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1036A - 분리식 수직형 바이폴라 및 jfet트랜지스터를 제조하기 위한 처리 공정 - Google Patents

분리식 수직형 바이폴라 및 jfet트랜지스터를 제조하기 위한 처리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036A
KR900001036A KR1019890008629A KR890008629A KR900001036A KR 900001036 A KR900001036 A KR 900001036A KR 1019890008629 A KR1019890008629 A KR 1019890008629A KR 890008629 A KR890008629 A KR 890008629A KR 900001036 A KR900001036 A KR 900001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forming
layer
conductivity type
epitaxial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8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69097B1 (ko
Inventor
알.시크리스트 마이클
알.트로골로 조
엠.벨 케네스
Original Assignee
엔.라이스 머레트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라이스 머레트,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엔.라이스 머레트
Publication of KR900001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09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48/00Individual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10D1/00 - H10D44/00
    • H10D48/30Devices controlled by electric currents or voltages
    • H10D48/32Devices controlled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10D48/34Bipola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1PN junc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10D84/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10D84/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84/0107Integrating at least one component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with at least one component covered by H10D8/00, H10D10/00 or H10D18/00, e.g. integrating IGFETs with BJ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10D84/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84/02Manufacture or treatment characterised by using material-based technologies
    • H10D84/03Manufacture or treatment characterised by using material-based technologies using Group IV technology, e.g. silicon technology or silicon-carbide [SiC] technology
    • H10D84/038Manufacture or treatment characterised by using material-based technologies using Group IV technology, e.g. silicon technology or silicon-carbide [SiC] technology using silicon technology, e.g. SiG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10D84/4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characterised by the integration of at least one component covered by groups H10D12/00 or H10D30/00 with at least one component covered by groups H10D10/00 or H10D18/00, e.g. integration of IGFETs with BJTs
    • H10D84/401Combinations of FETs or IGBTs with BJ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ipolar Integrated Circuits (AREA)
  • Junction Field-Effect Transistors (AREA)
  • Bipolar Transistor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리식 수직형 바이폴라 및 JEET트랜지스터를 제조하기 위한 처리 공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 제2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PNP트랜지스터, P-채널 JFET 및 수직형 NPN트랜지스터의 연속 제조 단계를 확대하여 도시한 개략도,
제3도는 부수적인 JEET제조 스텝을 도시한 도면,
제3a도는 제3도의 단면도.

Claims (23)

  1. 제1전도 형태의 단일 반도체 기판을 사용하여 수직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접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JFET)를 제조하기 위한 처리 공정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면에 제2전도 형태의 JFET매입 영역을 형성하는 스텝 JFET매입 영역면으로 부터 떨어져 제2전도 형태의 바이폴라 매입 영역을 형성하는 스텝, 바이폴라 매입 영역면내에 제1전도 형태의 콜렉터 영역을 형성하는 스텝, 반도체 기판면상에 제2전도 형태의 에피택셜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스텝, 열 확산에 의해 에피택셜층내로 JFET매입 영역 및 콜렉터 영역을 연장시키는 스텝, 에피택셜층의 외부면에서 콜렉터 영역까지 연장하도록 제1전도 형태의 깊은 콜렉터 영역을 형성하는 스텝, 콜렉터, 영역상의 에피택셜층면으로 부터 떨어져 제1전도 형태의 베이스 영역을 형성하는 스텝, 에피택셜층면에, 제1전도 형태의 베이스 영역내에 형성된 에미터 영역, JFET매입 영역상에 형성되고 이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서로 측방으로 떨어져 형성된 JFET소오스 영역 및 JFET드레인 영역을 동시에 형성하는 스텝, 및 에피택셜층면에, 제2전도 형태의 베이스 영역내에 에미터 영역으로 부터 떨어져 형성된 베이스 접촉 영역, 및 JFET매입 영역상에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으로 부터 떨어져 형성된 게이트 접촉 영역을 동시에 형성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공정.
  2. 제1항에 있어서, 제1전도 형태가 (P)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공정.
