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1873B1 - 초음파 가습장치 - Google Patents

초음파 가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873B1
KR900001873B1 KR1019850004208A KR850004208A KR900001873B1 KR 900001873 B1 KR900001873 B1 KR 900001873B1 KR 1019850004208 A KR1019850004208 A KR 1019850004208A KR 850004208 A KR850004208 A KR 850004208A KR 900001873 B1 KR900001873 B1 KR 900001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sensor
ultrasonic
output
roo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4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0515A (ko
Inventor
마찌 도시오 후까
고우 이찌 노마
이 도시오 사꾸라
가즈도 마쓰다
도시아끼 가와다
다께시 오오자와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오누에 가오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912230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2669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5913259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1536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4102657U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8435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4110637U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6160U/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오누에 가오루 filed Critical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0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873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05B17/0607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 B05B17/0615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spray being produced at the free surface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n a container and subjected to the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liquids into gaseous media
    • B01F23/21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liquids into gaseous media by spraying or atomising of the liquids
    • B01F23/213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liquids into gaseous media by spraying or atomising of the liquids using electric, sonic or ultrasonic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1/00Gas and liquid contact apparatus
    • Y10S261/48Sonic vibra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초음파 가습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계되는 초음파 가습장치의 외관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조작부의 확대 설명도이다.
제3도는 그 초음파 가습장치의 저면도이다.
제4도는 그 초음파 가습장치의 제3도의 Ⅳ-Ⅳ'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5도는 그 초음파 가습장치의 제3도의 Ⅴ-Ⅴ'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초음파 가습장치 2 : 윗케이스
3 : 아래케이스 4 : 조작부
6 : 운전조작꼭지 7 : 습도설정레버
8 : 습도표시부 9 : 전원스위치
10 : 초음파발진회로 11 : 가변저항
12, 56 : 덮개 13 : 급수탱크
14 : 배출유입구 15 : 초음파 진동자
16 : 무화수조 17 : 보조수조
18 : 재치부 19 : 칸막이벽
20 : 상류실 21 : 하류실
22 : 밑판 23 : 흡입구
24, 38, 43 : 개구부 25 : 송풍기
26 : 보스 27, 42 : 회로기판
28 : 비스 29 : 습도센서
30 : 강압트랜스 32 : 연통공
34 : 분무통 35 : 통풍로
36 : 취출통 37 : 취출구
39 : 벽 40 : 실내온도검지실
41 : 온도센서 51 : 알루미나기판
52, 52' : 전극 53 : 감습부
54, 54' : 리이드선 55, 55' : 땜납
58 : 케이스 59 : 전면
60 : 부착공 61 : 원통부
62 : 나사결합홈 63 : 필터부착체
64 : 중공부 65 : 나사결합홈
66 : 끼워맞춤부 69 : 필터
70 : 미끄럼멈춤 82 : 입력코일
83 : 교류전원 84 : 출력코일
85, 110, 112, 134, 140, 141, 142, 142 : 다이오드
86 : 평활콘덴서 87 : 제어회로
88 : 릴레이 89, 95 : 트랜지스터
92, 94, 120, 121, 122, 123 : 비교기 98 : 제너다이오드
100, 101, 102, 103, 104 : 발광다이오드
105 : 출력코일 106, 107 : 분압저항
109, 111, 113, 136, 147 : 콘덴서
114 : 증폭기 116 : 가변저항기
본 발명은 초음파 진동자에 의하여 수조내의 물을 미립자화하여 그것을 송풍기에 의하여 실내에 공급하는 초음파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 진동자를 사용한 가습장치는, 예컨대 U.S.Pat.No.3,901,443과 실개소 56-86427호 공보에서 볼수 있는 바와 같이 이미 공지의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이런 종류의 가습장치는 단순히 습도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가습동작을 제어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쾌적한 실내습도를 얻을 수 없었다.
즉 실내의 온도와 습도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고, 습도센서의 출력신호는 습도뿐만 아니라 온도에 따라서도 변동한다.
이때문에 습도센서의 출력신호를 그대로 사용하여 가습동작을 제어하는 종래장치에 있어서는 온도가 높으면 보다 높은 습도를 습도센서가 검지하는 것으로 인하여 습도가 내리고, 반대로 온도가 낮으면 보다 낮은 습도를 습도센서가 검지하는 것으로 인하여, 습도가 상승하여 쾌적한 습도를 얻을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온도에 변화가 있을지라도 정확한 습도제어를 실시할수 있는 초음파 가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문에 본 발명은 초음파 진동자에 의하여 수조내의 물을 미립자화하여 송풍기에 의하여 실내에 공급하는 초음파 가습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실내의 습도를 검지하는 습도센서와 전술한 실내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센서와 전술한 실내의 습도를 원하는 값으로 설정하는 습도 설정수단과, 전술한 습도센서의 출력을 전술한 온도센서에 의하여 보정하는 습도 보정수단과 이 습도 보정수단에 의하여 보정된 값과 전술한 습도설정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값을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이 비교수단으로의 비교결과에 입각하여 전술한 초음파 진동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전술한 습도보정수단에 의하여 보정된 값에 따라서 실내의 습도를 표시하는 습도표시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초음파 가습장치를 이와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서, 습도뿐만 아니라, 온도에 의하여도 영향을 받아서 변동하는 습도센서의 출력을 실내 온도센서의 출력에 의하여 바른 습도치로 보정할 수 있는 점으로 인하여 실내습도를 정확히 제어할수 있도록 되어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습도보정수단에 의하여 보정된 습도에 상응하여 실내의 습도를 표시하는 습도 표시수단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이와같이 함으로서 현재의 실내습도를 옳게 알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습도 절정수단으로 상한치 이상으로 설정했을때에 전술한 비교수단으로의 비교 결과에 관계없이, 전술한 초음파 진동자를 연속적으로 구동하는 우선 제어수단을 설치하면 좋다.
