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90002525B1 - 응축액용기 및 귀환선로를 구비한 증기난방장치. - Google Patents

응축액용기 및 귀환선로를 구비한 증기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525B1
KR890002525B1 KR1019850001910A KR850001910A KR890002525B1 KR 890002525 B1 KR890002525 B1 KR 890002525B1 KR 1019850001910 A KR1019850001910 A KR 1019850001910A KR 850001910 A KR850001910 A KR 850001910A KR 890002525 B1 KR890002525 B1 KR 890002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liquid
steam generator
conduit
condens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1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682A (ko
Inventor
도시아끼 오오모리
Original Assignee
도오꾜오 가스 가부시끼가이샤
와다나베 히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꾜오 가스 가부시끼가이샤, 와다나베 히로시 filed Critical 도오꾜오 가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7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525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00Steam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1/02Steam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 live st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1/00Feed-water supply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 F22D11/02Arrangements of feed-water pumps
    • F22D11/06Arrangements of feed-water pumps for returning condensate to boi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00Steam central he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Control Of Steam Boilers And Waste-Gas Boilers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응축액용기 및 귀환선로를 구비한 증기난방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중력식 증기난방장치(gravity type steam heating equipment)의 설명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증기식 난방장치인 단일의 방열기(heat emitter) (팬부착 대류난방기)를 채택한 경우의 실시예의 개략도.
제 3 도는 다수의 방열기를 채택한 경우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 및,
제 4 도는 헤더와 쌍도관 (2개의 도관을 하나로 모아놓음)이 복수개의 방열기에 증기를 내어보내기 위해 사용되며, 여기에서 응축액체가 상기 쌍도관 및 헤더를 사용하여 응축액 용기속으로 수집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증기발생기 2 : 열원
4 : 저액면센서 7 : 증기도관
8 : 방열기 9 : 열전달도관
10 : 응축액용기 13 : 제어장치
15 : 응축액방출도관 16 : 액체순환도관
17 : 제어밸브장치 18 : 분기증기도관
19 : 응축액방출분기도관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증기발생기내에 열매개액체를 보충하기 위하여 대기압하에 있는 응축액용기를 액체순환도관 또는 귀환선로를 통하여 증기발생기와 연결하여 이용하는 신규하고 유용한 증기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장치에서, 열매개액체는 가열할 수 있는 밀폐된 증기발생기내에 밀봉되고, 가열하여 발생된 증기는 증기도관(steam conductive pipe)를 경유하여 방열기로 인입되고, 상기 방열기내의 주위공기에 응축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응축된 열매개 액체는 대기압하에 있는 응축액용기에 일단 저장되며, 증기발생기 내부의 열매개 액체가 어떤 일정 수준이하로 줄어들면, 증기발생기의 가열은 증기발생기를 식히기 위하여 정지되며, 응축액 용기내에 미리 저장된 열매개 액체는 냉각 시간에 일어난 증기발생기 내부의 감압작용 (pressure redeuction action)을 이용하여 상기 언급한 증기도관으로부터 격리되어 설치된 액체순환파이프를 통하여 증기발생기내로 재순환되어, 이 액체순환이 완료되면 증기를 내어보내기 위하여 증기발생기를 다시 가열하는 사이클(cycle)이 계속되는 난방작동을 위하여 반복되도록 구성되었다.
증기식 난방장치는 공공연하게 알려져 있는데, 여기에서 물이 증기발생용 증기보일러에 의하여 가열되고 그때 발생증기가 방열기안으로 도입된다.
잠열(latent heat)은 상기 방열기에서 상기 증기를 응축 시킴으로써 주위공기에 방출되고 그리하여 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종류의 증기식 난방장치는, 응축된 물을 순환펌프에 의하여 증기보일러로 저순환시키는 수단을 채택하고 있다. 그 결과로서, 난방장치의 소음 및 고장의 대부분은 그 순환펌프에 기인하고 있다. 게다가 순환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전력을 사용해야 한다.