  3. 제1항에 있어스 콜렉터 영역을 형성하는 스텝과 동시에 반도체 기판내에, 제1전도 형태이고, 콜렉터 영역과 JFET매입 영역사이에 형성된 최소한 1개의 깊은 접합 분리 영역을 형성하는 스텝, 및 얕은 접합분리 영역 및 깊은 접합 분리 영역이 결합되도록 깊은 콜렉터 영역을 형성하는 스텝과 동시에 깊은 접합 분리 영역상의 에피택셜층내에 제1전도 형태의 최소한 1개의 얕은 접합 분리 영역을 형성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공정.
  4. 제3항에 있어서, 베이스 영역과 얕은 접합 분리 영역사이에 배치되도록 에피택셜층면에 제2전도 형태의 도펀트로 전체 조정 영역을 형성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공정.
  5. 제3항에 있어서, 접합 분리 영역 및 콜렉터 영역으로 부터 에피택셜층 내로 도펀트를 동시에 상향-확산하는 스텝, 및 깊은 콜렉터 영역이 콜렉터 영역과 접촉되고, 얕은 영역 및 깊은 접합 분리 영역이 연속되도도록 얕은 분리 접합 영역 및 깊는 콜렉터 영역으로 부터 도펀트를 동시에 하향-확산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공정.
  6. 제1항에 있어서, 깊은 콜렉터 영역이 콜렉터 영역과 연속될 때까지 깊은 콜렉터 영역으로 부터 도펀트를 하향-확산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공정.
  7. 제1항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의 외부면양단에 제1산화물층을 형성하는 스텝, 및 콜렉터 영역을 형성하고, 바이폴라 매입 영역을 형성하며, JFET매입 영역을 형성하는 각각의 스텝전에, 산화물층이 각 스텝용 도핑 마스크로부터 작용하도록 각 스텝마다 산화물층의 각각의 선정된 부분을 제거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8. 제1항에 있어서, 에피택셜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스텝후에, 에피택셜층의 외부면상에 산화물층을 형성하는 스텝, 및 깊은 콜렉터 영역을 형성하고, 베이스 영역을 형성하며, 에미터 영역을 형성하는 각각의 스텝전에, 각각의 스텝용 각각의 도펀트 마스크로서 작용하도록 산화물층의 각 부분을 제거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9.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 접촉 영역 및 게이트 접촉 영역을 동시에 형성하는 스텝후에, 소오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사이의 채널 영역상의 에피택셜층상에 게이트 절연물층을 형성하고, 게이트 접촉 영역까지 측방향 연장시키는 스텝, 게이트 접촉 영역에서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까지 연장되는 상부 게이트를 형성하기 위해 게이트 절연물층을 통해 제2전도 형태의 도펀트를 주입하는 스텝, 및 채널 영역을 도포하기 위해 게이트 절연물층을 통해 제1전도 형태의 도펀트를 주입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공정.
  10. 제1항에 있어서, 콜렉터 영역을 형성하는 스텝과 동시에 기판내에 제1전도 형태의 깊은 접합 분리 영역을 형성하는 스텝, 및 접합 분리 영역상에 캐패시터를 형성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공정.
  11. 제10항에 있어서, 깊은 접합 분리 영역 및 얕은 접합 분리 영역이 접합 분리 영역과 결합하도록 깊은 콜렉터 영역을 형성하는 스텝과 동시에 캐패시터용 에피택셜층내에 제1전도 형태의 얕은 접합 분리 영역을 형성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공정.
  12. 제11항에 있어서, 접합 분리 영역상의 에피택셜층상에 산화물층을 형성하는 스텝, 및 접합 분리 영역상의 산화물층상에 캐패시터를 형성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공정.
