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5932B1 - Color picture tube having improved shadow mask - Google Patents

Color picture tube having improved shadow ma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932B1
KR900005932B1 KR1019860001706A KR860001706A KR900005932B1 KR 900005932 B1 KR900005932 B1 KR 900005932B1 KR 1019860001706 A KR1019860001706 A KR 1019860001706A KR 860001706 A KR860001706 A KR 860001706A KR 900005932 B1 KR900005932 B1 KR 900005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axis
column
along
op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17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60007708A (en
Inventor
데이비드 마스터톤 월터
Original Assignee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오포레이숀
글렌 에이취.브루스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오포레이숀, 글렌 에이취.브루스틀 filed Critical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60007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77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932B1/en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6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distribution of beam-passing aperture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개선된 새도우 마스크를 가진 칼라 수상관Collar award tube with improved shadow mask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결합한 새도우 마스크 칼라 수상관의 부분적인 축방향 단면도로서 평면도.1 is a partial axial cross-sectional view of a shadow mask collar water tube incorpora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의 선 2-2를 따라 절취한 칼라 수상관의 면판에 의한 정면도.FIG. 2 is a front view by the face plate of the collar water pipe cut along the line 2-2 of FIG.

제3도는 제2도의 주축 3a-3a 와 소축 3b-3b 횡단면에서 면판 파낼의 표면 이형을 도시한 복합도.FIG. 3 is a composite view showing the surface release of the faceplate banking in the major axis 3a-3a and the minor axis 3b-3b cross section of FIG.

제4도는 제1도의 칼라 수상관의 새도우 마스크의 정면도.4 is a front view of the shadow mask of the color receiving tube of FIG.

제5도는 제4도의 주축 5a-5a, 소축 5b-5b 및 대각선 5c-5c 횡단면에서 새도우 마스크의 표면 외형을 도시한 복합도.FIG. 5 is a composite view showing the surface appearance of the shadow mask in the major axes 5a-5a, minor axes 5b-5b and diagonal 5c-5c cross sections of FIG.

제6도는 칼라 수상관의 마스크의 새도우 마스크 개구 열 대열 간격을 실선으로 도시하고 종래의 마스크의 개구간격을 점선으로 도시한 그래프.FIG. 6 is a graph showing the shadow mask opening column spacing of the mask of the color receiving tube in solid line and the opening spacing of the conventional mask in dotted line. FIG.

제7도는 제4도의 원 7에서 절취한 새도우 마스크의 확대도.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shadow mask taken away from circle 7 of FIG.

제8도는 칼라 수상관의 선택된 스크린 라인의 그래프.8 is a graph of selected screen lines of a color receiver.

제9도는 일정한 높이의 외형선을 도시한 면판 만곡에 의해 제안된 새도우 마스크의 정면도.9 is a front view of a shadow mask proposed by faceplate curvature showing an outline of constant height.

제10도는 일정한 일정한 높이의 외형선을 도시한 개선된 새도우 마스크의 정면도.10 is a front view of an improved shadow mask showing the contour of a constant constant heigh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칼라수상관 12 : 면판 파낼10: color water pipe 12: face plate digging

14 : 네크 16 : 퍼어늘14: neck 16: green

18 : 면판 20 : 측벽18: face plate 20: side wall

22 : 스크린 24 : 마스크22: screen 24: mask

26 : 전자총 28 : 전자비임26: electron gun 28: electron beam

30 : 요크30: York

본 발명은 슬릿 개구형(slit-aperture type)의 새도우 마스크가 관의 음극발광 라인스크린에 근접하여 장착된 형태의 칼라 수상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선된 마스크 외형을 제공하도록 수상관내의 마스크 개구의 열 간격을 개선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water tube in which a slit-aperture type shadow mask is mounted in close proximity to the cathode light emitting line screen of the tube, and particularly relates to a mask opening in the water tube to provide an improved mask appearance. It is about improving the column spacing.

현재 제조중인 대부분의 칼라 수상관은 라인스크린-슬릿 마스크형(line screen-slit mask type)이다.Most color water tubes currently being manufactured are of the line screen-slit mask type.

이 관은 그 위에 음극발광체의 라인스크린을 가진 구형 면판을 둥근 외형으로 만들고 스크린에 인접한 슬릿 개구형 새도우 마스크를 다소 둥근 외형으로 만든다. 이관의 슬릿 형태의 개구는 관의 소축(minor axis)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마스크의 중앙으로부터 단측들에 이르는 만곡부를 점차 증가시키는 열로 배열된다.This tube makes a spherical face plate with a line screen of cathode light emitters rounded and a slit aperture shadow mask adjacent to the screen a rather rounded face. The slit-shaped openings in the ear canal are arranged in rows that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minor axis of the canal or gradually increase the bend from the center of the mask to the short sides.