순환펌프를 회피하기 위하여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중력식 액체순환시스템(gravity type liquid circulation system)을 채용하는 증기식 난방장치가 알려져 있다.
제 1 도에 있어서, 부호 01은 증기발생기, 02는 열원, 03은 증기발생기(01)에 의하여 발생된 포화증기를 수납하기 위한 방열기(04)의 열전달도관(05)을 연결하는 증기도관을 각각 표시한다. 액체순환파이프(06)는 열전달도관(05)의 출구(09 ; outlet)를 상기 증기발생기(01)와 연결한다. 진공공기밸브(07)는 열전달도관(05)의 출구(09)와 연결되어 있다. 증기발생기(01)는 증기출구(08)를 구비하고 있다. 액체귀환포오트(010)는 포화증기(011)를 포함하고 있다. 응축액체는 부호 012로 도시되어 있다.
증기발생기(01)내의 액체가 포화증기(011)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열원(02)에 의해 가열되면 이 포화증기(011)는 증기도관(03)을 통하여 열전달도관(05)에 보내져서 이 열전달도관(05)주위의 유체(통상 공기)와 열교환을 하고 주변유체에 응축된 잠열을 방출하고 액상으로 복귀함으로써 난방효과를 달성하는 동시에, 응축액체(012)는 액체순환파이프(06)내의 응축액체의 액면과 증기발생기(01)내의 액면과의 액면차(H)로 인하여 증기발생기(01)로 귀환된다.
이 시스템은, 순환펌프를 회피하는 반면에, 액체순환파이프(06)내의 액면이 그 파이프경로의 압력손실량(H)만큼 증기 발생기(01)내부 액면보다 더 높아야 하고 게다가 방열기(04)가 액체순환파이프(06)의 꼭대기에 설치되어야 하는 바의 설치제한 요소들을 안고 있다.
부가적으로, 방열기(04) (열전달도관(05))는 상기 높이(H)가 아주 큰값으로는 설정될 수 없으므로 아주 적은 저항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증기발생기(01)로부터 방열기(04)까지 인도되는 증기도관용으로 더 작은 직경의 파이프를 선택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중력식 액체순환시스템은 최근에 소요가 증대되는 보다 소형의 방열기, 더 작은 직경의 파이프경로 및 장치의 다양성에 대처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순환펌프를 채용하지 않고 어느위치에나 방열기를 설치할 수 있는 증기식 난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방열기와 상기 증기발생기를 연결하는 증기도관 및 액체순환파이프를 보다 소형이고 보다 소구경으로 행할 수 있는 증기식 난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들을 성취하기 위하여, 포화증기로 변하게 되는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증가발생기, 포화증기를 그안에서 발생시키는 상기 증기발생기를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증기발생기와 종합된 열원, 포화증기를 운반하기 위하여 상기 증기발생기와 연결된 증기도관, 포화증기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증기도관과 연결된 열전달도관을 구비해서 상기 열전달도관의 주위를 가열하고 그것에 의하여 열전달도관내의 포화증기가 주위에 열을 방출한 후 다시 액체로 응축되는 바의 방열기, 응축액체를 수용하여 그 응축액체를 대기압하에 놓이게 하기 위하여 상기 열전달도관과 연결된 응축액용기, 응축액체를 상기 응축액용기로부터 상기 증기발생기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응축액용기와 상기 증기발생기와의 사이에 직접연결된 액체순환도관, 응축액체를 상기 응축액용기로부터 오직 상기 증기발생기로만 통과시키기 위한 상기 액체순환도관내의 제어밸브장치, 및 잠열을 방출하여 상기 응축액용기에 공급되는 액체로 응축되기 위하여 상기 열전달도관에 공급되는 포화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열원을 단속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어장치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증기발생기내의 압력강화를 달성해서 액체가 상기 응축액용기로부터 상기 액체순환도관 및 상기 제어 밸브장치를 통하여 상기 증기발생기안으로 빨아들여지도록 상기 열원이 비활성화되어서 상기 증기발생기가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를 그 요지로 하고 있으며, 그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열원이 가열작용을 시작하기 위하여 스위치가 온(ON)되면, 증기발생기내의 작업액체(열매개액체)는 상기 열원에 의하여 가열되어 포화증기로 변해서 증기도관을 경유하여 방열기내의 열전달도관으로 보내어진다.
