증기압이 적절하게 조절되어 램프의 설치형태를 바꾸어도 광특성이 안정되어 있는 개량된 형광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서로 거의 평행하게 설치된 복수의 직관형 유리전구부(16)(17)가 굴곡부(18)에서 접속되어 방전로를 형성하고 내면에 형광체 피막이 입혀진 전구 본체(19)가 서로 나란하게 설치된 단부에 방전전극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전술한 굴곡부(18)는 직관형 유리전구부(16)(17)보다 전구의 안지름이 작으며, 전구 본체(19)는 그 한쪽 끝 부분이 전구 본체(19)안으로 열린 수납부(23)가 있으며, 이 수납부(23)안에 아말감(24)이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굴곡부(18)는 전구의 안지름이 양단부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수납부(23)는 소정 위치에 지름이 축소된 둑(25)을 설치하고 있으며, 이 둑(25)과 봉함단 사이에 아말감(24)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KR1019870005396A 1986-05-29 1987-05-29 형광램프 Expired KR9000062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22172A JPH0746598B2 (ja) 1986-05-29 1986-05-29 蛍光ランプ
JP122172 1986-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659A KR870011659A (ko) 1987-12-24
KR900006200B1 true KR900006200B1 (ko) 1990-08-25

Family

ID=14829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5396A Expired KR900006200B1 (ko) 1986-05-29 1987-05-29 형광램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977349A (ko)
JP (1) JPH0746598B2 (ko)
KR (1) KR9000062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997B2 (ja) * 1988-12-12 1996-01-17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低圧水銀蒸気放電灯
EP0415398A3 (en) * 1989-08-31 1991-08-07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oration Ceramic electric-discharge lamp incorporating arc tube having at least two curved regions
US5186668A (en) * 1990-02-01 1993-02-16 Gte Products Corporation Negative glow discharge lamp
US5294867A (en) * 1992-03-13 1994-03-15 Gte Products Corporation Low pressure mercury vapor discharge lamp containing an amalgam
DE4215674A1 (de) * 1992-05-13 1993-11-18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Niederdruckentladungslampe
DE9207139U1 (de) * 1992-05-26 1992-07-16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8000 München Quecksilberdampf-Niederdruckentladungslampe
SE9300163L (sv) * 1993-01-20 1994-07-21 Lumalampan Ab Kompaktlysrör
TW344018B (en) * 1994-07-15 1998-11-01 Philips Electronics Nv Low-pressure mercury vapor discharge lamp
JP2002517071A (ja) * 1998-05-22 2002-06-1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低圧水銀蒸気放電ランプ
EP1054434B1 (en) * 1999-05-19 2009-10-14 Panasonic Corporation U-shaped low pressure mercury vapor discharge lam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621209B2 (en) 2000-08-29 2003-09-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luorescent lamp having a spacer between glass tubes
WO2002097858A1 (en) * 2001-05-25 2002-12-05 Advanced Lighting Technologies, Inc. Materials and methods for mercury vapor pressure control in discharge devices
FR2845487B1 (fr) * 2002-10-08 2005-06-10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Systeme de collecte de lumiere, amplificateur, achromatique et d'absorption reduite, particulierement adapte a l'analyse spectrometrique optique
DE102006033674A1 (de) * 2006-07-20 2008-01-24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Entladungslampe mit einem Entladungsgefäß
DE102006052953A1 (de) * 2006-11-09 2008-05-15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Entladungslampe mit einem Entladungsgefäß und einem mit dem Entladungsgefäß verbundenen Röhrenstück
CN101373697A (zh) * 2007-08-22 2009-02-25 马士科技有限公司 新型荧光灯管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74104C (nl) * 1977-08-23 1984-04-16 Philips Nv Lampeenheid.
JPS54155675A (en) * 1978-05-30 1979-12-07 Matsushita Electronics Corp Small-sized fluorescent lamp
NL183687C (nl) * 1978-10-11 1988-12-16 Philips Nv Lagedrukkwikdampontladingslamp.
CH642602A5 (de) * 1980-07-15 1984-04-30 Ferag Ag Einrichtung zum stapeln von im schuppenstrom anfallenden druckprodukten, wie zeitungen, zeitschriften und dergleichen.
DE3112878A1 (de) * 1981-03-31 1982-10-14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8000 München Quecksilberdampf-niederdruckentladungslamp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JPS5936157U (ja) * 1983-06-23 1984-03-07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小形けい光灯
NL8400756A (nl) * 1984-03-09 1985-10-01 Philips Nv Lagedrukkwikdampontladingslamp.
NL8401030A (nl) * 1984-04-02 1985-11-01 Philips Nv Lagedrukkwikdampontladings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46598B2 (ja) 1995-05-17
KR870011659A (ko) 1987-12-24
US4977349A (en) 1990-12-11
JPS62281251A (ja) 198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6200B1 (ko) 형광램프
US4253037A (en) High-pressure sodium-vapor discharge lamp
US2904710A (en) Reflector mercury lamp mount
KR920003360B1 (ko) 저압 수은증기 방전등
US5532543A (en) High density discharge lamp with pinched-on containment shield
CA2096073C (en) Low-pressure discharge lamp, particularly compact fluorescent lamp, especially for outdoor and indoor use
US2901648A (en) Reflector mercury lamp
JPS60165038A (ja) 螢光ランプ装置
US5434473A (en) High pressure sodium vapor discharge lamp
JP3269127B2 (ja) 低圧水銀蒸気放電ランプ
JPS63299044A (ja) 原稿照明用蛍光ランプ
US4245175A (en) Metal halide lamp having lead metal powder to reduce blackening
US4800321A (en) High pressure sodium lamp
JP2520230B2 (ja) 低圧水銀蒸気放電灯
JPS62202451A (ja) 蛍光ランプ
JPH053017A (ja) 蛍光ランプ
JPH03194846A (ja) アマルガムおよびこのアマルガムを封入してなる低圧水銀蒸気放電灯
JPS59132554A (ja) けい光ランプ装置
JPS6132949A (ja) 低圧水銀蒸気報電灯
JPS60208023A (ja) 低圧水銀蒸気放電灯の製造方法
JPS60200455A (ja) 小形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
JPS60208045A (ja) 低圧水銀蒸気放電灯
JPS5941566Y2 (ja) けい光ランプ装置
JPS61277148A (ja) 低圧水銀蒸気放電灯
JPS6319751A (ja) 低圧放電ランプ及び低圧放電ラ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3082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3082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