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90001894B1 - 테이프 레코오더의 캡스턴 마찰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오더의 캡스턴 마찰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894B1
KR890001894B1 KR1019830003181A KR830003181A KR890001894B1 KR 890001894 B1 KR890001894 B1 KR 890001894B1 KR 1019830003181 A KR1019830003181 A KR 1019830003181A KR 830003181 A KR830003181 A KR 830003181A KR 890001894 B1 KR890001894 B1 KR 890001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apstan
friction wheel
support
fri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3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1602A (ko
Inventor
이다가쓰
Original Assignee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1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894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3/00Gearing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nstant gear ratio by friction between rotary members
    • F16H13/10Means for influencing the pressure between th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Friction Gea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레코오더의 캡스턴 마찰구동장치
도면은 본원 발명을 카세트테이프레코더에 적용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 1 도는 메카기판상의 테이프 구동장치의 정지시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평면도.
제 2 도는 모터의 지지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 3 도는 그 분해 사시도.
제 4 도는 제 2 도에 있어서이 모터지지부재의 고정부재를 제외하고 나타낸 사시도.
제5a도는 모터의 방진고무의 종단면도.
제5b도는 제5a도의 B-B선에서 본 단면도.
제5c도는 제5a도의 C-C선에서 본 도면.
제 6 도는 제 2 도의 VI-VI선에서 본 단면도.
제 7 도는 제 2 도의 VII-VII선에서 본 단면도.
제 8 도는 캡스턴풀리의 종단면도.
제 9a도는 및 제 9b도는 모터지지구조의 원리 설명도로서, 제 9a도는 모터지지구조의 측면도.
제 9b도는 그 상면도.
제10도는 마찰구동부의 원리 설명도로서 모터 풀리측에서 본구동부의 정면도.
제11도는 미조 정기구의 설명도러서 모터지지구조의 개략 상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캡스턴 5 : 모터
6 : 모터지지부재(지지기구) 7 : 모터축(회전축)
8 : 플라이휠(마찰휠) 9 : 캡스턴풀리(플라이휠)
33 : 모터장착부재(지지기구) 35 : 고정핀(지지점, 지지부재)
39 : 암(부세수단) 43 : 고정부재(지지기구)
44 : 조정판(지지기구) 61 : 고정핀(지지점, 지지부재)
67 : 인정코일스프링(부세수단)
본원 발명은 캡스턴과, 이 캡스턴이 고정된 플라이휠에 접촉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마찰휘를 구비한 테이프 레코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크드라이브방식등 테이프 레코더의 마찰구동장치에 있어서는 서로 접촉하는 2면의 최소한 한쪽면에 고무등 비교적 마찰계수가 큰 재료를 고착하고, 또한 충분한 접촉압력을 부여하여 충분한 마찰력을 가지고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장시간 사용하지 않으면 압접되어 있던 고무면이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를 받아 국부적으로 움푹 패여 버리므로, 이 상태에서 다시 사용하여 회전 시키면, 상기 움푹 패인 곳이 기기의 진동의 원인으로 되어 있었다. 특히, 카세트 레코더와 같은 섬세한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상술한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가 미묘하게 영향을 주어, 와우플러터의 악화를 초래하거나 소음과 진동의 원인으로 되어 있었다.
한편, 소정의 접촉압력을 부여하도록 부세되는 마찰휠이 모터측에 직접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이 부세력이 모터의 자중에 의해 변화하며, 따라서 테이프 레코더의 재치상태에 따라서 마찰휠과 플라이휠과의 사이의 접촉압력이 변화해 버린다. 이와같이, 모터의 자중의 영향에 의해서 정밀되나 신뢰성의 저하를 초래하고 있었다.
