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4832Y1 - 공기 작동완구가 부착된 보행기 - Google Patents

공기 작동완구가 부착된 보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832Y1
KR900004832Y1 KR2019860000862U KR860000862U KR900004832Y1 KR 900004832 Y1 KR900004832 Y1 KR 900004832Y1 KR 2019860000862 U KR2019860000862 U KR 2019860000862U KR 860000862 U KR860000862 U KR 860000862U KR 900004832 Y1 KR900004832 Y1 KR 9000048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y
walker
infant
air
air ba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08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951U (ko
Inventor
심재훈
Original Assignee
심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재훈 filed Critical 심재훈
Priority to KR20198600008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4832Y1/ko
Publication of KR8700119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9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8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832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4Apparatus for helping babies to walk; Baby walkers or strollers
    • A47D13/043Baby walkers with a seat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기 작동완구가 부착된 보행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조 단면도.
본 고안은 공기 작동완구를 부착한 보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기는 걸음마이전의 유아가 몸을 의지하고 앉아서 유아 자신의 발놀림을 좌우 전후 어느 방향으로든 진행하도록하여 유아의 다리힘을 키우며 걸음마를 돕도록한 것이며 또한 유아의 행동반경을 넓혀주어 오래 싫증을 내지않고 앉아 놀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용도의 보행기 상단면에 회전완구 등을 부착하여 놀게한 것은 그것을 회전시킴으로해서 단순하고 시끄러운 소음뿐이고 유아가 곧 싫증을 내게되어 그 완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해서 완구로서 기능을 다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유아의 인위적인 동작이 아닌 보행기의 굴림을 위한 몸놀림과 함께 완구가 춤을 추듯이 움직이며 별도의 손작동으로 완구의 일부가 움직이며 소리를 내도록 한 것이다.
이하 고안의 요지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행기(1)의 시트(2) 아래 앉는 부위에 공기 주머니(3)를 부착하고 이를 보행기(1) 상단에 고정 부착되며 몸체(4)는 고정되고 다리(5)(5')는 공기 주머니로 형성된 완구(6)와 후렉시블 호스(7)로 연결하며 또한 보행기(1) 상단 일측에 공형 또는 주름상자형으로된 공기펌프(8)를 부착하고 이를 완구(6)의 작동 부분(9)와 후렉시블호스(7')로 연결하며 완구(6)의 작동부분(9)의 끝단(10)에 소리를 낼 수 있는 발성기(11)을 부착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의 보행기(1)는 유아가 타기전에 고정체인 몸체(4)를 가진 완구(6)는 자중에 의해 다리를 접고 보행기(1)위에 접혀있으나 유아가 보행기(1) 시트(2)에 앉으면 공기 주머니(3)를 누르게되어 공기는 후렉시블호스(7)를 타고 완구(6)의 다리(5)(5')를 부풀려 완구(6)를 펴서 일어서게 하는데 유아가 보행기(1)의 진행을 위해 다리를 움직이면 유아의 몸이 공기 주머니(3)를 많이 또는 적게 누르는 동작이 반복되므로 완구(6)가 움찔움찔 춤을추듯이 움직이는 것이다.
또한 별도의 공기펌프(8)를 누르면 완구(6)의 작동부분(9)이 상방 또는 전방으로 일어서면서 끝부분(10)의 발성구(11)에 의해 소리를 내는 것이다.
이와같이 유아 자신의 몸놀림에 의해 완구(6)가 춤을 추듯이 움직이게 됨으로 유아는 완구(6)의 움직임을 보기위하여 더욱 열심히 몸을 움직이며 간헐적으로 공기펌프(8)를 눌러 주므로서 완구(6)의 움직임과 소리와의 조화를 즐기며 장시간 보행기(1)에서 놀수 있으므로해서 보행기의 목적에 완전 부합되도록 하여 보호자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유아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걸음마에 도움을 줄수 있음은 물론 보행기의 사용효율을 크게 향상 시킬뿐 아니라 소리와 움직임으로 인한 유아의 감각 교육에도 응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보행기(1) 시트(2)에 공기주머니(3)를 설치하고 이를 몸체(4)는 고정이며 다리(5)(5')는 공기주머니인 완구(6)와 후렉시블 호스(7)로서 연결하며, 공기펌프(8)와 완구(6)의 작동부분(9)을 후렉시블 호스(7')로 연결하며 그 끝단(10)에 발성구(11)을 장치를 한 공기 작동완구가 부착된 보행기.
KR2019860000862U 1986-01-28 1986-01-28 공기 작동완구가 부착된 보행기 Expired KR9000048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0862U KR900004832Y1 (ko) 1986-01-28 1986-01-28 공기 작동완구가 부착된 보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0862U KR900004832Y1 (ko) 1986-01-28 1986-01-28 공기 작동완구가 부착된 보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951U KR870011951U (ko) 1987-08-01
KR900004832Y1 true KR900004832Y1 (ko) 1990-05-31

Family

ID=19248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0862U Expired KR900004832Y1 (ko) 1986-01-28 1986-01-28 공기 작동완구가 부착된 보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483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951U (ko) 198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32356A (en) Therapeutic creeping device
US4822030A (en) Juvenile walker
US2878858A (en) Bowl shaped play thing
US4988138A (en) Bumper guard for baby walker
US2562080A (en) Buoyant sustaining seat
US6080033A (en) Footprint generating toy
US5125712A (en) Front cover for a baby stroller
KR900004832Y1 (ko) 공기 작동완구가 부착된 보행기
ES279777U (es) Una muneca de juguete perfeccionada animada de movimientos sincronizados.
US3848869A (en) Extensible riding toy
US2560963A (en) Rocking toy
US3129952A (en) Child's baby crawler type vehicle
KR100900207B1 (ko) 유아용 승용놀이구
US4852942A (en) Child's dinner seat and method of feeding
JP3221248U (ja) 人形付ブランケット
KR910007059Y1 (ko) 어린이 완구용 나비차
GB2195522B (en) Improvements relating to articles providing entertainment or amusement
CN210055385U (zh) 学步车
US3837114A (en) Walking two-legged figure toy with rigid forward extension
KR200237972Y1 (ko) 스프링 뜀다리
JPH033366U (ko)
JP2005218464A (ja) 膝つき歩行補助具
JPH0315095Y2 (ko)
KR940005149Y1 (ko) 실내용 자전거겸 보행기
JPH02139670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6012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6012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43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081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