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5956Y1 - 각도 조정 의자 - Google Patents

각도 조정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956Y1
KR900005956Y1 KR2019860016043U KR860016043U KR900005956Y1 KR 900005956 Y1 KR900005956 Y1 KR 900005956Y1 KR 2019860016043 U KR2019860016043 U KR 2019860016043U KR 860016043 U KR860016043 U KR 860016043U KR 900005956 Y1 KR900005956 Y1 KR 9000059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guide
back plate
hing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60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7466U (ko
Inventor
김세진
Original Assignee
김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진 filed Critical 김세진
Priority to KR20198600160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956Y1/ko
Publication of KR8800074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74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9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9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9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slidingly movable in the base frame, e.g. by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32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clamps or friction locking me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각도 조정 의자
도면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1도는 본 고안은 각도 조정 의자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동 조립 상태 저면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A"부 확대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
제5도는 동 요부 분해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작동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대 4 : 힌지
5 : 좌간 6 : 등판
7 : 회전틀 8 : 팔걸이부
2 : 힌지 13 : 고정단관
15. 마찰링 16 : 마찰안내홈
17 : 안내편 20 : 안내마찰관
20' : 마찰안내공 21 : 마찰봉
22 : 경사부 22 : 정지편
본 고안은 좌판과 등판이 힌지로 연결된 의자에 있어서 좌판과 등판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 의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좌판과 등판의 각도를 조정토록한 의자가 다양하게 안출되어 왔으나, 이들은 조정레버 또는 핸들을 손으로 조작하거나, 록크 레버 또는 핸들을 풀고 임의각도로 조정한 다음 다시 록크시키는 것이었으므로 조정이 번거롭고, 한번에 사용자가 취향에 맞는 편한 자세로 조정하기 곤란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고 레버나 핸들을 조작하지 않고 사용자가 상체를 앞뒤로 움직이는 것만으로서 한번에 원하는 편한 자세로 전환할 수 있도록한 각동 조정 의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접지간(2)과 지지각(3)으로 된 지지대(1)와, 힌지(4)로 연결되는 좌판(5)과 등판(6)을 구비하여서 되는 의자에 있어서, 양측의 수평 팔걸이부(8)와 후방으로 하향 절곡된 양측 경사안내부(9)를 회전연결부(10)에 의해 일체로 형성한 회전틀(7)을 회전연결부(10)의 중앙에서 회전연결구(11)로써 지지각(3)상단에 연결하고. 상기 팔걸이부(8)의 후단을 등판(6)의 하단부근에 힌지(12)로 연결하며, 양측 경사안내부(9)의 선단측 내주면에는 고정단관(13)을 고정부착하여 그 내측단면에는 와샤(14)를 사이에 두고 내측면에 마찰안내홈(16)이 형성된 마찰링(15)을 접하게 설치하고, 대경의 안내부(18)에 축선이 직교되게 천공된 삽입공(18')에 안내마찰관(20)을 삽입한 안내편(17)의 소경의 축부(19)를 마찰링(15)과 와샤(14)의 통공(15')(14')을 관통하여 고정단관(13)의 축공(13')에 삽입하여 마찰안내관(20)의 마찰안내공(20')이 상기마찰안내홈(16)과 동심 상으로 정렬되게 하고, 상기 마찰 안내홈(16)과 마찰안내공(20')에 관통되는 경사부(22)와 후단의 수직부(23)로 되는 마찰봉(21)을 좌판(5)의 저면 양측에 고정하며, 경사부(22)의 후단에는 정지편(24)을 설치하여서된 것이다.
상기 좌판(5)과 등판(6)은 파이프로 된 프레임(25)(26)을 힌지(4)로 연결하고 카바(27)로 씌우고, 그위에 쿠숀메트(28)를 받치고 앉도록 하되 매트(28)의 양측 모퉁이(좌판(5)과 등판(6)의 사이 부분)에 걸고리(29)를 달아서 힌지(4)에 형성된 걸림홈(30)에 걸도록 한다.