본원 발명은 상술한 결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장시간 사용되지 않는 일이 있어도 초기 접촉압력을 작게 하여 마찰면이 움푹 패이는 등의 시산경과에 따른 변화를 받은 일이 없고, 그러면서 회전중은 충분한 마찰력이 있어서 소요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테이프레코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원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찰휠이 모터축에 직접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모터의 자중에 의해서 마찰휠과 플라이휠과의 사이의 접속압력이 변화하지 않도록 한 테이프 레코더를 제공 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은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캡스턴(4)과, 이 캡스턴(4)이 고정된 플라이휠(90)에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접촉해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마찰휠(8)과, 상기 마찰휠(8)을 이 마찰휠(8)의 회전축(7)에 대해서 편심된 지지점(6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구(6, 33)와, 상기 지지점(61)을 중심으로 상기 마찰휠(8)을 상기 플라이휠(9)의 접촉면 방향으로 회동 부세하는 부세수단(67)으로 구성된 마찰 구동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세수단(67)은 상기 마찰휠(8)과 상기 플라이휠(9)과의 사이에 소정의 초기접촉압력을 부여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마찰휠(8)의 회전방향을 이 회전에 의한 상기 접촉면에 있어서의 반력이 상기 부세수단(67)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마찰휠(8)을 회동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상기 마찰휠이 회동을 시작하면 이 마찰휠(8)과 상기 플라이휠(9)과의 사이의 접촉압력이 상기 초기 접촉압력 보다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기구(6, 33)는 모터(5)의 전후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한쌍의 지지부재(61, 35)를 통해서 모터(5)를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이것에 의해서 이 모터(5)를 회전축(7)에 장착된 마찰휠(8)을 지지하며, 상기 한쌍의 지지부재(61, 35)는 상기 모터(5)의 회전축(7)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며, 이 지지부재(61, 35)간을 잇는 직선이 상기 모터(5)의 중심을 지나도록 구성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본원 발명에 의한 테이프레코더는 캡스턴 마찰구동장치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는 일이 있어도 마찰면이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를 받는 일이 없고, 그러면서도 회전중은 충분한 마찰력이 있어서 소요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 마찰휠이 모터측에 직접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테이프 레코더의 재치상태에 물구하고, 모터의 자중에 의해서 마찰휠이 플라이휠과의 사이의 접촉압력이 변화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다음에, 본원 발명을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구동장치에 적용한 일실에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 1 도에 의해 케이프 구동장치의 개략을 설명한다. 이 테이프 구동장치는 메카기판(1)의 카세트장착면의 뒷면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도에 있어서 공급릴출(2), 권취(卷取)릴축(3) 및 캡스턴(4)은 메카기판(1)의 아래쪽에 돌출되어 있고, 이들 구동축이메카기판(1)에 지지되어서 상부에 돌출되어 있다.
메카기판(1)상에는 모터(5)가 이 기판(1)상에 설치된 모터지지부재(6)에 지지되어 있으며, 이 모터지지부재(6)는 후술하는 모터장착부재(33)와 함게 지지기구를 구성한다. 그리고, 이 모터(5)의 회전축(7)에 고착된 모터플리인 마찰휠(8)이 캡스턴(4)의 상단에 고착된 플라이휠 겸용의 캡스턴풀리(9)에 아래족으로부터 압착되어, 캡스턴(4)을 마찰구동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메키기판(1)의 상부에는 공급릴축(2)과 권취릴축(3)과 캡스턴(4)과의 3자의 대략 중간위치에 구동기어 지지축(10)이, 또 이 구동기어지지축(10)과 공급릴축(2)과의 중간위치레 전환기어지지축(11)이 각기 수직으로 장착되어 있다.