제어밸브장치는 포화증기가 발생될 때 증기가 액체순화도관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증기발생의 시간에 닫힌체로 유지되어 있다.
열전달도관인으로 보내어진 포화증기는 열전달도관 주위의 유체(예를들면, 공기)에 잠열을 주고 응축된다. 그다음에 액체는 일부의 감지 가능한 열을 방출한 후에 응축액 용기내부에 저장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같이 가열작용은 계속되고, 증기발생기내의 작업액체의 액면이 시간이 경화함에 따라 어떤 수준이하로 내려가면 열원은 스위치가 오프(OFF)로 되고 포화증기의 발생은 멈추게 된다.
그와 동시에, 증기발생기의 내부는 냉각되기 시작하고 그안에서 포화증기는 응축되고 압력이 급격히 감소해서, 제어밸브장치(체크밸브(check valve)이며 좋다)가 열리고, 응축액용기 내부의 응축액체는 그 액면상에서 대기압을 받게 되어 그 압력차에 기인하여 액체순환도관을 통하여 증기발생기안으로 순환된다. 더우기, 응축액용기안의 응축액체는 상기 언급한 바와같이 액체순환도관을 통하여 증기발생기 내부로 피드백됨과 동시에 열전달도관으로부터 증기도관을 통하여 증기발생기로 미소량 재순환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만약 응축액이 30℃ 또는 그이하의 낮은 온도수준으로 고정되며, 열전달도관의 내부를 통하여 흐를때와 반대로 열을 주위로부터 빼앗을 것이다. 이것은 전체적인 난방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런 경우에 있어서, 냉풍방지 스위치 또는 제어기수단에 의하여 공기가열팬(fan)의 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시킴으로써 냉풍기 부는 것에 대한 저지수단이 마련되어야 한다.
제 2 도는 앞에서 소개한 본 발명에 따른 한실시예를 나타내며, 여기서 부호1은 내부가 밀봉된 증기발생기를 나타내고, 부호 2은 열원(가스버너), 부호 3은 연료공급파이프(3')에 장착되고 열원(2)의 작동의 제어를 위한 전자밸브를 나타낸다. 부호 4는 증기발생기(1)의내부에 장착된 저액면 센서를 나타내고, 부호 5는 증기발생기(1)의 외측벽에 장착된 온도퓨즈를 나타낸다.
이 온도퓨즈(5)가 절단되면, 상기 절단밸브(3)는 증기발생기(1)가 과열되는 경우에 가열을 중지하도록 오프로 변환된다. 부호 6은 증기발생기(1) 내부의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는 압력 릴리이프 밸브를 나타낸다. 부호 7은 팬부착 대류난방기(8 : fanned convector) (즉, 방열기) 내부의 핀(fin) 부착 열전도관(9)의 유입구에 연결된 증기도관을 나타내고, 부호 10은 응축액용기를 나타내고, 부호 11은 팬부착 대류난방기(8)내부에 장착된 온풍팬(12)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나타내고, 부호 13은 제어기, 부호 14는 써모스타트(thermostat), 부호 15는 응축액용기(10)와 상기 열전달도관(9)의 출구에 연결된 응축액 방출도관을 나타내고, 부호 17은 액체순환도관(16)에 장착된 첵크밸브와 같은 제어밸브장치를 나타내며, 증기발생기(1)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질 때, 제어밸브 장치는 증기발생기(1) 안으로 액체가 들어오게 열리도록 작동하고 상기 압력이 대기압이상으로 되면 닫힌다.
