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5538Y1 - 파이프용 보온재의 방습피 자동피복기 - Google Patents

파이프용 보온재의 방습피 자동피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538Y1
KR900005538Y1 KR2019870019087U KR870019087U KR900005538Y1 KR 900005538 Y1 KR900005538 Y1 KR 900005538Y1 KR 2019870019087 U KR2019870019087 U KR 2019870019087U KR 870019087 U KR870019087 U KR 870019087U KR 900005538 Y1 KR900005538 Y1 KR 9000055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insulating material
clip
cam
le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90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958U (ko
Inventor
이병식
Original Assignee
이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식 filed Critical 이병식
Priority to KR20198700190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538Y1/ko
Publication of KR8900109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9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5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538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81/00Methods, apparatus, or devices for covering or wrapping cores by wind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이프용 보온재의 방습피 자동피복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부 발취도.
제4도 (a)는 본 고안의 클램프레버부 상세도,(b)는 본 고안의 고정캠 평면도.
제5도 (a)(b)는 본 고안의 클립뭉치의 운동 작용도.
제6도 (a)(b)는 본 고안의 방습피 절단부와 클립뭉칭의 작용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생산제품.
제8도는 본 고안 생산제품의 "가-가"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인모우터 3 : 클램프캠
5 : 원동기어 6 : 공급캠
7 : 구동스프로킷 8 : 회전피니언
9 : 회전롤러 10 : 지지레버
12 : 정지센서 14 : 고정캠
18 : 멈춤쇠 33,19 :체인
20 : 이탈레버 21 : 이탈캠
22 : 이송벨트 26 : 배출레버
28 : 아이롱롤러 28'' : 엠버싱돌기
31 : 서브모우터 34 : 클립뭉치
35 : 클립 38,38' : 컷터
100 : 보온재 120 : 방습피
200 : 몸체 220 : 프레임
본 고안은 파이프의 보온을 위한 보온재의 외면을 감싸주어서 습기등을 차단하고 마무리테이프를 형성시킨 파이프용 보온재를 생산하기 위한 방습피 자동피복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파이프의 보온을 위하여 보온재를 파이프에 씌운 후, 습기등을 막고, 보온재의 마무리를 하기위해 비닐테이프등을 나선형으로 감싸주어야 하는 불편과 시간의 낭비가 많았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보온재 자체에 방습피를 씌우고 마무리테이프를 형성하면, 사용시 간편하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방습피의 피복과 마무리테이프의 형성을 자동으로 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서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인모우터 (1)에 의해 구동되는 원동축(2)에 클램프캠(3), 원동풀리 (4), 원동기어(5), 공급캠(6), 구동스프로킷(7)이 끼워지고, 원동기어(5)와 맞대어지는 회전피니언(8) 연결된 보온재(100), 회전롤리(9)가 있으며, 클램프캠(3)과 연동되는 지지레버(10)는 보온재(100)를 회전롤러(9)위에 공급하는데 지지레버(10)에는 지지쇠(11)와 정지센서(12) 가 있으며, 정지센서(12)의 슬리브(12')에 심압레버(13)가 고정쇠(10')를 중심으로 고정캠(14)에 끼워져 있고, 또한 공급캠(6)과 연동되는 공급레버(15)(15')는 회전축(15'')을 중심으로 몸체(200)의 프레임(220)에 지지대(16)에 끼워져 스프링(17)으로 받쳐져서 멈춤쇠(18)와 연결되어 보온재(100)를 공급, 대기시키고 있으며, 프레임(220)에 구동스프로킷(7)과 연결된 체인(19)의 동력을 받아 이탈레버(20)을 움직여주는 이탈캠(21)을 회전시켜주며 그 동력을 계속 보온재 이송벨트(22)에 동력을 전달하며, 이송벨트(22)에는 다수의 이송바(23)를 갖고있으며 이송벨트(22)와 구동되는 이송로울러(24)에는 보온재(100), 