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90006893Y1 - 필기구 - Google Patents

필기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6893Y1
KR890006893Y1 KR2019850016480U KR860016480U KR890006893Y1 KR 890006893 Y1 KR890006893 Y1 KR 890006893Y1 KR 2019850016480 U KR2019850016480 U KR 2019850016480U KR 860016480 U KR860016480 U KR 860016480U KR 890006893 Y1 KR890006893 Y1 KR 8900068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writing shaft
writing
rear end
outer cylin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64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헤이 가게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도부끼
가게야마 도시히꼬
주식회사수한양행
윤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도부끼, 가게야마 도시히꼬, 주식회사수한양행, 윤휘정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도부끼
Priority to KR20198500164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68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68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893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필기구
제1도는 본 고안 필기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사용하는 회전-직선이동변환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사용하는 회전-직선이동변환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5도 (a)-(c)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직선 이동변환기구의 요부를 여러가지 실시예로 나타낸 상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사용하는 회전-직선 이동변환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클립 2 : 외통
3 : 필기축체 4 : 녹크부
4a : 조작부 6 : 선단
9 : 돌기 11 : 내통
12a : 삽입통로 12b : 종점통로
12c : 연결통로 12d : 시점통로
13a : 돌부 13b : 환상홈
37 : 안내구멍 37a : 걸림턱
38 : 돌출면
본 고안은 샤아프펜슬이나 볼펜등과 같은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회전시키면 필기축체의 선단이 외통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반면, 역회전시키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된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출원인은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필기구로서 일본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61-109562호를 이미 고안한 바 있는데, 이 필기구를 제1도와 제6도 및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통(2)의 내부에 필기축체(3)를 끼우고 상기 외통(2)의 후단으로부터 돌출되어져 있는 조작부(4a)를 회전 시켜줌에 따라 필기축체(3)의 선단(6)이 외통(2)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지지되게 되는 반면, 상기 조작부(4a)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필기축체(3)의 선단(6)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도록 된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필기축체(3)의 후단부 외면에 돌기(9)가 돌설되고, 이 돌기(9)가 삽입되는 안내구멍(37)이 조작부(4a)를 구성하는 내통(11)의 앞쪽선단으로 부터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돌기(9)를 이 안내구멍(37)에 끼워넣어 내통(11)을 필기축체(3)의 후단부에다 끼워 장착시킴과 더불어, 상기 외통(2)의 후단부에는 이 외통(2)의 후단으로부터 형성된 축방향 삽입통로(12a)와, 이 삽입통로에 연장형상 되어져 있는 원주 방향의 시점통로(始店通路. 12d), 이 시점통로에 연장형성 되어져 있는 연결통로(12c) 및, 이 연결통로에 연장형성된 원주방향의 종점통로(12b)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9)를 연결통로(12c)에 끼워 맞추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필기구는, 필기축체(3)와는 별도로 조작부(4a)가 설치되어, 이 조작부(4a)의 내통(11)앞쪽선단에 형성된 안내구멍(37)에 필기축체(3)의 돌기(9)가 끼워져 내통(11)이 필기축체(3)의 후단부에 끼워장착지도록된 회전-직선이동변환기구가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필기축체(3)를 외통(2)에서 뽑아낼 때에는 조작부(4a)강하게 잡아당겨 돌부(13a)와 환상홈(13b)을 끼워맞춘다음 외부로 잡아빼서 필기축체(3)를 빼내어야 하므로, 자연히 필기축체(3)의 조립 및 분리작업이 않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외통(2)내주에 필기축체(3)를 끼우고 상기 외통(2)의 후단에 돌출되어져 있는 조작부(4a)를 회전시켜 필기축체(3)의 선단(6)이 외통(2)의 선단으로 부터 돌출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반면, 조작부(4a)를 반대로 회전시켜 상기 필기축체(3)의 