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2143B1 - 덕트식 멀티조온 공조시스템 - Google Patents

덕트식 멀티조온 공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143B1
KR900002143B1 KR1019860001427A KR860001427A KR900002143B1 KR 900002143 B1 KR900002143 B1 KR 900002143B1 KR 1019860001427 A KR1019860001427 A KR 1019860001427A KR 860001427 A KR860001427 A KR 860001427A KR 900002143 B1 KR900002143 B1 KR 900002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air
air conditioning
damper
set tempera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1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7516A (ko
Inventor
노부오 오오쓰까
톰프슨 피이터
기스께 야마자끼
히데오 이가라시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065379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25529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06537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25535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096702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56138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112132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72549A/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7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7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143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44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24F11/523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for displaying temperature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24F11/67Switching between heating and cooling m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0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in which the air treatment in the central station takes place by means of a heat-pump or by means of a reversible cycl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17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digital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27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 G05D23/193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sensing the temperaure in different places in thermal relationship with one or more spaces
    • G05D23/1932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sensing the temperaure in different places in thermal relationship with one or more spaces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a plurality of spaces
    • G05D23/1934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sensing the temperaure in different places in thermal relationship with one or more spaces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a plurality of spaces each space being provided with one sensor acting on one or mor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덕트식 멀티조온 공조시스템
제 1 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덕트식 멀티조온 공조시스템의 구성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공조시스템에 있어서의 온도차와 온도회복 필요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 3 도는 제 1 도의 공조시스템에 있어서의 일정한 열이득하에서의 시간과 온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선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공조시스템에 있어서의 온도응답곡선을 나타낸 도면.
제 5 도는 제 1 도중의 송풍기팬에 있어서의 풍량과 압력과의 관계를 나타낸 선도.
제 6 도는 제 1 도의 공조시스템에 있어서의 옥외온도와 급기온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선도.
제 7 도는 마스터스위치, 루움더어모스태트, 메인콘트로울러를 일부 회로로 나타낸 블록도.
제 8 도는 제 7 도의 더어모스태트 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아트.
제 9 도는 제 8 도의 서브루우틴 「루움표시」(스텝 S26)를 나타낸 플로우차아트.
제 10 도는 루움더오모스태트의 외관사시도.
제 11 도는 제 10 도의 루움더오모스태트의 전기회로도.
제 12 도 및 제 13 도는 제 11 도중에 나타낸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의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차아트.
제 14 도는 아날라이저의 배치를 나타낸 실시예의 블록도.
제 15 도 내지 제 18 도는 제 14 도의 아날라이저에 격납된 각기 다른 초기설정 프로그램을 나타낸 플로우차아트.
본원 발명은 덕트(duct)를 통해 복수의 공조구역을 냉난방하는 덕트식 멀티조온 공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택용의 공조시스템이 보급되어 왔지만, 이와 같은 공조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냉난방용의 공기 대 공기식 히이트펌프(heat pump)와, 극한시 난방용의 가스버어너와 송풍용의 송풍기팬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히이트펌프는 그 열교환기의 한쪽이 옥외에 놓여지고, 다른쪽이 가스버어너와 연설(演說)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는 3개의 동작모우드가 있다. 즉,
(1) 더울 때에 가스버어너를 작용시키지 않고, 히이트펌프를 냉방운전시키는 냉방운전모우드와,
(2) 추울 때에 가스버어너는 작용시키지 않고, 히이트펌프를 난방운전시키는 통상 난방운전모우드와,
(3) 히이트펌프의 효율이 매우 낮은 극한시에, 히이트펌프를 차단하여, 가스버어너만을 열원으로 해서 난방운전하는 극한 난방운전모우드가 있다.
그런데, 현재의 주택에서는 공조되는 공간이 통상 몇개의 실(室)로 나누어져 있고, 이 때문에 덕트를 통해 복수길의 공조공간(이하 구역이라고 함)을 하나의 중앙유니트로 냉난방하는 덕트식 공조시스템이 널리 채용되게 끔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덕트식 공조시스템에는 실온 검출용의 더어모스태트가 단지 하나 설치되어 있을 뿐이며, 이 때문에 각 공조구역별의 온도제어를 할 수 없으며, 각 공조구역마다의 쾌적성을 유지할 수 없는 동시에, 불필요한 에너지가 소비되어 효율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 발명에 의한 덕트식 멀티조온 공조시스템은 복수실의 공조공간에 각기 온도검출수단과 공기댐퍼와 각 공조구역을 소망의 온도로 설정하는 구역온도설정수단을 설치하고, 또한 각 공조공간이 소망의 온도로 되도록 상기 온도검출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공기댐퍼를 개폐제어하는 개폐제어수단을 구비하며, 복수실의 공조구역이 소망의 온도로 되도록 온도검출수단의 검출온도에 의해 공기댐퍼를 개폐제어하므로, 각 공조구역별의 온도조절을 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공기댐퍼개폐수단에 복수실의 온도설정을 일괄해서 하는 주온도설정수단을 구비하여 공기댐퍼를 개폐제어하는 동시에, 복수실의 공조공간의 온도설정을 하는 구역온도설정수단과 상기 주온도설정수단으로부터의 현재 설정온도에 대응한 신호를 상시 입력하여 현재 설정온도를 전 설정온도로서 기억하며, 이 전 설정온도와 다음에 입력되는 현재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불일치할 때 다음에 입력되는 현재 설정온도로 제어온도를 변경하는 온도결정수단을 구비한 것이며, 이와 같이 함으로써 주온도설정수단 또는 구역온도설정수단중, 어느 현재 설정온도를 변경해도 항상 최후에 조작한 온도에 우선 순위가 부여되도록 했으므로, 사용자가 현재 희망하는 온도로 언제나 제어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 주온도설정수단에 현재 설정온도를 표시시켜, 구역온도설정수단에 제어온도 및 현재온도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바라는 온도로 제어온도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주온도설정수단에 의해 각 방안의 제어온도가 변경되었을 때에도, 즉시 사용자에 인식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공기댐퍼개폐수단을 타이머기능을 갖도록 하고, 수동으로 온도설정이 가능한 리세트모우드를 가지며, 이 리세트모우드에 있어서, 실제 시간보다도 빠른 속도로 예정시간 표시를 하여 예정시간에 있어서의 설정온도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과, 이 입력을 기억하는 수단과, 이 예정시간 및 설정온도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스케쥴제어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서, 이 실시예에 의하면 리세트모우드에 있어서 실제시간보다도 빠른 속도로 예정시간을 표시하는 동시에 설정온도입력수단에서 입력되어 있는 설정온도를 표시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설정온도를 시각에 의해 확인하면서 예정시간마다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실제시간보다도 빠른 속도로 예정시간과 설정온도를 표시하는 체크모우드를 설치함으로써, 이 체크모우드에 있어서, 실제시간보다도 빠른 속도로 예정시간을 표시하는 동시에 그 예정시간에 있어서의 설정온도를 표시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예정시간에 있어서의 설정온도를 시각을 통해 단시간에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는 공기댐퍼개폐수단을 이 개폐수단 본체에 착탈가능하며, 또한 공조제어에 필요한 초기설정정보를 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수단을 가진 아날라이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아날라이저에 내장된 초기설정프로그램에 의해 공조제어장치에 필요한 초기설정정보를 적절히 입력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에,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에 있어서, (1)은 본 실시예의 덕트식 멀티조온 공조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이루어진 메인콘트로울러, (25)는 냉방 및 난방용 히이트펌프이며, (10)은 그 실외 유니트(19)는 옥외온도를 검출하는 옥외온도센서, (20)은 상기 히이트펌프의 실내유니트로서의 팽창열교환기, (30)은 용량가변형 가스버어너, (40)은 역시 용량가변형 송풍기팬, (50)은 사용자가 공조시스템에 대해 각종 지령을 입력하기 위한 마스터스위치, (52)는 상기 메인콘트로울러(1)에 접속된 서어비스포오트, (55)는 복수의 공조구역 예를 들면 각 방(#1 내지 #5)의 각각에 설치된 루움더어모스태트, (60)은 상기 팽창열교환기(20)와 가스버어너(30)와 송풍기팬(40)으로 이루어진 중앙유니트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공조공간에 인도하는 급기덕트, (61)은 이 급기덕트(60)에서 각 공조구역에 공기를 분류시키는 분기덕트, (62)는 임의의 개폐위치를 취할 수 있는 급기측 공기댐퍼, (63)은 각 공조공간에 개구하는 급기구, (64)는 각 공조공간에 개구하는 배기구, (65)는 열리거나 닫히는 위치를 취하는 배기측 공기댐퍼, (66)은 각 공조구역에서 공기류를 배출시키는 분기덕트, (67)은 상기 중앙유니트에 공기를 환류시키는 배기덕트, (68)은 상기 급기덕트(60)중에 설치된 급기온도센서이다.