최근, 수가지 수상관의 수정에 제안되어 왔다. 이 수정안중 하나는 편편한 환영을 생기게 하는 새로운 면판 파낼 외형에 관련된 개념이다. 이러한 관 수정은 1983년 2월 25일자로 RCA 사(발명자, F.R. Ragland Jr.)에 의해 출원인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 469,722호 및 제 469,774호에 기재되어 있다. 수정된 관의 면판 외형은 면판 파낼의 주축(major axis) 및 소축(minor axis)을 따라 만곡부를 가지지만 원형은 아니다. 이 주축 및 소축은 관이 정상 관찰 위치에 있을 때 각각 중앙 수평축 및 수직축으로 정의된다.In recent years, modifications have been made to several awards. One of these amendments is a concept related to the appearance of a new faceplate to create a flat illusion. Such amendments are described in US Patent Applications 469,722 and 469,774, filed February 25, 1983 by RCA Corporation (Inventor, F.R. Ragland Jr.). The faceplate geometry of the modified tube has curves along the major and minor axis of the faceplate panner but is not circular. These major and minor axes are defined as the central horizontal axis and the vertical axis, respectively, when the tube is in the normal viewing position.

본 출원에 기재된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관 스크린의 주면 경계부가 실질적으로 플라나(planar)이거나 가시적으로 플러나 처럼 보인다. 이 플라나 또는 실질적으로 플라나인 주변 경계부를 얻기 위해서는, 패널의 중앙에서보다 패널의 측면에서 더 큰 주축을 따르는 만곡부를 가진 면판 패널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면판 패널의 비원형적 형성은 새도우 마스크외형과 관련된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만일 새도우 마스크가 그것의 측면을 따라 소축에 평행한 직선 횡단면으로써 형성된다면, 마스크는 바람직스럽지 못한 마이크로포닉(microphonics)과 같은 불량한 기계적 특성을 갖거나 도우밍(doming)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described in this application, the major surface boundary of the tube screen is substantially planar or visually looks like a planar. In order to obtain this planar or substantially planar peripheral boundary, it is necessary to form a faceplate panel with a curved portion along the larger major axis at the side of the panel than at the center of the panel. Non-circular formation of faceplate panels causes problems with shadow mask appearance. If the shadow mask is formed as a straight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minor axis along its side, the mask may have poor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undesired microphonics or may cause doming problems.

따라서, 면판 패널 외형에 의해 제안된 것보다 이 횡단면에서 더 큰 만곡부를 갖는 마스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마스크 외형 수정은 마스크개구 패턴의 변화를 포함하여 관에서의 다른 변화를 필요로 한다.Therefore, it is desirable to form a mask having a larger curvature in this cross section than that suggested by the faceplate panel outline. However, such mask appearance modifications require other changes in the tube, including changes in the mask opening pattern.

처음의 라인스크린-슬릿 마스크 형 관에 있어서, 새도우 마스크가 거의 원형이었고 주축을 따른 인접 개구 열의 분리(수평 분리)가 마스크에 대하여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나중의 관들은 증가된 만곡부를 가진 새도우 마스크를 포함하였고 1979년 1월 23일자로 A.M. Morrell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4,136,300호에 기재된 개구 열 간격 변동을 포함하였다. 이러한 나중의 관들에 있어서는, 개구의 일접열의 중앙선간의 간격이 마스크의 중앙으로부터 단부까지 증가되었다. 이러한 증가는 일반적으로 주축으로부터 거리의 제곱으로서 주축을 따라 변동되었다.In the first linescreen-slit mask type tube, the shadow mask was nearly circular and the separation of adjacent opening rows along the major axis (horizontal separation) remained constant relative to the mask. Later tubes of this type, however, included shadow masks with increased bends, and A.M. Opening row spacing variations described in US Pat. No. 4,136,300 to Morrell. For these later tubes, the spacing between the centerlines of one row of openings was increased from the center to the end of the mask. This increase generally varied along the main axis as the square of the distance from the main axis.

새로운 개구 열 대 열의 간격은 1984년 3월 1일자로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 615,589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 출원에서는, 인접 개구 열 사이의 간격이 대략 새도우 마스크의 소축으로부터 거리의 4승으로 새도우 마스크의 중앙에서 측면까지 증가한다. 이러한 열 간격에서의 변동은 거리의 4승의 일정 계수배로서 표현될 수 있는데, 여기서 계수는 가변적인 것으로 중앙 수평측상의 횡단면에서 보다 중앙 수평축에서 떨어져 평행하게 위치한 마스크의 횡단면에서 더 크다.The new aperture column spacing is described in US Patent Application No. 615,589 filed March 1, 1984. In that application, the spacing between adjacent rows of openings increases from the center to the side of the shadow mask approximately four times the distance from the small axis of the shadow mask. This variation in column spacing can be expressed as a constant coefficient multiple of the fourth power of the distance, where the coefficient is variable and larger in the cross section of the mask located parallel to the central horizontal axis than in the cross section on the central horizontal side.

