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90003908B1 - 가소성 소재의 연신장치 - Google Patents

가소성 소재의 연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908B1
KR890003908B1 KR1019850006023A KR850006023A KR890003908B1 KR 890003908 B1 KR890003908 B1 KR 890003908B1 KR 1019850006023 A KR1019850006023 A KR 1019850006023A KR 850006023 A KR850006023 A KR 850006023A KR 890003908 B1 KR890003908 B1 KR 890003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ollers
shaft
plastic material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6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1771A (ko
Inventor
도라히꼬 하야시
Original Assignee
레온 지도끼 가부시끼 가이샤
도라히꼬 하야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온 지도끼 가부시끼 가이샤, 도라히꼬 하야시 filed Critical 레온 지도끼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1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02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8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by squeezing between surfaces, e.g.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02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 A21C3/025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with one or more rollers moving perpendicularly to its rotation axis, e.g. reciprocally
    • A21C3/027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with one or more rollers moving perpendicularly to its rotation axis, e.g. reciprocally with multiple rollers moving in a closed loop, e.g. in an orbital path; Planetary rolle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Confectionery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소성 소재의 연신장치
제1도는 2개의 컨베이어와 다수의 롤러로 구성된 본 발명의 연신 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선형 유도 모터를 구비한 롤러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선형 유도 모터의 이동기를 갖는 롤러의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아암(26)을 구비한 롤러의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내장 모터를 구비한 롤러의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아암(26)을 구비한 롤러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컨베이어 3 : 롤러
4 : 샤프트 5 : 베어링
6 : 반작용판 7 : 고정자
8 : 안내부재 9 : 레일
10 : 컨베이어 벨트 11 : 반죽물
12 : 무단 롤러 궤도 20 : 롤러
21 : 모터 22,24 : 전극
23 : 샤프트 25 : 컨베이어 벨트
26 : 결합아암 27 : 마찰바퀴
28 : 레일 30 : 베어링
31 : 안내부재 32 : 배전기
본 발명은 가소성 소재의 연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빵반죽물이나 과자 반죽물 등과 같은 점탄성을 갖는 가소성 반죽물을 복잡한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연신할 수 있는 연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빵반죽물이나 과자반죽물등의 반죽물을 연신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장치중의 한 형태로서 미합중국 특허 제3,973,895호에 기재된 장치가 자주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장치에서 컨베이어는 직렬로 배열되어 순차적으로 빠르게 되는 속도로 구동되며, 다수의 롤러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면서 무단 롤러 궤도를 따라서 컨베이어 위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장치에서 롤러의 운동은 복잡한 구동기구에 의해서 행해지는 것이다. 예로서, 한쌍의 체인이 롤러의 양단부에서 롤러의 샤프트에 설치되어 무단 롤러 궤도를 따라서 롤러에 연결되어 있다. 롤러가 각각의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면, 롤러는 자체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체인의 운동에 기인한 무단 롤로 궤도를 따라서 진행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장치에는 롤러의 회전시키기 위한 전달 기구와 체인을 진행시키기 위한 구동장치가 필요하게 되어 이들 장치를 위한 공간은 크게 해야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소성 소재를 간단한 기구로써 연신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롤러의 운동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있어서, 가소성 소재의 연신 장치는 연속 배열된 다수의 컨베이어와 다수의 컨베이어 위에 위치한 무단 롤러 궤도의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는데, 롤러의 샤프트는 선형 모터의 이동기를 구비하고, 선형 모터의 링 형태의 고정자는 이동기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간격지어 무단 롤러 궤도를 따라서 위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가소성 소재의 연신 장치는 연속 배열된 다수의 컨베이어와 다수의 컨베이어 위에 위치한 무단 롤러 궤도에서의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는데, 롤러중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샤프트가 선형 모터의 이동기를 구비하고, 선형 모터의 링 형태의 고정자가 이동기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간격지어 무단 롤러 궤도를 따라서 위치하며, 롤러 샤프트의 서로를 연결시키기 위해 연결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병에 따른 가소성 소재의 연신 장치는 연속 배열된 다수의 컨베이어와 다수의 컨베이어 위에 위치한 무단 롤러 궤도에서의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는데, 롤러중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자체축을 중심으로 롤러를 회전시키고 또 무단 롤러 궤도를 따라서 진행시키기 위한 내장 모터를 구비하고, 롤러 샤프트의 서로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속 배열된 컨베이어와 롤러에 설치된 모터 또는 선형 모터로써 자체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또 무단 롤러 궤도를 따라서 전진시키기에 적합한 다수의 롤러를 포함한다.