캡스턴풀리(9)의 하부에는 광폭기어로 구성된 캡스턴기어(12)가 캡스턴풀리(9)에 고착되어 있다. 또, 구동기어지지축(10)에는 제 2 및 제 3 의 구동기어(13)(14)가 이들 사이에 클러치기구(도시생략)를 통해서, 각기 회전축심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또한 각기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의 구동기어(14)는 상기 클러치기구에 의해서 제 1 의 구동기어(13)에 결합되어 있고, 이 제 1 의 구동기어(13)에 의해 제 2 의 구동기어(14)가 동일 축심상에서 회전구동 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이 회전구동중에 있어서 제 2 의 구동기어(14)는 이것에 작용하는 부하에 따라서 회전정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또한 이 회전구동중에 있어서 제 2 의 구동기어(14)는 이것에 작용하는 부하에 따라서 회전정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환기어지지축(11)에는 광폭기어로 구성된 전환기어(15)가 회전 축심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환기어(15)는 압축스피링(도시생략)에 의해서 제 1 도에 있어서 윗쪽으로 이동부세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환기어(15)는 압축스피링(도시생략)에 의해서 제 1 도에 있어서 윗쪽으로 이동부세되어 있다. 또, 공급릴축(2)의 메카기판(1)의 상부에는 광폭기어로 구성된 공급릴축기어(16)가 장착되어 있다. 또, 권취릴축(3)의 메카기판(1)의 상부에는 제 1 및 제 2 의 권취릴축기어(17)(18)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의 구동기어(13)는 캡스턴기어(12)에 항상 맞물려 있으며, 회전축심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전환기어(15)와 제 1 의 권취릴축기어(17)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전환기어(15)는 공급릴기어(16)에 항상 맞물려 있고, 또한 회전축심방향으로 이동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2의 구동기어(14)는 회전축심방향의 이동에 의해서 제2의 권취릴축기어(18)에 맞물리거나 이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메카기판(1)의 상부에는 조작판지지축(19)이 수직으로 고착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조작판지지축(19)에는 축심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리브(20)를 통해서 제1의 조작판(21)이 장착되어 있고, 그 선단(21a)은 제1의 구동기어(13)의 보스에 배설된 환상홈에 끼워져 있으며, 이 제1의 구동기어(13)와 함께 상하로 이동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조작판지지축(19)의 슬리브(20)와 제1의 조작판(21)과의 사이에는 제2의 조작판(22)이 장착되어 있다. 제2의 조작판(22)은 판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선다(22a)은 전환기어지지축(11)에 끼워져서 전환기어(15)의 위면에 밀착되어 있다.
그리고, 플레이버튼(재성버튼)(23)은 제2의 조작판(22)의 선단부(22a)를 눌려서 전환기어(15)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급송버튼(24)은 제1 및 제2의 조작판(21)(22)을 눌려서 이들을 최하위까지 이동시키고, 제1의 구동기어(13)를 제1의 권취릴축기어(17)에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리와인드버튼(25)은 제1의 조작판(21)을 눌러서 중간위치까지 이동시켜서 제1의 구동기어(13)를 전환기어(15)에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정지버튼(26)은 상기 조작버튼(23)(24)(25)의 왕동위치에 있어서의 로크를 해방하여, 이들을 각기 복원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도에 있어서 부호(27)는 메카기판(1)의 뒷면측에 설치된 재생헤드이며, 자기테이프(도시생략)는 공급릴축(2)에 설치된 공급릴에서 재생헤드(27)의 전부(前部)(27a)를 지나, 핀치롤로(28)와 캡스턴(4)과의 사이를 지나서, 권취릴축(3)에 설치된 권취릴에 감겨진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테이프 구동장치의 테이프 구동조작의 개략을 역시 제1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정지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의 구동기어(13)(14)는 최상위의 위치에 있으며, 제2의 구동기어(14)가 제2의 권취릴축기어(18)에 맞물리고, 제1의 구동기어(13)은 소정의 갭을 가지고 전환기어(15)의 윗쪽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정지의 상태에서 플레이버튼(23)이 눌리면, 전환기어(15)가 아랫쪽으로 눌려, 제1의 구동기어(13)와 전환기어(15)와의 갭이 더욱 커지는 동시에, 모터(5)가 도면에 있어서, a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캡스턴(4)이 b방향으로 회전구동되며, 캡스턴기어(12), 제1의 구동기어(13), 클러치기구, 제2의 구동기어(14)및 제2의 권취릴축기어(18)를 거쳐 권취릴축(3)이 d방향으로 회전구동되어서 재생상태(테이프의 FWD주행 구동상태)가 얻어진다.