이 4승의 변동은 실질적으로 플라나인 제1세대의 관의 새도우 마스크 외형에 적합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 제1세대의 관은 주축 보다도 소축을 따라서 실질적으로 더 큰 만곡부를 가진 새도우 마스크를 갖는다. 그러나, 소축에 평행한 횡단면에서의 마스크 만곡부는 마스크의 측면에서 비교적 편평하게 되도록 소축에서 마스크의 측면까지 만곡이 감소된다. 이러한 편평함도 취급시 변형을 받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스럽지 못하여 관 동작시 가열될 때 다소 예기치 않는 신축성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마스크의 측면에서 보다 큰 만곡을 얻기 위하여 이러한 새도우 마스크에서 여러 가지 만곡의 상호보완을 가능케하는 개구의 열 대열 간격에 대한 개선을 제공하는 것이다.This quadratic variation proved to be practically suited to the shadow mask appearance of the first generation of tubes, which are Planar. This first generation of tubes has shadow masks with substantially larger bends along the minor axis than the major axis. However, the curvature from the small axis to the side of the mask is reduced so that the mask curve in the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small axis is relatively flat at the side of the mask. This flatness is also undesirable because it is susceptible to deformation during handling, resulting in somewhat unexpected stretch when heated during tube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provement on the column spacing of the openings which allows the complementation of various curves in such shadow masks in order to obtain greater curvature in terms of the mask.

본 발명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구형인 음극발광 라인스크린에 이격된 관계로 새도우 마스크가 장착된 실질적으로 구형인 슬릿 개구 형태를 갖는 칼라 수상관은 마스크의 소축 근처에 있는 인접 개구열 간의 간격이 마스크의 주축 근처에서 보다 마스크의 긴 측면에서 작게되게끔 개선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lor water tube having a substantially spherical slit opening shape in which a shadow mask is mounted in relation to a substantially spherical cathodic light emitting line screen has a gap between adjacent aperture rows near the small axis of the mask. It is improved to be smaller on the long side of the mask than near the main axis.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면판 판낼(12) 및 퍼어늘(16)에 의해 접속된 관상 네크(14)로 이루어진 유리외피(11)를 가진 구형 칼라 수상관(10)을 도시하고 있다. 파낼은 관찰용 면판(18) 및 주변 플랜지 또는 측벽(20)으로 구성되는데, 이것은 유리 프리트(glass frit)(17)에 의해 퍼어늘(16)에 밀봉된다. 새로운 구형 3색 음극발광 형광 스크린(22)은 면판(18)의 내면에 붙어 잇다. 그 스크린은 관의 소축 Y-Y(제1도의 평면에 수직)에 약간 평행하게 뻗은 형광라인을 가진 라인 스크린이다. 그 형광 라인의 외형을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신규의 다수의 개구가 있는 칼라 선택 전극 즉 새도우 마스크(24)는 스크린(22)에서 소정의 이격 관계로 면판파낼(12)내에 장착된다. 제1도에서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인라인 전자총(26)도 세 전자비임(28)을 발생하여 마스크(24)에서 스크린(22)까지의 초기의 코플라나 접속 경로(coplanar convergent path)를 따라 향하게 하도록 네크(14)내에서 중앙위치에 장착된다.FIG. 1 shows a spherical collar water tube 10 having a glass shell 11 consisting of a tubular neck 14 connected by a faceplate pan 12 and a perimeter 16. The digging consists of an observation face plate 18 and a peripheral flange or side wall 20, which is sealed to the perimeter 16 by a glass frit 17. A new spherical tricolor cathodic fluorescent screen 22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ace plate 18. The screen is a line screen with fluorescent lines extending slightly parallel to the small axis Y-Y of the tub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FIG. 1). The outline of the fluorescent line i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A new number of apertured color selection electrodes, or shadow masks 24, are mounted in the faceplate drill 12 at predetermined distances from the screen 22. The inline electron gun 26, schematically shown in dashed lines in FIG. 1, also generates three electron beams 28 to be directed along the initial coplanar convergent path from the mask 24 to the screen 22. So that it is mounted at the center position in the neck 14.

제1도의 관(10)은 외부 자기 편향요크, 예컨대 세 비임(28)이 수직 및 수평 자속을 받게하여 그 비임을 스크린(22)위의 구형 라스터에서 각각 주축(X-X)의 방향에서 수평으로 그리고 소축(Y-Y)의 방향에서 수직으로 주사하도록 그것의 접합부에 인접해 있는 네크(14)와 퍼어늘(16)을 둘러싼 것으로 도시한 요크(30)와 함께 사용되도록 설계된다.The tube 10 of FIG. 1 has an external magnetic deflection yoke, for example, three beams 28 subjected to vertical and horizontal magnetic flux so that the beams are horizontally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axis XX in the spherical raster on the screen 22, respectively. And yoke 30 shown as surrounding the neck 14 and the perimeter 16 adjacent to its junction to scan vertically in the direction of the small axis YY.

제2도는 면판 파낼(12)의 전면을 도시한 것이다. 파낼(12)의 주변은 약간 만곡된 측면을 가진 구형을 형성한다. 스크린(22)의 경계부는 제2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스크린 경계부는 구형이다.2 shows the front surface of the faceplate pane 12. The perimeter of the pawl 12 forms a sphere with slightly curved sides. The boundary of the screen 22 is shown in phantom in FIG. 2. This screen boundary is spherical.