상기 히이트펌프의 실외유니트(10)는 동 유니트제어전용의 마이크로프로세서(11)와, 인버어터 등으로 이루어진 용량콘트로울러(12)와, 냉매압축용의 콤프레서(13)와, 송풍용팬(14)과, 냉매회로를 형성하는 파이프(15)와, 냉매유량조정용 팽창밸브(16)와, 냉방 또는 난방에 따라 냉매의 흐름을 전환하는 전환밸브(17)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팽창열교환기(20)는 흡열 및 배열용 팬부착 파이프(21)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실외유니트(10)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가스버어너(30)는 동 버어너제어전용의 마이크로프로세서(31)와, 가스도입구(32)와, 용량콘트로울러(33)와 가스연소열교환기(3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송풍기팬(40)은 동 팬제어전용의 마이크로프로세서(41)와, 인버어터 등으로 이루어진 용량콘트로울러(42)와, 상기 송풍기팬(40)의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의 압력의 증대를 모니터하는 공기압센서(43)와, 상기 송풍기팬(40)을 회전 구동하는 송풍기모우터(4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송풍기팬(40)는 상기 덕트(60),(67) 및 공기댐퍼(62),(65)등과 함께 풍량가변 덕트계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마스터스위치(50)는 공조시스템의 동작모우드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3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제 1 의 기능은 사용자에 대해 난방운전모우드, 냉방운전모우드, 냉방운전모우드 또는 시스템정지모우드의 어느 하나를 선택시키는 기능이다. 또 제 2 의 기능은 사용자에 대해 모든 공조구역이 같은 온도로 유지되도록 제어되는 공통온도제어모우드 또는 개개의 공조구역이 개별적으로 온도제어되는 개별온도제어모우드의 어느 하나를 선택시키는 기능이다. 또한 제 3 의 기능은 공통온도 제어모우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 소망의 공통온도를 설정 가능케하는 기능이다. 마스터스위치(50)는 각 공조구역의 루움더어모스태트(55)가 개별온도제어모우드 및 공통온도제어모우드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각 공조구역의 온도를 검출하므로, 그 자체는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상기 옥외온도센서(19), 공기압센서(43), 루움더어모스태트(55) 및 급기온도센서(68)로부터의 출력신호는 메인콘트로울러(1)에 전송되도록 되어 있으며, 동 메인콘트로울러(1)의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연산이 실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산의 결과에 의거하여 메인콘트로울러(1)에서 각종 제어신호가 출력되게끔 되어 있어서, 필요에 따라 이들 제어신호가 공기댐퍼(62),(65), 송풍기팬(40), 히이트펌프의 실외유니트(10) 및 가스버어너(30)에 보내진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1),(31) 및 (41)은 상기 실외유니트(10), 가스버어너(30) 및 송풍기팬(40)의 용량조절 뿐만 아니라, 이들의 시동, 정지 및 안전을 위해서도 사용되게끔 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덕트식 멀티조온 공조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난방운전모우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난방운전모우드에서는 메인콘트로울러(1)는 각 공조구역의 온도를 루움더어모스태트(55)에 의해 독해하여, 그들과 각 구역의 소망의 설정온도를 비교한다. 소망의 설정온도는 마스터스위치(50) 또는 루움더어모스태트(55)의 곳에서 설정되게끔 되어 있다. 지금 어떤 공조구역의 난방시의 온도가 소망의 설정온도보다 낮을 때, 메인콘트로울러(1)는 그 공조구역의 온도를 소망의 설정온도까지 높이는 데 필요한 예상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계산을 한다. 제 2 도는 소망온도와 실제온도와의 차와, 이 소망온도까지 온도를 상승시키는 데 필요한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계산된 시간은 다음에 그 공조구역으로의 열입력의 속도를 제어하는 변수로서 사용된다. 구역온도응답곡선의 형상으로서는 제 3 도에 나타낸 것이 알려져 있다.
제 2 도에서 계산된 필요한 시간이 t(필요한 온도의 99.8%의 온도상승이 얻어지는 시점)과 같다고 가정하면, 그 경우에는 메인콘트로울러(1)는 시간의 함수로서 온도응답을 모니터하고, 그것과 제 4 도중의 소망의 응답곡선을 비교한다. 응답이 지나치게 빠르다고 판정되면, 그 공조구역에 대응하는 공기댐퍼(62)가 폐성되는 방향으로 제어된다. 풍량이 너무 많을 경우 쾌적감의 저하, 소음의 증대가 일어난다. 반대로 응답이 지나치게 느리다고 판정되면, 공기댐퍼(62)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제어된다. 풍량이 너무 적을 경우 실온이 설정치에 도달하지 않거나 혹은 시간이 걸린다. 그리고, 각 공조구역에 대응하는 배기용공기댐퍼(65)는 그 대응하는 급기용공기댐퍼(62)가 완전히 폐성되고 있을 때 이외에는 반드시 전개(全開)되어 있다.
각 공조구역의 루움더어모스태트(55)로부터의 온도독해 및 공기댐퍼(62)의 조절후는 송풍기팬(40)의 용량이 조절된다. 인버어터 등으로 이루어진 용량콘트로울러(42)에 의해, 송풍기팬(40)을 흐르는 공기류의 풍량을 바꿀 수 있다.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댐퍼(62)가 열리면, 덕트계에 대한 풍량-압력곡선(시스템곡선)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S1에서 S2로 바깥쪽으로 변위한다. 이 때문에, 송풍기팬(40)의 동작을 최적범위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동 송풍기팬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팬곡선을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F1에서 F2로 바깥쪽으로 변위시킬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최적범위에 들어가는 동작점이 O1에서 O2로 변위한다.
송풍기팬(40)에 있어서의 공기압력은 공기압센서(43)에 의해, 송풍기팬(40)의 풍량의 피이드백제어를 위해 모니터된다. 이 센서(43)로부터의 데이터의 독해, 관련하는 연산 및 풍량제어신호의 출력은 송풍기팬(40)의 제어를 위해서만 사용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41)에 의해 행해진다.
송풍기팬(40)의 풍량조절에 이어서 급기덕트(60)중의 온도를 소망의 온도로 하기 위해, 열입력속도의 변경이 행해진다. 상기 소망의 온도는 일정하지는 않지만,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옥외온도독해치의 함수로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겨울에 지나치게 낮고, 여름에 지나치게 높은 급기온도에 의해 히이트펌프(10),(20)의 효율이 저하하면, 열원(히이트펌프(10),(20) 또는 가스버어너(30))의 열출력은 급기의 온도가 소망하는 값을 받아들일 수 있는 범위로 되기까지 개별적으로 상하로 조정된다.
공기 댐퍼(62) 및 (65), 송풍기팬(40) 및 열원(히이트펌프(10),(20) 또는 가스버어너(30))가 조정되면, 공조시스템은 새로운 정상상태(定常狀態)로 들어가, 그 상태에서는 각 공조구역으로의 상대적인 공기의 흐름은 공기류 전체 및 열입력전체의 변화와 함께 이미 변화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시이퀀스(sequence)는 각 공조구역의 루움더어모스태트(55)에 의해 각 구역의 온도가 독해되었을 때 재차 개시되어, 공기댐퍼(62)의 조정이 다시 시작된다.
상기 난방운전모우드에 있어서의 동작의 시이퀸스는 냉방운전모우드에 있어서도, 소망의 구역온도와 실제의 구역온도와의 관계가 반대로 되어 있는 것, 및 제 3 도와 제 4 도의 실온응답이 윗쪽이 아니라 아래쪽으로 이루어진다고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같다.
냉방운전모우드 또는 난방운전모우드의 선택은 사용자에 의한 마스터스위치(50)의 전환에 의해 행해진다. 또, 난방운전모우드에 있어서 열원으로서 가스버어너(30) 또는 히이트펌프(10),(20)의 어느 것을 사용하는지는 메인콘트로울러(1)에 있어서의 연산결과에 의해 결정된다. 즉, 옥외의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 히이트펌프(10),(20)의 작동효율이 저하하므로, 히이트펌프(10),(20)의 작동효율이 높은 동안은 히이트펌프(10),(20)를 작동시키고, 히이트펌프(10),(20)를 작동시키기보다 가스버어너(30)를 사용하는 편이 경제적인 온도 이하로 되면 가스버어너(30)가 작동된다.
공조시스템의 장치시에 있어서, 장치자는 서어비스포오트(52)에 부착된 휴대가능한 디지탈입력/출력장치를 사용하여, 히이트펌프(10),(20)의 구동에너지(전기) 및 가스버어너(30)의 구동에너지(가스)의 단가를 메인콘트로울러(1)에 입력하고 있으며, 이들 단가는 히이트펌프(10),(20)의 작동효율을 연속적으로 모니터하고 있는 것과 아울러서, 메인콘트로울러(1)가 운전원가를 계산하여 에너지원가가 최소로 되도록 최적점(最適點)에 있어서 열원을 절환하는 것을 가능케 하고 있다.
3개의 주요 기계적요소, 즉 히이트펌프(10),(20), 가스버어너(30) 및 송풍기팬(40)은 각기 별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서로 구별할 수 있지만, 이들은 공조시스템의 동작모우드에 맞추어서 3가지 형태를 취하게끔 되어 있다. 즉, 극한난방운전모우드에서는 송풍기팬(40) 및 가스버어너(30)는 같은 모우드를 위해서만 사용되는 가스로를 형성한다. 또, 냉방운전모우드 및 통상난방운전모우드에서는 송풍기팬(40), 팽창열교환기(20) 및 실외유니트(10)는 냉방 및 난방에 사용하는 히이트펌프장치를 형성한다.
상기 세가지의 기계적 요소가 모두 함게 사용되는 일이 있지만, 이 때에는 가스버어너(30)는 옥외의 온도가 매우 낮아졌을 때에 히이트펌프(10),(20)와 가스버어너(30)와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보조열원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메인콘트로울러(1)의 입출력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가스버어너(30) 실외유니트(10) 및 공기댐퍼(62),(65)의 유무를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메인코트로울러(1)에 있어서의 소프트웨어를 변경하지 않고, 여러가지 요소를 조합하여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장치된 구성요소를 식별하므로, 장치자는 단지 여러가지 요소간을 플럭 등으로 접속하는 것만으로 족하다.
본원 발명의 공조시스템은 이와 같은 중앙유니트의 구성에 대해 높은 융통성을 갖는 동시에, 공조하는 구역의 수 및 넓이에 대해서도 높은 융통성을 갖는다. 메인콘트로울러(1)에 있어서의 소프트웨어를 변경하지 않고, 중앙유니트의 용량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1개 내지 5개 또는 그 이상의 구역을 동시에 공조할 수 있으며, 역시 넓은 구역과 좁은 구역을 조합하여 동시에 공조할 수 있다.
다음에, 메인콘트로울러와 마스터스위치 및 더어모스태트의 더욱 상세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 7 도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회로를 포함하는 블록도이며, 부호(50)는 리빙루움 등에 설치되어 복수의 방의 온도 설정을 일괄해서 동시에 행하는 마스터스위치이며, 마스터스위치(50)로 선택되는 현재 설정온도(TM1)에 대응한 신호를 얻기 위한 주온도설정수단 즉 가변저항기(50a)와, "난방"신호(MM1), "냉방"신호(MM2) 또는 "오프" 상태에 대응한 상태신호(MM라고 총칭함)를 얻기 위한 주모오드절환수단 즉 3점스위치(50b)와, 가변저항기(50a)에 의한 현재 설정온도(TM)를 표시하기 위한 액정 등으로 이루어지는 주표시장치(50c)를 가지고 있다. (R1)~(R3)는 가변저항기(2) 및 3점스위치(50b)와, 전원(+V)과의 사이에 접속된 저항기이다.