콘트롤 레버(25)가 편심되게 설치되어 있어 보온재(100)를 하나씩 이송시켜주며, 하단의 배출레일(26)에는 스톱바(27)가 있어서 가공이 완료된 보온재(100)의 파손을 막도록하고, 회전롤러(9) 상측에 아이롱롤러(28)가 부설되어 보온재(100)가 공급되면 솔레노이드(29)가 작동되어 방습피(120)를 끌어당겨 보온재(100) 외면에 융착시켜주며, 아이롱롤러(28)가 위로 올라오면 아이롱롤러(28)를 회전시켜 주는 보열롤러(30)가 있으며, 그 하단에는 서브모우터(31)가 있어서 이와 연결된 구동풀리(32)와 이와 왕복체인(33)으로 연결되는 클립뭉치(34)가 있으며, 클립뭉치(34)에는 클립(35)이 있으며 이 클립(35)은 방습피(120)을 물고 당겨서 보온재(100)에 감길 수 있게 하여주며, 클립뭉치(34)위에 클립해제턱(36)과 리미트스위치(37)가 있고, 아이롱롤러측(28')에 상 컷터(38)가 있고, 하측에 하 컷터(38')가 있어서 클립뭉치(34)가 이동되면서 하컷터(38')를 밀어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같은 위치에 압착롤러(39)(39')와 평행롤러(40)(40'), 필름뭉치(41), 지지틀(43)과 접착제뭉치(42), 지지틀(43') 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메인모우터(1)의 구동으로 원동축(2)과 이탈캠(21), 이송벨트(22), 이송롤러(24)가 회전하면서, 이송벨트(22)의 이송바(23) 에 얹혀져 보온재(100) 가 하나씩 이송되어 멈춤쇠(18)위에 하나씩 걸리고, 도면 제3도에 표현된 바와같이 클램프캠(3)에 의해 지지레버(10)를 이동시키고, 동시에 공급캠(6)에 연동되는 공급레버(15)의 작동으로 멈춤쇠(18)가 내려져 보온재(100)를 떨어뜨려 지지레버(10)의 지지쇠(11)위에 얹혀지고, 클램프캠(3)이 회전하여 회전롤러(9)위로 옮겨질때, 지지레버(11)중간에 설치된 심압레버(13)가 고정캠(14)에 의해 정지센터(12)를 이동시켜 보온재(100) 파이프(105)에 끼워져서 흔들림을 방지 하도록하여, 보온재(100)가 회전롤러(9)위에 올려지면 회전피니언(8)의 클러치(8')가 작동하여, 보온재(100) 가 회전하면 솔레노이드(29) 가 작동하여 아이롱롤러(28)를 하향시켜 방습피(120)를 끌어당겨 보온재(100) 외륜에 융착시키는데, 아이롱롤러(28) 내부에는 히터가 장착되어 고온으로 가열되어있고, 표면에는 엠버싱돌기(28'')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보온재(100) 외륜에 방습피(120)가 융착되면 아이롱롤러(28)가 솔레노이드(29)의 작동으로 위로 올라가고 다시 클램프캠(3)에 의해 지지레버(10)가 위로 이동하면 이탈캠(21)에 의해 이탈레버(20)가 지지쇠(11)에 얹혀진 보온재(100)를 밀어내어 배출레일(26)위로 떨어뜨리면 보온재(100)는 굴러서 스톱바(27)에 일단 걸리게되어, 3-4개가 걸리면 자동으로 젖혀지면서 배출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지지레버(10)가 위로 이동할때 고정캠(14)에 걸려있는 심압레버(13)가 정지센터(12)를 보온재(100) 파이프(105)에서 빠지게 한다.
도면 제2도에 표현된 것은 필름뭉치(41)와 접착재뭉치(42), 평행롤러(40)와 압착롤러(39)를 보온재(100)에 감길 수 있도록 당겨주는 클립뭉치(34)를 왕복시켜주는 체인(33)과의 관계, 그리고 이를 구동시켜주는 서브모우터(31)를 나타내며, 제5도는 클립뭉치(34)의 운동작용을 나타내며, 제6도는 방습피(120) 절단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 그 작용을 설명하면, 필름뭉치(41)와 접착재뭉치(42)에서 풀려진것을 압착롤러(39)가 압착하고, 제5도 (a)와 같이 클림뭉치(34)가 이동할때 클립레버(34')는 벌림쇠(36)에 의해 클립레버(34')을 벌려주어 방습피(120)를 끌고 이동하여 몸체(200)끝에 다오면, 리미트스위치(44)가 작동하여 서브모우터(31)를 정지시키고, 앞에서 설명한 아이롱롤러(28)가 내려오면서 클립레버(34')를 벌려주고, 반대편의 상 컷터(38)와 하 컷터 (38') 가 방습피(120)를 절단하여 보온재 (100)에 감겨주고, 서브모우터 (31)가 역회전하여 클립뭉치(34)가 원위치하면서 제6도 (b)와같이 하 컷터(38')를 밀고 클립(35)이 방습피(120)를 물고 끌고가는데, 클립레버(34')가 위로 올라가면서 제5도 (a)와 같이 리미트스위치(37)르 밀어주어 서브모우터(31)를 정지시켜주는 것이다.
또한 클립뭉치(34)가 원위치할 때 보온재(100)에 삽입부(101)를 형성하도록 자르면서 이동한다.
이와같은 작용으로 보온재(100)의 방습피(120)를 자동으로 융착시켜 대량생산을 하고 균일한 제품을 생산하며, 제7도와같은 제품의 생산으로 제품의 사용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계로 생산된 제품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아이롱롤러(28)에 의해 방습피(120)를 융착할때 엠버싱(102)을 형성하여 외부의 열기를 확산시키고 파이프삽입부(101)로 파이프에 씌우고 마무리테이프(103)의 접착제보호대(104)를 떼어내고, 파이프삽입부(101)위에 덮으면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체품을 종래에는 비닐테이프등을 나선상으로 감아주어야 하는 불편이 수반되었던 것이다.