소축 Y-Y 와 주축 X-X을 따르는 면판 파낼(12)의 외부 표면의 상대 외형에 대한 비교가 제3도에 나타나 있다. 면판 파낼(12)의 외부표면은 주축과 소축 양자를 따라 만곡되는데, 소축을 따른 만곡이 파낼(12)의 중앙부에서 주축을 따른 만곡보다 더 크다.A comparison of the relative geometr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aceplate paneer 12 along the minor axis Y-Y and the major axis X-X is shown in FIG. The outer surface of the faceplate pane 12 curves along both the major axis and the minor axis, where the curvature along the minor axis is greater than the curve along the major axis at the center of the pawl 12.

예를 들어, 면판의 중앙에서, 소축을 따른 만곡부의 반격에 대한 주축을 따른 외부표면 외형의 만곡부의 반격의 비가 1.1 보다 크다(10%차 보다 더 크다). 그러나, 주축을 따른 만곡의 면판의 중앙부에서 작으며 면판의 단부 근처에서 크게 증가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면판의 단부 근처에서 주축을 따른 만곡이 소축을 따른 일반 만곡보다 더 크다. 이러한 설계에 따라, 면판의 중앙부는 변동되지만, 스크린의 단부에서 면판 외부표면의 점들은 실질적으로 평면 P에 놓여서 실질적으로 구형인 주변 외형성을 형성한다. 대각선을 따르는 표면 만곡부는 주축과 소축을 따르는 다른 만곡부 사이의 천이를 완만하게 하도록 선택된다. 소축을 따른 만곡은 면판 파낼의 중앙부에서 주축을 따른 만곡 보다 약 4/3배 더 큰 것이 좋다.For example, at the center of the faceplate, the ratio of the counterattack of the bend of the outer surface contour along the major axis to the counterattack of the bend along the minor axis is greater than 1.1 (greater than 10% difference). However, it is small at the center of the curved faceplate along the main axis and increases greatly near the end of the faceplate. In this embodiment, the curvature along the major axis near the end of the faceplate is greater than the normal curvature along the minor axis. According to this desig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aceplate varies, but the points on the faceplate outer surface at the end of the screen lie substantially in plane P to form a substantially spherical peripheral appearance. Surface curves along the diagonal line are selected to smooth the transition between the major and other curves along the minor axis. The curvature along the minor axis should be about 4/3 times larger than the curvature along the main axis at the center of the faceplate panel.

주축과 소축을 따르는 차등 만곡을 사용함으로써, 스크린(22)의 단부에 정반대로 위치한 파낼의 외부표면상의 점들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P에 있다. 면판 파낼(12)의 전면으로부터 볼 때 실질적으로 플라나인 이점들은 스크린(22)의 단부상에 중첩된 실질적으로 구형인 파낼의 외부표면상의 외형선을 형성한다. 따라서, 관(10)이 텔레비젼 수신기에 삽입될 때 균일한 폭의 경계 마스크 또는 베젤(bezel)의 관 주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구형의 외형선에서 관과 접촉하는 이 베젤의 단부도 역시 실질적으로 P평면에 있다. 관 스크린상의 화상의 주변 경계부가 플라나인 것처럼 보이므로, 면판 파낼이 주축과 소축 양자를 따라 바깥방향으로 만곡될지라도 화상이 편평한 환영이 생기게 된다.By using differential curvatures along the major and minor axes, the point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inar located opposite to the ends of the screen 22 are substantially coplanar P.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faceplate paneer 12 substantially planar advantages form an outlin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bstantially spherical fielder superposed on the end of the screen 22. Thus, when the tube 10 is inserted into a television receiver, it can be used around a tube of boundary mask or bezel of uniform width. The end of this bezel in contact with the tube in the spherical outline is also substantially in the P plane. Since the peripheral boundary of the image on the tube screen appears to be planar, the image is flat even though the faceplate panner is curved outward along both the major and minor axes.