(55)는 각 방에 설치되어 방마다의 개별적인 온도설정을 하는 루움더어모스태트이며, 도시는 생략하지만 같은 구성의 것이 각 방마다 각기 설치되어 있다. 이 루움더어모스태트(55)는 그 루움더어모스태트 자신이 속하는 방의 온도 즉 현재온도(TR4)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검출수단 즉, 더어미스터(55a)와, 루움더어모스태트(55)로 선택되는 현재 설정온도(TR1)에 대응한 신호를 얻기 위한 루움온도설정수단 즉 가변저항기(55b)와, 해당하는 방의 공조운전이 "온/오프"에 대응한 상태신호(M라고 총칭함)를 얻기 위한 루움모우드 전환수단 즉 2점스위치(55c)와, 해당하는 방의 현재온도(TR4) 및 이 방의 제어온도(TR3)를 표시하기 위한 액정 등으로 이루어지는 루움표시장치(55d)를 가지고 있다. (R4)~(R6)는 더어미스터(55a)와, 가변저항기(55b) 및 2점스위치(55c)와, 전원(+V)과의 사이에 접속된 저항기이다.
(1a)는 멀티플렉서이며, 마스터스위치(50)의 현재 설정온도(TM1), 루움더어모스태트(55)의 현재 설정온도(TR1) 및 현재온도(TR4)에 대응한 각 입력신호를 시분할로 구별하고 있다. (1b)는 A/D변환기이며, 멀티플렉서(1a)로부터의 아날로그출력을 디지탈신호로 변환처리한다.
(1c)는 마이크로콤퓨터로 구성된 더어모스태트제어장치이며, 3점스위치(50b) 및 2점스위치(55c)로 설정되는 상태신호(MM) 및 (M)과 함께, 각 온도(TM1), (TR1) 및 (TR4)의 신호를 입력하고 있다. 또, 더어모스태트제어장치(1c)는 마스터스위치 및 루움더어모스태트의 현재 설정온도(TM1) 및 (TR1)을 각기 전 설정온도(TM2) 및 (TR2)로서 항상 기억하는 기억수단으로서의 메모리와, 이들 전 설정온도 (TM2) 및 (TR2)를 각기 항상 현재 설정온도(TM1) 및 (TR1)과 비교함으로써, 현재 설정온도(TM1) 또는 (TR1)의 변경의 유무를 검지하고, 변경이 있었을 때에는 즉시 변경 후의 현재 설정온도를 제어온도(TR3)로 하는 온도결정수단으로서의 연산부를 가지고 있으며, 주표시장치(50c)에는 마스터스위치(50)의 현재 설정온도(TM1)를 표시시키고, 루움표시장치(50d)에는 해당하는 방의 현재온도(TR4) 및 제어온도(TR3)를 표시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각기 출력하고 있다.
(1d)는 버스(1e)를 통해 더어모스태트제어장치(1c)와 서로 접속된 온도제어장치이며, 더어모스태트제어장치(1c)에 대해 클록신호 및 미리 입력된 방의 수(R)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하고, 더어모스태트제어장치(1c)로부터는 마스터스위치(50)의 상태신호(MM), 각 루움더모스태트(55)의 상태신호(M), 각 방의 제어온도(TR3) 및 현재온도(TR4)에 대응한 신호가 입력된다. 이들 입력신호에 따라, 온도제어장치(1d)는 각 방에 통하는 에어댐퍼(도시생략)의 개폐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주지하는 바와 같이 각 방의 현재온도(TR4)가 이방의 제어온도(TR3)와 일치하도록 온도제어를 한다. 이 (1a)~(1e)로 메인콘트로울러(1)를 구성하고 있다.
제 8 도는 더어모스태트제어장치(1c)내의 기억수단 및 온도검출수단의 구체적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차아트도, 제 9 도는 제 8 도의 루움표시수단 즉 서브루우틴 「루움표시」를 하는 수단의 동작플로우차아트이다.
이하, 제 8 도 및 제 9 도의 플로우차아트에 의거하여 더어모스태트제어장치(1c)의 구체적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스텝(S20)에서 방번호 I를 1번에서 R번까지 카운트하기 위해, 루우프변수 I를 0에 초기설정한다. 스텝(S21)에서 마스터스위치(50)의 상태신호(MM)을 읽어 넣는다. 각 상태에 따라 온도제어장치(1d)를 통해, "난방"일때는 히이트펌프 또는 가스버어너(모두 도시생략)를 구동하며, "냉방"일 때는 히이트펌프를 냉방 구동하고 "오프"일 때는 히이트펌프, 가스버어너를 모두 정지시킨다. 스텝(S22)에서 온도제어장치(1d)에서 버스(1e)를 통해 설정된 전체 방수(R)를 읽어 넣는다. 스텝(S23)에서 방번호 I를 설정하고, 1번 방에서 다음 스텝(S24)~(S26)을 실행한다. 스텝(S24)에서 1번째의 방이 루움더어모스태트(55)의 상태신호(M(I))을 읽어 넣고, "온"상태일 때는 이 방의 온도제어를 하며, "오프"상태일 때는 온도제어를 하지 않는다. 스텝(S25)에서 이방의 현재온도(TR4(I))를 읽어 넣고, 스텝(S26)에서 제 9 도의 서브루우틴 「루움표시」를 실행한다.
스텝(S26), 즉 서브루우틴 「루움표시」에서는 스텝(S50)에서 온도제어장치(1d)에서 클록신호를 입력하고, 스텝(S51)에서 초카운트를 한다. 스텝(S52)에서 초를 5초마다의 시간으로 변환처리하고, 루움표시장치(55d)에 제어온도(TR3)와 현재온도(TR4)를 5초마다 교대로 표시한다. 즉 스텝(S53)에서, 0~5초동안, 10~15초동안, ……, 50~55초 동안은 제어온도(TR3(I)를 표시하고, 스텝(S54)에서 5~10초, ……, 55~60초 동안, 더어미스터(55a)로부터의 해당 방의 현재온도(TR4(I))를 반복 표시하고 제 8 도의 메인플로우차아트로 복귀한다. 이 교대표시는 루움표시장치(55d)의 면적을 절감하기 위해 하지만, 충분한 표시면적을 가질 경우는 동시에 표시해도 된다.
스텝(S27)에서 방번호 I가 R번째(최후의 방)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R번째에 도달하고 있지 않을 때는 스텝(S23)으로 되돌아가 다음 I+1번째의 방에 대해 상술한 동작을 반복한다.
스텝(S27)에서 R번째에 도달한 것을 인식하면, 스텝(S28)에서 마스터스위치(50)의 현재설정온도(TM1)를 읽어 넣는다. 스텝(S29)에서, 미리 메모리(도시생략)에 기억된 현재설정직전의 마스터스위치(50)의 설정온도 즉 전 설정온도(TM2)와 현재설정온도(TM1)를 비교한다. 현재설정온도(TM1)에 변경이 없을 때, 즉 TM1=TM2일 때는 스텝(S30)에서 루우프변수(I)를 0에 초기설정하고, 스텝(S31)에서 방번호 I를 1에서 순차 증가시키면서 각 방의 현재설정온도에 변경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해간다. 먼저, 스텝(S32)에서 I번째의 방의 루움더어모스태트(55)의 현재설정온도(TR1(I))를 읽어 넣는다. 스텝(S33)에서, 별도로 미리 메모리에 기억된 현재설정 직전의 루움더어모스태트(55)의 설정온도, 즉 전설정온도(TR2(I))와 현재설정온도(TR1(I))를 비교하여 설정온도에 변경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I번째의 방의 루움더어모스태트(55)의 현재설정온도(TR1(I))에 변경이 있었을 때, 즉 TR1(I)≠TR2(I)일 때는 변경이 있다고 판정하여 스텝(S34)에서 온도제어장치(1d)에 의해 온도제어에 사용되는 제어온도(TR3(I))는 현재설정온도(TR1(I))로 변경되어 메모리에 기억된다. 이 변경후의 제어온도(TR3(I))에 따라, 온도제어장치(1d)는 I번째의 방온도를 제어한다. 또, 스텝(S35)에서, 전설정온도(TR2(I))로서 신규의 현재설정온도(TR1(I))가 기억된다. 상기 스텝(S33)에서, 현재설정온도(TR(I))에 변경이 없을 때, 즉 TR1(I)=TR2(I)일 때는 스텝(S34) 및 (S35)는 스킵되어 스탭(S36)으로 나아간다.
스텝(S36)에서는 방번호 I가 R번째에 달하기까지 스텝(S31)으로 되돌아가, 스텝(S32)~(S35)의 동작을 반복한다. 모든 방에 대해 상기 동작을 완료하고, I=R에 달하면 스텝(S20)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스텝(S29)에서 TM1≠TM2라고 판정되어, 마스터스위치(50)의 현재설정온도(TM1)에 변경이 있었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S37)에서 주표시장치(50c)에 변경후의 현재설정온도(TM1)를 표시한다. 이 주표시장치(50c)의 표시는 다시 현재설정온도(TM1)가 변경되기까지 변화하는 일이 없다. 스텝(S38)에서 루우프 변수(I)를 0으로 초기설정하고, 스텝(S39)에서 순차적으로 방번호I를 증가시켜, 스텝(S40)에서 I번째의 방의 제어온도(TR3(I))를 마스터스위치(50)의 현재설정온도(TM1)로 변경하여 메모리에 기억시킨다. 스텝(S41)에서 I=R로 되기까지 스텝(S39) 및 (S40)을 반복하여, 모든 방의 제어온도(TR3)를 변경후의 현재설정온도(TM1)로 변경한다. 따라서, 온도제어장치(1d)는 신규의 제어온도(TR3)에 의해 모든 방의 온도를 제어한다.