다음에, 상기 정지상태에서 급송버튼(24)이 눌리면 제1 및 제2의 조작판(21)(22)이 최하위까지 눌리며, 이것에 따라서 제1 및 제2의 구동기어(13)(14)도 최하위까지 눌린다. 즉, 제2의 구동기어(14)와 제2의 권취릴축 기어(18)와의 맞물림이 해방되어, 제1의 구동기어(13)와 제1의 권취릴축기어(17)가 맞물린다. 그리고, 제1의 구동기어(13)와 전환기어(15)는 같은 갭을 유지한 채 이동하므로 맞물리지 않는다. 따라서, 급송버튼(24)이 왕동위치에서 로크됨으로써, 캡스턴기어(12), 제1의 구동기어(13)및 제1의 권취릴축기어(17)를 거처 권취릴축(3) d방향으로 회전구동되어서 급송상태(테이프의 FF주행 구동상태)가 얻어진다.
또, 상기 정지상태에서 리와인드 버튼(25)이 물리면, 제1의 조작판(21)이 중간위치까지 눌려지므로, 이것에 따라서 제1 및 제2의 구동기어(13)(14)도 중간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2의 구동기어(14)와 제2의 권취릴축기어(18)와의 맞물림이 해방되어, 제1의 구동기어(13)와 제1의 권취릴축기어(17)는 맞물리지 않으며, 제1의 구동기어(13)는 전환기어(15)와 맞물린다. 따라서, 리와인드 버튼(25)이 그 왕동위치에 로크됨으로써, 캡스턴기어(12), 제1의 구동기어(13), 전환기어(15) 및 공급릴축기어(16)를 거쳐 공급릴축(2)이 f방향으로 회전구동되어, 리와인드상태(태이프의 REW 주행 구동상태)가 얻어진다. 다음에, 제2도-제7도에 의해서 모터의 지지구조의 상세를 설명한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모터(5)의 양단에는 제5도에 도시된 통상(筒狀)의 방진고무(30)가 각기 압입되어서 모터(5)와 일체로 되어 있으며, 그 외주는 실드판(31)으로 덮여 있다. 그리고, 모터(5)의 양단의 방진고무(30)의 보스부에는 모터의 후부에 있어서는 모터후부측판(32), 모터의 전부에 있어서는 모터장착부재(33)의 전부측판(34)이 각기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이 모터 장착부재(33)는 모터지지부재(6)와 함게 지지기구를 형성한다. 즉, 방진고무(30)의 부스부는 원주에 반경방향의 치형(齒形)이 형성된 치형부분(30a)과 원형부분(30b)으로 형성되며, 한편 이것에 압입되는 상기측판(32)(34)중앙부의 관통공(32a)(34a)의 내경은 상기 원형부분(30b)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압입되면 치형부분(30a)이 변형하여 측판(32)(34)은 이 치형부분(30a)에 고착되며, 또한 원형부분(30b)이 플랜지부로 되어 마치 환상홈에 끼워 넣어진 것과 같이 이 원형부분(30b)에서 탁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모터후부측판(32)의 소정의 위치에는 이 측판(32)과 일체적이며 또한 이것에 대략 수직의 지지점인 고정핀(35)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고정핀(35)은 후술하는 고정핀(61)과 함께 지지부재를 구성한다. 한편, 모터장착부재(33)에는 후부측에도 전부측판(34)에 대락 평행인 후부연결판(36)이 있고, 이 후부연결판(36)은 전부측판(34)와 연걸부재(37)를 통해서 "
Figure kpo00001
"자형상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모터후부측판(32)과 전부축판(34)이 방진고무에 고착된 상태로 후부연결판(36)은 모터후부축판(32)의 외측에 배치되고, 반원 형상의 결합홈(36c)을 갖는 결합편(36a)이 고정핀(35)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판(36)의 관통공(36b)을 삽통하는 비스(38)를 모터후부측판(32)의 암나사구명에 나사맞출함으로써, 모터후부측판(32)과 모터장착부재(33)가 연결되어, 결국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5)는 이들 부재와 강성(剛性)이 있는 일체 구조로 되며, 또 고정핀(35)은 모터측(7)에 대략 평행으로 된다. 그리고, 모터전부측판(34)의 좌측에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암(39)이 돌출설치되어 있고, 이 선단부에는 스피링받이(4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코너부에는 관통공(41)이 배설되어 있다.
