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2524Y1 - 푸시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시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524Y1
KR900002524Y1 KR2019870003534U KR870003534U KR900002524Y1 KR 900002524 Y1 KR900002524 Y1 KR 900002524Y1 KR 2019870003534 U KR2019870003534 U KR 2019870003534U KR 870003534 U KR870003534 U KR 870003534U KR 900002524 Y1 KR900002524 Y1 KR 9000025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witch
spring
pushbutton switch
pressing sp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35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363U (ko
Inventor
히데도 마쓰후사
아끼오 니시지마
Original Assignee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filed Critical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33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3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5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524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푸시버튼 스위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푸시버튼 스위치 구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 2 도및 제 3 도는 종래의 푸시버튼 스위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제 2 도는 복귀상태,
제 3 도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축 2 : 키이톱
3 : 상 케이스 4 : 하케이스
5 : 코일 스프링 6 : 스위치 소자
7 : 압입 스프링 7a : 작용돌기
8 : 클릭용 판스프링 8a : 돌곡부
9, 10, 11 : 불화수지 코우팅
본 고안은 퍼스널 컴퓨터, 워어드 프로세서 등의 입력정치인 키이 보오드에 사용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 워어드 프로세서 등의 키이보오드에는, 각 입력 키이 마다 푸시버튼 스위치가 설치된다.
제 2 도, 제 3 도는 이와 같은 푸시버튼 스위치의 종단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 2 도는 그 복귀상태(스위치·오프의 상태), 제 3 도는 그 작동상태(스위치·온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중, 1은 축이고, 정상부에 키이톱(2)을 가지고 있고, 상, 케이스(3)와 하이케스(4)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케이스의 상케이스(3)의 상벽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축(1)은 스위치 부작동시에는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케이스(4) 내저면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5)에 의하여 밀어올려진 복귀상태로 되어 있고, 작동시에는 조각자의 지압에 의하여 제 3 도의 상태로 밀어 내려지고, 이 상하 왕복동에 의하여 스위치가 온·오프 작동하게 도니다.
스위치 케이스(3,4)내부에는 도면중 쇠선으로 나타낸 스위치 소자(6)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스위치 소자(6)는 그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지 않았으나, 압압스프링(7)의 작용돌기(7a)로 압압되면 스위치·온이 되고, 작용돌기(7a)가 떨어지면 스위치·오프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압스프링(7)은 축(1)이 제 3 도와 같이 눌리면 축(1)에 의하여 눌려져 스위치 소자(6)쪽으로 변위하여 작용돌기(7a)가 스위치소자(6)를 압압하고, 축(1)이 코일 스프링(5)에 의하여 밀어 올려지면 제 2 도와 같이 그 탄성력에 의하여 복귀하여 작용돌기(7a)가 스위치소자(6)로 부터 떨어진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종래의 푸시버튼 스위치에 있어서는, 축(1)에는 압압스프링(7)의 탄성력으로 항상 밀어 붙혀져 있어, 스위치 조작지 키이톱(2)을 눌러 축(1)을 밀어내리면, 축(1)은 탄성력이 저항하여 접동한다. 이것은 축(1)이 코일 스프링(5)에 의하여 복귀될때도 마찬가지이다.
이 때문에 축91)과 압압스프링(7)과의 사이에 큰 마찰 저항을 발생하여, 그 접동면이 심하게 마모되거나, 긁힘이 생기거나 하여 축의 복귀불량들의 이상을 양기하며 부품의 교환 내지 스위치 전체의 교환을 불가피하게 만든다. 특히 축(1)은 통상 하성수지로, 압압스프링(7)은 통상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축(1)은 접등부가 깎이는 일이 많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푸시버튼 스위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내(耐)수명을 연장시킬수가 있는 푸시 버튼 스위치의 구조를 제공하고져 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푸시버튼 스위치는 스위치케이스를 위쪽으로 부터 관통시켜 설치되고 장상부에 키이 톱을 가지는 축과, 스위치 케이스내에 설치된 스위치 소자와 상기 축의 왕복 운동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 소자를 작동시키는 압압스프링과, 상기 축을 왕복 방향에 대하여 부세하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푸시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축과 압압스프링의 사로 접동하는 어느 한쪽에 불화수지 코우팅이 실시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이 푸시버튼 스위치에 있어서는 축 및 압압 스프링의 접동부분에 실시된 불화수지 코우팅의 작용에 의하여 스위치 작동시의 축 왕복운동에 의한 접동마찰이 저감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푸시버튼 스위치에 있어서는, 축 및 압압 스프링의 접동부분에 실시된 불화수지 코우팅의 작용에 의하여 스위치 작동시의 축 왕복운동에 의한 접동마찰이 저감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푸시버튼 스위치의 구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제 2 도에 대응하는 복귀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중 제 2 도, 제 3 도에 나타낸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각각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축(1)의 전표면에 불화수지 코우팅(9)이 피복되어 있다. 또 압입스프링(7)의 반대측에는 클릭용 판스프링(8)이 설치되고, 압압스프링(7) 및 클릭용 판스프링(8)의 축(1)에 대향하는 측의 표면에도, 각각 불화 수지 코우팅(10,11)이 실시되어 있다. 이 불화수지 코우팅의 한 수단으로서 축(1)은 침적(dip)에 의하여 행하고 (막두께 15u-25u정도), 압압스프링(7)과 클릭용 스프링(8)에는 소성가공에 의하여 실시한 것이다(막두께 10u-30u정도).
이 불화수지 코우팅(9, 10, 11)에 적용되는 불화수지는 예를 들면 PTFE(폴리 4불화 에틸렌), FET(4불화에틸렌 6불화 프로페렌 공중합체)등의 합성 수지로서, 어느것이나 표면 접동마찰 저항이 극히 낮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푸시버튼 스위치 구조에 있어서, 제 1 도의 상태로 부터 키이톱(2)을 지압으로 누르면 상기 종래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축(1)이 하강하여 압압스프링(7), 클릭용 판스프링(8)사이를 접동하고, 탄성력에 대항하여 돌곡부(8a)의 클릭을 벗어남과 동시에 작용돌기(7a)를 스위치소자(6)에 밀어붙혀 스위치를 온한다. 키이톱(2)으로 부터 손을 때면 축(1)은 코일 스피링(5)의 탄성력에 의하여 압압스프링(7) 및 클릭용 판스프링(8)으로 양측으로 부터 밀리면서 상승하여 원래의 제 1 도의 상태로 복귀하여 스위치·오프가 된다. 이와같이, 축(1)은 압압스프링(7)과 클릭용 판스프링(8)의 탄력에 의하여 밀리면서 상하 왕복운동을 하나, 상기와 같이 축(1), 압압스프링(7), 클릭용판 스프링(8)의 서로 접등하는 면에 불화수지의 코우팅이 실시되어 있기 때문에, 축(1)과 양 스프링(7,8)과의 사이의 접등 마찰 저항이 극히 낮아져 축(1)은 원활하게 상하로 움직일수가 있어 양자간의 접동면사이에 긁힘을 발생하여 작동 불량을 일으키거나, 표면이 깎이어 손상되거나 하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불화수가 코우팅이 축(1)의 전표면 및 압압스프링(7), 클릭용판스프링(8)의 각 축(1)의 대향면의 전면에 실시된 것이나, 축(1)의 왕복운동에 다라 접동하는 부분에만 한하여 불화수지 코우팅을 실시해도 좋다. 또 축(1)과 스프링(7,8)의 어느 한쪽에만 불화수지 코우팅을 실시하는 것만으로도 소기의 목적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클릭용 스프링(8)을 사용한 푸시버튼 스위치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예의 클릭용 판스프링(8)을 사용하지 않는 푸시버튼 스위치에 있어서도, 축(1)과 압압스프링(7)의 어느 한쪽에만 불화수지 코우팅이 실시되어 있으면 된다.
이상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푸시버튼 스위치의 구조에 의하면 축의 상하 왕복동에 따른 접동마찰이 현저하게 저감되기 때문에 스위치의 작동이 원활하게 되고, 부재의 마모 손상이 경감되어 내(耐)수명이 크게 연장된다.

