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90002492B1 - 자동차 앞몸체 뼈대 - Google Patents

자동차 앞몸체 뼈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492B1
KR890002492B1 KR1019860000573A KR860000573A KR890002492B1 KR 890002492 B1 KR890002492 B1 KR 890002492B1 KR 1019860000573 A KR1019860000573 A KR 1019860000573A KR 860000573 A KR860000573 A KR 860000573A KR 890002492 B1 KR890002492 B1 KR 890002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ross member
instrument panel
vehicle
panel bot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0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6382A (ko
Inventor
야스히로 후지사기
다게시 에다히로
Original Assignee
마쓰다 가부시기 가이샤
야마모또 겡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다 가부시기 가이샤, 야마모또 겡이찌 filed Critical 마쓰다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6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 앞몸체 뼈대
제1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에 따라 구성된 서브프레임 구조의 평면도.
제2도는 서브프레임 구조의 측면도.
제3도는 서브프레임 구조를 사용한 앞몸체 뼈대를 표시하는 자동차 앞몸체 구조의 부분사시도.
제4도는 자동차 앞 몸체구조의 개략 측면도.
제5도는 서브프레임 구조의 사시도.
제6도는 주 프레임 구조에 관하여 표시된 서브프레임 구조의 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의 다른 양호한 형성을 표시하는 제6도에 유사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엔진실 5 : 사이드 프레임
6 : 앞크로스부재 7 : 계기판 저부 크로스부재
8 : 서브 프레임구조 9,10 : 세로프레임 부재
9a,9b 및 10a,10b : 세로프레임 부재의 반대 끝
11 : 가로프레임 부재 E : 자동차 동력장치
본 발명은 일반으로 자동차 몸체구조에 관한 것이고, 특히 자동차 몸체구조의 앞 몸체 뼈대에 관한 것이다. 앞바퀴구동, 앞엔진형식(FF형)의 어느 종래의 자동차는 자동차 동력장치, 바퀴 현가아암 및 관계된 성분의 지지를 위하여 앞엔진실 밑에 깔려진 서브프레임 구조를 사용한다. 예로서, 1983년에 공개된 일본공개 실용신안공보 제58-35471호에 따르면, 그것에 발표된 서브프레임구조가 자동차의 길이방향에 평행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간격을 뗀 세로프레임과 자동차의 폭에 평행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간격을 뗀 가로프레임을 가지고, 프레임의 모드는 일반으로 장방형을 나타내도록 함께 연결된다.
더욱 특별하게, 세로프레임은 앞크로스프레임인 가로프레임의 하나와 일단에서 연결되고, 타단에서 계기판 저부 크로스부재와 계기판에 단단하게 고착된다.
세로프레임의 각각은 앞바퀴 현가아암의 지지를 위하여 그것에 용접 또는 다른 방법으로 단단하게 고착된 한쌍의 간격을 뗀 브래킷을 가진다. 뒤 크로스 프레임인 가로프레임의 다른 나머지는 앞크로스프레임에 일반으로 평행으로 연장하도록 관련된 브래킷간의 세로프레임의 각각의 부분에 단단하게 연결된 또는 다른 방법으로 용접된 그의 상대끝을 가진다.
상술된 구조의 서브프레임구조는 자동차 몸체구조의 세로에 연장하는 한쌍의 간격을 뗀 사이드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주프레임구조와 차례로 연결된다.
위에 언급된 공보에 발표된 앞몸체 뼈대는 엔진 설치배정의 선택의 자유가 뒤크로스프레임의 존재때문에 특히 뒤 크로스프레임의 위치가 자동차 동력장치의 바로 밑에 오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한정되는 문제를 가지는 것이 알게 되었다.