모터지지부재(6)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카기판(1)에 고정되는 고정부재(43)와 조정판(44)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부재(43)는 우측의 직각으로 절곡된 수평부재(45)를 이 수평부재(45)를 메카기판(1)상에 지지하는 우측의 다리부(46)와, 수평부재(45)의 후단에서 이것에 직각으로 모터측으로 돌출된 대략수명의 돌출부재(47)와 좌측의 짧은 수평부재(48)와, 이것을 지지하는 좌측의 다리부(49)와, 좌우의 수평부재(45)(48)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0)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부재(43)는 모터장착부재(33)와 일체로 된 모터(5)를 지지하며, 다리부(46)(49)의 비스공(51)을 삽통하는 비스에 의해서 메카기판(1)상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그리고, 돌출 부재(47)에는 상기 모터후부측판(32)의 고정핀(35)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핀(35)에 끼워지는 관통공(52)이 형성되며, 수평부재(45)의 전부의 뒷면에는 L자형의 노치(notch)공(53)이 배설되어 있다. 또, 좌측의 다리부(49)에는 상하에 2개의 장공(長孔)(54)(55)이 형성 되어 있고, 그 대략 중앙에는 조정용 나사(56)가 끼워지는 나사공(57)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에 인접해서 상기 모터전부측판(34)의 암(39)등이 들어가는 커다란 개구부(58)가 형성되어 있다.
조정판(44)의 중앙부에는 상기 모터측(7)이나 모터풀리(8)가 관통하는 관통공(60)이 배설되어 있고, 코너부의 상기 모터전부측판(34)의 관통공(41)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이 관통공(41)에 끼워지는 지지점인 고정핀(61)이 측판(34)에 대략 직각으로 또한 일체적으로 배설되어 있으며, 이 고정핀(61)은 상기 고정핀(35)와 함게 지지부재를 구성한다. 그리고, 우측에는 상기 수평부재(45)의 L자형 노치공(53)의 세로의 장공(53a)에 끼워져서, 이 장공(53a)내에 슬라이드 가능하며 단면이 장방형의 안내면(62)이 대략 수평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안내편(62)의 상부의 소정 위치에는 스프링받이용의 돌출부(6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좌측에는 상기 다리부(49)의 장공(54)(55)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들 장공(54)(55)에 끼워져서 슬라이드 가능한 단면이 장방향의 2개의 안내편(64)(65)이 대략 수평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모터(5)를 모터지지부재(6)에 장착하는 데는 조정판(44)의 안내편(62)에 압축코일스프링(66)을 삽입하여, 안내편(62)(64)(65)을 각기 대응하는 장공(53a)(54)(55)에 끼워 넣는다. 그리고, 상기 모터장착부재(33)와 일체로된 모터(5)를 조정판(44)과 모터지지부재(6)의 고정부재(43)의 돌출부재와의 사이에 넣고, 돌출부재(47)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이 돌출부재를 약간 열어, 고정핀(35)(61)을 각각의 대응 하는 관통공(52)(41)에 끼워 넣는다. 그리고,나사(56)를 나사공(57)에 끼워 넣어 모터풀리(8)를 소정의 위치로 조정한다.
한편, 모터전부측판(34)의 암(39)의 스프링방디(40)와 다리부(49)의 관통공(51)과의 사이에 부세수단인 인장코일스피링(67)을 걸면 제2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조립된다. 그리고, 이때 고정핀(61)은 모터축(7)에 대략 평행인 상태에 있다. 즉, 모터(5)는 모터장착부재(33)와 일체이며, 고정핀(35)(61)을 통해서 모터지지부재(6)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며, 다시 인장코일스피링(67)에 의해 상기 공정핀(35)(61)을 중심으로 회동부세된다.