액체순환도관(16)은 팬부착 대류난방기(8)를 바이패스하여 증기도관(7)에 연결될 수 있다. 더우기, 제어밸브장치는 개폐가 제어장치(13)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자밸브일 수 있다.
이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그 작동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만약 제어장치(13)의 스위치가 온되면, 전자밸브(3)는 열려서 증기발생기(1)의 온도는 높아지게 하는 기능을 하는 열원(2)에 연료가 공급되게 한다. 열원(2)에 의하여 가열되면, 증기발생기(1) 내부의 작업액체가 기화되고 이 포화증기는 증기도관(7)을 통하여 팬부착 대류난방기(8) 내부의 열전달도관(9)으로 보내진다. 열전달도관(9)안으로 들어온 포화증기는 온풍팬(12)으로부터 보내어진 유체 또는 공기에 그 잠열을 주고 응축되며, 이 응축액체는 응축액 방출도관(15)을 통하여 응축액용기(10) 내부에 저장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같이 가열이 진행되고 증기발생기의 액면이 어떤 수준이하로 떨어질 때, 저액면센서(4)는 그것을 감지하고 전자밸브(3)에 전자밸브가 닫히도록 폐쇄신호를 보낸다. 전자밸브(3)가 닫히면 가열은 중단되고 증기발생기(1)안의 증기가 냉각되어 증기발생기(1) 내부의 증기가 응축되고 이 경우에 발생되는 압력강하작용 (진공작용)때문에, 제어밸브장치(17)는 열리고, 응축액용기(10)내부의 응축액체가 액체순환도관(16)을 통하여 증기발생기(1)의 내부로 재순환된다.
응축액체가 재순환되고 작업액체가 증기발생기(1)안에 충만되면, 에를들어 고액면세선서등과 같은 것에 의하여 검출되고 가열의 재개시를 위해 전자밸브(3)에 개방신호를 보낸다. 이 패턴의 반복으로 가열이 실행되고,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서모스타트(14)가 그것을 감지하여 전자밸브(3)를 닫고,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아지면, 전자밸브(3)는 실내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다시 열린다. 또한 증기발생기(1) 내부로 피드백된 작업액체 체적검출수단으로서, 고액면센서 대신에 예를들어 증기발생기(1) 내부의 압력을 검출하거나, 응축액용기(10)측의 액면의 강하를 검출하는 수단을 생각할 수 있다.
더우기, 저액면 센서의 검출위치보다 높은 액면으로 응축액면이 다시 높아진후에 지연릴레이(relay) 또는 타이머(timer)의 사용에 의하여 소정간격의 시간후에 개방신호가 전자밸브(3)로 보내지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제 3 도는 다수의 방열기로 구성된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여기서 부호 1은 증기발생기를 나타내고, 부호 2는 열원, 부호 4는 증기발생기(1) 내부에 장착된 저액면센서, 부호 6은 압력 릴리이프밸브, 부호 7은 증기발생기(1)에서 발생된 포화증기를 방출하기 위한 증기도관을 나타내고, 부호 18은 상기 증기도관(7)으로부터 분기된 분기증기도관, 부호 8은 방열기, 부호 9은 열전달도관을 나타내며, 여기서 열전달도관(9)의 유입구측은 상기 언급한 분기증기도관(18)에 연결된다. 부호 20은 조정밸브, 부호 21은 열형식트랩, 부호 19는 열전달도관(9)의 출구측에 열결된 응축액 방출분기도관, 부호 15는 응축액 방출도관을 나타내고, 여기서 상기 언급한 응축액 방출분기도관(19)들은 모두 이 응축액 방출도관(15)에 연결된다.