  13. 제1항에 있어서, 캐패시터가 수직형 트랜지스터 및 측방향 트랜지스터로부터 떨어져 반도체 기판의 캐패시터 영역내에 형성되고, 캐패시터 영역내의 에피택셜층상에 절연적으로 떨어져 배치되도록 다결정성 실리콘 캐패시터 전극을 형성하는 스텝, 및 베이스 접촉 영역 및 게이트 접촉 영역을 동시에 형성하는 스텝과 동시에 높은 전도성을 갖도록 다결정성 실리콘 전극을 도핑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공정.
  14.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 접촉 영역 및 게이트 접촉 영역을 동시에 형성하는 스텝과 동시에, 바이폴라 매입 영역상의 에피택셜층의 외부면에 깊은 콜렉터 영역으로 부터 떨어져 제2전도 형태의 바이폴라 매입 접촉 영역을 형성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공정.
  15. 제1항의 처리 공정에 따라 제조되는 집적 회로.
  16. 제1전도 형태의 단일 반도체 기판을 사용하여 접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JEET) 및 캐패시터를 제조하기 위한 처리 공정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면에 제1전도 형태의 매입 영역을 형성하는 스텝, 제1전도 형태로 되도록 면에, 기판의 JEET영역과 기판의 캐패시터 영역사이에 형성된 제1깊은 접합 분리 영역 및 캐패시터 영역내에 형성된 제2접합 분리 영역이 최소한 2개의 깊은 접합 분리 영역을 동시에 형성하는 스텝, 면상에 제2전도 형태의 에피택셜층을 형성하는 스텝, 에피택셜층의 외부면상에 절연물층을 형성하는 스텝, 매입 영역 및 깊은 접합 분리 영역을 에피택셜층내로 연장시킥 위해 도펀트를 상향-확산하는 스텝, 에피택셜층의 이부면에, 각각의 깊은 접합 분리 영역과 연속되게 각각 형성된 최소한 2개의 얕은 접합 분리 영역을 동시에 형성하는 스텝, 제2얕은 접합 분리 영역상의 절연물층상에 실리콘을 포함하는 다결정성층을 형성하는 스텝, 다결정상층 및 절연층상에 중간-레벨 절연층을 형성하는 스텝, 다결정성층 및 JEET영역내의 에피택셜층의 게이트 접촉 영역상의 절연층 영역으로 중간-레벨 절연층내의 오리피스를 개방시키는 스텝, 게이트 접촉 영역을 노출시키기 위해 절연층 영역을 제거하는 스텝, 및 전도성 캐패시터 전극 및 상부 게이트 접촉부를 각각 형성하기 위해 다결정성층 및 게이트 접촉 영역을 동시에 도프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공정.
  17. 제16항에 있어서, 절연물층이 이산화 실리콘을 포함하고, 도펀트를 상향-확산하는 스텝중에 최소한 절연물층의 일부분을 열적으로 성장시키는 다른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공정.
  18. 제16항에 있어서, 베이스 접촉 영역을 형성하시기 위해 JEET및 캐패시터 영역으로 부터 떨어진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영역내의 에피택셜층면내로 도펀트를 확산하는 스텝, 도펀트를 확산하는 스텝과 동시에 다결정성층상에 산화물층을 성장시키는 스텝, 다결정성층의 선택된 부분으로 부터 산화물층을 제거하는 스텝, 및 다결정성층상에 캐패시터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공정.
  19. 제16항에 있어서, 깊은 접합 분리 영역을 형성하는 스텝중에 JEET 및 캐패시터 영역으로 부터 떨어진 반도체 기판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영역내에 제1전도 형태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콜렉터 영역을 형성하는 스텝, 도펀트를 상향-확산하는 스텝중에 에피택셜층내로 콜렉터 영역을 연장시키는 스텝, 및 얕은 접합 분리 영역을 형성하는 스텝중에 콜렉ㅌ 영역과 연속되도록 콜렉터 영역상의 에피택셜층내에 제1전도 형태의 깊은 콜렉터 영역을 형성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공정.
  20. 제16항의 처리 공정에 따라 형성되는 집적 회로.
