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90003361Y1 - 전방향 추진 차량용 차동장치 - Google Patents

전방향 추진 차량용 차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361Y1
KR890003361Y1 KR2019890003186U KR890003186U KR890003361Y1 KR 890003361 Y1 KR890003361 Y1 KR 890003361Y1 KR 2019890003186 U KR2019890003186 U KR 2019890003186U KR 890003186 U KR890003186 U KR 890003186U KR 890003361 Y1 KR890003361 Y1 KR 8900033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ide gear
main
vehicle
ax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31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태
Original Assignee
김선태
김삼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태, 김삼권 filed Critical 김선태
Priority to KR20198900031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3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3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361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Retard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방향 추진 차량용 차동장치
제1도는 전방향 추진차량에 있어서 차륜의 배열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a)는 통상적인 전후진시의 차륜배열 상태도, b)는 측방향 추진시의 차륜배열 상태도, c)는 피보트 회전시의 차륜배열 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과 함께 전방향 추진차량을 구현하는 차륜 각도변환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로서, a)는 전륜 각도변환장치의 예시도, b)는 후륜 각도변환장치의 예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링기어 5 : 지지축
100 : 주 사이드기어 200 : 종 사이드기어
500 : 주 내치기어 600 : 종 내치기어
700 : 스플라인 축 800 : 시프트 포오크
본 고안은 전방향 추진차량용 차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륜구동형에 적합한 전방향 추진 차량용 차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방향 추진차량이라 함은 전후진은 물론 측방추진 및 피보트회전에 이르기 까지 주위 어느방향으로도 추진이 가능한 차량을 의미한다.
차륜에 의해 주행되는 차량은 조향장치와 차동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조향장치는 전륜의 진행방향을 변환시키기 위한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차동장치는 조향시 종감속을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통상적인 차륜주행식 차량에서는 진행방향에 대한 조향이 가능할뿐, 전방향추진은 구조상 불가능하다.
전방향 추진차량이 구비해야 할 조건은 전,후진 주행시에는 통상적인 차량과 동일한 기능을 나타낼 수 있고, 측방추진이나 피보트추진이 가능하도록 전후차륜의 자세를 변환시킬 수 있으며, 전후차륜이 상호 대향하는 측과 반대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전방향 추진차량은 통상적인 차량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구조의 전방향 조향장치와 차동장치가 요구된다.
예를 들면 제1도 a)의 도시와 같이 구조적으로는 앞차축 A와 뒷차축B에 각각 전,후륜 C,D가 장치되고, 전륜C는 조향기어에 의해 연동되는 타이로드 F와 연결되어 통상적인 조향이 가능하고, 뒷차축 B에는 차동장치 G가 설치되어 조향시 종감속이 되도록 구성하여, 전후진시에는 통상적인 차량과 동일한 기능이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한편으로, 전,후륜 C,D는 제1도 b)의 도시와 같이, 차체에 대해 직교하는 자세로 또는, 제1도 c)의 도시와 같이 서로 대각선방향으로 평행한 자세가 될 수 있게 변환할 수 있어야만, 측방추진과 피보트회전을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전륜 C의 자세변환은 제2도 a)의 도시와 같이 타이로드 F를 중공상으로 만들고, 그 내부에 모우터 F1을 장치함과 동시에, 이 모우터 F1으로부터 리이드스크류 F2를 연장시켜서, 타이로드 F에 삽입되는 슬라이드관 F3에 나사맞춤시켜 주면, 타이로드 F에서 슬라이드관 F3이 뻗어 나가는 것에 의해 전륜 C를 소망하는 자세로 변환시킬 수 있고, 후륜 D는 제2도 b)의 도시와 같이 후륜 D가 장착되는 허브축 D1을 뒷차축 B에 대해 축 D2를 지점으로 선회가능하게 장치하고, 축 D2에는 워엄휘일 D3를 고정부착시켜서, 뒷차축 B에 고정된 모우터 D4의 워엄 D5에 치차연결함에 따라 임의 자세로 변환가능하게 된다.
그런, 전후륜 C,D가 제1도 a)의 도시와 같이 전,후진하는 자세에서는 통상적인 차동장치에 의존할 수 있으나, 제1도 b) 혹은 c)의 도시와 같이 자세변환된 상태에서는 각각의 차륜이 차축에 대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하기 때문에, 독특한 차동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한 후륜구동형 차량에 적용될 수 있는 전방향추진용 차동장치는 본 고안자가 1986년 실용신안출원 제4538호를 통하여 제안한 바 있으나, 차량이 전륜구동형인 경우에는 차동장치가 앞차축에 설치되는 관계로, 후륜구동차량과는 상이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독특한 구조의 전방향 추진차량용 차동장치를 요구하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륜구동형 차량에 있어서도 상술한 전방향 추진작용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전륜구도형 차동장치에서 얻을 수 있는 종감속기능을 나타낼 수 있고, 필요시에는 양 차축의 회전방향을 상호 반대가 되도록 할 수 있는 전방향 추진차량용 차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전륜구동차량에 적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우징(1)의 내부에 수용되는 링기어(2)의 지지축(5)에 주사이드기어(100)이 동축설치된다.
그리고 일측 차축(10)의 선단측에는 주사이드기어(100)과 대향하는 종사이드기어(200)이 독자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양 사이드기어(100)(200) 사이에는 한쌍의 공전기어(300)(400)이 대향자세로 치차연결되어진다.
양 공전기어(300)(400)의 지지축은 몸체에 고정된다.
또한, 양 사이드기어(100)(200)은 내주에 각각 주내치기어(500)과 종내치기어(600)을 보유한다.
일측 차축(10)과 동축연결되는 스플라인 축(700)은 종사이드기어(200)을 관통하여 주사이드기어(100)의 중심에 비연동상으로 축지지된다.
그리고 스플라인 축(700)에는 시프트포오크(800)에 의해 이동되어지는 슬리이브기어(900)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설치된다.
시프트포오크(800)은 운전자에 의해 동작되어지며, 이것에 의해 슬리이브기어(900)은 스플라인 축(700)을 타고 도면의 화살표방향으로 이동되어진다.
이 슬리이브기어(900)의 위치에 따라 양 차축(10)(17)의 회전방향이 달라지게 되는 것으로서, 즉 슬리이브기어(900)가 종사이드기어(200)의 종내치기어(600)에 맞물려진 위치에서는 엔진의 구동력이 링기어(2)에서 주사이드기어(100)을 거쳐 양 공전기어(300)(400)을 경유하여 종사이드기어(200)으로 전달되고, 이어서 스리이브기어(900)와 스플라인 축(700)을 거쳐 일측 차축(10)으로 전달되며, 이때 양 차축(10)(17)의 회전방향은 상호 반대가 된다.
이 상태에서 시프트포오크(800)을 조작하여 슬리이브기어(900)이 주사이드기어(100)의 주내치기어(500)으로 물리게 하면, 주사이드기어(100)과 일측 차축(10)은 슬리이브기어(900) 및 스플라인 축(700)을 개재하여 상호 일체화되어지므로, 이 경우에 양 차축(10)(17)의 회전방향은 동일방향으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륜구동형 차동장치로서, 평상시 통상적인 종감속작용을 할 수 있고, 필요시에는 양 차축의 회전방향을 상호 반대로 할 수 있으므로, 전방향 추진차량에 매우 적합한 차동장치가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전륜구동형 차동장치에 있어서, 링기어(2)의 지지축(5)에 주사이드기어(100)을 동축설치하고, 이 주사이드기어(100)에 대향하여 종사이드기어(200)을 일측 차축(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며, 양주, 종사이드기어(100)(200) 사이에 1쌍의 공전기어(300)(400)을 개재시킴과 아울러 일측 차축(10)과 동축연결된 스플라인 축(700)이 종사이드기어(200)을 관통하여 주사이드기어(100)의 중심에 비연동상으로 지지되도록 설치하며, 스플라인 축(700)에는 시프트포오크(800)에 의해 이동되어 주,종사이드기어(100)(200)의 내부에 형성된 주,종내치기어(500)(600)에 선택적으로 치차맞춤될 수 있도록 구성한 전방향 추진차량용 차동장치.
KR2019890003186U 1989-03-22 1989-03-22 전방향 추진 차량용 차동장치 Expired KR8900033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3186U KR890003361Y1 (ko) 1989-03-22 1989-03-22 전방향 추진 차량용 차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3186U KR890003361Y1 (ko) 1989-03-22 1989-03-22 전방향 추진 차량용 차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4538U Division KR890003360Y1 (ko) 1986-04-09 1986-04-09 전방향 추진차량 차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361Y1 true KR890003361Y1 (ko) 1989-05-20