상기 회전틀(7)의 팔걸이부(8)에는 팔받침(31)을 고정나사(32)로 부착하며, 팔걸이부(8)의 후단은 등판(6)의 프레임(26)에 힌지(12)로 연결한다.
상기 마찰봉(21)은 그 경사부(22)와 수직부(23)에 나사공(33)(34)을 형성하여 좌판(5)의 프레임(25) 양측에 고정나사(35)(36) 고정 부착한다
상기 마찰링(15)과 마찰 안내관(20)은 경질고무나 우레탄 수지등 합성수지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각도 조정 의자는 제6도의 실선 표시 상태 즉, 등판(6)의 각도가 일반적인 의자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판(5)과 등판(6)상의 쿠숀매트 상에 앉아서 지지대(1)와 회전틀(7)에 의해 좌우로 회전하면서 사용하는 것인바, 등판(6)의 각도를 조정함에 있어서는 등판(6)을 뒤로 밀어서 제6도의 쇄선표시 상태로 젖히며, 다시 사용자가 무게중심을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면 실선표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즉, 제6도의 실선표시 상태에서 사용작 좌판(5)에 앉은채로 등을 뒤로 젖혀서 등판(6)을 뒤로 밀면 등판(6)은, 지지대(1) 상에 설치된 회전틀(7)의 팔걸이부(7)의 후단과 등판(6)의 하단부근을 연결하는힌지(12)를 중심으로 하여 힌지(12)의 상부측은 후방으로 회동되고 힌지(12)의 하부측은 전방으로 회동하면서 힌지(4)로 연결된 좌판(5)을 전방으로 밀게 되어 제6도의 1점 쇄선표시 상태로 된다.
이때 좌판(5)이 전방으로 밀려서 이동됨에 따라 좌판(5)의 저면 양측에 고정된 마찰봉(21)이 함께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그 경사부(22)가 마찰링(15)의 마찰안내홈(16)과 마찰안내관(20)의 마찰 안내공(20')내에서 마찰안내되어 등판(6)의 급격하게 젖혀지거나 좌판(5)이 급격히 전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제6도의 1점 쇄선표시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판(5) 상에 앉아서 등판(6)에 등을 기대고 반 누운 상태로 더이상 힘을 가하지 않으면 좌판(5)과 등판(6)을 그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다시 사용자가 등을 뒤로 젖혀서 등판(6)을 뒤로 밀면 상술한 작용에 의해 등판(6)은 뒤로 젖혀지며 마찰봉(21)의 경사부(22)에 설치된 정지편(24)이 안내편(17)의 안내부(18)에 닿아 더이상 젖혀지지 않는 제6도의 2점쇄선 상태로 까지 젖힐 수 있다.
다음 제 6도의 쇄선 표시 상태에서 실선표시상태로 전환함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등을 등판(6)으로부터 일으키면서 무게 중심을 좌판(5)의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면 좌판(5)의 전방측이 눌리며, 그 힘은 마찰봉(21)의 경사부(22)에 전달되어 마찰봉(21)은 경사부(22)의 각도에 따른 분력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면서 마찰링(15)의 마찰안내홈(16)과 안내 마찰관(20)의 마찰안내공(20')의 사이에서 마찰 접촉되어 좌판(5)은 급격히 이동됨이 없이 서서히 후방으로 이동된다.
좌판(5) 이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그 후단에 힌지(4)로 연결된 등판(6)의 하단이 뒤로 밀리게 되고 등판(6)은 힌지(12)를 중심으로 하여 상부측이 전방으로 회동되며, 사용자자 임의의 각도에서 등을 등판(6)에 기대어 무게중심을 전방에서 다시 뒤로 옮긴 상태로 더이상 힘을 가하지 않으면 그 상태를 유지케 되는 것이다.