컨베이어는 직렬로 배열되어 있다. 상류 컨베이어는 가소성 소재를 받고 이것을 하류 컨베이어에 이송한다.
이러한 컨베이어 위에는 무단 롤러 궤도에 배열된 다수의 롤러가 배치되어 있는데, 상기 궤도는 소정의 거리 만큼 컨베이어로부터 격리된 그 하부에서 직선부를 갖는 타원형 궤도일 것이다. 상류 컨베이어와 롤러 궤도 사이의 거리는 하류 컨베이어와 롤러 궤도 사이의 거리는 하류 컨베이어와 롤러 궤도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롤러는 자신의 샤프트를 중심으로 해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며 롤러 궤도를 따라서 어떤 컨베이어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시키도록 배열되어 있는데, 컨베이어는 상류 컨베이어가 하류 컨베이어보다 속도가 느리게 속도 상관관계를 유지하며 주행한다. 컨베이어에서 이송된 가소성 소재는 롤러와 컨베이어 사이의 상호 작용으로 연신된다.
롤러의 구동력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롤러내의 공동부에 설치된 선형 모터 또는 내장 모터에서 발생한다.
선형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각각의 롤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롤러가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는 샤프트에 고정되어 있으면서 선형 모터의 부분을 이루는 이동기를 구비한다. 선형 모터의 다른부분, 즉 고정자는 무단 롤러 궤도를 따라서 배치된다. 이동기는 선형 모터가 선형 유도 모터일 경우에 반작용판이라 불리기도 한다. 또한 선형 모터의 다른 여러종류를 고정자나 회전자중 각각 어느 하나로서 선형 모터의 주요부재 및 부수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내장 모터를 사용할 경우에 롤러는 자체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내장모터를 구비하고, 반면에 축을 중심으로 하는 샤프트의 회전은 배제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종래로 부터 사용되어온 복잡한 기구는 필요없게 되고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장치를 사용하여 연신에 필요한 속도조정을 복잡하지 않게 행할 수 있다.
무단 롤러 궤도상에서 롤러의 진행을 안전하게 하기 위해서 적합한 수단을 채용할 수도 있다. 단지 하나의 롤러만이 이동기를 구비한 경우에는 특히 연결아암으로써 롤러를 서로 연결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는데, 배전기(32)는 도면에서 제외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조를 제 1 도 내지 제 3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두개의 컨베이어(1,2)와 다수의 롤러(3)를 포함하는 연신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가소성 소재, 예로서 반죽을(11)은 컨베이어 상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운반된다. 컨베이어는 벨트 컨베이어이며 직렬로 배열되어 있다. 하류 컨베이어는 상류 컨베이어보다 빠른 속도로 주행한다. 롤러(3)는 어떠한 컨베이어 보다도 빠른 속도이며, 제1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타원형 궤도를 따라서 배열되어 있다. 롤러가 타원형 궤도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에, 롤러는 컨베이어로부터 격리되어 반죽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반죽물이 롤러와 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에 운반되면, 롤러가 제1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자체축을 중심으로해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한편 롤러는 반죽물의 진행 속도보다 실제로 빠르게 진행하여 반죽물을 연신하게 되어 있다.
롤러(3)는 샤프트(4)에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샤프트(4)의 직경보다 큰 바퀴형태의 베어링(5)은 롤러(3)의 양단부에 인접하여 샤프트(4)에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타원형 안내부재(8)는 무단 롤러 궤도(12) 내측에 배치되어 베어링(5)의 운동을 위한 운반 안내의 기능을 수행한 다. 안내부재(8)는 장치의 프레임에 교대로 설치되어 있다.