더우기, 서브프레임구조는 전체로서 자동차 몸체구조의 보강을 위하여 사용되는 주프레임구조에 앞크로스프레임의 각각의 끝과 인접한 사이드프레임부재간의 연결을 위한 하나의 볼트, 세로프레임의 하나와 계기판 저부크로스부재간의 연결을 위한 다른 하나의 볼트 및 세로프레임의 다른 나머지와 계기판 저부크로스부재간의 연결을 위한 마지막 하나의 볼트의 연결볼트의 사용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므로, 서브프레임구조는 충분한 강성이 부족일뿐만 아니라 서브프레임구조는 전체로서의 자동차 몸체구조에 강성을 제공하는 것이 역시 부족하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자동차 앞몸체 뼈대에서 본래의 상술된 문제를 실질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견지를 가지고 발달되었고, 그의 본질적인 목적은 선행기술의 앞몸체 뼈대에 사용된 바와같은 뒤크로스프레임이 이용되지 아니하였든 가로프레임의 하나일찌라도 전체로서 자동차 몸체구조에 효과적인 강성을 제공하고 충분한 강성을 가진 개량된 자동차 앞몸체 뼈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엔진 설치배정의 선택에 비교적 큰 자유가 적용되고, 조립이 쉽고 시간 소모가 적은 위에 참조된 형의 개량된 앞몸체 뼈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양호한 형의 서브프레임구조는 앞크로스 부재와 계기판 저부 크로스부재간에 자동차의 길이방향에 평행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간격을 뗀 세로프레임과 앞크로스부재에 인접한 위치에서 간격을 뗀 세로프레임 부재간에 다리를 건 가로프레임 부재에 의하여 구성된다. 이 서브프레임 구조에서, 각각의 세로프레임 부재의 하나와 가로프레임 부재는 가로프레임 부재와 일치하여 깔려있는 각각의 점에서 각각의 사이드프레임에 고착되고, 세로프레임의 각각은 계기판 저부 크로스부재의 길이방향에 서로 간격을 뗀 거리의 2개의 위치에서 계기판 저부크로스부재에 연결된 가로 프레임부재부터 멀리 떨어진 뒤끝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브프레임 구조는 가로프레임 부재와 일치하여 깔려있는 간격을 뗀 점에서 또한 세로프레임부재의 각각의 반대단에서 주프레임구조(앞크로스부재, 계기판 저부 크로스부재 및 간격을 뗀 사이드프레임을 가짐)와 연결된다.
특히, 계기판 저부크로스부재와의 세로프레임부재의 각각의 뒤끝간의 연결은 주프레임구조와의 단단한 서브프레임구조를 만들게 2개의 볼트의 사용에 의하여 달성된다. 따라서, 선행기술의 앞몸체 뼈대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뒤크로스프레임이 사용되지 아니하여도 서브프레임구조와 전체로서의 자동차 몸체구조의 강성은 유리하게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과 양상이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만들어진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의 다음의 설명부터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 진행의 설명에 앞서, 동일한 부품은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동일한 참조번호에 의하여 표시되어 있는 것이 주의되어야 한다.
먼저 제1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면, FF형의 자동차의 자동차앞몸체구조가 일반으로 (1)에 의하여 표시된다. 앞몸체구조(1)는 제1도 및 제2도의 환상선에 의하여 표시된 자동차 동력장치(E)를 수용하기 위하여 그것에 이루어진 엔진실(2)을 가지고, 계기판 또는 격벽(4)에 의하여 승객실(3)에서 분리된다. 자동차 몸체구조는 자동차의 길이방향에 서로에 간격을 뗀 관계로 연장하는 한쌍의 간격을 뗀 사이드프레임(그것의 하나만이 자동차의 전진방향에 표시된 바와같은 우수측 프레임의 형으로(5)에 의하여 표시된다)을 포함하고, 사이드프레임(5)의 각기 앞끝은 앞크로스부재(6)에 의하여 함께 연결된다. 사이드프레임(5)의 각각의 부분은 계기판(4)의 저부영역과 저부크로스부재(7)간에 일반으로 밀폐된 중공을 제공하도록 계기판(4)의 저부영역에 용접되고, 그 밑에 연장하는 일반으로 U단면의 계기판 저부 크로스부재(7)에 의하여 함께 연결된다.
사이드프레임(5), 앞크로스부재(6) 및 계기판 저부크로스부재(7)는 다 함께 자동차앞몸체구조(1)를 보강하는 주프레임구조를 구성한다.'
동력장치(E)와 앞바퀴 현가아암(우수앞바퀴용의 한 현가아암만이 제1도에서 (SA)에 의하여 표시된다)의 지지를 위한 서브프레임구조가 일반으로 (8)에 의하여 확인되고, 엔진실(2)의 저부영역에 또한 일반으로 주프레임 구조 밑에 배치된다. 이 서브프레임구조(8)는 사이드프레임(5)의 내측으로 또한 그것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저부크로스부재(7)와 앞크로스부재(6)간에 서로 간격을 뗀 관계로 자동차의 길이방향에 평행으로 연장하는 일반으로 장방형 단면의 좌수 및 우수관상의 세로프레임(9) 및 (10)와 엔진실(2)에 인접한 앞크로스부재(6)의 한측에 또한 앞크로스부재(6)에 인접한 세로프레임(9) 및 (10)간에 연장하는 일반으로 장방형 단면의 관상의 가로프레임(11)을 가진다.