이렇게 함으로서 습도센서의 출력하고는 관계가 없는 금속가습을 할수 있도록 되어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습도센서는 송풍기에 의하여, 이 가습장치의 하부에 형성되는 통풍로에 설치하는 한편, 온도센서는, 이 가습장치의 일측면에 습도 설정용으로서 설치한 레버의 이동을 위한 가로로 긴몸으로부터 실내공기를 거두어 넣고 전술한 통풍로로 방출하도록 형성된 실내습도 검지실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서 습도센서가 정확히 실내온도를 검지할 수 있도록 되는 것으로부터 습도센서의 출력보정이 바르게 실시되고, 정도가 높은 습도제어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습도센서는 센서부 표면을 케이스로 덮고, 그 케이스의 센서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원형 개구부를 형성하고, 그 원형 개구부에 내측에 필터, 외측에 조작꼭지부가 형성된 환상의 필터부착제를 나사결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함으로서 센서부에 먼지나 물방울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고, 그때의 습도를 정상으로 검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의 부착과 떼어냄이 간단해지고, 또한 구조도 간단한 습도센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습도표시수단을 설치한 후에, 전술한 우선 제어수단을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때에 전술한 설정상한치를 전술한 습도표시수단의 습도표시 상한치로 하여도 된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표시수단을 설치했을 경우, 그 습도표시수단을 복수의 표시등을 설치하여 구성하면 된다.
더우기 이들 표시등은 각각 기준전압이 상이한 복수의 비교수단을 포함하고, 전술한 습도 보정수단에 의하여 보정한 값을 전술한 복수의 비교수단에 입력하여 각각의 기준전압과의 비교결과에 입각하여 점등하면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초음파 가습장치(1)는 윗케이스(2)와 아래케이스(3)로서 구성된다.
아래 광주리(3)에 있어서의 전면패널(5)의 오른쪽 부분에는 조작부(4)가 설치된다.
이 조작부(4)위에는 제2도에 상세히 표시하는 바와같이 운전조작꼭지(6) 습도설정레버(7) 및 습도표시부(8)가 설치된다.,
이 운전조작꼭지(6)가 조작되면 후술하는 제10도에서 설명하는 전원스위치(9)가 닫힘과 동시에 초음파 발진회로(10)(제5도 참조)가 제어되어 매분당의 분무량이 조정된다.
전술한 설정레버(7)는 습도가 30% 내지 70%까지의 임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고,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고 가변저항(11)(제10도 참조)의 저항치를 변경하는 것이다.
습도표시부(8)는 실내습도가 30% 내지 70%까지의 범위를 표시가능하고, 실내습도에 비례하여 순차적으로 발광하는 다이오드(100)-(104)로서 형성된다.
한편 윗케이스 위에는 내부에 수납되는 급수탱크(13)(제5도 참조)의 배출유입구(14)를 개폐하는 덮개(12)가 설치된다.
제6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전술한 아래케이스(3)에는 하면에 초음파 진동자(15)를 부착한 무화수조(霧化水槽)(16)와 이 무화수조(16)와 연통하여 전술한 급수탱크(13)로부터 급수되는 보조수조(17)와 전술한 급수탱크(13)의 재치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도,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아래케이스(3)는 이들의 하부공간이 칸막이벽(19)에 의하여 상류실(20)과 하류실(21)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밑판(22)에 개설한 흡입구(23)로부터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류실(20)로부터 하류실(21)내로 도입하기 때문에 전술한 칸막이벽(19)에 개구부(24)(제3,4,5도 참조)가 개설되는 동시에 그 칸막이벽(19)의 하류실(21)측에 송풍기(25)가 부착된다.
나아가서 상류실(20)내의 전술한 재치부(18) 하면에 돌설한 부착보스(26)에 회로기판(27)이 비스(28)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그 회로기판(27)에는 실내습도를 검지하는 습도센서(29)등이 부착된다. 즉, 이 상류실(20)내에 습도센서(29)를 설치하는 한편, 하류실(21)내에 송풍기(25), 트랜스(30) 및 초음파 진동자(15)를 구동시키기 위한 발진회로(10)가 부착된 기판(31)을 설치함으로서, 이들 부품으로부터 전술한 습도센서로의 열적영향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이때에 습도센서(29)는 그 검지면을 하방으로하여 설치함으로서, 실외의 먼지등의 부착을 방지함과 동시에 물방울이 부착하더라도 굴러 떨어지기 쉽게 되는 점으로 인하여 잘못된 동작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제6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전술한 흡입구(23)를 통하여 유입한 실내공기가 상류실(20)로부터 하류실(21)로 들어가고, 더욱 그 하류실(21)의 상벽(21A)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설한 연통공(32)과의 사이를 통하여 무화수조(16)로 도입되도록 전술한 급수탱크(13)하방에 통풍로(35)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무화수조(16)내로 유입한 공기를 미립자화한 안개와 함께 분무통(34)내를 상승하여 취출통(36)의 취출구(37)를 통하여 실내로 방출된다.
한편, 제1 및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조작부(4)에는 개구를 통하여 운전 조작꼭지(6)와 가로로 긴 구멍모양의 개구부(38)를 통하여 습도설정 레버(7)가 설치된다.
그 조작부(4)의 뒷쪽에는 둘러싼 벽(39)으로 실내온도 검지실(40)이 형성된다. 그 검지실(40)내의 둘러싼 벽(39)의 벽면에는 실내온도를 검지하는 온도센서(41) 및 전술한 습도 설정레버(7)에 의하여 저항치가 변화하는 가변저항(11)등이 부착된 회로기판(42)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나아가서 그 검지실(40)의 저부에는 전술한 통풍로(35)에 면하여 대체로 절반이 열린 개구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실내공기는 전술한 개구부(38)로부터도 유입하고, 그 유입한 공기는 전술한 통풍로(35)내의 공기와 합류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전술한 개구부(38)은 작은 가로로 긴 구멍형상의 열린점으로 인하여 전술한 회로기판(42)이 유입한 미소한 실내공기에 의하여 냉각되는 일은 없고, 온도센서(41)는 정확한 실내온도를 검지한다.