부호 10은 상기 응축액 방출도관(15)의 끝부분이 삽입된 응축액 용기를 나타낸다. 액체순환도관(16)은 증기발생기(1)의 내부와 응축액용기(10)를 연결시키며, 부호 17은 이 액체순환도관(16)에 설치된 체크 밸브와 같은 통상 폐쇄식의 제어밸브장치를 나타낸다. 증기발생기(1)의 내부압력이 낮아지면, 제어밸브장치(17)는 증기 발생기(1)측으로 개방된다. 부호 3은 열원(2)의 연료공급파이프(3')용의 전자밸브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앞에서 언급한 구조로 구성되며, 전자밸브(3)가 장치의 동작을 개시하기 위하여 열리면, 열원(2)이 작동되어 증기발생기(1) 내부에서 포화증기가 발생되고, 이 포화증기는 증기도관(7)을 통하여 각 방열기(8) 내부의 열전달도관(9) 내부에 도달하고, 그 잠열을 주위의 유체(공기)에 주고 응축됨과 동시에, 응축액체는 응축액 방출분기도관(19)을 통하여 응축액 방출도관(15)으로 흐르고 응축액용기(10)의 내부로 들어가 거기에 저장된다.
이 과정으로 난방이 진행되고, 증기발생기(1)내부의 액면이 낮아지면, 저액면센서(4)는 그것을 검출하여 전자밸브(3)에 오프신호를 보내어 전자밸브를 오프되게 한다.
열원(2)의 작동은 전자밸브(3)가 오프될 때 증가된다. 열원(2)의 작동이 중지되면 증기발생기(1)의 벽이 냉각되고 내부의 증기는 응축되어 증기발생기의 내부가 부분진공하에 놓이게 한다. 응축액용기(10)내부의 정체된 응축액체는 이 진공작용에 기인하여 액체순환도관(16) 및 제어밸브장치(17)를 통하여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역류하고 증기발생기의 액면이 다시 높아지면, 열원(2)의 작동개시를 위하여 전자밸브(3)로 온신호가 보내진다. 이 과정의 반복으로 난방이 실행된다.
제 4 도는 증기도관(7)을 대신하는 증기헤더(22)가 증기발생기(1)에 장착된 실시예를 나타내며, 증기는 분기증기도관(18) 및 응축액 방출분기도관(19)으로서의 쌍도관(24)을 경유하여 증기헤더(22)로부터 각 방열기(8)로 보내지고, 동시에 응축액체는 상기 언급한 쌍도관(24)을 통하여 응축액용기(10)에 장착된 응축액 방출도관(15)을 대신하는 응축액헤더(23)로 각각 유입된다. 더우기, 제어밸브장치(17)는 작동을 개시하기 위한 저액면센서(4)에 의하여 보내진 신호를 받는 자동제어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만약 다수의 방열기(8) 중에서 하나의 장치만이 사용된다면, 증기발생기(1)의 내부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지므로 이 경우에는 전자밸브(3)를 제어하기 위하여 증기발생기(1)의 내부압력을 검지할 필요가 있고, 발생된 증기량을 줄어야 한다. 더우기 포화증기가 증기발생기(1)의 내부에서 발생되므로, 증기발생기(1) 내부의 압력대신에 온도를 감지하는 것도 용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상기 설명한 바와같고 그 효과는 다음과 같다. a) 증기가 증기발생기에서 발생된 포화증기압에 의하여 방열기로 보내지므로 증기도관의 압력저하가 클지라도 어떠한 구동력이 없이도 자유롭게 열이송이 달성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증기도관의 직경은, 이를테면, 내경이 5mm정도의 소구경으로 만들 수 있고 보다 가요성 있는 도관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도관을 어느위치나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고 지극히 강화된 작업실시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b) 압력손실이 매우 큰값으로 되어도 좋으므로, 방열기 내부 열전달도관의 직경은 보다 작게만들 수 있고, 그리하여 보다 소형이고 납작한 방열기의 설계가 가능하다. c) 파이프선로의 압력손실이 매우 큰값으로 되어도 좋으므로, 증기발생기의 설치가 매우 자유롭다. d) 액체순환시간은 액체순환도관의 제공으로 인해 단축될 수 있고, 단위시간당 열이송률은 그부분만큼 증가된다. 이것은 증기발생기와 응축액용기를 서로 근접해서 배치할 경우에 더욱 효과적이다. e) 액체순환도관의 제공으로 인해 응측액용기내부의 대부분의 응축액체는 이 액체순환도관을 통해 증기발생기측으로 귀환되고 방열기를 바이패스하기 용이하다. 