그리고, 고정핀(35)과(61)은 제9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축심O에 대해서 좌우 대략 45도로 경사진 대향위치에 있고, 또한 축심 O에서 각기 등거리 1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제8도에 의하여 플라이휠인 캡스턴풀리(9)에 대해서 설명한다.
캡스턴(4)은 메타기판(1)상에 고정된 베어링(69)에 축지지되어서 회전한다. 이 캡스턴(4)의 상단에는 상기와 같이 원판형으로 중간부에 원환상의 오목부가 형성된 캡스턴풀리(9)가 고착되어 있고, 이 하부에은 상기 광폭의 캡스턴기어(12)가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캡스턴기어(12)는 베어링(69)의 외주면에 촉지지되면서, 캡스턴풀리(9)와 함께 회전구동된다. 캡스턴풀리(9)의 외주의 하면측에는 접촉면이 완만한 원추형으로 형성된 원환상의 고무부재(70)가 고착되어 있고, 이 면에 압압되는 마찰휠인 모터풀리(8)의 접촉면도 동일 경사각의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캡스턴풀리(9)의 원환상의 오목부에는 그 내면에 동리 피치로 반경방향으로 다수의 이빨(71)이 형성된, 자성재로 이루어진 원환상의 로터부재(72)가 고착되어 있다.
한편, 고정측에는 역시 상기 원환상의 오목부내에 로터부재(72)의 이빨(71)과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고 또한 대향하는 면이 이빨(71)에 대응하는 피치의 이빨(73)이 형성된 자성재로 이루어진 스테이터부재(7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테이터부재(74)에는 원환상의 마그네트(75)가 설치되어 있고, 이 마그네트는 예를들면 상면측이 N극, 하면측이 S극으로 자화(磁化)되어 있으며, 로터부재(72)와 스테이터부재(74)와의 사이에 자로(磁化)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중 로터측이 이빨(71)에 의해서 형성된 요철부와 스테이터측의 이빨(73)에 의해서 형성된 요철부와의 사이의 자속의 변화가 출력신호로서 출력되고, 주파수 발전기로서 속도의 검출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스테이터부재(74)는 중심부재(76)를 통해서 지자판(77)(형상은 제1도 참조)과 일체로 결합되어, 메카기판(1)상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주(78)에 비스(79)에 의해 고정된다.
또, 부호(80)은 테프론 등으로 형성되며 외주에 숫나사가 형성되고, 축부중앙에 원추형의 오목주(80a)가 형성된 피보트 베어링이며, 이 오목부(80a)에 의해서 캡스턴(4)의 원추형의 정상부(頂上部)(4a)에 지지되어, 스테이터측을 캡스턴(4)의 축심에 대해서 바른위치로 유지하며, 로터부재(72)의 이빨(71)과 스테이터부재(74)의 이빨(73)과의 간극을 원주에 걸쳐서 바르게 유지하는 것이다. 즉, 스테이터부를 조립하는데는 캡스턴플리(9)의 중앙부의 원형 보스의 외주면(81)을 기준면으로 하여 스테이터부의 원형 오목부의 내면(82)을 삽입하고, 비스(79)로 지지판(77)을 세트한다. 그리고, 이후 피보토 베어링(80)을 끼우면 피보트 베어링(80)의 원추형의 오목부(80a)는 캡스턴(4)의 원추형의 정상부(4a)에 준해서 끼워지므로, 피보트 베어링(80)의 축심은 정확하게 캡스턴(4)의 축심과 일치한다. 따라서, 이 피보트베어링(80)과 일체인 스테이터부재(74)도 중심부재(76) 및 지지판(77)과 함께 미조정되어서, 캡스턴(4)의 축심과 일치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지지된 모터 및 모터풀리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제9a도 및 제9b도에 있어서, 모터(5)(이것과 일체인 모터장착부재(33)등을 포함함)는 상기와 같이 전부에 있어서는 고정핀(61)에 의해, 또 후부에 있어서는 고정핀(35)에 의해 각기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자중(自重)W 중의 공정핀(61)과 (35)로 분담되는 부하를 각기 W1및 22라고 하면, 모터(5)는 제9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부에 있어서는 모멘트 W1m1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후부에 있어서는 모멘트 W2m2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런데, 지지부재인 고정핀(35)(61)은 모터 축심 O에 대해서 경사진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고, 모터축심 O에서 등거리 1의 위치에 있으므로 m1=m2이며, 또 모터(5)가 모터지지부재(6)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는 핀(35)(61)의 지지점 R 및 S를 잇는 직선이 제9a도에 있어서 모터(5)의 대략 중심으로 지나므로 W1=W2=W/2이다. 다라서, W1m1=W2m2이므로, 모터(5)는 자중에 의해서 회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모터(5)는 고정핀(35)(6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으므로, 외력에 의해 이들 핀(35)(61)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은 가능하다.