스텝(S42)에서는 마스터스위치(50)의 전설정온도(TM2)로서 변경후의 현재설정온도(TM1)가 기억된다. 즉, 전설정온도(TR2)에는 항상 설정변경 직전의 설정온도가 기억되어 간다. 그리고, 스텝(S20)으로 되돌아가, 즉 제 8 도의 메인플로우차아트의 실행을 반복한다. 이 반복속도는 더어모스태트제어장치(1c)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처리속도에 의존하지만, 통상은 1초 미만의 루우프주기이다. 따라서, 제 8 도의 플로우차아트에서는 스텝(S29)에서 마스터스위치(50)의 현재설정온도(TM1)에 변경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 다음, 스텝(S33)에서 루움더어모스태트(55)의 현재설정온도(TR1)에 변경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있지만, 특히 마스터스위치(50)의 현재설정온도(TM1)가 루움더어모스태트(55)의 현재설정온도(TR1)보다 우선된다고 하는 일은 없다.
즉, 마스터스위치 또는 루움더어모스태트에 불구하고, 현재설정온도(TM1) 또는 (TR1)이 사용자에 의해 변경되었을 때는 언제나 전설정온도(TM2) 또는 (TR2)와 비교됨으로써 (스텝 S29 또는 S 33), 항상 신규의 현재설정온도가 제어온도(TR3)로서 온도제어장치(1d)에 주어지게 된다. 따라서, 마스터스위치(50)와 루움더어모스태트(55)와의 사이의 현재설정온도(TM1) 및 (TR1)에 불일치가 생겨도, 사용자가 최후에 조작한 쪽에 우선도가 주어지므로 아무런 지장도 없다.
예를 들면, 마스터스위치(50)의 상태(MM)가 난방(MM1)에 설정되고, 현재설정온도(TM1)가 16℃로 설정되었다고 하자, 이때, 주표시장치(50c)에는 스텝(S37)에의해 16℃」가 표시되며, 루움더어모스태트(55)의 상태신호(M)가 온, 즉 운전모우드의 방에는 온도제어장치(1d)에 의해 온풍이 공급된다. 그 방의 현재온도(TR4)가 12℃였다고 하면, 루움표시장치에는 스텝(S26)에 의해 제어온도(TR3)의 「16℃」와 현재온도(TR4)인 「12℃」가 5초마다 교대로 표시된다. 이 현재온도(TR4)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제어온도(TR3)에 도달하는 것은 물론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1번 방의 루움더어모스태트(55)의 현재 설정온도(TR1(1))를 20℃로 설정하고, 2번의 방의 루움더어모스태트(55)의 현재설정온도(TR1(2))를 25℃로 설정했다고 하면, 스텝(S33)에 의해 해당하는 1번 및 2번의 방에서 현재설정온도가 각기 변경된 것이 판정된다. 따라서, 스텝(S34)에 의해, 1번의 방의 제어온도(TR3(1))는 20℃로 변경되고, 2번의 방의 제어온도(TR3(2))는 25℃로 변경된다. 이 변경은 각 루움표시장치(55d)에 의해 즉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 사용자가 마스터스위치(50)의 현재설정온도(TM1)를 22℃로 변경했다고 하면, 스텝(S29)에서 그 변경이 인식되며, 스텝(S40)에 의해, 상술한 1번 및 2번의 방을 포함하는 모든 방의 제어온도(TR3)가 22℃로 변경된다. 이 현재설정온도(TM1)는 스텝(S37)에 의해 주표시장치(5℃)에 표시되는 동시에, 제어온도(TR3)로서 각 루움표시장치(55d)에도 표시되므로, 각 방안의 사용자도 즉시 변경이 있었던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22℃의 제어온도에 불만인, 예를 들면 2번 방의 사용자가 다시 루움더어모스태트(55)의 현재설정온도(TR1(2))를 18℃로 변경했다고 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전설정온도(TR2(2))는 25℃였으므로, 다시 스텝(S33)에서 이 변경이 인식되어, 스텝(S34)에 의해 변경후의 현재설정온도, 즉 18℃가 2번의 방의 제어온도(TR3(2))로 된다. 또, 루움더어모스태트의 전설정온도와 같은 온도로 제어온도를 되살리고 싶을 때에는 가변저항기(55b)를 조금 움직이고 나서 되돌리면 된다.
이렇게 해서 항상 최후의 사용자에 의한 더어모스태트의 온도설정동작이 우선해서 제어온도(TR3)가 얻어진다. 온도제어장치(1d)는 이들 각 방마다의 제어온도(TR3) 및 현재온도(TR4)와 함께 상태(MM) 또는 (M)에 관한 정보를 더어모스태트제어장치(1c)에서 받아, 각 방이 제어온도(TR3)에 달하도록 제어를 계속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개개의 루움더어모스태트(55)의 조작이 해당하는 방에만 관계하는 것에 대해, 마스터스위치(50)의 조작은 모든 방의 제어에 관계한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최후에 조작한 또는 조작이 끝난 더어모스태트에 따른다고 하는 우선순위 변이의 검출을 실현하고 있다.
확실히, 루움더어모스태트(55)에 의해 설정된 개개의 방의 제어온도(TR3)가 마스터스위치(50)의 조작으로 변경되어 버린다고 하는 점도 있지만, 일반 가정을 대상으로 한 주택용 공조시스템으로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것은 사용자끼리의 서로의 의사소통이 충분히 있는 것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다음에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루움더어모스태트가 예정시간에 있어서의 온도설정을 하는 스케쥬울제어가 가능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제 10 도에 있어서, (55)은 벽 등에 배설 가능한 루움더어모스태트, (55d)는 액정표시소자 등으로 이루어진 루움표시장치인 디지탈온도표시기, (55e)는 역시 액정표시소자 등으로 이루어진 디지탈시간표시기, (55f)는 매뉴얼모우드선택용 푸쉬버튼스위치(이하, 매뉴얼 스위치라고 함), (55g)는 체크모우드선택용 푸쉬버튼스위치(이하, 체크스위치라고도 함), (55h)는 리세트모우드 선택용 푸쉬버튼스위치(이하 리세트스위치라고 함), (55i)는 발광 다이오우드 등으로 이루어진 매뉴얼모우드표시기 (55a)는 더어미스터 등으로 이루어진 온도감지수단, (55b)는 가변저항기 등으로 이루어진 온도선택용 슬라이더스위치, (55j)는 루움더어모스태트(55)의 케이스, (55k)는 루움더어모스태트(55)의 커버이다. 또 제 11 도에 있어서, (1)은 메인콘트로울러, (55l)은 루움더어모스태트(55)에 설치된 마이크로프로세서, (55m)은 A/D변환기, (55n)은 멀티플렉서, (55p) 및 (55r)은 저항, (71)은 상기 매인콘트로울러(1)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55l)에의 입력라인, (72)는 마이크로프로세서(55l)에서 상기 메인콘트로울러(1)에의 출력라인이다.
상기 메인콘트로울러(1)는 입력라인(71)을 통해, 디지탈온도표시기(55d) 및 디지탈시간표시기(55e)상에 표시할 수 있는 여러가지 메시지, 클록실시간 및 전원을 마이크로프로세서(55l)에 공급한다. 또 메인콘트로울러(1)에는 출력라인(72)을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55l)에서 설정온도를 읽는 시간에 있어서의 온도감지수단(55a)의 검출온도 및 설정온도가 공급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루움더어모스태트의 동작에 대해, 제 12 도 및 제 13 도의 플로우차아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먼저, 통상의 동작모우드에 있어서는 온도감지수단(55a)에 의해 검출되고 있는 현재의 온도가 디지탈온도표시기(55d)상에 표시되어 있다. 또, 이와 동시에 메인콘트로울러(1)에서 공급된 클록실시간이 디지탈시간표시기(55e)상에 표시되어 있다. 만약 온도가 변화하면, 온도감지수단(55a)이 이것을 검출하여, 변화후의 올바른 온도가 디지탈온도표시기(55d)상에 즉시 표시된다.
제 12 도에 나타낸 메인프로그램의 플로우차아트에 있어서는 먼저 스탭(S101)에서 메인콘트로울러(1)에서 시(H) 및 분(M)이 입력라인(71)을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55l)내에 읽어 넣어지며, 스텝(S102)에서 60×H+M의 연산치가 분카운터(t)에 설정된다. 다음에, 스텝(S103)에서 온도감지수단(55a)에 의해 실온(T)이 독해된다. 이어서 스텝(S104),(S105),(S106)에서 체크스위치(55g), 리세트스위치(55h) 및 매뉴얼스위치(55f)가 폐성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고, 어느 스위치도 폐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디지탈온도표시기(55d)에 현재의 온도(T)가 표시되며, 디지탈시간표시기(55e)에 현재의 시(H) 및 분(M)이 표시된다. 다음에, 리세트모우드스위치(55h)가 폐성되어 리세트모우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온도선택용 슬라이더스위치(55b)를 통해 새로운 온도스케쥬울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 리세트모우드에서는 1일의 온도스케쥬울이 3분간으로 디지탈온도표시기(55d) 및 디지탈시간 표시기(55e)에 표시되게끔 되어 있으며, 디지탈시간표시기(55e)에 표시되는 예정시간을 보면서 온도선택용 슬라이더스위치(55b)를 조작하면, 동 스위치(55b)에 의해 선택된 설정온도가 디지탈온도 표시기(55d)에 표시되어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3분간이 경과하면, 루움더어모스태트(55)는 자동적으로 통상의 동작모우드로 되돌아간다. 제 12 도에 나타낸 메인프로그램의 플로우차아트에 있어서는 스텝(S105)에서 리세트스위치(55h)가 폐성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정으로 제 13 도에 나타낸 스케쥬울서브루우틴으로 뛰게 된다.
스케쥬울서브루우틴에서는 먼저, 스텝(S121),(S122)에서 시(H) 및 분(M)이 각기 0에 리세트되며, 다음에 스텝(S123)에서 60×H+M의 연산치가 분카운터(t)에 설정된다. 이어서 스텝(S124)에서 체크스위치(55g)의 온,오프가 판정되며, 오프이므로 스텝(S125)에서 온도선택용 슬라이더스위치(55b)에서 설정온도(TEMP)(t)의 독해가 행해진 다음, 스텝(S126)에서 디지탈온도표시기(55d)에 독해된 그 설정온도(T)가 표시된다. 또, 스텝(S127)에서 디지탈시간표시기(55e)에 예정시간인 시(H) 및 분(M)이 표시된다. 이어서, 스텝(S128)에서 예정시간에 있어서의 설정온도를 시인(視認)시키기 위해, 0.125초간의 대기시간이 만들어 내어진다.