선형 유도 모터의 반작용판(6)은 샤프트(4)의 각 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고정자(7)는 반작용판(6)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격리되어 무단 롤러 궤도에 평행한 평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고정자(7)는 선형 유도모터의 주부재로서 형성되고, 반작용판(6)과 고정자(7)는 선형 유도 모터와 관련되어 작용한다. 각각의 롤러(3)반대 단부의 베어링(5)은 안내부재(8)와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롤로가 적소에 유지된다. 레일(9)은 무단 롤러 궤도(12)의 하부 직진로상의 롤러의 양단부 및 바닥에 배치되고 또 롤러의 표면과 접촉되어 있다.
각각의 롤러는 반작용판(6)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롤러는 전원을 고정자(7)에 인가하면 안내부재(8)주위의 다른 롤러와 독립적으로 또는 일체로 운동 가능하고 롤러가 레일(9)에 접촉 관계로 되면 레일(9)의 마찰에 의하여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작동시에 반죽물(11)은 무단 롤러 궤도(12)의 하부 직진로상의 롤러(3)와 컨베이어 벨트 사이의 장치 내로 운반된돠. 컨베이어(1,2)는 하류 컨베이어(2)가 상류 컨베이어(1)보다 빠르게 주행한다. 롤러(3)는 자체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안 컨베이어(1,2)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한다. 롤러의 회전과 진행은 롤러에서의 반작용핀(6)과 링 형태의 고정자(7) 사이에서의 선형 유도 작용에 기인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 4 도에 도시되어 있느데, 각각 인접한 한쌍의 롤러(20)는 결합 아암(2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결합아암(26)은 롤러의 각 쌍의 샤프트(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구멍을 양단부에 갖고 있다. 롤러쌍중 하나의 롤러를 연결시키는 결합아암(26)은 아암이 제1 아암(26)으로부터 갈라진 위치에서 샤프트(4)에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 유사한 방식으로 롤러쌍 다음의 제3 롤러에 유사한 아암에 의해 계속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롤러는 무단 롤러 궤도(12)를 통해서 인접한 롤러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한개의 롤러만이 반작용판(6)을 구비하면 롤러는 안재부재(8)를 따라서 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제5도와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일반적인 구성은 제2 실시예와 유사하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반죽물(11)은 무단 롤러 궤도(12)의 하부 직진로상의 롤러(20)와 컨베이어 벨트(25) 사이의 장치내로 운반되어 전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컨베이어와 롤러의 상호 작용에 의해 연신된다. 이 실시예에서 다른 부분은 구동기구이다. 적어도 하나의 모터(21)가 롤러중 하나의 롤러내에 설치, 고정되어 있고, 전원은 전극(22,24)을 통하여 배전기(32)로부터 공급된다. 롤러(20)는 샤프트(23)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모터(2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모터(21)는 샤프트(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느데 샤프트는 고정자를 구성하는 모터의 중심에서 연장되고, 회전자를 구성하는 모터(21)의 지주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모터(21)의 고정자는 샤프트(23)에 고정되고, 모터(21)의 회전자는 롤러(20)에 고정되어 샤프트(23)를 중심으로한 롤러(20)의 회전은 전원을 모터(21)에 공급할때 가능하게 된다.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아암(26)은 각각의 샤프트(24)상에 설치되고 인접한 샤프트의 어떠한 쌍을 연결한다. 따라서 모든 롤러(20)는 아암의 거리만큼 서로 격리되어 있다. 각각의 아암(26)은 샤프트(23)가 자체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샤프트(23)에 연결되어 있느데, 그러나 아암(26)이 약간 회전가능하게 하여 안내부재(31)의 둥근 단부에 대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점을 유의 해야 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롤러가 무단 롤러 궤도를 따라서 진행하면 다른 모든 롤러가 동시에 진행하는데, 롤러는 샤프트(23)주위에 배치된 모터(21)에 의해 회전한다. 한쌍의 바퀴형태의 베어링(30)은 샤프트(23)의 양단부에 하나씩 설치, 고정되어 샤프트(23)의 각 단부 근처에 배치된 타원형 안내부재(32)에 접촉하게 된다.
베어링(30)은 샤프트(23)가 안내부재 (31)주위를 운동하게 하는데 기여한다.