  21. 제1전도 형태의 단일 반도체 기판면에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접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JEET)를 동시에 제조하는 처리 공정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상에 제2전도 형태의 에피택셜층을 형성하는 스텝, 에피택셜층의 외부면에 모두 제1전도 형태로 되도록, 서로 떨어져 에패택셜층의 JEET 영역내에 형성된 JEET소오스 및 JEET드레인 영역, 및 JEET 영역으로 부터 떨어져 에피택셜층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영역내에 형성된 바이폴라 에미터 영역을 동시에 형성하는 스텝, 및 제2전도 형태로 되도록 에피택셜층내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영역내에 형성되고, 에이터 영역으로 부터 떨어진 베이스 접촉 영역, 및 JEET영역내에 형성되고,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으로 부터 떨어진 게이트 접촉 영역을 동시에 형성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공정.
  22. 바이폴라 ㅌ랜지스터 및 접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갖고 있는 집적 회로에 있어서, 제1전도 형태의 반도체 기판, 반도체 기판면상에 형성되고, 외부면을 갖고 있는 제2전도 형태의 에피택셜층, 에피택셜층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영역으로 부터 떨어진 에피택셜층의 JEET 영역, JEET 영역내에 형성되고, 서로 떨어진 제1전도 형태의 소오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영역내의 에피택셜층의 외부면에 형성된 제1전도 형태의 바이폴라 에미터 영역, 및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영역내에 형성되고 에미터 영역으로 부터 떨어진 제2전도 형태의 베이스 접촉 영역, JFET 영역내에 형성되고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으로 부터 떨어진 제2전도 형태의 게이트 접촉 영역을 포함하고, 소오스 영역, 드레인 영역, 및 에미터 영역이 동시에 형성되며, 베이스 접촉 영역 및 게이트 접촉 영역이 동시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23. 접합 전계 효과 트랜지스(JFET) 및 캐패시터를 갖고 있는 집적 회로에 있어서, 제1전도 형태의 반도체 기판, 반도체 기판면상에 형성되고, 외부면을 갖고 있는 집적 회로에 에피택셜층, 제1전도 형태인 반도체 기판면에 형성된 최소한 2개의 깊은 접합 분리 영역, 및 기판의 캐패시터 영역 및 에피택셜층으로 부터 떨어진 기판과 에피택셜 층의 JFET 영역, JFET 영역내의 반도체 기판면에 형성된 제1전도 형태의 매입 영역, 제1 및 제2깊은 접합 분리 영역상의 에피택셜층의 외부면에 각각 형성되고, 이와 연속되에 하향-확산된 제1전도 형태의 제1 및 제2얕은 접합 분리 영역, 에피택셜층의 외부면상에 형성된 절연물층, 제2얕은 접합 분리 영역상의 절연물층상에 형성된 실리콘을 포함하는 다결정성층, 다결정성층 및 절연층상에 형성된 중간-레벨 절연층, 다결정성층으로 개방된 중간-레벨 절연층내의 제1오리피스, 절연물층 영역으로 개방되고, 전도성 캐패시터 전극 및 게이트 접촉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절연물층 영역을 통해 연장된 중간-레벨 절연물층내의 제2오리피스 JEET영역내의 절연물층 영역하부에 배치된 에피택셜층의 게이트 접촉 영역, 및 게이트 접촉 영역 및 다결정성층을 동시에 도핑함으로써 형성된 게이트 접촉 영역을 포함하고, 제1깊은 접합 분리 영역이 JEET 영역과 캐패시터 영역사이에 형성되고, 제2깊은 접합 분리 영역이 캐패시터 영역내에 형성되며, 매입 영역 및 접합 분리 영역이 에피택셜층내로 상향 확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90008629A 1988-06-27 1989-06-22 분리식 수직형 바이폴라 및 jfet 트랜지스터를 제조하기 위한 처리 공정 Expired - Fee Related KR01690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11,641 1980-12-01
US21164188A 1988-06-27 1988-06-27
US211641 1988-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036A true KR900001036A (ko) 1990-01-31
KR0169097B1 KR0169097B1 (ko) 1999-01-15

Family

ID=22787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8629A Expired - Fee Related KR0169097B1 (ko) 1988-06-27 1989-06-22 분리식 수직형 바이폴라 및 jfet 트랜지스터를 제조하기 위한 처리 공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2) EP0627767B1 (ko)
JP (2) JPH0691192B2 (ko)
KR (1) KR0169097B1 (ko)
DE (2) DE6892943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05776B (en) * 1995-09-28 1999-11-17 Gresham Sensor Technology Limi Charge amplifier
EP0849771A1 (en) * 1996-12-19 1998-06-24 Motorola Semiconducteurs S.A. Method of forming a depletion jfet and method of forming a depletion jfet and a bipolar transistor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JP3530414B2 (ja) * 1999-03-26 2004-05-24 三洋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