또한 이 온도센서(41)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실내온도를 검지하여 전술한 습도센서(29)의 검지출력을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습도센서(29)는 습도뿐만 아니라 온도에 의하여도 영향을 받기때문에 그 영향된 분을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은 기판(27)에 부착되는 습도센서(29)에 관하여 제7도, 제8도 및 제9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알루미나기판(51)상에는 전극(52)(52')가 서로 간격을 두고 빗모양으로 프린트되어 있다.
이 알루미나기판(51)은 감습액제중에 침지된후 꺼내서 건조하여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전극(52)(52')사이는 감습부(53)로 되고, 습기에 따라 도전율이 상이하다.
리이드선(54)(54')은 전술한 전극(52)(52')에 땜납(55)(55')등의 접합수단에 의하여 고정접속된다.
이 알루미나기판(51)을 덮개(56)와 케이스(58)로 둘러싸서 습도센서(29)가 형성된다.
그 덮개(56)는 전술한 알루미나기판(51)의 상단을 협지하는 보호유지편을 가진다.
케이스(58)는 저면 및 후면을 개구하고, 내부에 전술한 알루미나기판(61)이 설치됐을때에 그 감습부(53)에 대향하는 전면(59)의 중앙부에 필터부착공(60)을 가진다.
이 부착공(60)은 후방에 원통부(61)을 가지며, 이 개구 내주면에는 나사결합홈(62)가 형성되어 있다.
필터부착체(63)는 검지용 개구로서의 중공부(中空部)(64)를 가지며, 전술한 나사결합홈(62)과 결합하는 나사결합홈(65)이 주위에 형성되는 끼워맞춤통부(66)와 전술한 부착공(60)보다도 지름이 큰 조작꼭지(67)로서 구성된다.
또한 이 필터부착체(63)의 전술한 중공부(64)에는 지름이 작은 단차부(68)에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69)가 고정된다.
또한 부착체(63)의 전술한 꼭지(67)의 외주에는 요철의 미끄럼멈춤(70)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그 습도센서(29)의 조립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전극(52)(52')에 리이드선(54)(54')를 납땜(55)(55')질한 알루미나기판(51)의 상단을 보호유지편(57)으로 협지함으로서 덮개(56)에 부착된다.
이 알루미나기판(51)이 부착된 덮개(56)의 내면에 복수의 돌기(71)를 돌설하고 덮개(56)와 케이스(58)와의 합체시에 전술한 돌기(71)가 케이스(58)의 측면에 맞닿음으로서 고정된다.
그후에 필터(69)가 부착된 필터부착제(63)와 끼워맞춤부(66)에 형성된 나사결합홈(65)을 케이스(58)의 나사결합홈(62)에 결합시키고, 조작꼭지(67)를 회전시킴으로서 부착된다.
이 필터(69)에 먼지가 부착했기 때문에 필터(69)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조작꼭지(67)를 역회전시킴으로서 필터부착체(63)를 전술한 부착공(60)으로부터 떼내고, 새로운 필터부착체(63)를 부착하면 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습도센서(29)가 제3도, 제4도,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필터부착면을 아래쪽으로 하여 회로기판(27)에 부착된다.
다음은 전술한 회로기판(27) 및 (42)상에 형성된 이 장치의 전기회로에 관하여 제10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강압트랜스(30)의 입력코일(82)은 전원스위치(9)를 통하여 AC 100V의 일반 상용교류전원(8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트랜스(30)의 한쪽의 출력코일(84)에는 다이오드(85)와 어어드 접속되는 평활콘덴서(86)가 접속이되어 있다.
제어회로(87)의 구성요소중 하나인 릴레이(88)는 초음파 진동자(15)를 발진시키는 발진회로(10)에 전원을 공급 또는 정지하기 위한 것이고, 일단이 전술한 다이오드(85)와 콘덴서(86)의 접속점 A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89)의 콜렉터는 저항(90)을 통하여 전술한 릴레이(88)의 타단에 에밋터는 어어드에, 그리고 베이스는 저항(91)을 통하여 후술하는 비교기(92)와 저항(93)을 통하여 비교기(94)와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즉 이 비교기(92)(94)의 출력에 의하여 트랜지스터(89)가 제어되어 있고, 릴레이(88)가 여자 또는 소자함으로서 진동자(15)가 제어된다.
트랜지스터(95)는 습도 표시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그 에미터는 저항(96)(97)을 통하여 접속점 A로, 베이스는 제너다이오드(98)와 저항(99)으로 또한 콜렉터는 습도표시를 하기위한 표시등으로서의 발광다이오드(100)으로부터 (101),(102),(103),(104)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 발광다이오드에 의하여 습도 30% 내지 70%까지의 표시를 할 수 있다.
습도센서(29)의 일단은 전술한 강압트렌스(30)의 다른쪽의 출력코일(105)의 출력단자에 분압 저항(106)(107)을 통하여 접속되는 동시에 그 타단은 저항(108), 콘덴서(109), 다이오드(110), 콘덴서(111)를 통하여 어어드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콘덴서(109)와 다이오드(110)과의 사이에는 역방향의 다이오드(112)와 콘덴서(113)가 병열로 접속되어 있다.
증폭기(114)의 비반적 입력단자는 저항(115)와 가변저항기(116)와의 직열회로를 통하여 어어드접속됨과 동시에 전술한 다이오드(110)와 콘덴서(111)와의 접속점 B에 접속되어 있다.