세로프레임(9) 및 (10)의 각각은 제2도 및 제4도에서 잘 보이는 바와같이, 그것의 중간부분에서 실질적으로 내리눌려져 그의 앞 및 뒤끝부분이 결과적으로 내리눌려진 중간부분부터 높은 레벨로 위치되고 이 분야에 훈련된 사람들에 알여진 방법으로 각각의 현가아암(SA)의 지지를 위하여 한쌍의 간격을 뗀 일반으로 U형의 베어링브래킷(LB1),(LB2) 또는 (RB1),(RB2)을 가진다.
제1도 내지 제6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가로프레임(11)은 끝(11a) 및 (11b)와 각각의 사이드프레임(5)간에 배치된 탄성부재(14)(제4도 참조)로 각각의 사이드프레임(5)에 아래부터 단단하게 볼트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가로프레임(11)은 제1도, 제5도 및 제6도에 잘표시된 바와같이 반대끈(11a) 및 (11b)의 각각에 이루어진 단일의 볼트 베어링구멍(15a) 또는 (15b)을 가진다. 사이드프레임(5)에 볼트된 가로프레임(11)을 가지고, 세로프레임(9) 및 (10)의 각각의 앞끝부분(9a) 또는 (10b)은 인접한 끝(11a) 또는 (11b)부터 내측으로 간격을 뗀 거리로 가로프레임(11)의 각각의 부분에 아래부터 볼트된다. 따라서, 가로프레임(11)은 각각의 사이드프레임(5)에 아래부터 볼트된 그의 반대끝(11a) 및 (11b)으로 엔진실(2)에 걸치게 되고, 가로 프레임(11)에 볼트된 그들의 앞끝부분(9a) 및 (10b)을 가진 세로프레임(9) 및 (10)은 앞크로스부재(6)의 바로 밑에 와 뒤끝부분(9b) 및 (10b)부터 멀리 떨어진 가로프레임(11)의 한측에 끝나는 그들의 앞말단은 가진다.
앞크로스부재(6)의 바로 밑에 끝나는 각각의 세로프레임(9) 및 (10)의 앞 말단은 그들 사이에 끼어진 각각의 탄성부재(12)(제4도 참조)로 앞크로스부재(6)에 아래부터 볼트된다. 특별하게 2개의 볼트(미표시)가 좌수 세로프레임(9)의 앞말단에 연결을 위하여 사용되고, 한편으로 단일의 볼트(미표시)가 우수 세로프레임(10)의 앞말단에 연결을 위하여 사용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좌수 세로프레임(9)의 앞말단은 앞크로스부재(6)의 길이방향에 서로에서 간격을 뗀 거리로 그섯에 이루어진 2개의 볼트 베어링구멍(15c)을 가지고 우수 세로프레임(10)의 앞말단은 그것에 이루어진 단일의 볼트베어링 구멍(15d)을 가진다.