제4도는 새로운 새도우 마스크(24)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점선(32)은 마스크(24)의 개구부의 경계를 도시한 것이다. 제5도에는 주축 X-X를 따른 표면 외형, 소축 Y-Y를 따른 표면 외형 및 마스크(24)의 대각선이 곡선 (5a), (5b) 및 (5c)로 도시되어 있다. 마스크(24)는 그것의 소축을 따른 만곡과 그것의 주축을 따른 만곡이 다른 만곡부를 갖는다. 주축을 따른 외형은 마스크의 중앙에서 약간 만곡되고 마스크의 측면에서 더 큰 만곡을 갖는다. 이러한 새도우 마스크의 외형은 주축 X-X의 만곡부를 대략 주축의 중앙 부분에 대하여 큰 반경의 원으로 그리고 주축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더 작은 반경이 원으로 나타냄으로써 일반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주축을 따른 화살표 높이는 실질적으로 소축 Y-Y로 부터의 거리의 4승으로 변동된다. 화살표 높이는 마스크 표면의 중앙에 접하는 가상의 평면으로부터의 거리이다. 소축 Y-Y에 평행한 만곡부는 주축 만곡부를 필요한 마스크 주변부에 무리없이 끼울 수 잇도록 되어 있으며 주축을 따라 사용된 것과 같은 만곡부변동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 외형은 주축의 단부 근처에서의 증가된 만곡 때문에 약간 개선된 열 팽창 특성을 나타낸다. 증가된 만곡으로 인한 개선된 열 팽창 특성의 생성에 관해서는 전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 4,136,300호에 기재되어 있다.4 shows a front view of a new shadow mask 24. The dotted line 32 shows the boundary of the opening of the mask 24. In Fig. 5, the surface contours along the major axis X-X, the surface contours along the minor axis Y-Y, and the diagonal lines of the mask 24 are shown by curves 5a, 5b and 5c. Mask 24 has a curved portion that differs in curvature along its minor axis and in curvature along its major axis. The contour along the major axis is slightly curved at the center of the mask and has greater curvature at the sides of the mask. The contours of such shadow masks can generally be obtained by representing the curvature of the main axis X-X as a circle of large radius about the central part of the main axis and a smaller radius about the rest of the main axis. More specifically, however, the height of the arrow along the main axis is substantially varied by the fourth power of the distance from the small axis Y-Y. The arrow height is the distance from the imaginary plane in contact with the center of the mask surface. The curvature parallel to the minor axis Y-Y is such that the curvature of the major axis can be inserted into the periphery of the mask as needed and may include the same bend variation as used along the major axis. This mask geometry exhibits slightly improved thermal expansion properties due to increased curvature near the end of the main axis. The creation of improved thermal expansion properties due to increased curvature is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US Pat. No. 4,136,300.

제6도는 실선으로 곡선으로 도시되고 "H"라는 표지가 붙은 새도우 마스크(24)의 사분면(quadrant)내에서와 점선으로된 곡선으로 도시되고 "F"라는 표지가 붙은 전술한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 615,589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성된 새도우 마스크의 사분면내에서 개구의 열 대 열 간격을 Ah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그 그래프의 수직 좌표는 주축으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고 수평좌표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행의 중앙선에서 인접행의 중앙선까지 측정된 개구의 열 대 열 간격을 나타낸다. 각 곡선의 번호는 그것이 나타내는 소축으로부터의 스페이스(space)를 식별하기 위하여 붙인 것이다. 예를 들어, 200으로 표시한 각 곡선은 200번째와 201번째의 개구열 간의 간격을 나타낸다.FIG. 6 shows the aforementioned US patent application No. 615,589 in the quadrant of the shadow mask 24 labeled with a solid line and labeled "H" and with a dotted curve and labeled "F". is a graph showing the a h a tropical column spacing of the openings in the quadrant of the shadow mask constructed as described in the call. The vertical coordinates of the graph represent the distance from the main axis and the horizontal coordinates represent the column-to-column spacing of the openings measured from the center line of one row to the center line of the adjacent row as shown in FIG. The number of each curve is appended to identify the space from the minor axis it represents. For example, each curve denoted by 200 represents a gap between the 200th and 201th aperture rows.

점선으로된 곡선으로 도시한 종래의 새도우 마스크에서는, 개구의 열 대 열 간격이 곡선 "F"-1 과 "F"-150으로 나타낸 것처럼 소축을 따라 균일하며 소축 근처에 있다. 약간의 만곡은 라인 "F"-200에서 볼 수 있으며 그것은 스페이스 200에 대한 열 대 열 간격이 주축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약간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곡선 "F"-300 및 "F"-306은 상당히 구부러져 있는데, 그것은 주축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열 대 열의 간격이 실질적으로 증가함을 보여준다.In conventional shadow masks shown with dotted curves, the column-to-row spacing of the openings is uniform along the small axis and near the small axis, as shown by curves "F" -1 and "F" -150. Some curvature can be seen at line "F" -200, which indicates that the column-to-column spacing for space 200 is increasing slightly with distance from the main axis. Curves "F" -300 and "F" -306 are quite bent, which shows that the spacing of the rows versus columns increases substantially as the distance from the main axis increases.

신규의 개선된 새도우 마스크의 개구의 열 대 열 간격은 소축 근처에서 종래의 마스크의 개구 열 대 열 간격과는 상당히 다르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축 근처의 개구 열 대 열 간격 Ah는 곡선 "H"-1, "H"-100 및 "H"-100으로 도시한 것처럼 주축으로 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150번째 스페이스 근처에서는, 개구 열 대 열 간격이 곡선 "H"-150에서 약간 구부러진 것으로 도시한 것처럼 주축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약간 증가하기 시작한다. 개구 열 대 열 간격을 나타내는 이러한 곡선의 구부러짐은 곡석 "H"-200 및 "H"-300 으로 도시한 것처럼 소축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증가하지만, 곡선 "H"-305를 곡선 "H"-300과 비교함으로써 알 수 있듯이 마스크의 측면에서는 약간 감소한다.The column-to-row spacing of the openings of the new and improved shadow masks differs significantly from the opening-to-row spacing of conventional masks near the small axis. As shown in FIG. 6, the opening column-to-row spacing A h near the minor axis increases in distance from the main axis as shown by curves "H" -1, "H" -100 and "H" -100. Decrease accordingly. Near the 150th space, the opening row-to-row spacing begins to increase slightly as the distance from the main axis increases, as shown slightly curved at curve "H" -150. The curvature of this curve, representing the opening column versus column spacing, increases with distance from the small axis, as shown by the curves "H" -200 and "H" -300, but the curve "H" -305 is curved "H" -300. As can be seen from the comparison, the mask decreases slightly in terms of the mask.