Family

ID=19284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3186U Expired KR890003361Y1 (ko) 1989-03-22 1989-03-22 전방향 추진 차량용 차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36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166729A (ja) 四輪駆動車用動力伝達装置
US6554729B2 (en) Steer-drive for boats and planes
US5078229A (en) Four-wheel-drive motor vehicle of transversely-disposed engine type
JPH0637141B2 (ja) 二輪・四輪駆動切換装置
KR200336798Y1 (ko) 4륜 구동용 단일 차동 메카니즘을 갖는 전동 메카니즘
US7255194B2 (en) Steering system for a zero-steer vehicle
KR200336793Y1 (ko) 케이스가 없는 차동기구를 구비한 트랜스미션 장치
KR930012406A (ko) 좌우의 후륜의 각각에 독립하여 조작가능한 전동클러치를 갖춘 4륜 구동형 작업차
US7294082B2 (en) Powertrain arrangement for a skid-steer vehicle
KR200342145Y1 (ko) 4륜 구동을 위한 동력전달 기구
US4648614A (en) Steering system in wheeled vehicle
KR890003361Y1 (ko) 전방향 추진 차량용 차동장치
US20060169514A1 (en) Axle arrangement for a vehicle
JPH0581779B2 (ko)
US7204778B1 (en) Differential gear
KR890003360Y1 (ko) 전방향 추진차량 차동장치
JP2003130182A (ja) 常時インターロック式万能差動伝動装置
US4693333A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vehicles
US3525274A (en) Motor car transmission for disabled person
KR850005345A (ko) 농업용 트랙터에 있어서의 차륜용 전동부의 구조
JP3330705B2 (ja) 動力伝達装置
JPH07186761A (ja) 動力伝達装置
KR890001635Y1 (ko) 전방향 추진 차량용 차륜 각도변환장치
JPH0874950A (ja) トラクタの正逆転切替ギヤ装置
JPH085408Y2 (ja) 流体圧アクチュエ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UE0902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6 Division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UA0106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UA010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UG160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5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199405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U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40521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U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