이어서 스텝(S129)에서 분(M)을 1증가시키고, 스텝(S130)에서 M〉59의 판정을 하여, NO이면 스텝(S123)으로 되돌아가는 동시에 스텝(S122)의 M을 1증가시킨다.
이 처리를 반복하여 스텝(S130)에서 M〉59로 되면, 스텝(S131)으로 나아가 시(H)를 1증가시킨다. 이어서 스텝(S132)에서 H〉23의 판정을 하고, NO이면 스텝(S122)으로 되돌아가 스텝(S121)의 H를 1증가시키는 동시에 상기와 같은 처리를 한다. 이와 같은 처리가 24시간분, 즉 24×60=1440회 반복된다.
따라서, 3분간이라고 하는 단시간동안에 1일분의 설정온도가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3분간이 경과하면, 스케쥬울서브루우틴을 벗어나서, 제 12 도의 메인프로그램으로 되돌아가 통상의 동작모우드로 복귀한다.
다음에, 체크스위치(55g)가 폐성되어 체크모우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레스트모우드에서 입력된 1일의 온도스케쥬울이 3분간으로 디지탈온도표시기(55d) 및 디지탈시간표시기(55e)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3분간이 경과하면, 루움더어모스태트(55)는 자동적으로 통상의 동작모우드로 되돌아가도록 되어 있다.
제 12 도에 나타낸 메인프로그램의 플로우차아트에 있어서는 체크 스위치(55g)가 폐성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정으로 제 13 도에 나타낸 스케쥬울서브루우틴으로 뛰게 된다. 스케쥬울서브루우틴에서는, 스텝(S124)에서 체크스위치(55g)가 온인지 오프인지의 판정에서 온으로 되어, 스텝(S125)의 온도선택용 슬라이더스위치(55b)로부터의 설정온도(TEMP(t))의 독해가 행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디지탈온도표시기(55d)에는 앞서의 리세트모우드로 입력된 설정온도(T)가 표시되며, 3분간이라고 하는 단시간동안에 1일분의 온도스케쥬울이 디지탈 온도표시기(55d) 및 디지탈시간표시기(55e)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3분간이 경과하면, 스케쥬울서브루우틴을 벗어나서 제 12 도의 메인프로그램으로 되돌아가 통상의 동작모우드로 복귀한다.
매뉴얼스위치(55f)가 폐성되어 매뉴얼모우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제 12 도에 나타낸 메인프로그램의 플로우차아트에 있어서, 스텝(S106)에서 매뉴얼스위치(55f)가 폐성 여부의 판정이 온으로 되고, 스텝(S109)에서 온도선택용슬라이더스위치(55b)로부터의 설정온도의 독해의 처리로, 이 설정온도가 현재시의 설정온도(TEMP(t))로서 이미 설정되어 있던 온도와 치환된다. 그리고, 매뉴얼스위치(55f)가 폐성되어 있는 동안은 매뉴얼모우드표시기(55i)가 점등되어, 매뉴얼모우드가 선택되어 있다는 것이 표시된다.
매뉴얼스위치(55f)가 개방되면, 매뉴얼모우드표시기(55i)가 소등되는 동시에, 미리 설정된 설정온도에 따라 온도제어가 이루어지는 통상모우드로 되돌아간다.
또한 본원 발명의 공기댐퍼 개폐수단에 초기설정을 하는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제 14 도에 있어서, (40)는 송풍기팬, (60)는 금기덕트, (30)는 가스버어너, (25)는 히이트펌프이며, 가스버어너(30)와 히이트펌프(25)로 공조기기를 구성한다.
(70)는 개별적인 방이며, 분기덕트(61)로부터 공기를 개폐하는 댐퍼(62)와, 그 방의 온도를 검출하는 더어모스태트(55)를 가지고 있다. 이것과 같은 구성의 방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복수개 존재하고 있으며, 분기덕트(61)를 통해 공조기에서 각 방으로 공기가 분배되어 있다.
(1)은 도시생략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메모리(RAM)를 내장하는 메인콘트로울러이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복수의 플럭삽입용 포오트(P1)~(P4) 및 이들에 대응해서 결선(結線)된 제어선(L1)~(L4)을 통해, 각기 송풍기팬(40), 공조기기의 가스버어너(30) 및 히이트펌프(25)와 댐퍼(62)의 구동제어를 하는 동시에, 더어모스태트(55)로부터의 실온신호를 제어선(L5)에서 얻고 있으며, 적절히 더어모스태트(55)의 표시부에 제어온도 및 현재온도의 표시를 하기 위한 신호를 제어선(L6)에서 부여하고 있다.
(80)은 휴대형 키이보오드, 표시장치 및 프린터를 구비하는 아날라이저이며, 메인콘트로울러(1)내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서어비스포오트(Ps) 및 이것에 대응해서 결선되는 서어비스제어선(Ls)을 통해, 메인콘트로울러(1)에 대해 플럭삽입 가능하게, 즉 착탈자재로 되어 있다. 이 아날라이저(80)내에는 후술하는 복수의 초기설정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제 14 도에 있어서, 아날라이저(80)를 제외한 공조기기의 동작에 대해 기술하면, 메인콘트로울러(1)는 미리 방수(R)를 계수하여 메모리내에 그 값(R)을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방수(R)에 따른 1번에서 R번까지의 댐퍼용 출력포오트(P4) 및 더어모스태트용 입출력포오트(P5),(P6)와 이들 각 포오트(P4)~(P6)에 각기 접속되는 제어선(L4)~(L6)을 가지며, 각기 1번에서 R번까지의 각 방(70)내의 댐퍼(62) 및 더어모스태트(55)에 대응해서 접속되어 있다. 메인콘트로울러(1)의 포오트(P4)~(P6)의 수는 임의의 방수(R)에 대응하는데 충분하게 준비되어 있다.
도시생략의 마스터스위치 또는 각 방안의 더어모스태트(55)에서 설정된 온도를 제어온도로 하여, 메인콘트로울러(1)는 제어선(L5)을 통해 더어모스태트(55)로부터의 현재온도(Tn)를 검출하면서, 제어선(L4)을 통해 댐퍼(62)를 개폐구동하고, 각 방의 현재온도(Tn)가 희망하는 제어온도와 일치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각 포오트(P4)~(P6)에 접속된 각 방의 댐퍼(62) 및 더어모스태트(55)는 메인콘트로울러(1)내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구동 및 처리되고 있다. 이들 포오트(P4)~(P6)와 댐퍼(62) 및 더어모스태트(55)와의 적합성 및 포오트(Pr),(P3)에 각기 공조기기가 접속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는 초기설정에 의해 메인콘트로울러(1)내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있으므로, 공조제어는 매우 정확하고 효율좋게 달성된다.
다음에, 제 15 도 내지 제 18 도에 나타낸 초기설정 프로그램의 플로우차아트에 의거하여, 초기설정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 15 도는 댐퍼(62) 및 더어모스태트(55)의 유무의 체크, 제 16 도는 공조기기로서의 가스버어너(30) 및 히이트펌프(25)의 유무의 체크, 제 17 도는 각 댐퍼(62) 및 더어모스태트(55)의 적합성의 체크, 제 18 도는 가스 및 전기의 단가를 입력할 경우를 각기 나타내며, 각 초기설정 항목은 아날라이저(80)의 메모리에 내장되어 있고, 조작자가 소망의 항목을 키이보오드를 통해 실행할 수도 있고, 아날라이저(80)에 내장된 메인 프로그램(도시생략)에 따라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도 있다. 프로그램 중의 변수 등의 입력 및 처리는 모두 공조제어장치내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RAM으로 한다. 또한, 각 프로그램의 실행중, 조작내용 및 초기설정정보는 아날라이저(80)의 표시장치에 표시 또는 프린터에 인자해서 조작자에 알리도록 되어 있으며, 초기설정보는 메인콘트로울러(1)에 입력된다.
제 15 도부터 설명하면 스텝(S201)에서 메인콘트로울러(1)의 메모리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방수(R)을 읽어 넣는다. 스텝(S202)에서 루우프변수(I)를 O으로 초기설정하고, 스텝(S203)에서 1번부터 변수(I)를 카운트업해 간다. 스텝(S204)에서 I번째의 댐퍼용 출력포오트(P4(I))의 논리상태를 읽어내어 제어선(I4(I))에 댐퍼(62)의 접속여부, 즉 이 포오트에 댐퍼(62)의 존재 여부를 체크한다. 댐퍼(62)가 존재한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S205)으로 나아가, 댐퍼용 출력포오트(P4(I))와 대응하는 더어모스태트용 입력포오트(P5(I))를 읽어내어 이 포오트에 더어모스태트(55)의 접속여부를 체크한다. 더어모스태트가 없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S206)에 의해, 아날라이저(80)의 프린터로 「I번째의 댐퍼용 더어모스태트 없음」이라고 인자시킨다.
한편, 스텝(S205)에서 더어모스태트(55)가 있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S207)에서 I번째의 댐퍼(62)의 플랙(F)을 "1"에 세트한다. 한편, 스텝(S204)에서 I번째의 포오트(P4(I))에 댐퍼(62)가 없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S208)에 의해, I번째의 댐퍼의 플랙(F)을 "0"에 세트한다. 따라서 댐퍼(62) 및 더어모스태트(55)가 존재할 때만 플랙(F)이 "1"로 된다.
이상의 스텝(S206)~(S208)을 거쳐, 스텝(S209)으로 나아가, 루우프변수(I)가 방수(R)에 달하기까지 스텝(S203)으로 되돌아가 상술한 동작을 반복한다.