선단(6)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어가도록 된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필기축체(3)의 후단부에 조작부(4a)를 일체로 설치하고, 이 필기축체(3)의 후단부 외면에 돌기(9)를 형성시킴과 더불어, 상기 외통(2)의 후단부에는 축방향 삽입통로(12a)와 이 삽입통로에 경사진 방향으로 연통되어지는 연결통로(12c)를 형성시켜 상기 돌기(9)를 이 연결통로(12c)에 끼워맞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4a)를 회전시켜주게 되면, 필기축체(3)의 돌기(9)가 연결통로(12c)의 일단위치에서 상기 연결통로(12c)를 따라 다른쪽의 일단위치에 도달해서 정지할때 까지 회전하면서 앞쪽방향으로 이동해서 상기 필기축체(3)의 선단(6)이 외통(2)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된 상태가 되고, 이 필기축체(3)의 선단(6)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려 할때에는 상기 조작부(4a)를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역회전시켜주면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샤아프펜슬의 예이고, 제2도는 제1실시예에 사용되는 회전-직선이동변환기구를 구성하는 부품의 사시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1도에서의 부호 3은 외통(2)에 끼워지는 필기축체로서, 샤아프펜슬인 경우 상기 필기축체(3)는 필심파이프(27)를 녹크용스프링(28)에 대항하거나 혹은 이 스프링(28)의 탄발력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해서 척링(29)에 끼워맞춰진 척(30)을 개폐시킴으로서, 필심파이프(27)내의 필심을 척(30)으로부터 일정 길이로 송출시켜 내부 원통(31)의 선단부(31a)선단 (6)에서 필심이 일정길이로 돌출되어져 나오도록 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부호4는 필기축체(3)를 구성하면서 필심파이프(27)의 후단부 바깥둘레에 끼워 맞춰진 녹크부로서, 이는 상기 외통(2)의후단에 돌출되어져 있다. 또 부호 32는 필심파이프(27)의 후단 안쪽둘레에 끼워 장착된 지우개고무이다.
또한 필기축체(3)의 내부원통(31)후단부는 외통(2)의 후단에서 돌출되고, 이 돌출된 후단부에는 클립(1)을 갖춘 조작부(4a)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내통(31)후단부외면에는 돌기(9)가 형성되어져 있는 한편, 상기 외통(2)의 후단부에는 외통(2)의 후단에 형성된 축방향의 삽입통로(12a)와, 이 삽입통로에 연장형성되어져 있는 축방향의 시점통로(12d), 이 시점통로에 연장형성되어져 있는 연결통로(12c), 상기 삽입통로(12a)와 시점통로(12d)와 연결통로(12d)사이에 설치된 돌출면(38) 및, 상기 연결통로(12c)에 연장형성되어져 있는 원주방향의 종점통로(12b)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 각 통로(12a~12d)들은 구멍이나 홈으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형성시켜주면 된다.
여기서 상기 필기축체(3)의 후단부 외면에 형성된 돌기(9)는 외통(2)의 삽입통로(12a)에 끼워져 돌출면(38)을 타고 넘어 시점통로(12d)에 끼워 맞춰지게 되어 있으며, 상기 외통(2)의 후단과 조작부(4a)사이에는 필기축체(3)가 회전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해서 선단(6)의 외통(2)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켜지는 만큼의 간격(d)을 갖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이 간격(d)만큼 내통(31)이 외통(2)의 후단에서 돌출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에는 본 고안 제1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조작부(4a)를 회전시키게 되면, 필기축체(3)는 그 돌기(9)가 시점통로(12d)위치에 도달해서 정지할 때까지 회전하면서 앞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필기축체(3)의 선단(6)은 외통(2)의 선단에서 돌출해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녹크부(4)를 녹크조작해 주게되면, 필심축체(3)의 필심파이프(27)가 녹크용 스프링(28)에 대항하거나 또는 그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척링(29)에 끼워져 있는 척(30)을 개방시켜 상기 필심파이프(27)속에 있는 필심을 척(30)에서 일정길이로 내보내주게 되므로, 상기 필기축체(3)의 선단으로부터 필심을 일정한 길이로 돌출시키게 된다.
한편 필심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 보낼 경우에는, 녹크부(4)를 녹크용스프링(28)에 대항해서 녹크상태로 해놓게 되면 척(30)이 벌려진 상태로 되기 때문에, 필심은 선단을 눌러주게 되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기축체(3)의 선단(6)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릴 경우에는, 조작부(4a)를 역회전시키게 되면 필기축체(3)의 돌기(9)가 종점통로(12b)의 위치로부터 연결통로(12c)를 따라 돌출면(38)을 타고넘어 시경통로(12d)위치로에 도달 해서 정지할 때까지 역회전되면서 뒷쪽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필기축체(3)의 선단(6)이 외통(2)의 선단에 수납시켜지는 원래의제자리로 되돌아가게 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로서의 볼펜인 경우를 도시해 놓은 것이고, 제4도는 이 제2실시예에 사용되는 회전-직선이동변환기구를 구성하는 부품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필기축체(3)는 점성잉크가 채워진 잉크파이프의 선단(6)에 보올(36)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끼워진 볼펜심 이다.