다음에, 마찰휠인 모터풀리(8)에 의한 마찰구동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제6도에 있어서, 모터전부측판(34)의 암(39)은 부세수단인 인장코일스프링(67)에 의해 아랫쪽으로 부세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5) 즉 모터풀리(8)는 제10도에 있어서 지지점(61)을 중심으로 g방향으로 회동부세되고, 캡스턴풀리(9)의 고무부재(70)에 압압되어 있다. 초기 접촉압력으로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향으로 모터풀리(8)가 회전되며, 이 초기 접촉압력에 상당하는 회전력 P에 의해서 모토풀리(8)는 캡스턴풀리(9)을 b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므로, 모터풀리(8)의 접촉면에는 회전력 P에 해당하는 반력 P'와 b와는 반대인 i방향으로 작용한다. 이 반력 P'는 모터축(7)을 i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힘으로, 그 접선성분 P"와 반경 1과의 적 P"1이라는 모멘트로 모터풀리(8)는 제10도에 있어서 지지점(61)을 중심으로 화살표 g방향으로 회동된다. 즉, 이 회동력에 의해서 모터풀리(8)는 초기 접촉압력 보다 큰 접촉압력으로 캡스턴풀리(9)에 압압되므로, 회전력 P가 더욱 커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과를 순차적으로 커져서 커진 마찰력이 캡스턴풀리(9)의 부하에 달하면 캡스턴풀리(9)가 회전을 시작하여 정상 운전상태로 된다.
즉, 초기 접촉압력이 작아도 슬라이드하지 않을 정도에 필요 최소한의 것이며, 모터풀리(8)가 자동적으로 캡스턴풀리(9)의 접촉면에 파고 들므로, 접촉 압력이 순차 증가하여, 부하에 상응한 접촉 압력으로 되어 캐스턴풀리(9)는 회전구동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에서는 종래 90-100g의 접촉압력을 필요로 하고 있던 것이, 20-30g의 초기 접촉압력으로 될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제10도에 있어서의 각 α는 120-150도가 가장 효과적이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모터가 그 자중에 의해서 회동하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으므로, 초기 접촉압력은 모터의 자중에 의해서 영향받지 않는다. 이 대문에, 정밀도가 높은 초기 접촉압력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이 초기 접촉압력을 필요 최소한으로 작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미조종(微調整)기구의 미조정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지지부재(6)의 조정판(44)은 상기와 같이 그 암인 안내편(62)(64)(65)이 각기 모터지지부재(6)의 고정된 고정부재(43)의 장공(53a)(64)(6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압축코일스피링(66)으로 왼족으로 부세되어, 조정나사(56)로 좌우(y방향)로 대략 수평으로 미조 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 조정판(44)에는 이 조정판(44)에 고정된 핀(61)에 의해 모터(5)가 상기와 같이 모터장착부재(33)와 함께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조정나사(56)에 의해 예를들면 제7도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우측방향위치로 조정판(44)이 미소이동되면, 상기 고정핀(61)이 이 미조정량만큼 우측으로 수평으로 이동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가팅 모터(5)는 고정핀(35)(61)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후부의 고정핀(35)은 이동하지 않으므로, 전부의 고정핀(61)의 지지점 S이 이동하면, 모터(5)는 후부의 고정핀(35)의 지지점 R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회동하게된다. 따라서, 모터의 중심축도 이 미조정량에 따라서 회동하며, 예를들면 모터축심은 캡스턴풀리(9)의 중심 Q에 대해서 X만큼 편심되고, 이 편심된 위치에 모터풀리(8)가 세트된다. 