Claims (1)

  1. 메인모우터(1)에 의해 구동되는 원동축(2) 에 클램프캠(3), 원동풀리(4), 원동기어 (5), 공급캠(6), 구동스프로킷(7)이 끼워지고, 원동기어(5)와 맞대어지는 회전피니언(8)에 연결된 보온재(100), 회전롤러(9)가 있으며,클램프캠(3)과 연동되는 지지레버(10)는 보온재(100)를 회전롤러(9)위에 공급하는데 지지레버(10)에는 지지쇠(11)와 정지센터 (12)가 있으며, 정지센터(12)의 슬리보(12')에 심압레버(13)가 고정쇠 (10')를 중심으로 고정캠(14)에 끼워져있고, 또한 공급캠(6)과 연동되는 공급레버(15)(15')는 회전축(15'')을 중심으로 몸체(200)의 프레임(220)에 지지대(16)에 끼우져 스프링(17)으로 받쳐져서 멈춤쇠(18)와 연결되어, 보온재(100)를 공급, 대기시키고 있으며, 프레임(220)에 구동스프로킷(7)과 연결된 체인(19)의 동력을 받아 이탈레버(20)를 움직여주는 이탈캠(21)을 회전시켜 주며, 그 동력은 계속 보온재 이송벨트(22)에 동력을 전달하여 이송벨트(22)에는 다수의 이송바(23)를 갖고있으며, 이송벨트(22)와 구동되는 이송로울러(24)에는 보온재(100). 콘트롤레버(25)가 편심되게 설치되어 있어, 보온재(100)를 하나씩 이송시켜주여, 하단의 배출레일(26)에는 스톱바(27)가 있어서 가공이 완료된 보온재(100)의 파손을 막도록하고, 회전롤러(9) 상측에 아이롱롤러(28)가 부설되어 보온재 (100) 가 공급되면 솔레노이드(29)가 작동되어, 방습피(120)를 끌어당겨 보온재(100) 외면에 융착시켜주며, 아이롱롤러(28)가 위로 올라오면 아이롱롤러(28)를 회전시켜 주는 보열롤러(30)가 있으며. 그 하단에는 서브모우터(31)가 있어서 이와 연결된 구동풀리(32)와 이와 왕복체인(33)으로 연결되는 클립뭉치(34)가 있으며, 클립뭉치(34)에는 클립(35)이 있으며, 이 클립(35)은 방습피(l20)를 물고 당겨서 보온재(100)에 감길수있게 하여주며, 클립뭉치(34)위에 클립 해제턱 (36) 과 리미트스위치(37)가 있고, 아이롱롤러축(28')에 상 컷터(38)가 있고, 하측에 하 컷터(38')가 있어서 클립뭉치(34)가 이동되면서 하 컷터(38')를 밀어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같은 위치에 압착롤러(39)(39')와 평행롤러(40)(40'), 필름뭉치(41), 지지틀(43)과 접착재뭉치(42), 지지틀(43') 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의 파이프용 보온재의 방습피자동 피복기.
KR2019870019087U 1987-11-03 1987-11-03 파이프용 보온재의 방습피 자동피복기 Expired KR9000055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9087U KR900005538Y1 (ko) 1987-11-03 1987-11-03 파이프용 보온재의 방습피 자동피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9087U KR900005538Y1 (ko) 1987-11-03 1987-11-03 파이프용 보온재의 방습피 자동피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958U KR890010958U (ko) 1989-07-11
KR900005538Y1 true KR900005538Y1 (ko) 1990-06-20

Family

ID=19269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9087U Expired KR900005538Y1 (ko) 1987-11-03 1987-11-03 파이프용 보온재의 방습피 자동피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53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958U (ko) 198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1804426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матывани в переносной рулон каскадно подводимой печатной продукции и обв зывани полученного рулона
US4080880A (en) Method for preparation of cylindrical corrugated article
DK144267B (da) Apparat til opvikling og komprimering af en boejelig komprimerbar materialebane til en rulle
JP4024866B2 (ja) 食用の小さなワッフルロール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GB2206867A (en) Band loading apparatus in a packaging machine
KR900005538Y1 (ko) 파이프용 보온재의 방습피 자동피복기
US4509666A (en) Stocking turning device
US1792203A (en) Package-making mechanism
US4008649A (en) 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a cylindrical corrugated article
KR100492163B1 (ko) 비드 부착용 직물지 가공장치
CN207902799U (zh) 热熔机
EP0614414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paint rollers
US2965531A (en) Method of making shingle panel
KR910005284Y1 (ko) 면봉 제조장치
US4321023A (en) Machine for making strudel leaf, dough sheets
US2934110A (en) Apparatus for making shingle panels
CH271539A (fr) Machine à emballer.
KR920010534B1 (ko) 한지장판의 제조장치
RU2736092C1 (ru) Гибридная машина для переводной печати
US2364616A (en) Bonding sheet material
KR200304234Y1 (ko) 비드 부착용 직물지 가공장치
JPH0753546B2 (ja) コアレスペーパーロールの製法とこれに用いる装置と巻取軸
US4149928A (en) Manufacture of insulation products
CN212530342U (zh) 自动套袋装置
JP3459920B2 (ja) 車麩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7110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7110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52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08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009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0090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41008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