이 제2실시예에서는 필기축체(3)의 후단부, 즉 필기축체(3)를 구성하는 잉크파이프의 후단부 바깥둘레에 외통(2)의 후단으로부터 돌출된 조작부(4a)가 끼워짐과 더불어, 그 조작부(4a)외변에 돌기(9)가 설치되고, 외통(2)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형상으로된 삽입통로(12a)와 시점통로(12d), 연결통로(12c), 돌출면(38) 및 종점통로(12b)가 형성되어져 있다.
이와 같은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조작부(4a)를 회전시키게 되면 필기축체(3)가 회전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필기축체(3)의 선단(6)이 외통(2)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원래의 위치로 되돌러지게 된다. 그런데 이 제2실시예는 조작부(4a)의 외경과 동일한 경우의 예이지만, 제1실시예와 같이 조작부(4a)의 후단부 외경을 크게하여도 상관이 없고, 또 클립(1)을 외통(2)의 후단부근처나 또는 조작부(4a)의 적당한 위치에다 설치해 놓아도 좋다.
상기 제1, 2실시예에 의하면, 조작부(4a)가 필기축체(3)와 일체로 되어 있고, 또 종래의 기술인 안내구멍(37)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 부품수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작부(4a)는 필기축체(3)와 일체로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4a)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고려될 필요도 없다.
그리고 상기 필기축체(3)을 외통에서 뽑아낼 때에는 조작부(4a)를 강하게 잡아당겨 돌기(9)와 돌출면(38)이 걸려져 있는 상태를 벗겨내게 되면, 필기축체(3)가 조작부(4a)와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한번에 벗길수가 있게 되고, 필기축체(3)를 조립할 때에는 이와 반대과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필기축체(3)의 조립과 해체가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는, 연결통로(12c)의 양단부에다 시점통로(12d)와 종점통로(12b)를 형성시켜줌에 있어 상기 시점통로(12b)의 형성방향을 원주방향으로만 국한해서 형성시켜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제5도의 (b), (c)처럼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 조작부(4a)의 조작감각을 향상시키기 위해 돌출면(38)을 제5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점통로(12d)의 연결통로측 내부에다 형성시켜도 좋고, 이를 제5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점통로(12b)의 연결통로쪽에 설치해도 좋으며, 시점통로(12d)의 삽입통로를 제5도(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점통로(12d)의 연결통로쪽과 종점통로(12b)의 삽입통로쪽과 종점통로(12d)의 연결통로쪽에 설치하여도 상관이 없다.
그런데 상기 돌출면(12b)의 삽입통로쪽에다 설치해 놓을 경우에는 필기축체(3)의 돌기(9)에 대한 돌출면(38)의 마찰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이를 무리하게 뽑아내지 않는한 필기축체(3)가 빠질 염려는 없지만, 삽입통로쪽에 설치지 않아도 돌기(9)에 대한 삽입통로(12a)의 마찰저항을 다소 높게 설정해 놓음으로서 필기축체(3)가 빠지지 않게 할 수가 있다.
또, 연결통로(12c)의 양단부를 시점통로(12d)와 종점통로(12b)로 할 경우에는 이들 부분에 돌출면(38)을 형성시켜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볼펜인 경우를 도시해 놓은 것이고, 제7도는 이 제3실시예에 사용되는 회전-직선이동변환기구를 구성하는 부품의 사시도이다.
이 제3 실시예에서는, 필시축체(3)를 구성하는 잉크파이프의 후단부둘레에 끼워진 내부원통(31)의 외면에 돌기(9)가 형성되고, 이 돌기(9)가 삽입되는 안내구멍(37)에 조작부(4a)의 내통(11)선단에서 축방향으로 형성시켜지며, 상기 안내구멍(37)의 개방단에는 걸림턱(37a)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돌기(9)가 이걸림턱(37a)을 타고 넘어가 안내구멍(37)에 끼워지도록 회전통(11)이 내통(31)에 끼워 장착되어, 필기축체(3)의 후단부에 조작부(4a)가 걸림턱(37a)과 돌기(9)가 걸려짐으로서 연결시켜 지도록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부호 13a, 13b는 내통(11)의 외면과 외통(1)의 외면에 설치되어 서로 끼워 맞춰지는 돌부와 환상홈이다.