다른 한편으로, 관련된 프레임(9) 또는 (10)의 나머지 부분보다 각기 큰 폭을 가진 각긱의 세로프레임(9) 및 (10)의 뒤끝(9b) 및 (10b)은 제4도에 잘 표시된 바와 같이 그들 사이에 끼어진 각각의 탄성부재(13)로 계기판 저부 크로스부재(7)에 아래부터 볼트된다. 2개의 볼트(미표시)가 이 목적을 위하여 계기판 저부크로스부재(7)에 각각의 뒤끝(9b) 또는 (10b)을 연결하게 사용되고, 세로프레임(9) 및 (10)의 뒤끝(9b) 및 (10b)의 각각은 그것에 이루어진 2개의 볼트베어링구멍(15e) 또는 (15f)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앞몸체 뼈대에서 자동차 동력장치(E)가 교차설치방식(즉, 자동차의 폭방향에 깔려있는 엔진의 길이방향으로 동력장치가 설치되는 방식)으로 4점 지지시스템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 4점 지지시스템은 한 가동부분부터 다른 것에 충격쇼크와 진동의 전달을 최소로 하고, 진동을 흡수하게 실행하는 쿠숀 부재의 개재로 효과적으로 함께 결합된 적어도 두개의 비교적 가동부분을 각기 가진 어느 알려진 완충 피벗조인트 조립체(J1),(J2),(J3) 및 (J4)를 포함한다. 각각의 피벗조인트 조립체(J1),(J2),(J3) 및 (J4)의 한 가동부분은 동력장치(E)의 다른 부분에 단단하게 연결되는 반면에 조인트 조립체(J1) 내지 (J4)의 다른 가동부분은 세로프레임(9), 가로프레임(11) 및 앞몸체구조(1)의 대향부분의 각각의 부분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세로프레임(9)은 조인트조립체(J1)를 받기 위하여 뒤끝(9b)에 인접하여 그것에 이루어진 설치부위(9c)를 가지고, 다른 한편으로, 가로프레임(11)은 조인트 조립체(J2)를 받기 위하여 프레임(9) 및 (11)간의 조인트에 인접하여 그것에 이루어진 설치부위(11c)를 가진다. 이 배치에서 동력장치(E)의 무게의 대부분은 세로프레임(9)에 작용하는 것이 쉽게 알게되고, 그러므로 단일의 연결볼트가 세로프레임(10)의 앞말단과 앞크로스부재(6)간 가로프레임(11)의 좌수끝(11a)과 좌수 사이드프레임(5)간 및 가로프레임(11)의 우수끝(11b)과 우수 사이드프레임(5)간의 각각의 조인트에서 사용되는 한편, 2개의 연결볼트가 후술되는 바와같이 앞크로스 부재(6)와 좌수 세로프레임(9)의 앞말단간의 조인트에서 예외로 사용된다.
따라서, 앞서의 실시에서 서브프레임 구조는 서브프레임구조를 형성하는 프레임(9),(10) 및 (11)의 모든 것의 반대단이 주프레임구조에 볼트되는 그러한 방법으로 사이드프레임, 앞크로스부재(6) 및 계기판 저부 크로스부재(7)를 포함하는 주프레임구조와 단단하게 연결된다. 특별하게, 세로프레임(9) 및 (10)의 각각의 뒤끝은 저부크로스부재(7)의 길이방향에 간격을 뗀 2개의 연결볼트의 사용에 의하여 저부크로스부재(7)에 단단하게 고착된다. 따라서, 서브프레임구조(8)는 주프레임구조와 단단하게 연결된다.
더우기, 앞크로스부재와 좌수세로프레임(9)간 및 앞크로스와 우수 세로프레임(10)간의 조인트는 각기 교차방식으로 프레임끝부분(9a) 및 (10a)과 연결된 가로프레임(11)의 대향끝(11a) 및 (11a)과 각각의 세로프레임(9) 및 (10)의 앞끝부분(9a) 및 (10a)에 의하여 내측으로 보강되어 있는 사실의 견지에서 앞크로스부재와 세로프레임(9) 및 (10)간의 조인트의 각각은 증가된 물리적강도를 가질 수 있다.
제1도 내지 제6도를 참조로 하여 표시되고 설명된 앞서의 실시에서 가로프레임(11)의 대향끝(11a) 및 (11b)은 관련된 사이드 프레임(5)와의 연결을 위하여 인접한 세로프레임(9) 및 (10)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것으로서 설명된 것이 주의되어야 한다. 그러나 제7도에서 표시된 실시에서 이제 제7도에서 (17)에 의하여 표시된 가로프레임은 세로프레임(9) 및 (10)의 각각의 앞끝부분(9a) 및 (10b)과의 단단한 연결에서 끝나는 그의 대향끝을 가지게 충분한 길이로되고, 한편으로 세로프레임(9) 및 (10)은 가로프레임(17)와 협력하여 각각의 세로프레임(9) 및 (10)의 앞끝부분(9a) 및 (10b)부터 옆으로 외측으로 돌출하는 각각의 가로의 돌출부(20a) 및 (20b)를 가지고 일체로 형성된다.
앞서 실시의 가로프레임(11)의 각각의 대향하는 끝(11a) 및 (11b)에 형성된 바와같이 표시되고 설명된 볼트베어링구멍(15a) 및 (15b)이 인접한 사이드 프레임(5)에 세로프레임(9) 및 (10)을 연결하기 위하여, 각기 가로의 돌출부(20a) 및 (20b)에 형성된다.