한쌍의 마찰바퀴(27)는 롤러(20)의 양측상의 샤프트(23)에 설치, 고정되어 있다. 한쌍의 레일(28)은 마찰 관계를 가지고 마찰바퀴(27)를 향한 프레임에 설치되어 자체축에 대한 롤러의 회전이 마찰바퀴(27)와 레일(28)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안내부재(31)주위의 롤러의 운동으로 변환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레일과 마찰바퀴를 구비하는 것이 유리한데, 그러나 장치에서 이들을 제외해도 여전히 기능을 발휘한다. 그 이유는 롤러(20)와 반죽물(11)과의 마찰 접촉 및 롤러(20)의 회전이 롤러를 진행시키기 때문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선형 모터 및 내장 모터의 속도는 통상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서 원하는 연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롤러의 통로로서 타원형 궤도를 사용하고 있지만, 다른 어떤 무단 롤러 궤도, 예로서 원형 롤러 궤도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연신할 가소성 소재가 빵반죽물 또는 과자반죽물이지만,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그와 같은 식품용으로 국한되지 않고 공업상의 어떠한 소재도 연신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가소성 소재의 연신 장치는 종래 기술의 반죽물 연신 장치에 채용됐던 복잡한 기구의 필요성을 배제하여 장치의 구조에 채용됐던 복잡한 기구의 필요성을 배제하여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다수의 롤러가 용이하고 또 안전하게 작동하는 선형 모터 또는 내장 모토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가소성 소재를 용이하게 제어하여 연신할 수 있다.

Claims (6)

  1. 연속 배열된 복수개의 컨베이어(1,2)와 상기 복수개의 컨베이어(1,2)에 위치하며 무단 롤러 궤도(12)에서의 다수의 롤러(3)를 포함하는 가소성 소재의 연신 장치에 있어서, 롤러(3)의 샤프트(4)가 선형 모터의 이동기(6)를 구비하고, 선형 모터의 링 형태의 고정자(7)는 이동기(6)로 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격리되어 무단 롤러 궤도(12)를 따라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소성 소재의 연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롤러(3,20)와 마찰 접촉하도록 설치된 레일(2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소성 소재의 연신 장치.
  3. 연속 배열된 복수개의 컨베이어(1,2)와 상기 복수개의 컨베이어(1,2)에 위치하며 무단 롤러 궤도(12)에서의 다수의 롤러(3)로 구성된 가소성 소재의 연신 장치에 있어서, 롤러중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샤프트(4)가 선형 모터의 이동기(6)를 구비하고, 선형모터의 링 형태의 고정자(7)는 이동기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격리되어 무단 롤러 궤도를 따라 연장 설치되어 있으며, 연결수단(26)이 롤러(3)의 샤프트(4)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소성 소재의 연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다수의 롤러(3,20)와 마찰 접촉하도록 설치된 레일(2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소성 소재의 연신 장치.
  5. 연속 배열된 복수개의 컨베이어(1,2)와 상기 복수개의 컨베이어(1,2)에 위치하며 무단 롤러 궤도(12)에서의 다수의 롤러(20)를 포함하는 가소성 소재의 연신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롤러(20)가 자체축을 중심으로 롤러(20)를 회전시키고 또 무단 롤러 궤도(12)를 따라서 진행시키는 내장 모터(21)를 구비하고, 연결수단(26)이 롤러(31)의 샤프트(20)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소성 소재의 연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다수의 롤러(3,20)와 마찰 접촉하도록 설치된 레일(2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소성 소재의 연신 장치.