주축을 따른 개구 열 대 열 간격은 대략 소축으로부터의 거리의 4승의 함수로서 증가한다. 제6도에 예시된 특성 실시예에서는, 이 주축의 변동이 mil 단위로 대략 Ah=30+0.00185x4이다. 그러나 주축을 벗어나면 개구 열 대 열 간격의 변동은 더 복잡해지고 대략 방정식 Ah=a+bx2+cx4에 따라 변동되는데, 여기서 a, b 및 c는 주축으로 부터의 거리의 제곱의 함수이며 x는 소축으로부터의 거리이다.The opening row-to-row spacing along the major axis increases approximately as a function of the fourth power of the distance from the minor axis. In the characteristic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6, the variation of this major axis is approximately A h = 30 + 0.00185 × 4 in mils. However, off the main axis, the fluctuations in the opening column to column spacing become more complex and fluctuate according to the equation A h = a + bx 2 + cx 4 , where a, b and c are functions of the square of the distance from the main axis. x is the distance from the small axis.

관(10)의 스크린(22)은 새도우 마스크(24)를 가진 마스터(photograpic master)로서 사용하는 공지의 사진 처리공정에서 형성된다. 사진 처리공정의 노출단계동안 선형 광원이 사용될 때 문제점이 생긴다. 이 문제는 형광 라인의 중앙선과 선형 광원의 영상의 비정렬이다. "스큐우 에러"(skew error)라고 불리는 이러한 비정렬은 형광라인을 프린트하는데 사용된 광도 분포를 확대하여 광노출에 대한 형광체 폭의 감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라인 폭의 제어를 더욱 어렵게 만든다. 공지의 기술에 있어서는, 1975년 6월 10일자로 스즈끼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3,888,673호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른 스크린 영역의 순차적인 노출과 선형 광원의 경사를 동기시키는 띠모양으로 배치하는 노출 기법(zonal exposure technique)과 1975년 6월 10일자로 스즈끼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3,889,145호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개구열과 형광라인을 구부리는 것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수단에 의해 이러한 스큐우 에러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졌다. 새로운 관(10)에 있어서, 스큐우 문제는 소축으로부터의 거리와 주축으로부터의 거리의 함수로서 개구 및 열 대 열 간격을 변동시키는 것에 의해 해결된다. 그 결과의 형광라인 패턴은 스큐우 에러가 가장 큰 스크린의 영역에서의 구부러진 라인과 관에서의 스큐우 에러가 최소인 스크린의 측면에서의 직선라인을 포함한다. 이러한 패턴은 제8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실선(40) 내지 (45)는 선택된 이격 형광 라인을 나타내며 점선(46)은 소축에 평행한 직선 라인을 나타낸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형광라인의 만곡은 소축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라인(42) 내지 라인(43)에서의 최대 만곡까지 증가한 다음, 직선인 마지막 라인(45)까지 감소한다.The screen 22 of the tube 10 is formed in a known photo processing process which is used as a photograpic master with a shadow mask 24. Problems arise when a linear light source is used during the exposure phase of a photo processing process. This problem is the misalignment of the image of the linear light source with the center line of the fluorescent line. This misalignment called "skew error" makes the control of the line width more difficult by increasing the intensity distribution used to print the fluorescent line, thereby increasing the sensitivity of the phosphor width to light exposure. In the known art, an exposure technique in which a sequential exposure of another screen area as shown in US Patent No. 3,888,673 to Suzuki et al., June 10, 1975 and a tilting of the linear light source is arranged in a band shape. (zonal exposure technique) and compensation for such skew errors by various means including bending the aperture and fluorescent lines as shown in US Pat. No. 3,889,145 to Suzuki et al. June 10, 1975. This was done. In the new tube 10, the skew problem is solved by varying the opening and column to column spacing as a function of the distance from the minor axis and the distance from the major axis. The resulting fluorescent line pattern includes a curved line in the area of the screen where the skew error is greatest and a straight line on the side of the screen where the skew error in the tube is minimal. This pattern is shown in FIG. 8, where solid lines 40 to 45 represent selected spaced apart fluorescent lines and dashed lines 46 represent straight lines parallel to the minor axis. As can be seen, the curvature of the fluorescent line increases up to the maximum curvature in lines 42 to 43 as the distance from the small axis increases, and then decreases to the last line 45 which is a straight line.