이 증폭기(114)의 반전입력단자는 저항(117)을 통하여 어어드접속됨과 동시에 저항(118)을 통하여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온도센서(41)는 일단을 어어드에 또한 타단을 저항(119)을 통하여 전술한 증폭기(114)의 출력단자와 접속하고 있다.
표시회로를 구성하는 제1 내지 제4의 비교기(120),(121),(122),(123)의 비반전입력단자는 각각 저항(124),(125),(126),(127)를 통하여 전술한 온도센서(41)의 타단에 접속되는 동시에, 저항(128),(129),(130),(131)를 통하여 각각의 출력단자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제4의 비교기(123)의 반전 입력단자는 저항(132),(133)의 다이오드(134), 저항(135)를 통하여 전술한 출력코일(105)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다이오오드(134)와 저항(133)과의 접속점 C에는 어어드 접속시키는 평활용 콘덴서(136)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1 내지 제4의 비교기(120)(121)(122)(123)의 기준전압이 순서대로 높아지도록 각각의 반전 입력단자가 각각 저항(137)(138)(139)을 통하여 제4의 비교기(123)의 반전 입력단자와 저항(132)와의 접속점 D에 접속되고, 또한 전술한 비교기(120)의 반전 입력단자는 저항(152)를 통하여 어어드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비교기(120)(121)(122)(123)의 비반전 입력단자에는 증폭기(114)에 의하여 증폭된 습도센서(29)로부터의 전압과 온도센서(41)의 출력전압과의 분한전위가 입력되고, 차례로 높아지는 기준전압과 비교된다.
이 결과로 비교기(120)(121)(122)(123)의 출력이 차례로 높은 수준을 출력했을때에 다이오드(140)(141)(142)(143)를 통하여 전술한 발광다이오드(101)(102)(103)(104)가 발광한다.
가변저항(11)은 실내온도를 설정하는 습도 설정레버에 의하여 저항값이 변화하는 것이고, 일단이 전술한 저항(133)에 타단이 어어드 접촉되어 있으며, 또한 저항(144)(145)을 통하여 각각 비교기(92)(94)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이 비교기(92)의 입력단자 사이에는 저항(146)이, 또한 양 입력단자간에는 노이즈필터로서의 콘덴서(147)가 접속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여 전술한 증폭기(114)에 의하여 증폭된 습도센서(92)로부터의 출력을 온도센서(41)에 의하여 보정한 출력이 저항(148)을 통하여 비교기(92)의 반전 입력단자에 입력하게 된다.
전술한 비교기(94)의 반전 입력단자는 일단이 출력코일(105)에 접속되는 저항(149)와 저항(150)과의 접속점 F에 접속되고 또한 두 입력단자간에는 노이즈필터로서의 콘덴서(151)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습도표시부(8)의 습도표시 상한치를 초과하여, 전술한 습도 설정레버(7)를 설정했을때에 습도센서(29)로부터의 출력과는 관계없이 전술한 제어회로(87)를 작동상태로하는 우선 제어회로(153)는 전술한 저항(93)(145), 콘덴서(151), 비교기(94)로서 구성된다.
다음에는 이상과같이 구성되는 초음파 가습장치의 동작을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먼저 운전 조작꼭지(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전원스위치(9)가 닫히고, 전압트랜스(30)의 다른쪽의 출력코일(105)에는 강압된 전원이 나타난다. 이 전원은 저항(135)를 통하여 다이오드(134)에 의하여 반파정류 된 후에 콘덴서(136)에 의하여 평활해져서 직류 전원으로서 저항(133), 가변저항(11), 저항(144)을 통하여 비교기(92)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동시에, 저항(145)를 통하여 비교기(94)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한다.
또한 이 직류전원은 저항(132)를 통하여 제4의 비교기(123)의 반전 입력단자에 인가함과 동시에 저항(139),(138),(137)를 각각 통하여 제1 내지 제3의 비교기(120)(121)(122)의 반전 입력단자에 각각 인가하고 있다.
한편 전술한 출력코일(105)로부터의 전원은 저항(106), 습도센서(29), 저항(108), 콘덴서(109)를 통하여 다이오드(110)에 의하여 반파정류후에 콘덴서(111)에 의하여 평활된 전원으로서 증폭기(114)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입력한다.
즉, 이 증폭기(114)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입력하는 전압은 습도센서(29)가 실내의 습도를 검지하여 출력하는 값이지만, 가령 실내온도가 일정하다면, 실내온도가 낮을때에는 습도센서(29)의 출력전압은 낮고 실내온도가 높을때에는 습도센서(29)의 출력전압은 높은 것이다. 이 습도센서(29)의 출력은 증폭기(114)에 의하여 리니어(Linear)로 증폭된 후에 저항(119)을 통하여 온도센서(41)의 타단으로 출력된다.
이에 의하여 이 온도센서(41)에 의하여 보정한 출력이 제1 내지 제4의 비교기(120)(121)(122)(123)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각각 저항(124)(125)(126)(127)을 통하여 입력하는 동시에, 저항(148)을 통하여 비교기(92)로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습도센서(29)의 특성인 온도변화에 의한 출력의 변화를 온도센서(41)에 의하여 보정할 수가 있다.
즉, 예를들면 실내온도가 높으면 습도센서(29)는 습도뿐만 아니라 온도에 의하여도 영향을 받아서 보다 작은 저항치로 되지만, 온도센서(41)도 저항치가 작아짐으로 인하여 접속을 함으로서 보정할 수 있다.
다음은 전술한 온도센서(41)에 의하여 보정된 습도센서(29)로부터의 출력에 입각하여 온도표시부(8)의 발광다이오드(100)(101)(102)(103)(104)를 발광시키는 표시회로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술한 보정된 습도센서(29)로부터의 출력은 제1 내지 제4의 비교기(120)(121)(122)(123)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각각 저항(124)(125)(126)(127)을 통하여 입력된다.