WO2011109442A2 (en) 2010-03-02 2011-09-09 Oliver Steven D Led packaging with integrated optic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482521B2 (en) * 2020-02-06 2022-10-25 Globalfoundries U.S. Inc. Integrated circuit with P-N-P junction and vertically aligned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ethod to form same
CN113097309B (zh) * 2021-03-31 2024-09-27 上海晶丰明源半导体股份有限公司 结型场效应晶体管及半导体器件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59609A (ko) * 1967-06-30 1969-03-14
JPS553691A (en) * 1978-06-13 1980-01-11 Ibm Integrated circuit having junction field effect transistor
US4322738A (en) * 1980-01-21 1982-03-3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N-Channel JFET device compatible with existing bipolar integrated circuit processing techniques
JPS57128073A (en) * 1981-12-21 1982-08-09 Hitachi Lt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US4419812A (en) * 1982-08-23 1983-12-13 Ncr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an integrated circuit voltage multiplier containing a parallel plate capacitor
JPS60117765A (ja) * 1983-11-30 1985-06-25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48626A3 (en) 1991-07-31
EP0627767B1 (en) 2002-11-06
KR0169097B1 (ko) 1999-01-15
EP0627767A1 (en) 1994-12-07
DE68929433D1 (de) 2002-12-12
JPH0251264A (ja) 1990-02-21
JPH04226061A (ja) 1992-08-14
DE68928763T2 (de) 1999-04-08
DE68929433T2 (de) 2003-06-26
DE68928763D1 (de) 1998-09-10
JPH0691192B2 (ja) 1994-11-14
EP0348626A2 (en) 1990-01-03
EP0348626B1 (en)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513B1 (ko) 기생트랜지스터가 동작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진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H104198A (ja) ハロー注入を有するシリコン上半導体トランジスタ
KR850006775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840005927A (ko)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4456918A (en) Isolated gate JFET structure
KR910007133A (ko) 고 성능 BiCMOS 회로를 제조하는 방법
KR900001036A (ko) 분리식 수직형 바이폴라 및 jfet트랜지스터를 제조하기 위한 처리 공정
US4495694A (en) Method of fabricating an isolated gate JFET
KR100482950B1 (ko)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930010119B1 (ko) 상보형 쌍극 트랜지스터
KR930022551A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900001035A (ko) 분리식 수직형 수퍼베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0175990B1 (ko) 바이폴라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273120B1 (ko)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900017177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890509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940001257B1 (ko)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JP2953061B2 (ja) 高耐圧mosトランジスタとその製造方法
KR0140399B1 (ko) 온도 변화, 응력 및 그 외의 다른 조립 현상에 따른 입력 오프셋 전압 불안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100] 방위의 실리콘 상에 bipolar/jfet를 형성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한 jfet
KR0151122B1 (ko) 바이폴라소자의 제조방법
RU1808147C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монолитных интегральных схем
JP2623661B2 (ja) バイポーラ型トランジスタ
GB1326432A (en) Transistor for super-high frequenc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KR920005344A (ko) 고밀도 cmos 구조와 가로방향 쌍극형 트랜지스터 특성의 집적회로 및 그 제작방법
JPS6266672A (ja) 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2101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2101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