새로운 개구열 간격의 장점은 그것의 사용이 없는 경우보다 소축에 평행한 마스크의 측면 근처의 횡단면에서 새도우 마스크의 만곡을 더 크게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질적으로 풀라나인 단부를 갖는 면판 파낼의 외형은 제9도의 라인(50)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마스크 외형을 제안한다. 라인(50)은 동일한 높이의 마스크(52)상의 외형선을 나타낸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라인(50)은 마스크의 좌측 및 우측에서 실질적으로 직선이다. 이 직선성은 실질적인 형성 및 취급 문제를 일으킨다. 예를들어, 마스크에 대한 약간의 접촉은 정상적인 취급시 안쪽을 향해 구부러지도록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도록 마스크의 측면에서 더 큰 만곡을 가진 마스크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새로운 개구열 간격의 사용은 제10도의 라인(54)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개선된 마스크 외형을 가능케 한다. 라인(54)은 동일한 마스크(56)상의 외형선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 라인(54)은 실질적으로 마스트의 좌측 및 우측에서의 만곡되므로 소축에 평행한 더 큰 만곡을 주며 따라서 더 큰 강도를 부여해주게 된다.The advantage of the new aperture spacing is that the curvature of the shadow mask can be made larger in the cross section near the side of the mask parallel to the minor axis than without its use. The faceplate facer with a substantially pulley end suggests a mask face as shown by line 50 in FIG. Line 50 represents the outline on mask 52 of the same height. As can be seen, line 50 is substantially straight on the left and right side of the mask. This linearity causes substantial formation and handling problems. For example, slight contact with the mask causes it to bend inward during normal handling.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design a mask with greater curvature in terms of the mask to avoid this problem. The use of the new aperture spacing allows for an improved mask appearance as shown by line 54 of FIG. Line 54 represents the outline on the same mask 56. In this case, line 54 is substantially curv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st, thus giving greater curvature parallel to the minor axis and thus giving greater strength.

Claims (2)

음극발광 라인 스크린(22)를 구비한 칼라 수상관(10)용 새도우 마스크(24)로서, 새도우 마스크가 열로 배치된 복수의 슬릿형 개구를 가지고 두 개의 대향하는 장측과 두 개의 대향하는 단측을 가진 실질적으로 다소 구형인 주변부를 가지며, 상기 마스크의 주축(X-X)은 마스크의 중앙을 통과하여 단측을 따라 중앙에서 연장되는 축이고 상기 마스크의 소축(Y-Y)은 마스크의 중앙을 통과하여 단측을 따라 중앙에서 연장되는 축이며, 상기 개구열은 일반적으로 소축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주축의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마스크의 소축 근처에서의 개구 열 대 열 간격(Ah)이 상기 마스크의 장측에서 상기 마스크의 주축 근처에서 보다 작고, 개구 열 대 열 간격이 주축 근처에서 보다 상기 마스크의 모서리 근처에서 더 큰 칼라 수상관(10)용 새도우 마스크(24)에 있어서, 상기 주축에 평행하지만 주축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횡단면을 따르는 상기 개구 열 대 열 간격이 대략 방정식 A=a+bx2+cx4에 따라 변동하는데, 여기서 A는 개구 열 대 열 간격이고, a, b, c 는 주축으로부터 거리의 제곱에 대한 다른 함수이며 x는 소축으로부터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수상관용 새도우 마스크.A shadow mask 24 for a color receiver 10 having a cathode light emitting line screen 22, the shadow mask having a plurality of slit-shaped openings arranged in rows, having two opposing long sides and two opposing short sides. Has a substantially spherical periphery, the major axis XX of the mask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mask and extending from the center along the short side and the small axis YY of the mask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mask from the center along the short side The aperture row extending generally in the direction of the minor axi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the major axis, with the aperture row to column spacing A h near the minor axis of the mask being at the long side of the mask. The shadow mask for the collar receiving tube 10 is smaller near the major axis of the opening and the opening tropical column spacing is larger near the edge of the mask than near the main axis. In column 24, the opening column-to-row spacing along a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main axis but away from the main axis varies approximately according to the equation A = a + bx 2 + cx 4 , where A is the opening row-to-row spacing. And a, b, c are different functions of the square of the distance from the major axis and x is the distance from the minor axis. 제1항에 있어서, 주축(X-X)을 따르는 개구 열 대 열 간격(Ah)이 대략 소축(Y-Y)로부터 거리의 4승의 함수로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수상관용 새도우 마스크.2. The shadow mask for a color water tub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ning column to column spacing A h along the major axis XX increases as a function of the quadratic power of the distance from the small axis YY.
KR1019860001706A 1985-03-14 1986-03-11 Color picture tube having improved shadow mask Expired KR90000593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1172185A 1985-03-14 1985-03-14
US711,721 1985-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708A KR860007708A (en) 1986-10-15
KR900005932B1 true KR900005932B1 (en) 1990-08-16