제7도를 참조로 하여 표시되고 설명된 실시에서도 서브프레임구조는 자동차몸체구조를 보강하는 주프레임구조와 단단하게 연결되고, 그러므로 전체로서의 자동차 몸체구조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서브프레임구조(8)의 강성이 앞서 실시의 경우에서와 같이 유리하게 증대된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예시의 방법으로 완전히 설명되었지만 여러 변경 및 수정이 이 분야에 훈련된 사람들에게 나타나게 되는 것이 주의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그러한 변경 및 수정이 본 발명의 범위부터 떠나지 않으면 그들은 그것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

  1. 뼈대가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간격을 뗀 사이드 프레임(5)와 자동차의 전방주행의 방향에 관하여 자동 동력장치(E)의 전방으로 또한 자동차의 폭방향에서 엔진실(2)의 저부영역에 연장하는 앞크로스부재(6)를 가지고, 상기 앞크로스부재는 인접한 사이드프레임에 고착된 그의 반대끝을 가지고, 앞크로스부재부터 멀리 떨어진 엔진실의 한측에서 자동차의 폭방향에 엔진실의 저부영역에서 연장하는 계기판 저부크로스부재(7)를 가지고, 상기 계기판 저부 크로스부재(7)는 인접한 사이드 프레임에 고착된 그의 반대단을 가지고 아래부터 자동차 동력장치의 지지를 위하여 엔진실의 저부영역에 배치된 서브 프레임구조(8)를 가지는 자동차 동력장치를 수용하기 위하여 그것에 이루어진 엔진실을 가진 자동차 앞몸체 뼈대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구조(8)가 앞 및 계기판 저부크로스부재(6) 및 (7)간에 연장하는 제1 및 제2의 간격을 뗀 세로프레임부재(9) 및 (10)를 가지고, 제1 및 제2세로프레임부재의 각각은 앞 및 계기판 저부크로스부재에 각기 고착된 그의 반대끝(9a),(9b) 및 (10a),(10b)을 가지고, 계기판 저부 크로스부재와 각각의 세로프레임의 끝간의 조인트는 계기판 저부크로스부재(7)의 길이방향에 서로에서 간격을 뗀 복수의 연결볼트의 사용에 의하여 달성되고, 상기 서브프레임구조(8)는 역시 앞크로스부재(6)에 일반으로 평행으로 연장하도록 앞크로스부재에 인접하여 위치된 가로 프레임부재(11)를 가지고, 가로프레임부재와 각각의 세로프레임부재의 하나는 가로프레임부재와 일치하여 깔려있는 각각의 점(15a),(15b)에서 인접한 사이드프레임(5)에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앞몸체 뼈대.
KR1019860000573A 1985-02-06 1986-01-29 자동차 앞몸체 뼈대 KR8900024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329 1985-02-06
JP60022329A JPS61181779A (ja) 1985-02-06 1985-02-06 自動車のサブフレ−ム
JP22329 1985-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382A KR860006382A (ko) 1986-09-09
KR890002492B1 true KR890002492B1 (ko) 1989-07-10

Family

ID=12079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0573A KR890002492B1 (ko) 1985-02-06 1986-01-29 자동차 앞몸체 뼈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753315A (ko)
JP (1) JPS61181779A (ko)
KR (1) KR8900024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9565A (en) * 1987-04-17 1990-03-20 Mazda Motor Corporation Front body construction
JP2628861B2 (ja) * 1987-07-17 1997-07-09 山川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センタメンバ構造
JP2540242Y2 (ja) * 1989-01-26 1997-07-02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クロスメンバ支持構造
SE465668B (sv) * 1990-04-02 1991-10-14 Saab Automobile Frontparti foer motorfordon
US5096010A (en) * 1990-12-19 1992-03-17 Ford Motor Company Subframe induction noise reduction side-branch reactive silencer
KR960005859B1 (ko) * 1991-04-23 1996-05-03 마쓰다 주식회사 자동차의 전부 차체구조
DE4344581C1 (de) * 1993-12-24 1994-12-01 Daimler Benz Ag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raftfahrzeuges
US5409289A (en) * 1994-02-04 1995-04-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Cross member assembly for a vehicle frame
US6408515B1 (en) 1998-08-20 2002-06-25 Dana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ngine cradle for a vehicle frame assembly
JP3089472B2 (ja) * 1999-02-19 2000-09-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フロントサブフレーム構造
KR100314523B1 (ko) * 1999-09-18 2001-11-17 정주호 엔진 마운트 강성 보강구조
JP3591448B2 (ja) * 2000-10-20 2004-11-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US6431602B1 (en) * 2000-10-23 2002-08-13 Daimlerchrysl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n engine mount to a motor vehicle body
US6712426B2 (en) * 2001-10-17 2004-03-30 Textron Automotive Company, Inc. Motor vehicle front end structure
JP3606250B2 (ja) * 2001-10-29 2005-01-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DE10202621A1 (de) * 2002-01-24 2003-07-31 Volkswagen Ag Anordnung zur Lagerung eines quer eingebauten Antriebsaggregats in einem Kraftfahrzeug
US7108098B2 (en) * 2004-06-30 2006-09-19 Cnh America Llc Engine subframe mounting arrangement