제 15 도의 플로우차아트에서는 각 포오트(P4) 및 (P5), 즉 각 방에 각기 댐퍼(62) 및 더어모스태트(55)의 존재 여부만을 체크하는 것이며, 각 댐퍼에 대응한 방에 더어모스태트가 적절히 배치되어 있는지에 대한 체크는 하지 않는다.
제 16 도에 대해 설명하면, 스텝(S210)에서 가스버어너용 출력포오트(P2)의 논리상태를 읽어 넣고, 이 포오트에 가스버어너(30)가 존재하에 제어선(L2)이 폐루우프를 형성하고 있는지, 또는 존재하지 않고 개루우프로 되어 있는지를 체크한다. 가스버어너(30)가 있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S211)에서 가스버어너의 플랙(F)를 "1"에 세트하며, 없을 경우는 스텝(S212)에서 플랙(F)을 "0"에 세트한다.
다음에, 스텝(S213)으로 나아가, 히이트펌프출력용포오트(P3)의 논리상태를 읽어 넣고, 이 포오트에 히이트펌프(25)가 접속, 즉 존재하고 있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스텝(S2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있음」의 경우는 스텝(S214)에서 히이트 펌프의 플랙(F)을 "1", 「없음」의 경우는 스텝(S215)에서 플랙(F)을 "0"에 세트한다. 따라서, 메인콘트로울러(1)는 공조기기의 구성이 변화해도, 제 16 도의 초기설정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그 구성상태를 파악하여 적절히 구동제어를 변경할 수 있다.
다음에 제 17 도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제 15 도와 같은 댐퍼(62) 및 더어모스태트(55)의 유무만의 체크와는 달리, 그들이 동일한 방(70)에 적합하게 배치되어 있는지, 즉 각각의 대응한 포오트(P4) 및 (P5)에 올바르게 접속되어 있는지의 체크를 한다.
먼저, 스텝(S22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방수(R)를 읽어 넣어, 스텝(S221)에서 루우프변수(I)를 리세트한다. 스텝(S222)에서 루우프변수(I)를 1번째부터 카운터업해 간다. 스텝(S223)에서 I번째 댐퍼출력용포오트(P4(I))에 댐퍼(62)의 접속여부를 체크하고, 「 없음」의 경우는 스텝(S242)에 스텝하며, 루우프변수(I)가 방수(R)에 도달하지 못했을 경우는 스텝(S222)로 되돌아가 다음의 댐퍼출력용 포오트(P4)의 체크를 한다.
스텝(S223)에서, I번째의 포오트(P4(I))에 댐퍼(62)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는, 스텝(S224)로 나아가, 전체방의 댐퍼(62)를 개방하여, 송풍기(40)을 3분간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이 스텝(S224)은 송풍기팬(40)만의 구동이며, 후술하는 스텝 실행전에 먼저 전체 실온을 단지 일정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음에 스텝(S225)에서 더어모스태트(55)에 관한 루우프변수(J)를 사용하여, 먼저 이것을 리세트하고, 스텝(S226)에서 이 변수(J)를 "1"에서 순차적으로 카운트업하며, 스텝(S227)에서 J번째의 더어모스태트입력용포오트(P5(J))에 접속된 더어모스태트(55)의 온도를 전온도(To(J))로서 읽어 넣어 메인콘트로울러(1)내의 메모리(도시생략)에 기록한다. 스텝(S228)에서 루우프변수(J)가 방수(R)에 도달한 것이 확인되면, 스텝(S229)로 나아가며, 도달하지 못했을 경우는 스텝(S226)으로 되돌아가 다음의 더어모스태트의 전온도를 읽어 넣어간다.
이렇게 해서 전체 포오트(P5)에 접속된 더어모스태트(55)의 전온도(To)가 읽어넣어지면, 스텝(S229)에서 I번째의 댐퍼용 출력포오트(P4(I))에 접속된 댐퍼(62)만을 개방하여, 송풍기팬(40)과 함께 공조기기를 3분간 난방운전한다. 즉, I번째의 댐퍼(62)가 배치된 방(현재, 메인콘트로울러(1)는 I번째의 방으로 인식하고 있음)의 온도만 상승하게 된다.
스텝(S230)에서 상승온도에 관한 소망의 최대치(M)를 0에 리세트하고, 스텝(S231)에서 루우프변수(J)를 리세트 해준다. 스텝(S232)에서 루우프변수(J)를 "1"에서 카운트업해 하고, 스텝(S233)에서 J번째의 포오트(P5(J))에 접속된 더어모스태트(즉 J번째의 더어모스태트)의 온도를 현재온도(Tn(J))로서 읽어 넣어 메모리(도시생략)에 기억한다.
스텝(S234)에서 상기 스텝(S233)및 (S227)에서 얻어진 온도(Tn) 및 (To)를 메모리해서 독해하고, 이들 차를 상승온도(Tr)로서 기억한다. 스텝(S235)에서 상승온도(Tr)가 최대치(M)와 비교해서 크지 않을 경우, 즉 온도상승이 거의 없는 경우는 스텝(S236)으로 나아가, 변수(J)가 방수(R)에 도달하기까지 스텝(S232)으로 되돌아가 상술한 동작을 반복한다.
스텝(S235)에서 상승온도(Tr)가 최대치(M)보다 크다고 인정되었을 경우, 스텝(S237)에서 이 상승온도(Tr)가 신규의 최대치(M)로서 기억된다. 그리고, 스텝(S238)에서, 그때의 변수(J)의 값이 최대온도상승 더어모스태트에 대응한 번호변수(G)에 기입되고, 스텝(S236)으로 나아간다. 스텝(S235)에 있어서, 최대치(M)은 처음은 0이므로, 온도상승이 생겼을 경우 상승온도(Tr)로 바뀌지만, 순차적으로 더어모스태트(55)의 상승온도(Tr)와 비교함으로써 가장 큰 상승온도(Tr)가 생긴 더어모스태트(55)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해서 전체 더어모스태트(55)의 상승온도를 체크하고, 스텝(S236)에서 변수(J)가 방수(R)에 달하면, 스텝(S239)으로 나아가 스텝(S238)에서 얻어진 번호변수(G)의 값과 변수(I)의 값을 비교한다. 즉, 스텝(S229)에서 난방운전한 방의 댐퍼(62)가 접속된 포오트(P4(I))와, 스텝(S238)에서 기입된 최대상승온도를 나타낸 더어모스태트(55)가 접속된 포오트(P5(J))와 일치 여부를 체크한다.
이들이 일치하면, I번째의 댐퍼(62)와 I번째의 더어모스태트(55)가 적합하여 동일한 방(70)내에 배치되어 있는, 즉 동실의 댐퍼와 더어모스태트가 동시에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되므로, 스텝(S240)에서 그 취지를 표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아날라이저(80)에 설치된 프린터에 인자하도록 하고 있다. 또 번호변수(G)와 변수(I)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는 스텝(S241)에서 "I번째의 댐퍼는 G번째의 더어모스태트와 결합하고 있다."라고 프린트한다. 즉, 제어선(L4) 및 제어선(L5),(L6)(제어선(L6)는 (L5)와 일치로 해도 된다)를 배선할 때, 어떤 제어선에 잘못이 생긴 것이다. 이 경우, 아날라이저(80)의 조작자 즉 서어비스맨은 즉시 제어선(L5) 및 (L6)를 적합하도록 다시 결선(結線)할 수 있다.
스텝(S242)에서 변수(J)가 방수(R)에 이르기까지 스텝(S222)으로 되돌아가 이상의 전체동작을 반복하여, 전체 방의 댐퍼에 대해, 전체 더어모스태트의 적합 배치 여부의 확인을 종료한다. 최종적으로는 서어비스맨에 의해 부적합 배선도 수정되어, 전체 방에 있어서의 댐퍼(62) 및 더어모스태트(55)가 적합 상태에 있다고 하는 초기설정정보가 메인콘트로울러(1)에 기억된다.
제 18 도에 대해 설명하면, 스텝(S250)에서 포오트(P2)에 가스버어너(30)가 접속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면, 스텝(S251)에 의해, 아날라이저(80)의 표시장치 즉 프린터에 "가스가격을 입력하라"라고 인자한다. 서어비스맨은 스텝(S252)에서 가스가격 즉 단위체적당 단가를 아날라이저(80)의 키보오드를 통해 입력한다.
다음에 스텝(S253)에서 포오트(P3)에 히이트펌프(25)가 접속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면, 스텝(S254)에서 "전기가격을 입력하라"라고 인자되어 온다. 서어비스맨은 스텝(S255)에서, 전기가격 즉, 단위소비전력당 단가를 입력한다. 이상으로 에너지 원가정보의 초기설정이 종료한다.
이상, 제 15 도 내지 제 18 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음의 (가)~(라)의 초기설정정보가 아날라이저(80)를 통해 메인콘트로울러(1)에 주어진다.
(가) 각방에 댐퍼(62) 및 더어모스태트(55)가 있는지 없는지(제 15 도), (나) 공조기기로서, 히이트펌프 및 가스버어너의 유무(제 16 도), (다) 각 방의 댐퍼(62)와 더어모스태트(55)가 적합하고 있는지(제 17 도), (라) 가스요금 및 전기요금의 단가(제 18 도).
이들 (가) 내지 (라)의 초기설정을 함으로써, 방의 수, 각 방의 공조기기의 유무, 종류 및 가스전기요금에 변경이 있어도, 메인콘트로울러(1)는 구조상 및 프로그램상 아무런 변경을 강요당하지 않고, 단지 제어선(L2)~(L6)의 결선 변경만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공조기기의 성능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통상 히이트펌프에 의한 공조가 고효율이며 저렴한 원가이지만, 외기온도가 몹시 내려 갔을 경우, 가스버어너 난방쪽이 고효율로 되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따라서, 메인콘트로울러(1)에 그 경계데이터를 입력해 두면, 제 18 도와 같이 아날라이저(80)를 통해 가스 및 전기요금의 초기설정을 하는 것만으로 메인콘트로울러는 자동적으로 에너지원가가 낮은쪽으로 공조기기의 운전을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아날라이저(80)의 표시장치로서 프린터를 사용했지만, 단지 액정표시장치에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 제 17 도의 실시예에서 스텝(S224) 및 (S229)에서 각 방의 온도안정 및 온도상승의 지연시간을 고려하여 3분간 구동했지만, 이 시간은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초기설정이 종료된 다음은 아날라이저(80)는 제어선(Ls)과 함께 서어비스포오트(Ps)에서 제거된다. 아날라이저(80)는 서어비스맨이 휴대할 수 있어서, 메인콘트로울러(1)의 대상에 변경이 있었을 경우나 어떤 결함이 생겼을 경우에만, 메인콘트로울러(1)의 서어비스포오트(Ps)에 적절히 접속하여 그때마다 초기설정을 재차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실시예에 의한 메인콘트로울러의 아날라이저를 사용하면, 공조기기의 체크 및 각 방에 대응한 댐퍼 등의 제어선의 접속상태의 체크를 일일이 발을 옮기지 않고 아날라이저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할 수 있어서 초기설정의 조작이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다.