이때에 실내의 습도가 40%에 미달인 경우에는 각 비교기(120)(121)(122)(123)는 비반전 입력단자보다도 반전입력단자의 입력레벨쪽이 높기때문에 저레벨을 출력한다.
또한 트랜지스터(95)는 출력코일(84)에 의하여 일어나는 전원이 다이오드(85), 저항(97)(96)을 통하여 인가하기 때문에 도통하고 있고, 또한 전술한 비교기(120)는 저출력을 출력하고 있기 때문에 다이오드(140)가 도통하기 때문에 습도가 30%임을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100)가 발광한다. 즉 습도가 40%에 미달인때에 점등하는 발광다이오드(100)를 전원 표시등으로 사용하여도 좋다.
다음은 실내의 습도가 서서히 상승하여 발광다이오드(101)(102)(103)(104)가 점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후술하는 바와같이 가습동작이 계속되면 습도센서(29)의 저항치가 서서히 작아지기 때문에 접속점의 전위가 높아지고, 각 비교기(120)(121)(122)(123)의 기준전위를 점차 초과하게 된다. 이때에 예컨대 비교기(120)의 비반전 입력단자의 입력 레벨이 기준전위를 초과하면, 이 비교기(120)는 고레벨을 출력하지만, 비교기(121)의 출력레벨은, 저레벨이기 때문에 다이오드(141)가 도통하기 때문에 발광다이오드(100)(101)가 발광하여 습도가 40%임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같이 하여 순차적으로 각 비교기(120)(121)(122)(123)의 출력레벨에 입각하여 각 발광다이오드(100)(101)(102)(103)(104)의 점멸제어가 가능하며, 습도를 70%까지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물론 실내의 습도가 저하하는 경우에는 반대의 동작을 실시하게 된다.
다음은 습도 설정에 의한 습도제어에 관하여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습도설정 레버(7)를 임의의 위치로 예컨대 40%정도의 습도로 설정하면 가변저항(11)의 저항치가 변화하고, 비교기(92)의 비반전 입력단자에는 출력코일(105)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원이 가변저항(11), 저항(144)을 통하여 인가된다.
한편 전술한 습도센서(29)의 출력을 온도센서(41)로 보정한 출력이 비교기(92)의 반전입력단자에 입력된다.
따라서 비교기(92)는 양 입력을 비교하고, 그 비교 출력을 제어회로(87)에 송달한다.
이때문에 비반전 입력단자의 입력레벨쪽이 높으면, 바꿔말하면 검지습도가 설정습도의 40%보다 낮은값이면, 비교기(92)는 고레벨 출력을 저항(91)을 통하여 트랜지스터(89)의 베이스에 출력한다.
이에 의하여 트랜지스터(89)가 도통하여 릴레이(88)가 여자하고, 발진회로(10)에 전원이 공급되고, 초음파 진동자(15)가 구동된다.
즉 습도센서(29)의 출력을 온도센서(41)로 보정한 출력이 설정습도의 출력보다 레벨이 낮으면 전원 스위치(9)가 닫히면서부터 초음파 진동자(15)가 구동된다.
이에 의하여 수조(16)내의 수면상에 물기둥을 세워서 무화작업이 실시되고, 흡입구(23)로부터 송풍기(25)에 의하여 흡수된 바람은 안개와 함께 분무통(34)내를 상승하고 취출통(36)의 취출구(37)로부터 실내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하여 실내를 가습하면 전술한 바와같이 습도센서(29)의 저항치가 서서히 작아지고, 전기회로의 접속점 E의 전위가 서서히 높아진다. 그 결과 비교기(92)의 비반전 입력단자의 입력레벨을 초과하면 트랜지스터(89)를 비도통으로 만들고, 전술한 진동자(15)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물론 그후에 습도센서(29)의 출력변화에 입각하여 비교기(92)는 자동하고, 진동자(15)를 제어하게 된다.
이 비교기(92)는 저항(146)의 저항치를 변화시킴으로서, 동작범위의 대소가 결정된다.
즉, 예컨대 설정습도가 40%일 경우, 전술한 비교기(92)는 습도센서(29)의 온도센서(41)에 의하여 보정된 검지출력이 습도 42%에 상당하는 값까지 고레벨을 출력하고, 그후에 38%에 상당하는 값까지 저레벨을 출력함으로서 습도를 40%로 유지한다.
이와같이하여 실내습도를 설정한 습도로 유지하게 된다.
다음은 급속히 가습을 실시하고 싶을 때에는 습도설정 레버(7)를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연속"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이 "연속"위치로 하면 저항(11)이 변화하고, 비교기(94)의 비반전 입력단자로의 입력레벨이 상승한다.
출력코일(105)의 전원의 저항(149)(150)과의 접속점 F의 전위를 기준전위로 하는 이비교기(94)는 비반전 입력 단자의 입력 레벨쪽이 기준전위인 습도 70% 이상에 상당하는 값보다 초과하기 때문에 고레벨을 출력한다. 이때문에 습도센서(92)의 출력을 온도센서(41)에 의하여 보정한 출력하고는 관계없이 습도설정레베(7)의 "연속"위치로의 이동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트랜지스터(89)를 도통시킨다.
그리고 릴레이(88)를 여자함으로서 발진회로(10)에 의하여 초음파 진동자(15)가 구동한다.
이에 의하여 급속히 가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비교기(92)(94)의 출력단자에는 각각 저항(91)(93)을 통하여 트랜지스터(89)의 베이스가 접속되어있기 때문에 70% 미만으로 설정되어 있을때에는 비교기(94)의 출력은 저레벨이고, 이 비교기(94)의 출력에 영향됨이 없이 비교기(92)의 출력에 의하여서만 제어되고 정상적인 습도제어가 실시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내용들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습도보정연산, 습도설정을 연속으로 설정했을때의 우선 제어, 습도의 제어 및 표시를 위한 비교연상종을 아날로그회로를 사용하여 실현했지만, 이것들을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하여 실현할 수도 있다.