그러므로 응축액체의 온도가 보다 낮을지라도 난방효과는 감소되지 않는다. f) 다수의 방열기를 구비한 경우에도, 액체순환도관을 거쳐 증기발생기로 응축액체를 재순환하기 위하여 응축액 방출도관 및 응축액 방출분기도관을 통하여 응축액체가 일단 저장되는 단일의 유니트로서 응축액 용기가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증기발생기와 응축액용기가 서로 단거리에 근접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액체순환시간은 매우 단축된다. g) 다수의 방열기의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방열기에 공통되는 응축액 용기를 다수의 방열기에서 격리시킴으로써 방열기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원리의 적용을 예시하기 위해 상세하게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원리를 벗어남이 없이 달리 구체화될 수 있다는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포화증기로 변하게 되는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증기발생기(1), 포화증기를 그안에서 발생시키는 상기 증기발생기(1)를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증기발생기(1)와 조합원 열원(2), 포화증기를 운반하기 위하여 상기 증기발생기(1)와 연결된 증기도관(7), 포화증기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증기도관(7)과 연결된 열전달도관(9)을 구비해서 상기 열전달도관(9)의 주위를 가열하고 그것에 의하여 상기 열전달도관(9)내의 포화증기가 주위에 열을 방출한 후 다시 액체로 응축되는 바의 방열기(8), 응축액체를 수용하여 그 응축액체를 대기압하에 놓이게 하기 위하여 상기 열전달도관(9)가 대기압하에 놓이게 하기 위하여 상기 열전달도관(9)과 연결된 응축액용기(10), 응축액체를 상기 응축액용기(10)로 부터 상기 증기발생기(1)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응축액용기(10)와 상기 증기발생기(1)와의 사이에 직접연결된 액체순환도관(16), 응축액체를 상기 응축액용기(10)로부터 오직 상기 증기발생기(1)로만 통과시키기 위한 상기 액체순환도관내의 제어밸브장치(17), 및 잠열을 방출하여 상기 응축액용기(10)에 공급되는 액체로 응축되기 위하여 상기 열전달도관(9)에 공급되는 포화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열원(2)을 단속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어장치(1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증기발생기(1) 내의 압력강화를 달성해서 액체가 상기 응축액용기(10)로부터 상기 액체순환도관(16) 및 상기 제어밸브장치(17)를 통하여 상기 증기발생기(1) 안으로 빨아들여지도록 상기 열원(2)이 비활성화되어서 상기 증기발생기(1)가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난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13)는 상기 증기 발생기(1)의 내부에 부착되고 상기 열원(2)과 외부적으로 연결된 저액면센서(4)를 포함하고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기(1)내의 액체의 액면이 상기 저액면센서(4)까지 떨어지면 상기 열원(2)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난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밸브장치(17)은 대기압 밑으로의 상기 증기발생기(1)내의 압력강화를 이용하여 액체를 상기 응축액용기(10)로부터 상기 증기발생기(1)로 자동공급하는 체크밸브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증기발생기(1)로부터 역으로 상기 응축액용기(10)로의 액체통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난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기(8)는 다수의 유니트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응축액용기(10)는 단일의 유니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포화증기가 상기 증기도관(7)과 상기 열전달도관(9)의 사이에 연결된 분기증기도관(18)을 거쳐 각각의 방열기(8)로 보내져 모든 방열기(8)로부터 응축된 액체가 상기 열전달도관(9)과 상기 응축액용기(10)의 사이에 연결된 응축액 방출분기도관(19) 및 응축액 방출도관(15)을 통하여 상기 응축액용기(10)의 내부에 저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난방장치.