본원 발명의 주택용의 냉난방장치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빌딩이나 사무소 등의 복수의 실(室)을 냉난방하는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냉방 및 난방용의 히이트펌프와, 난방용의 가스버어너와, 복수의 공조구역에 대해 급기하기 위한 급기덕트와, 이 덕트를 통해 상기 복수의 공조구역에 상기 히이트펌프 또는 가스버어너에 의해 냉방 또는 난방된 공기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키는 송풍기팬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공조구역의 각각에 배치된 복수의 온도검출수단과, 각 공조구역으로서의 공기류를 제어하는 복수의 공기댐퍼와, 각 공조구역을 소망의 온도로 설정하기 위한 구역온도설정수단과, 상기 온도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공조구역의 온도가 상기 구역온도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소망의 온도로 되도록 상기 공기댐퍼를 개폐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한 덕트식 멀티조온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공기댐퍼를 개폐제어하는 수단은 복수의 방의 주온도설정을 일괄해서 행하는 주온도설정수단을 구비하며,이 주온도설정수단에 의해 공기댐퍼를 개폐제어하는 동시에, 이 주온도설정수단과 구연온도설정수단으로부터의 현재 설정온도에 대응한 신호를 상시 입력하여 현재 설정온도를 전(前)설정온도로서 각각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이 전설정온도와 상기 현재 설정온도를 각각 비교해서 불일치가 생겼을 때 상기 현재 설정온도로 제어온도를 변경하는 온도결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식 멀티조온 공조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주온도설정수단 및 구역온도설정수단에 각각 현재 설정온도와 현재온도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식 멀티조온 공조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댐퍼를 개폐제어하는 수단은 타이머기능을 가지고, 수동으로 온도설정가능한 리세트모우드를 가지며, 이 리세트모우드에 있어서 예정시간에 있어서의 설정온도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과, 이 입력을 기억하는 수단과, 이 예정시간 및 설정온도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하여, 스케쥬울제어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식 멀티조온 공조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공기댐퍼를 개폐제어하는 수단은 타이머기능을 가지고, 수동으로 예정시간에 있어서의 설정온도를 입력하며, 이 입력을 기억하는 동시에 표시하여, 스케쥬울 제어하는 동시에, 예정시간에 있어서의 설정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 체크모우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식 멀티조온 공조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댐퍼를 개폐제어하는 수단은 이 공기댐퍼개폐제어수단 본체에 착탈가능하며, 또한 공조제어에 필요한 초기설정 정보를 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수단을 가진 아날라이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식 멀티조온 공조시스템.
KR1019860001427A 1985-03-29 1986-02-28 덕트식 멀티조온 공조시스템 Expired KR9000021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5-65379 1985-03-29
JP60065379A JPS61225529A (ja) 1985-03-29 1985-03-29 ダクト式マルチゾ−ン空調システム
JP60065378A JPS61225535A (ja) 1985-03-29 1985-03-29 タイマ機能付温度調整器
JP?????85-65378 1985-03-29
JP65379 1985-03-29
JP96702 1985-05-09
JP60096702A JPS61256138A (ja) 1985-05-09 1985-05-09 多室空調システム
JP?????85-96702 1985-05-09
JP?????85-112132 1985-05-27
JP60112132A JPS61272549A (ja) 1985-05-27 1985-05-27 空調制御装置のアナライザ
JP112132 1985-05-27
JP65378 1986-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516A KR860007516A (ko) 1986-10-13
KR900002143B1 true KR900002143B1 (ko) 1990-04-02

Family

ID=27464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1427A Expired KR900002143B1 (ko) 1985-03-29 1986-02-28 덕트식 멀티조온 공조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716957A (ko)
KR (1) KR900002143B1 (ko)
AU (1) AU567005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77196B2 (en) * 1985-07-05 1988-09-15 Liebert Corporation Australia Pty Ltd Fan-driven floor air circulating terminal
US4931948A (en) * 1987-02-12 1990-06-05 Parker Electronics,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single zone HVAC supplying multiple zones
US4843084A (en) * 1987-02-12 1989-06-27 Parker Electronics, Inc. Thermostat control system
US4884214A (en) * 1987-02-12 1989-11-28 Parker Electronics, Inc. Thermostat
AU618534B2 (en) * 1987-06-17 1992-01-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ir conditioner
US4829447A (en) * 1987-06-22 1989-05-09 Parker Electronics, Inc. Bypass controller and bypass system
US5103391A (en) * 1987-11-06 1992-04-07 M. T. Mcbrian Inc.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n a closed building or other conditions
US4830274A (en) * 1987-12-22 1989-05-16 American Standard Inc. Pressure independent VAV valve with pressure dependent backup
JPH01208646A (ja) * 1988-02-15 1989-08-22 Sanden Corp 冷暖房給湯システムの制御装置
WO1990000705A1 (en) * 1988-07-08 1990-01-25 David Couper & Associates (Vic) Pty. Ltd. Air conditioning system control
AU618117B2 (en) * 1988-07-08 1991-12-12 David Couper & Associates (Vic.) Pty. Ltd. Air conditioning system control
US5065813A (en) * 1988-12-09 1991-11-19 Arnold D. Berkeley Interactive electronic thermostat with installation assistance
US4997030A (en) * 1989-01-24 1991-03-05 Kabushiki Kaisha Toshiba Central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remote controller in a plurality of rooms for starting or stopping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5004149A (en) * 1989-01-24 1991-04-02 Kabushiki Kaisha Toshiba Central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compensating control function for total heat load in a plurality of rooms
AU644585B2 (en) * 1989-02-22 1993-12-16 Vadelas Pty. Limited Improved zonal control of air conditioning system
KR920701762A (ko) * 1989-02-22 1992-08-12 원본미기재 공조시스템
US4971136A (en) * 1989-11-28 1990-11-20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Dual fuel heat pump controller
US5197666A (en) * 1991-03-18 1993-03-30 Wedekind Gilbert L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on of thermal parameter for climate control
JP2968079B2 (ja) * 1991-03-29 1999-10-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タイプ吸収式空調システム
CA2072239C (en) * 1991-06-27 1999-12-14 Dipak J. Shah Error based zone controller
US5305953A (en) * 1993-06-30 1994-04-26 Carrier Corporation Reactive heating control system
BR9402560A (pt) * 1993-06-30 1995-03-28 Carrier Corp Sistema e processo para controlar o posicionamento de registros dentro de um sistema de volume de ar variável, e para responder a uma mudança em temperatura do ar sendo alimentado a uma pluralidade de zonas individuais a serem refrigeradas
US5367601A (en) * 1994-02-16 1994-11-22 World Technology Group, Inc. Supplemental heat control system with duct temperature sensor and variable setpoint
US5417077A (en) * 1994-03-04 1995-05-23 Carrier Corporation Leaving air temperature control of cooling system
US5417368A (en) * 1994-03-04 1995-05-23 Carrier Corporation Leaving air temperature control of heating system
US5402845A (en) * 1994-03-04 1995-04-04 Carrier Corporation Recovery process for heat pump system
KR960000557A (ko) * 1994-06-23 1996-01-25 배순훈 에어커튼(Air-Curtain)을 이용한 차량 자동온도 조절 시스템
US5860473A (en) * 1994-07-12 1999-01-19 Trol-A-Temp Division Of Trolex Corp. Multi-zone automatic changeover heating, cooling and ventilating control system
US5950709A (en) * 1995-07-21 1999-09-14 Honeywell Inc. Temperature control with stored multiple configuration programs
JPH09236297A (ja) * 1996-02-29 1997-09-09 Sanyo Electric Co Ltd 分散配置型空調装置
AU3504997A (en) * 1996-06-24 1998-01-14 Johnson Service Company Zoning interface system for a variable speed heat pump
US6176306B1 (en) 1997-07-01 2001-01-23 Robert Gault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heat pump
KR100285833B1 (ko) * 1998-02-19 2001-04-16 윤종용 과금기능을갖는공기조화장치및그제어방법
SE9902161D0 (sv) * 1999-06-08 1999-06-08 Pluggit Ab Förfarande och arrangemang vid ett behovsstyrt ventilations- och värmesystem för bostäder
AU768635B2 (en) * 1999-09-07 2003-12-18 Sharp Kabushiki Kaisha Air conditioner having dehumidifying and ventilating functions
US6892546B2 (en) * 2001-05-03 2005-05-17 Emerson Retail Services, Inc. System for remote refrigeration monitoring and diagnostics
US6668240B2 (en) 2001-05-03 2003-12-23 Emerson Retail Services Inc. Food quality and safety model for refrigerated food
US7261241B2 (en) * 2001-07-03 2007-08-28 Eoga Anthony B Heating and cooling energy saving device
US6889173B2 (en) 2002-10-31 2005-05-03 Emerson Retail Services Inc. System for monitoring optimal equipment operating parameters
US7104082B1 (en) * 2003-02-06 2006-09-12 Jose Moratalla Dehumidification and temperature control system
US6983889B2 (en) * 2003-03-21 2006-01-10 Home Comfort Zones, Inc. Forced-air zone climate control system for existing residential houses
WO2005081084A2 (de) * 2004-02-18 2005-09-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auswahl eines möglichen teilnehmers für ein medizinisches vorhaben anhand eines auswahlkriteriums
US7412842B2 (en) 2004-04-27 2008-08-19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diagnostic and protection system
WO2006023075A2 (en) * 2004-08-11 2006-03-02 Lawrence Kates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refrigerant-cycle systems
US7275377B2 (en) 2004-08-11 2007-10-02 Lawrence Kates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refrigerant-cycle systems
US7424343B2 (en) 2004-08-11 2008-09-09 Lawrence Kates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 reduction in an electric power system
US7156316B2 (en) * 2004-10-06 2007-01-02 Lawrence Kates Zone thermostat for zone heating and cooling
US7168627B2 (en) * 2004-10-06 2007-01-30 Lawrence Kates Electronically-controlled register vent for zone heating and cooling
US8033479B2 (en) 2004-10-06 2011-10-11 Lawrence Kates Electronically-controlled register vent for zone heating and cooling
US7163156B2 (en) * 2004-10-06 2007-01-16 Lawrence Kates System and method for zone heating and cooling
CA2582232A1 (en) * 2004-10-06 2006-04-20 Lawrence Kates System and method for zone heating and cooling