Claims (1)

  1. 스위치 케이스를 위쪽으로 부터 관통하여 설치되고, 정상부에 키이톱을 가지는축과, 스위치 케이스내에 설치된 스위치 소자와, 상기축의 왕복 운동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 작동시키는 압압스프링과, 상기 축을 왕복 방향으로 부세하는 코일 스프링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푸시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축과 압압스프링의 서로 접동하는 부분의 어느 한쪽에 불화수지 코우팅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KR2019870003534U 1986-07-18 1987-03-20 푸시버튼 스위치 Expired KR90000252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6-111135 1986-07-18
JP1986111135U JPS6319726U (ko) 1986-07-18 1986-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363U KR880003363U (ko) 1988-04-13
KR900002524Y1 true KR900002524Y1 (ko) 1990-03-30

Family

ID=30990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3534U Expired KR900002524Y1 (ko) 1986-07-18 1987-03-20 푸시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19726U (ko)
KR (1) KR90000252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8957B2 (ja) * 2005-02-03 2010-07-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19726U (ko) 1988-02-09
KR880003363U (ko) 198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6271A (en) Elastomer-made push button switch covering member
EP0499449B1 (en) Key switch
US5120923A (en) Push button switch
US4733036A (en) Coil spring for key switch
US4814561A (en) Elastic member for supporting a key top in a push button switch construction
US9378903B2 (en) Keyswitch structure and balance link thereof
US6455795B1 (en) Key switch improved in feel of actuation and return speed during operation by finger
US20200152402A1 (en) Key structure and keyboard
US4851626A (en) Key switch device
US11373819B2 (en) Key structure and keycap assembly thereof
US5004880A (en) Click-type push button switch with improved leaf spring
KR900002524Y1 (ko) 푸시버튼 스위치
KR840004298A (ko) 스위치
CA2741733C (en) Keypad with long key travel and improved touch feeling
TWI628682B (zh) 按鍵
CN108807057B (zh) 具有按压段落感的按键
KR100559189B1 (ko) 키톱
US4751355A (en) Pushbutton switch with combined restoring-tactile feel spring
US4453198A (en) Linear feel keyswitch with hysteresis
US4454562A (en) Keyswitch with telescoping plunger
US4002879A (en) Double column leaf spring push-button switch
TWI725778B (zh) 按鍵裝置
KR930000695Y1 (ko) 푸시 스위치
US4345125A (en) Snap action switches
TWI768921B (zh) 按鍵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7032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7032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30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070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008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0082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41008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