Family

ID=24859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1706A Expired KR900005932B1 (en) 1985-03-14 1986-03-11 Color picture tube having improved shadow mask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JP (1) JPS61214332A (en)
KR (1) KR900005932B1 (en)
CN (1) CN1009512B (en)
BR (1) BR8601066A (en)
CA (1) CA1237465A (en)
CZ (1) CZ278553B6 (en)
DD (1) DD243586A5 (en)
DE (1) DE3608433A1 (en)
FR (1) FR2579018B1 (en)
GB (1) GB2175132B (en)
HK (1) HK60594A (en)
IN (1) IN165336B (en)
IT (1) IT1188569B (en)
MX (1) MX165247B (en)
PL (1) PL153713B1 (en)
RU (1) RU1775051C (en)
SG (1) SG20792G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4746A (en) * 1995-06-06 1996-07-09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Color picture tube having shadow mask with improved aperture spacing
JPH10241597A (en) * 1996-12-25 1998-09-11 Toshiba Electron Eng Corp Color television picture tube
CN1157751C (en) * 2000-07-04 2004-07-14 东芝株式会社 color cathode ray tub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31372B1 (en) * 1969-05-31 1973-09-28
GB1435596A (en) * 1972-08-21 1976-05-12 Tokyo Shibaura Electric Co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olour cathode-ray tubes
JPS5244511B2 (en) * 1972-08-30 1977-11-08
NL7303077A (en) * 1973-03-06 1974-09-10
JPS6024533B2 (en) * 1973-12-10 1985-06-13 日本電気株式会社 How to make a shadow mask
US4136300A (en) * 1975-03-19 1979-01-23 Rca Corporation Cathode ray tube having improved shadow mask
GB1546889A (en) * 1975-03-19 1979-05-31 Rca Corp Cathode ray tube having shadow mask
DE2656995C2 (en) * 1976-12-16 1983-12-01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Rectangular color selection mask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NL7703233A (en) * 1977-03-25 1978-09-27 Philips Nv TELEVISION DISPLAY TUBE.
JPS55126945A (en) * 1979-03-23 1980-10-01 Mitsubishi Electric Corp Color cathode ray tube
JPS606067B2 (en) * 1980-12-02 1985-02-15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color picture tube
JPS59165338A (en) * 1983-03-10 1984-09-18 Toshiba Corp Color picture tube
JPS59217930A (en) * 1983-05-24 1984-12-08 Mitsubishi Electric Corp Shadow mask type color cathode-ray tube
US4583022A (en) * 1984-05-31 1986-04-15 Rca Corporation Color picture tube having shadow mask with specific curvature and column aperture spac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Z169986A3 (en) 1993-12-15
DE3608433C2 (en) 1989-06-29
IT1188569B (en) 1988-01-20
GB2175132B (en) 1989-06-21
JPH051574B2 (en) 1993-01-08
IT8619651A0 (en) 1986-03-07
CN86101478A (en) 1986-09-10
FR2579018B1 (en) 1995-04-07
BR8601066A (en) 1986-11-25
MX165247B (en) 1992-11-04
FR2579018A1 (en) 1986-09-19
DE3608433A1 (en) 1986-09-18
CA1237465A (en) 1988-05-31
SG20792G (en) 1992-04-16
JPS61214332A (en) 1986-09-24
RU1775051C (en) 1992-11-07
GB8605930D0 (en) 1986-04-16
IT8619651A1 (en) 1987-09-07
CZ278553B6 (en) 1994-03-16
PL153713B1 (en) 1991-05-31
DD243586A5 (en) 1987-03-04
GB2175132A (en) 1986-11-19
CN1009512B (en) 1990-09-05
KR860007708A (en) 1986-10-15
IN165336B (en) 1989-09-23
HK60594A (en) 199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6300A (en) Cathode ray tube having improved shadow mask
EP0304922B1 (en) Color cathode ray tube
US4727282A (en) Color cathode-ray tube
JP3300229B2 (en) Color picture tube with shadow mask with improved aperture spacing
US4162421A (en) Cathode ray tube having corrugated shadow mask with slits
EP0281379B1 (en) Shadow mask type color cathode ray tube
US4583022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shadow mask with specific curvature and column aperture spacing
KR950005109B1 (en) Cathode ray tube
KR100310404B1 (en) Shadow mask for color cathode ray tub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910001509B1 (en) Color Water Center
US6124668A (en) Color cathode ray tube
KR900005932B1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improved shadow mask
US5030881A (en) Color picture tube with shadow mask having improved aperture border
US4697119A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 non-spherical curved mask
US4691138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shadow mask with varied aperture column spacing
US4300070A (en) Cathode-ray tube screen border improvement
GB2160353A (en) Color picture tube shadow mask slit column pattern
KR100190675B1 (en) Colored cathode ray tube
JPS60177534A (en) Color picture tube
US4701665A (en) Color cathode-ray tube
CA1125348A (en) Cathode-ray tube having corrugated mask with increased mask-to-screen spacing
US4983995A (en) Exposure device for forming phosphor deposited screen in in-line cathode ray tube
US6294863B1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 shadow mask with a plurality of strip shaped reinforcing beads
US6614162B2 (en) Panel of cathode ray tube
US6707241B2 (en) Color cathode-ray t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603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803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603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198806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0071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11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01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01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6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6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6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7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6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6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6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6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0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1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9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2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061209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