Claims (7)

  1. 초음파 진동자(15)를 사용하고, 수조내의 물을 미립자화하여 송풍기에 의하여 공기와 함께 실내에 공급하는 초음파 가습장치(1)에 있어서, 전술한 실내의 습도를 검지하는 습도센서(29)와, 전술한 실내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센서(41)와, 전술한 실내의 습도를 원하는 값으로 설정하는 습도설정수단과, 전술한 습도센서(29)의 출력을 전술한 온도센서(41)에 의하여 보정하는 습도보정 수단과, 이 습도 보정수단에 의하여 보정된 값과 전술한 습도 설정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값을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이 비교수단에서의 비교결과 입각하여 전술한 초음파 진동자(15)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전술한 습도 보정수단에 의하여 보정된 값에 따라서 실내의 습도를 표시하는 습도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습도 설정수단에서 설정상한치 이상으로 설정했을때에 전술한 비교수단으로의 비교 결과에 관계없이 전술한 초음파 진동자(15)를 연속 구동시키는 우성 제어수단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전술한 설정상한치를 습도 표시수단의 습도표시 상한치로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습도 표시수단은 복수의 표시등을 비치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전술한 습도 표시수단은 각각 기준전압이 순차적으로 상이하는 복수의 비교수단을 포함하고, 전술한 습도 보정수단에 의하여 보정한 값을, 이 복수의 비교수단에 입력하여 각각 기준전압과의 비교결과에 입각하여 전술한 표시등을 순차적으로 점등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습도센서는 전술한 송풍기에 의하여 본 가습장치의 하부에 형성되는 통풍로에 설치하는 한편, 전술한 온도센서는 본 가습장치의 일측면에 습도 설정용으로서 설치한 레버의 이동을 위한 가로로 긴 홈으로부터 형성된 실내 습도검지실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습도센서는 센서부 표면을 케이스로 덮고, 그 케이스의 센서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원형개구부를 형성하고, 그 원형개구부에 안쪽에 필터, 바깥쪽에 조작꼭지부가 형성된 환상의 필터부착제를 나사결합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장치.
KR1019850004208A 1984-06-14 1985-06-14 초음파 가습장치 Expired KR900001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122307 1984-06-14
JP59122307A JPH0626690B2 (ja) 1984-06-14 1984-06-14 加湿装置
JP??59-122307? 1984-06-14
JP59132597A JPS6111536A (ja) 1984-06-26 1984-06-26 超音波加湿装置
JP??59-132597? 1984-06-26
JP1984102657U JPS6118435U (ja) 1984-07-06 1984-07-06 超音波加湿装置
JP??59-110637? 1984-07-06
JP1984110637U JPS6126160U (ja) 1984-07-20 1984-07-20 湿度センサ
JP??59-102657? 1984-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515A KR860000515A (ko) 1986-01-29
KR900001873B1 true KR900001873B1 (ko) 1990-03-26

Family

ID=27469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4208A Expired KR900001873B1 (ko) 1984-06-14 1985-06-14 초음파 가습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643351A (ko)
KR (1) KR9000018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94449A (ja) * 1987-02-20 1988-12-01 Yuukiyan Kk 超音波加湿器による加湿制御装置
US4966017A (en) * 1988-07-06 1990-10-3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iber creel humidification
SE9001819L (sv) * 1989-06-05 1990-12-06 Shimizu Construction Co Ltd Aromtillfoerselanordning
JPH0592706U (ja) * 1992-05-19 1993-12-17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湿度検出装置
US5563811A (en) * 1993-04-29 1996-10-08 Humonics International Inc. Microprocessor controlled drive circuit for a liquid nebulizer having a plurality of oscillators
US5695117A (en) * 1994-06-07 1997-12-09 Sizemore; Timothy J. Evaporative air conditioning system
US5824918A (en) * 1997-02-14 1998-10-20 The Singleton Corporation Relative humidity control system for corrosion test chamber
KR0181022B1 (ko) * 1997-03-31 1999-05-01 대우전자주식회사 가습기의 동작 제어방법
KR19980075693A (ko) * 1997-03-31 1998-11-16 배순훈 써미스터를 이용한 멀티가습기의 진동자 보호방법
JP3329441B2 (ja) * 1998-10-09 2002-09-30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薄膜形成のための前処理方法
US6135427A (en) * 1999-01-08 2000-10-24 Kaz, Incorporated Humidifier
FR2814686B1 (fr) * 2000-10-03 2003-11-28 Boris Nokovitch Procede pour humidifier une composition gazeuse peu soluble dans l 'eau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un tel procede
US6462314B1 (en) * 2000-10-30 2002-10-08 Chen-Lung Huang Control system for a humidifier
EP1224948A1 (de) * 2001-01-22 2002-07-24 Bub AG Verfahren zur Gasbefeuchtung/Entkeimung
DE20101147U1 (de) 2001-01-22 2001-06-07 Bub Ag, Bern-Ittigen Vorrichtung zur Gasbefeuchtung und Entkeimung
FR2867592B1 (fr) * 2004-03-12 2006-06-02 Areco Appareil de distribution de produit consommable et support pour cet appareil
US7607592B1 (en) 2004-11-08 2009-10-27 Kim Sang B Accessories for water and beverage bottles
US7219880B2 (en) * 2005-04-26 2007-05-22 Chuan-Pan Huang Safety protection device and control circuit for instantaneous atomization device
US20060255168A1 (en) * 2005-04-27 2006-11-16 Chuan-Pan Huang Atomizing nozzle for an atomization device
WO2006121791A1 (en) * 2005-05-05 2006-11-16 Pulmatrix Inc. Ultrasonic aerosol generator
GB0605001D0 (en) * 2006-03-13 2006-04-19 Basic Holdings Fuel and flame effect fires