KR1019850006023A 1984-08-21 1985-08-21 가소성 소재의 연신장치 KR8900039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172416 1984-08-21
JP172416 1984-08-21
JP59172416A JPS6152230A (ja) 1984-08-21 1984-08-21 可塑性素材の延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771A KR870001771A (ko) 1987-03-28
KR890003908B1 true KR890003908B1 (ko) 1989-10-12

Family

ID=15941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6023A KR890003908B1 (ko) 1984-08-21 1985-08-21 가소성 소재의 연신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671760A (ko)
EP (1) EP0172752B1 (ko)
JP (1) JPS6152230A (ko)
KR (1) KR890003908B1 (ko)
AT (1) ATE38311T1 (ko)
CA (1) CA1250487A (ko)
DD (1) DD238320A5 (ko)
DE (1) DE3565929D1 (ko)
ES (1) ES8609015A1 (ko)
NZ (1) NZ213020A (ko)
SU (2) SU1542399A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444A (ja) * 1984-07-07 1986-01-28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可塑性素材の延展装置
DE3913991C2 (de) * 1989-04-27 1997-01-16 Dieffenbacher Gmbh Maschf Kontinuierlich arbeitende Presse
JPH044837A (ja) * 1990-04-23 1992-01-09 Rheon Autom Mach Co Ltd ベイキング生地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581A (en) * 1898-02-19 1905-07-25 Ward Corby Company Machine for working and shaping dough and the like.
US1134970A (en) * 1914-04-16 1915-04-06 Loose Wiles Biscuit Co Continuous dough-sheeting mechanism.
US2950221A (en) * 1956-12-21 1960-08-23 Collins & Aikman Corp Method of producing foam backed carpet, and product
US3038418A (en) * 1960-02-15 1962-06-12 Victor F Gugler Dough twisting machine
US3191553A (en) * 1962-07-23 1965-06-29 Kitchens Of Sara Lee Inc Dough rolling apparatus
US3973895A (en) * 1971-01-13 1976-08-10 Torahiko Hayashi Apparatus for forming dough pieces
US3894828A (en) * 1973-08-27 1975-07-15 Pillsbury Co Apparatus for rolling dough strips in the cross machine direction
US4266920A (en) * 1975-03-10 1981-05-12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Ltd. Apparatus for continuously manufacturing multi-layered dough materials
NL8100256A (nl) * 1981-01-20 1982-08-16 Brinkers Margarinefab Inrichting voor het tot een continu vel uitwalsen van een in de vorm van een dikke laag aan te voeren deegmass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52230A (ja) 1986-03-14
ES546280A0 (es) 1986-08-01
EP0172752B1 (en) 1988-11-02
NZ213020A (en) 1989-02-24
DD238320A5 (de) 1986-08-20
SU1575928A3 (ru) 1990-06-30
KR870001771A (ko) 1987-03-28
CA1250487A (en) 1989-02-28
CA1258598C (ko) 1989-08-22
SU1542399A3 (ru) 1990-02-07
EP0172752A3 (en) 1986-10-08
US4671760A (en) 1987-06-09
JPH0317459B2 (ko) 1991-03-08
ES8609015A1 (es) 1986-08-01
ATE38311T1 (de) 1988-11-15
EP0172752A2 (en) 1986-02-26
DE3565929D1 (en) 1988-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8716A (ko) 크로와쌍의 제조장치 및 방법
US4887708A (en) Drive apparatus for belt power turns
US4293064A (en) Roll conveyor
US5407061A (en) Slat conveyor
US3518944A (en) Steplessly variable-speed conveyor
US4142625A (en) Holding conveyor system
JPS6163231A (ja) 可塑性生地の延展装置
KR890003908B1 (ko) 가소성 소재의 연신장치
US2801727A (en) Conveyor of transversely varying width
US2686590A (en) Self-centering belt conveyer and direction changing pulley therefor
US3451527A (en) Article handling conveyors
US2732059A (en) erisman
US2536412A (en) Feed table
JP3720705B2 (ja) 食品生地延展方法及び装置
JPH02286589A (ja) ハンドレール駆動力の自己調整機能を有したエスカレータハンドレール駆動機構
CA1258598A (en) Apparatus for stretching a plastic raw material
US3178047A (en) Pipe conveying device
JPS5838345B2 (ja) 牽引コンベアチエイン
US3369649A (en) Caterpillar device for chain type conveyor systems
JPH042893Y2 (ko)
KR960705729A (ko) 길다란 가요성 물체의 이송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transporting an elongate flexible object and use thereof)
JP2001301934A (ja) カーブローラコンベヤ
KR960016326B1 (ko) 방향 변환 반송 장치
GB2291361A (en) Exercise treadmill
US3774749A (en) Conveying apparatus for oblong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508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89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9091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91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00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0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10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10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10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10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0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8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00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0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