ES2388067T3 (es) * 2005-10-18 2012-10-08 Carrier Corporation Sistema y método para controlar el funcionamiento de una bomba de calor y de calefacción suplementaria
WO2007106080A2 (en) * 2006-03-10 2007-09-20 Carrier Corporation High efficiency hybrid a/c system
US8343280B2 (en) * 2006-03-28 2013-01-01 Tokyo Electron Limited Multi-zone substrate temperature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US20070238301A1 (en) * 2006-03-28 2007-10-11 Cabral Stephen H Batch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chemical oxide removal
EP1852660A1 (de) * 2006-05-03 2007-11-07 Roth Werk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izen und/oder Kühlen eines Bauwerkes
US7718032B2 (en) 2006-06-22 2010-05-18 Tokyo Electron Limited Dry non-plasma treatment system and method of using
US8590325B2 (en) 2006-07-19 2013-11-26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Protection and diagnostic module for a refrigeration system
US20080216494A1 (en) 2006-09-07 2008-09-11 Pham Hung M Compressor data module
US8020777B2 (en) * 2007-01-29 2011-09-20 Lawrence Kates System and method for budgeted zone heating and cooling
US20090037142A1 (en) 2007-07-30 2009-02-05 Lawrence Kates Portable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refrigerant-cycle systems
US8285127B2 (en) 2007-09-05 2012-10-09 Tpi Corporation In-line duct supplemental heating and cooling device and method
US20090065595A1 (en) * 2007-09-12 2009-03-12 Lawrence Kates System and method for zone heating and cooling using controllable supply and return vents
US9140728B2 (en) 2007-11-02 2015-09-22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sensor module
EP2103880B1 (en) * 2008-03-20 2011-09-07 Daikin Industries, Ltd. Heat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heating
US20100012737A1 (en) * 2008-07-21 2010-01-21 Lawrence Kates Modular register vent for zone heating and cooling
PT2356387T (pt) * 2008-11-18 2019-12-23 Phoebus Energy Ltd Sistema de aquecimento híbrido
ES2617744T3 (es) * 2008-12-30 2017-06-19 Zoner Llc Registro de equilibrio automático para sistemas HVAC
EP2435917B1 (en) 2009-05-29 2021-11-10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Retail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evaluating equipment operating parameter modifications
US9098279B2 (en) 2010-09-14 2015-08-04 Goog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ata interchange between a network-connected thermostat and cloud-based management server
US9046898B2 (en) 2011-02-24 2015-06-02 Google Inc. Power-preserving communications architecture with long-polling persistent cloud channel for wireless network-connected thermostat
AU2012223466B2 (en) 2011-02-28 2015-08-13 Emerson Electric Co. Residential solutions HVAC monitoring and diagnosis
US20120248212A1 (en) * 2011-03-30 2012-10-04 Trane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 Hybrid Heating System
US8964338B2 (en) 2012-01-11 2015-02-24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pressor motor protection
US9208676B2 (en) 2013-03-14 2015-12-08 Google Inc. Devices, methods, and associated information processing for security in a smart-sensored home
US9310439B2 (en) 2012-09-25 2016-04-12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a control and diagnostic module
US9587849B2 (en) * 2013-03-01 2017-03-07 Stephen Schlesinger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9551504B2 (en) 2013-03-15 2017-01-24 Emerson Electric Co. HVAC system remote monitoring and diagnosis
US9803902B2 (en) 2013-03-15 2017-10-3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ystem for refrigerant charge verification using two condenser coil temperatures
CN105074344B (zh) 2013-03-15 2018-02-23 艾默生电气公司 Hvac系统远程监测和诊断
US10215431B2 (en) * 2013-03-18 2019-02-26 Carrier Corporation Compact air handler with multiple fans
WO2014165731A1 (en) 2013-04-05 2014-10-09 Emerson Electric Co. Heat-pump system with refrigerant charge diagnostics
JP5858062B2 (ja) * 2014-02-03 2016-02-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JP6331432B2 (ja) * 2014-02-03 2018-05-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US11598556B2 (en) 2014-06-16 2023-03-07 Cambridge Engineering, Inc. Blow through direct fired heating, A/C and ERV
US10001295B2 (en) * 2014-06-16 2018-06-19 Cambridge Enginnering, Inc. Blow through direct fired heating, A/C and ERV
US11268712B2 (en) 2017-11-10 2022-03-08 Carrier Corporation Forced air conditioning system
US20200025405A1 (en) * 2018-07-19 2020-01-2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Air conditioner unit having a control board with multiple preset personalities
US11131471B1 (en) 2020-06-08 2021-09-28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Refrigeration leak detection
US11754324B2 (en) 2020-09-14 2023-09-12 Copeland Lp Refrigerant isolation using a reversing valve
US12196462B2 (en) 2021-03-23 2025-01-14 Copeland Lp Heat-pump system with multiway valve
US11940188B2 (en) 2021-03-23 2024-03-26 Copeland Lp Hybrid heat-pump system
CN113324323B (zh) * 2021-05-10 2022-07-29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空调控制方法、装置、空调和可读存储介质
CN114838880B (zh) * 2022-03-25 2024-11-15 中国辐射防护研究院 一种多区域主控室内漏量测试模拟实验系统
CN115638521B (zh) * 2022-10-09 2024-07-1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联动新风装置的控制方法、装置及智能家居系统
CN115638520B (zh) * 2022-10-09 2024-07-1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联动新风装置的控制方法、装置及智能家居系统
CN115751637B (zh) * 2022-11-14 2024-12-2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联动新风装置的控制方法、装置和智能家居系统
CN115751638B (zh) * 2022-11-14 2024-12-2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联动新风装置的控制方法、装置和智能家居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8545A (en) * 1972-07-12 1973-10-30 Borg Warner Temperature control system with multiple thermostats
US4319711A (en) * 1977-10-11 1982-03-16 Robertshaw Controls Company Wall thermostat and the like
US4289272A (en) * 1978-03-31 1981-09-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NO148759C (no) * 1978-07-17 1983-12-07 Carrier Corp Luftkondisjoneringssystem og fremgangsmaate for aa varme og kjoele et rom
AU515910B2 (en) * 1978-10-19 1981-05-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indoor units
US4217646A (en) * 1978-12-21 1980-08-12 The Singer Company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a building
US4244517A (en) * 1979-03-22 1981-01-13 The Trane Company Temperature control for variable volume air conditioning system
NL7903911A (nl) * 1979-05-17 1980-11-19 Tricentrol B 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regelen van de temperatuur binnen een omsloten ruimte.
US4264034A (en) * 1979-08-16 1981-04-28 Hyltin Tom M Digital thermostat
US4298163A (en) * 1979-10-03 1981-11-03 Envirotronics Electronic multi-zone timed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US4460125A (en) * 1981-05-14 1984-07-17 Robertshaw Controls Company Wall thermostat and the like
JPS6047497B2 (ja) * 1981-05-25 1985-10-22 東プレ株式会社 集中式空気調和設備の風量制御装置
US4549601A (en) * 1982-06-21 1985-10-29 Carrier Corporation Variable volume multizone system
US4530395A (en) * 1982-10-14 1985-07-23 Parker Electronics, Inc. Single zone HVAC controlled for operation in multiple zone arrangement
US4479604A (en) * 1982-12-30 1984-10-30 Didner Robert S Zoned control system
CH654391A5 (fr) * 1983-06-15 1986-02-14 Honeywell Lucifer Sa Valve pour fluide.
US4661914A (en) * 1984-06-07 1987-04-28 Magnavox Government And Industrial Electronics Company Energy management control apparatus
US4606401A (en) * 1985-03-08 1986-08-19 Honeywell, Inc. Programmable thermostat
JPS63713A (ja) * 1986-06-20 1988-01-05 Nikon Corp アドレス方式位置決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516A (ko) 1986-10-13
AU567005B2 (en) 1987-11-05
US4716957A (en) 1988-01-05
AU5530186A (en) 1986-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2143B1 (ko) 덕트식 멀티조온 공조시스템
US7489988B2 (en) Generator control system, genera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program and record medium
US7644869B2 (en) Auxiliary stage control of multistage thermostats
KR100225637B1 (ko) 공기조화기의 온도제어장치
EP1811239B1 (en) Method of controlling blowing direction in sleeping operation mode of air conditioner
JP2016169913A (ja) 熱交換換気装置
KR960011952B1 (ko) 온풍난방기
JPH1194327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3785866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0161685A (ja) 温風式床暖房システム
JP2000304286A (ja) 床暖房装置の温度制御装置及び温度制御方法
US6209335B1 (en) Environmental distribution control module
KR960001656A (ko) 에어콘의 트윈송풍장치 및 방법
JPH05296548A (ja) 空気調和装置
JP3876486B2 (ja) 温度制御装置
KR20100098018A (ko)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102237A (ko) 중앙 제어기
JP2001235215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2919316B2 (ja) 床暖房システムの制御装置
KR100487780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KR100239541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3120983A (ja) 空気調和機
KR10018725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0151558B1 (ko)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의 가습량 조절방법
JPH11237061A (ja) 床暖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3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604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6040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