FR2899135B1 (fr) * 2006-03-28 2008-06-20 Areco Finances Et Technologie Procede optimise de pulverisation de liquide et dispositif de pulverisation de liquide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DE102006035214A1 (de) * 2006-07-26 2008-01-31 Venta-Luftwäscher GmbH Luftbefeuchter
USD590658S1 (en) 2007-03-05 2009-04-21 Richard Pola & Associates, Inc. Cup with spritzing mechanism
GB0704379D0 (en) * 2007-03-07 2007-04-11 Reckitt Benckiser Uk Ltd A Free standing treatment device for a dishwasher
GB0814835D0 (en) 2007-09-04 2008-09-17 Dyson Technology Ltd A Fan
US20090179338A1 (en) * 2008-01-11 2009-07-16 Aymeric Le Cottier Active weather station system
GB2463698B (en) * 2008-09-23 2010-12-01 Dyson Technology Ltd A fan
GB2464736A (en) 2008-10-25 2010-04-28 Dyson Technology Ltd Fan with a filter
GB2466058B (en) * 2008-12-11 2010-12-22 Dyson Technology Ltd Fan nozzle with spacers
GB2473037A (en) * 2009-08-28 2011-03-02 Dyson Technology Ltd Humidifying apparatus comprising a fan and a humidifier with a plurality of transducers
GB2468320C (en) * 2009-03-04 2011-06-01 Dyson Technology Ltd Tilting fan
GB2468315A (en) * 2009-03-04 2010-09-08 Dyson Technology Ltd Tilting fan
GB2468317A (en) * 2009-03-04 2010-09-08 Dyson Technology Ltd Height adjustable and oscillating fan
RU2511503C2 (ru) 2009-03-04 2014-04-10 Дайсон Текнолоджи Лимитед Увлажн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GB2468329A (en) * 2009-03-04 2010-09-08 Dyson Technology Ltd Fan assembly
GB2468312A (en) 2009-03-04 2010-09-08 Dyson Technology Ltd Fan assembly
AU2010219483B2 (en) * 2009-03-04 2011-10-13 Dyson Technology Limited A fan assembly
GB2468326A (en) * 2009-03-04 2010-09-08 Dyson Technology Ltd Telescopic pedestal fan
GB0903682D0 (en) * 2009-03-04 2009-04-15 Dyson Technology Ltd A fan
GB2468323A (en) * 2009-03-04 2010-09-08 Dyson Technology Ltd Fan assembly
GB2468331B (en) * 2009-03-04 2011-02-16 Dyson Technology Ltd A fan
ATE512306T1 (de) * 2009-03-04 2011-06-15 Dyson Technology Ltd Gebläse
SG172132A1 (en) * 2009-03-04 2011-07-28 Dyson Technology Ltd A fan
GB2468322B (en) 2009-03-04 2011-03-16 Dyson Technology Ltd Tilting fan stand
GB0919473D0 (en) 2009-11-06 2009-12-23 Dyson Technology Ltd A fan
GB2478927B (en) 2010-03-23 2016-09-14 Dyson Technology Ltd Portable fan with filter unit
GB2478925A (en) * 2010-03-23 2011-09-28 Dyson Technology Ltd External filter for a fan
EP2578889B1 (en) 2010-05-27 2015-09-16 Dyson Technology Limited Device for blowing air by means of narrow slit nozzle assembly
GB2482548A (en) 2010-08-06 2012-02-08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with a heater
GB2482547A (en) 2010-08-06 2012-02-08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with a heater
GB2482549A (en) 2010-08-06 2012-02-08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with a heater
GB2483448B (en) 2010-09-07 2015-12-02 Dyson Technology Ltd A fan
CN103228273B (zh) 2010-09-29 2017-04-05 普马特里克斯营业公司 吸入用单价金属阳离子干粉剂
US10100836B2 (en) 2010-10-13 2018-10-16 Dyson Technology Limited Fan assembly
GB2484670B (en) 2010-10-18 2018-04-25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WO2012052735A1 (en) 2010-10-18 2012-04-26 Dyson Technology Limited A fan assembly
JP5778293B2 (ja) 2010-11-02 2015-09-16 ダイソン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送風機アセンブリ
GB2486019B (en) 2010-12-02 2013-02-20 Dyson Technology Ltd A fan
AU2012288597B2 (en) 2011-07-27 2015-04-09 Dyson Technology Limited A fan assembly
GB2493506B (en) 2011-07-27 2013-09-11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GB201119500D0 (en) 2011-11-11 2011-12-21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GB2496877B (en) 2011-11-24 2014-05-07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GB2498547B (en) 2012-01-19 2015-02-18 Dyson Technology Ltd A fan
GB2499044B (en) 2012-02-06 2014-03-19 Dyson Technology Ltd A fan
GB2499042A (en) 2012-02-06 2013-08-07 Dyson Technology Ltd A nozzle for a fan assembly
GB2499041A (en) 2012-02-06 2013-08-07 Dyson Technology Ltd Bladeless fan including an ionizer
IN2014DN07603A (ko) 2012-03-06 2015-05-15 Dyson Technology Ltd
GB2500010B (en) 2012-03-06 2016-08-24 Dyson Technology Ltd A humidifying apparatus
GB2512192B (en) 2012-03-06 2015-08-05 Dyson Technology Ltd A Humidifying Apparatus
GB2500011B (en) 2012-03-06 2016-07-06 Dyson Technology Ltd A Humidifying Apparatus
GB2500012B (en) 2012-03-06 2016-07-06 Dyson Technology Ltd A Humidifying Apparatus
GB2500017B (en) 2012-03-06 2015-07-29 Dyson Technology Ltd A Humidifying Apparatus
GB2500903B (en) 2012-04-04 2015-06-24 Dyson Technology Ltd Heating apparatus
GB2501301B (en) 2012-04-19 2016-02-03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GB2502104B (en) 2012-05-16 2016-01-27 Dyson Technology Ltd A fan