KR1019850001910A 1984-03-23 1985-03-23 응축액용기 및 귀환선로를 구비한 증기난방장치. Expired KR8900025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056939A JPS60200030A (ja) 1984-03-23 1984-03-23 蒸気式暖房装置
JP59-56939 1984-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682A KR850007682A (ko) 1985-12-07
KR890002525B1 true KR890002525B1 (ko) 1989-07-13

Family

ID=13041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1910A Expired KR890002525B1 (ko) 1984-03-23 1985-03-23 응축액용기 및 귀환선로를 구비한 증기난방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613071A (ko)
JP (1) JPS60200030A (ko)
KR (1) KR890002525B1 (ko)
AU (1) AU577360B2 (ko)
DE (1) DE3510731C2 (ko)
FR (1) FR2561755B1 (ko)
GB (1) GB21569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9330A (ja) * 1985-11-19 1987-05-30 Tokyo Gas Co Ltd 複管式蒸気搬送装置
AU3749695A (en) * 1995-10-13 1997-04-30 Michel Rerolle Apparatus for heating a building using a heat pipe
RU2141079C1 (ru) * 1996-04-15 1999-11-10 Ашмарин 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Открытая замкнутая паровая система отопления
US6397788B2 (en) * 1996-06-03 2002-06-04 Ferdinand K. Besik Compact ultra high efficiency gas fired steam generator
RU2124677C1 (ru) * 1998-04-22 1999-01-10 Вернигоров Евгений Иванович Система парового теплоснабжения
US6113317A (en) * 1998-06-02 2000-09-05 Myers; Clinton Charles Retaining wall system with integral storage compartments and method for stabilizing earthen wall
RU2146029C1 (ru) * 1998-07-23 2000-02-27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орско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истема питания генератора пара (варианты)
RU2175744C1 (ru) * 2000-06-20 2001-11-10 Ульян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истема теплоснабжения
RU2175745C1 (ru) * 2000-06-20 2001-11-10 Ульян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работы системы теплоснабжения
RU2198350C2 (ru) * 2000-08-24 2003-02-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еплоэнергосбережение" Теплогенератор и системы теплоснабжения (варианты)
NL1016886C2 (nl) * 2000-12-15 2002-06-18 Gastec Nv Werkwijze voor het bedrijven van een warmte/kracht-inrichting alsmede een pomploze hoge-druk-warmte/kracht-inrichting.
US6622929B1 (en) * 2001-02-13 2003-09-23 Mikhail Levitin Steam heating system
ES2247294T3 (es) * 2001-07-03 2006-03-01 W & H STERILIZATION S.R.L. Autoclave.
US20080173723A1 (en) * 2006-07-21 2008-07-24 Igor Zhadanovsky Steam-based hvac system
DE102007028617B4 (de) * 2007-06-19 2010-10-28 Miele & Cie. Kg Frontbeschickbare Wäschebehandlungsmaschine mit Dampferzeugungseinrichtung
US20090134233A1 (en) * 2007-11-27 2009-05-28 Bernard Flynn Steam Control System
US20100072293A1 (en) * 2007-11-27 2010-03-25 Bernard Flynn Steam control system
US8702013B2 (en) * 2010-02-18 2014-04-22 Igor Zhadanovsky Vapor vacuum heating systems and integration with condensing vacuum boilers
US20120205233A1 (en) * 2011-02-15 2012-08-16 King Abdul Aziz City For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and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JP5937905B2 (ja) * 2012-06-28 2016-06-22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復水回収装置
DE102015001506A1 (de) * 2015-02-05 2016-08-11 Stjepan Pipic Zimmerminidampfheizung
CN106363844B (zh) * 2016-08-24 2018-09-04 山东新大陆橡胶科技股份有限公司 轮胎硫化机蒸汽主管道智能式排凝装置
CN106363843B (zh) * 2016-08-24 2018-10-12 山东新大陆橡胶科技股份有限公司 轮胎硫化机蒸汽主管道智能式排凝方法
CN108561754A (zh) * 2017-11-30 2018-09-21 绍兴梁正机械有限公司 一种中央蒸汽总回汽管道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7680C (de) * A. SCHÄTZLE in Berlin S., Plan-Ufer 42 Regelungseinrichtung für Dampfheizungen
DE605256C (de) * 1934-11-08 W Koeniger Dr Ing Dampfheizungsanlage mit Gefaellespeicherkessel
GB928055A (ko) *
DE395391C (de) * 1924-05-08 Zimmermann Willy Kondenswasserrueckleitung fuer Niederdruckdampfheizungen
US1008285A (en) * 1909-04-26 1911-11-07 Jean Rouquaud Steam or hot-water circulating apparatus.