따라서 조작부(4a)를 회전시키면 내통(11)이 회전하게 되므로서, 시점통로(12d)에 위치한 돌기(9)가 회전에 의해 돌출면(38)을 타고 넘어 연결통로(12c)를 따라 이동하면서 안내구멍(37)속의 앞쪽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필기축체(3)가 회전하면서 앞쪽방향으로 이동해서 돌기(9)가 종점통로(12b)에 도달한 지점에서 정지하게 되는데, 이때 필기축체(3)의 선단(6)은 외통(2)의 선단에서 돌출된 상태가 되므로 이 상태에서 필기를 할 수 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필기축체(3)의 선단(6)을 원래의 제자리로 돌려보낼려면, 조작부(4a)를 역회전시켜 내통(11)이 역회전하도록 하면 종점통로(12b)에 위치한 돌기(9)가 역회전하면서 연결통로(12c)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필기축체(3)는 회전하면서 뒷쪽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안내구멍(37)속의 뒷쪽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돌기(9)가 돌출면(38)을 타고 넘어가 시점통로(12d)에 도달한 지점에서 정지하게 되는바, 이때 필기축체(3)의 선단(6)은 외통(2)의 선단내부에 넣어지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3실시예에서 필기축체(3)를 외통(2)으로부터 뽑아낼 경우에는, 조작부(4a)를 강하게 잡아당겨 돌부(13a)와 환상홈(13b)이 끼워맞춰진 상태를 해제시켜 뽑게 되면, 필기축체(3)에 끼워장착된 내부 원통(31)이 조작부(4a)에 걸림턱(37a)과 돌기(9)의 걸림에 의해 연결되어져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한번은 뽑아낼 수가 있게되고, 또 필기축체(3)를 조립할 경우에는 상술한 내용과 역과정을 거쳐 조립할수가 있기 때문에, 상기 필기축체(3)의 조립과 해체작업이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 필기구는, 필기축체(3)의 후단부에 조작부(4a)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어서 필기축체(3)의 조립과 해체작업이 조작부(4a)와 함께 이루어지게 되므로서, 조작부(4a)와는 별도로 이루어지도록된 종래의 기술에 비해 필기축체(3)의 조립과 해체작업이 현저히 쉬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외통(2)내부에 필기축체(3)가 끼워지면서, 외통(2)의 후단부에 돌출된 조작부(4a)를 회전시키게 되면 필기축체(3)의 선단(6)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 넣어지도록 된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필기축체(3)의 후단부에 조작부(4a)가 일체로 설치되고, 이 필기축체(3)의 후단부 외면 또는 조작부(4a)의 외면에 돌기(9)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외통(2)의 후단부에 연결통로(12c)가 형성되어, 이 연결통로(12c)에 상기 돌기(9)가 끼워맞춰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KR2019850016480U 1986-10-28 1986-10-28 필기구 Expired KR8900068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6480U KR890006893Y1 (ko) 1986-10-28 1986-10-28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6480U KR890006893Y1 (ko) 1986-10-28 1986-10-28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893Y1 true KR890006893Y1 (ko) 1989-10-12

Family

ID=19256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6480U Expired KR890006893Y1 (ko) 1986-10-28 1986-10-28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68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13474B1 (en) Side knock-type ball point pen
KR890006893Y1 (ko) 필기구
JP2560149Y2 (ja) 複式筆記具
KR890003650Y1 (ko) 필기구
ITMI951790A1 (it) Matita meccanica
KR970000481Y1 (ko) 필기구
JP2605617Y2 (ja) 筆記具
JP2566096Y2 (ja) 複式筆記具
JP2605986Y2 (ja) 筆記具
JP2566099Y2 (ja) 複式筆記具
KR950010432Y1 (ko) 샤아프펜슬
JP3611215B2 (ja) 複式筆記具
JP2606588Y2 (ja) 複式筆記具
KR930003581Y1 (ko) 회전식 필기구
JP3844417B2 (ja) 複合筆記具
JP3500198B2 (ja) 複式筆記具
JP3602213B2 (ja) 複式筆記具
JP3392230B2 (ja) 複式筆記具
JP2001150871A (ja) 複式筆記具
JP3774804B2 (ja) 出没式筆記具
JP2605500Y2 (ja) 複式筆記具
JP2566103Y2 (ja) 複式筆記具
JP2606843Y2 (ja) 複式筆記具
JP3273860B2 (ja) 複式筆記具
JP2000335169A (ja) 筆記具の軸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5121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5121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880730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80919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9010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901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890118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110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09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10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006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10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10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0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