JP4930576B2 (ja) * 2009-02-27 2012-05-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モータ支持構造
WO2013108353A1 (ja) * 2012-01-16 2013-07-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CN103273831A (zh) * 2013-06-19 2013-09-04 冯文杰 一种汽车底盘支撑装置
US9776662B2 (en) * 2013-12-27 2017-10-03 Honda Motor Co., Ltd. Sub-frame structure
JP6455654B2 (ja) * 2014-03-26 2019-01-2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パワープラントマウント構造
JP2016002871A (ja) * 2014-06-17 2016-01-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US9688315B2 (en) * 2015-06-25 2017-06-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and a cradle assembly for the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2704A (en) * 1904-10-29 1905-06-20 Olds Motor Works Motor-vehicle.
US1111915A (en) * 1913-06-23 1914-09-29 Mckeen Motor Car Company Motor-truck.
US1358670A (en) * 1918-03-01 1920-11-09 Locomobile Company Motor-vehicle
US2705660A (en) * 1950-08-04 1955-04-05 Fiat Spa Motor vehicle frame structure
US4122460A (en) * 1977-08-10 1978-10-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k jet nozzle structures
JPS5936538Y2 (ja) * 1979-02-05 1984-10-0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輌のエンジン支持部構造
JPS6119936Y2 (ko) * 1980-04-12 1986-06-16
JPS6042067B2 (ja) * 1980-06-13 1985-09-20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JPS57116524U (ko) * 1981-01-12 1982-07-19
JPS5835471A (ja) * 1981-08-28 1983-03-02 Canon Inc 電池電圧検出装置
JPS5835471U (ja) * 1981-08-31 1983-03-08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サブフレ−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753315A (en) 1988-06-28
JPH0476826B2 (ko) 1992-12-04
KR860006382A (ko) 1986-09-09
JPS61181779A (ja) 1986-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2492B1 (ko) 자동차 앞몸체 뼈대
US5611569A (en) Vehicle subframe assembly
US5562308A (en) Subframe structure in motor vehicle
US6270153B1 (en) Vehicle body structure for an automotive vehicle
US5364128A (en) Rear portion structure of vehicle
KR0173068B1 (ko) 차체후부구조 및 그 취부방법
US2883232A (en) Vehicle construction
US2100561A (en) Vehicle
EP0285131B1 (en) Automotive rear underbody structure
KR100220036B1 (ko) 자동차의 서브프레임
US3517765A (en) Vehicle rear underbody structure
KR100599263B1 (ko) 차량용 프론트 서스펜션의 마운팅 구조
US2817557A (en) Unitary body and frame structure for automobiles
US5641180A (en) Vehicle subframe assembly
JP3182503B2 (ja) 燃料タンクの支持構造
US6010181A (en) Vehicle structure for establishing desired body side panel alignment and proper body width
US5609366A (en) Wheel suspension system mount assembly
CN112441126B (zh) 车辆的前部车身结构
JPH0858614A (ja) 自動車におけるサブフレーム構造
JPH0858615A (ja) 自動車におけるサブフレーム構造
JPH04300792A (ja)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GB2080211A (en) Underbody structure for automotive vehicles
JP3447380B2 (ja) 自動車のサブフレーム組立体
US2066352A (en) Vehicle
RU2002125359A (ru) Модульная рам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с пониженной безбортовой платформо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60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9061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909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910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8910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05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6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5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7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7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7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6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2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6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