GB2502103B (en) 2012-05-16 2015-09-23 Dyson Technology Ltd A fan
WO2013171452A2 (en) 2012-05-16 2013-11-21 Dyson Technology Limited A fan
GB2503907B (en) 2012-07-11 2014-05-28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AU350179S (en) 2013-01-18 2013-08-15 Dyson Technology Ltd Humidifier or fan
AU350140S (en) 2013-01-18 2013-08-13 Dyson Technology Ltd Humidifier or fan
AU350181S (en) 2013-01-18 2013-08-15 Dyson Technology Ltd Humidifier or fan
BR302013003358S1 (pt) 2013-01-18 2014-11-25 Dyson Technology Ltd Configuração aplicada em umidificador
GB2510195B (en) 2013-01-29 2016-04-27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EP2951507A2 (en) 2013-01-29 2015-12-09 Dyson Technology Limited A fan assembly
CA152657S (en) 2013-03-07 2014-05-20 Dyson Technology Ltd Fan
CA152656S (en) 2013-03-07 2014-05-20 Dyson Technology Ltd Fan
CA152655S (en) 2013-03-07 2014-05-20 Dyson Technology Ltd Fan
BR302013004394S1 (pt) 2013-03-07 2014-12-02 Dyson Technology Ltd Configuração aplicada a ventilador
USD729372S1 (en) 2013-03-07 2015-05-12 Dyson Technology Limited Fan
CA152658S (en) 2013-03-07 2014-05-20 Dyson Technology Ltd Fan
MX2015013845A (es) 2013-04-01 2016-05-09 Pulmatrix Inc Polvos secos de tiotropio.
GB2530906B (en) 2013-07-09 2017-05-10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CA154722S (en) 2013-08-01 2015-02-16 Dyson Technology Ltd Fan
TWD172707S (zh) 2013-08-01 2015-12-21 戴森科技有限公司 風扇
CA154723S (en) 2013-08-01 2015-02-16 Dyson Technology Ltd Fan
GB2518638B (en) 2013-09-26 2016-10-12 Dyson Technology Ltd Humidifying apparatus
CN103743050A (zh) * 2013-12-19 2014-04-23 中山市加贝五金模具有限公司 一种车载超声波加湿器
GB2528704A (en) 2014-07-29 2016-02-03 Dyson Technology Ltd Humidifying apparatus
GB2528709B (en) 2014-07-29 2017-02-08 Dyson Technology Ltd Humidifying apparatus
GB2528708B (en) 2014-07-29 2016-06-29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CN104196701A (zh) * 2014-09-05 2014-12-10 杨永坚 用于机罩的检测盖
CN104764322A (zh) * 2015-03-20 2015-07-08 姜超 一种网带炉炉温调节旋钮
US9568203B1 (en) * 2015-12-31 2017-02-14 Austin Small System and method for active humidification of hollow-bodied wood instruments
RU174049U1 (ru) * 2016-10-21 2017-09-26 Волкаст Лимитед Увлажнитель воздуха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для занятий спортом
RU183411U1 (ru) * 2017-10-24 2018-09-2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Р-Климат" Увлажнитель воздуха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на горизонтальных поверхностях
RU180274U1 (ru) * 2018-03-26 2018-06-07 Волкаст Лимитед Увлажнитель воздуха
JP7205195B2 (ja) 2018-11-27 2023-01-1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湿度センサ装置
CN111664532B (zh) * 2020-05-27 2021-11-09 苏州市东挺河智能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超声波空气加湿设备
CN111692687B (zh) * 2020-06-30 2025-04-22 深圳市晨北科技有限公司 底座结构以及加湿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6682A (en) * 1963-05-13 1965-07-27 Bacharach Ind Instr Company Humidity sensing circuit
US3820398A (en) * 1973-04-09 1974-06-28 Honeywell Inc System for providing a linear output from a non linear condition responsive device
US4286263A (en) * 1979-08-16 1981-08-25 Lindberg Allan W Illuminated changeable-display sign
US4379406A (en) * 1980-09-25 1983-04-12 Bennewitz Paul F Relative humidity detector systems and method of increasing the calibration period of relative humidity detector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515A (ko) 1986-01-29
US4643351A (en) 1987-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1873B1 (ko) 초음파 가습장치
CA1080290A (en) Electrode-type air humidifier with automatic control
US730049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leaning
US6245131B1 (en) Electrostatic air cleaner
KR20200095586A (ko) 초음파 가습기
WO2022199070A1 (zh) 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和控制系统
CN1235262A (zh) 具有空气净化功能的空调机
EP1647777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leaning in an air conditioner
JP5036665B2 (ja) イオン発生器並びにそれを備えた空気清浄機及び空気調和機
JP2008059795A (ja) イオン発生装置
JPH0626690B2 (ja) 加湿装置
WO2022199067A1 (zh) 负离子发生器和空气调节系统
JPH0315947Y2 (ko)
JPS62194147A (ja) 渇水表示装置
JPH02135119A (ja) 空気清浄機
JPS6111536A (ja) 超音波加湿装置
JP2001091018A (ja) 空気清浄装置
JPH1144568A (ja) 水位検知センサおよび水位検知装置
KR102494098B1 (ko) Bldc 모터를 이용하여 효율을 높이고 실시간 에러 체크 및 대응이 용이한 스마트 에어커튼
JPS61291846A (ja) 超音波加湿機
KR880001582Y1 (ko) 가습기의 습도 조절 및 습도 상태 표시회로
JPH0636879B2 (ja) 空気清浄機
JPH0512667Y2 (ko)
JPS59173641A (ja) 加湿器
JP2024160811A (ja) 空気清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31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903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90327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