DE955356C (de) * 1952-01-10 1957-01-03 Pintsch Bamag Ag Dampfeinlassregler fuer Einzelheizkoerper
CH467973A (de) * 1966-12-30 1969-01-31 Sulzer Ag Zwanglaufdampferzeuger
US3572588A (en) * 1969-04-03 1971-03-30 Boiler Equipment And Controls Condensate and heat recovery system
DE2027496A1 (de) * 1970-06-04 1971-12-16 Kraftanlagen Ag, 6900 Heidelberg Dampfheizungsanlage
AU493734B1 (en) * 1974-10-23 1976-04-29 Ingeborg Parle Electrical off-peak heat-storage unit for heating and cooling
GB1582631A (en) * 1977-05-04 1981-01-14 Mckee Oil & Chemicals Ltd Davi Boiler plant
GB1588882A (en) * 1977-10-20 1981-04-29 Reed C Apparatus and method for side stream purification of condensate in a steam cycle
JPS5841404B2 (ja) * 1979-03-23 1983-09-12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ドレン回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561755B1 (fr) 1988-12-09
FR2561755A1 (fr) 1985-09-27
GB8507694D0 (en) 1985-05-01
JPH0436299B2 (ko) 1992-06-15
DE3510731C2 (de) 1995-06-14
KR850007682A (ko) 1985-12-07
AU4016685A (en) 1985-09-26
GB2156956B (en) 1987-11-11
US4613071A (en) 1986-09-23
JPS60200030A (ja) 1985-10-09
AU577360B2 (en) 1988-09-22
DE3510731A1 (de) 1985-10-31
GB2156956A (en) 198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2525B1 (ko) 응축액용기 및 귀환선로를 구비한 증기난방장치.
US4401261A (en) Flue gas heat recovery apparatus
US7007858B2 (en) Compact boiler with tankless heater for providing heat and domestic hot water and method of operation
US4281519A (en) Refrigeration circuit heat reclaim method and apparatus
US20160003468A1 (en) Indirectly Heated, Storage Water Heater System
US4293093A (en) Co-axial fitting for use with a refrigeration circuit heat reclaim apparatus
NO143511B (no) Varmepumpeanlegg.
KR20100106165A (ko)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장치
US4344568A (en) Closed-loop heat-reclaiming system
WO2003048651A1 (fr) Systeme de recuperation de la chaleur d'echappement
KR890003468B1 (ko) 주택에서의 열이송방법
US3833170A (en) Single unit air-water heating appliance
EP3286503B1 (en) A boiler system
US3674204A (en) Central heating and water service system
JPH10238972A (ja) 熱伝達装置
EP0027995B1 (en) System for transferring heat energy from a refrigeration circuit to a hot water circuit
US2544408A (en) Hot-water system
JP2786466B2 (ja) 蓄熱装置
US4065056A (en) Method and device for thermally controlling a utilization unit fed by a condensable vapor distributing system
NO327264B1 (no) Klimaanlegg for rom
EP0098788B1 (en) Combined refrigerant circuit and hot water preheater,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same and section of such system including the combination
US4040567A (en) Heating unit
SU481755A1 (ru) Система отоплени
JP2940839B2 (ja) 冷暖房装置
JP2002257497A (ja) 熱交換器及び熱交換温度制御方法並びに温熱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62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707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7071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