상술한 작동에서 등판(6)의 각도는 실선 및 쇄선표시 상태 사이에서 임의의 상태로 무단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가 앉은채로 무게중심을 앞뒤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써 무단으로 각도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한번에 원하는 편한 자세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접지간(2)와 지지각(3)으로 된 지지대(1)와, 힌지(4)로 연결되는 좌판(5)과 등판(6)을 구비하여서 되는 의자에 있어서, 양측의 수평 팔걸이부(8)와 후방으로 하향 절곡된 양측 경사 안내부(9)를 회전연결부(10)에 의해 일체로 형성한 회전틀(7)을 회전연결부(10)의 중앙에서 회전연결구(11)로써 지지각(3) 상단에 연결하고, 상기 팔걸이부(8)의 후단을 등판(6)의 하단부근에 힌지(12)로 연결하며, 양측 경사안내부(9)의 선단측 내주면에는 고정단관(13)을 고정부착하여 그 내측 단면에는 와샤(14)를 사이에 두고 내측면에 마찰안내홈(16)이 형성된 마찰링(15)을 접하게 설치하고, 대경의 안내부(18)에 축선이 직교되게 천공된 삽입공(18')에 안내마찰관(20)을 삽입한 안내편(17)의 소경의 축부(19)를 마찰링(15)과 와샤(14)의 통공(15')(14')을 관통하여 고정단관(13)의 축공(13')에 삽입하여 마찰안내관(20)의 마찰안내공(20')이 상기 마찰안내홈(16)과 동심 상으로 정렬되게 하고, 상기 마찰 안내홈(16)과 마찰안내공(20')에 관통되는 경사부(22)와 후단의 수직부(23)로되는 마찰봉(21)을 좌판(5)의 저면 양측에 고정하며, 경사부(22)의 후단에는 정지편(24)을 설치하여서된 각도조정 의자.
KR2019860016043U 1986-10-21 1986-10-21 각도 조정 의자 KR9000059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6043U KR900005956Y1 (ko) 1986-10-21 1986-10-21 각도 조정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6043U KR900005956Y1 (ko) 1986-10-21 1986-10-21 각도 조정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466U KR880007466U (ko) 1988-06-27
KR900005956Y1 true KR900005956Y1 (ko) 1990-06-30

Family

ID=19256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6043U KR900005956Y1 (ko) 1986-10-21 1986-10-21 각도 조정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95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466U (ko) 198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4775B2 (en) Dynamically balanced seat assembly having independently and arcuately movable seat and backrest and method
US5439268A (en) Adjustable armrest assembly for a chair
EP0614633B1 (en) Adjustbale backrest for a chair
US6623078B2 (en) Adjustable height chair arm supported on back upright
NL8703027A (nl) Kantelregelinrichting voor een bureaustoel.
EP0466777A1 (en) Ergonomic chair
US5222783A (en) Chair with its backrest adjustable in its angle
EP0277145A1 (en) ADJUSTABLE SEAT.
JPS61247418A (ja) いす
EP0482439B1 (en) Chair seat mounting mechanism
US4607883A (en) Reclining mechanism for easy chair
JP2000139602A (ja) ロッキング装置のロック機構
KR900005956Y1 (ko) 각도 조정 의자
NZ529154A (en) Recline mechanism for seating furniture
KR102013301B1 (ko) 의자용 시트 지지장치
US20060284461A1 (en) Chair with recline control mechanism, recline limit control and back tilt mechanism
KR102366836B1 (ko) 의자의 좌판 깊이 조절기구
KR102210240B1 (ko) 탄성력 조절이 가능한 의자 등받이 경사 조절기구
KR101753786B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팔걸이가 구비된 의자
EP0584152A1 (en) A chair
CA1076944A (en) Chair
KR102779705B1 (ko) 암레스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JP4199965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JPH0347558Y2 (ko)
JP3433366B2 (ja) 椅子の座席と背凭れの傾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6102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6102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53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09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009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0092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211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2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