즉, 조립 후 자기테이프를 나타내는 위치에 모터풀리(8)를 세트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한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는 마찰휠과 플라이휠과의 사이의 초기 접촉압력을 필요 최소한으로 작게 설정해도 기동과 함께 마찰휠이 접촉면에 파고 들므로, 접촉압력이 증가하여 플라이휠의 부하에 다른 회전력의 전달이 행해진다. 그리고, 정지시에는 또 작은 상기 필요 최소한의 초기 접촉압력으로 복귀하므로, 장시간 사용하지 않는 일이 있어도,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이루어진 마찰면이 접촉압력에 의해서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를 받아 음푹 패이는 일이 없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 캡스턴 마찰 구동장치는 속도 결함이 적고, 또 소음이나 진동이 적어서 섬세한 테이프 레코더의 구동에 사용하여 가장 적합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모터지지기구에 의하면, 모터는 상기 마찰휠과 플라이휠과의 사이에 접촉압력을 부여하고자 전후에 있어서 한쌍의 지지부재(지지점핀)를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그러나, 모터는 그 자중에 의해서 상기 한쌍의 지지부재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일이 없으므로, 모터의 자중이 상기 접촉압력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따라서, 테이프 레코더의 재치의 상태 여하에 관계없이 상기 접촉압력을 소정의 압력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테이프 레코더의 성능을 정밀도가 높고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Claims (1)

  1. 캡스턴(4)과, 이 캡스턴(4)이 고정된 플라이휠(9)에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접촉해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마찰휠(8)과, 상기 마찰휠(8)을 이 마찰휠(8)의 회전축(7)에 대해서 편심된 지지점(6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구(6, 33)와 상기 지저점(61)을 중심으로 상기 마찰휠(8)을 상기 플라이휠(9)의 접촉면 방향으로 회동부세하는 부세수단(67)으로구성된 마찰구동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세수단(67)은 상기 마찰휠(8)과 상기 플라이휠(9)과의 사이에 소정의 초기 접촉압력을 부여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마창휠(8)의 회전방향을 이 회전에 의해 상기 접촉면에 있어서의 반력이 상기 부세수단(67)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마찰휠(8)을 회동 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상기 마찰휠이 회동에 시작하면 이 마찰휠(8)과 상기 플라이(9)과의 사이의 접촉압력이 상기 초기저복 압력보다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기구(6, 33)는 모터(5)의 전후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한쌍의 지지부재(61, 35)를 통해서 모터(5)를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이것에 의해서 이 모터(5)의 회전축(7)에 장착된 마찰휠(8)을 지지하며, 상기 한쌍의 지지부재(61, 35)상기 모터(5)의 회전축(7)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며, 이 지지부재(61, 35)간을 잇는 직선이 상기 모터(5)의 중심을 지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캡스턴 마찰구동장치.
KR1019830003181A 1982-07-22 1983-07-12 테이프 레코오더의 캡스턴 마찰구동장치 Expired KR8900018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127967 1982-07-22
JP57127967A JPS5919759A (ja) 1982-07-22 1982-07-22 回転体の摩擦駆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602A KR850001602A (ko) 1985-03-30
KR890001894B1 true KR890001894B1 (ko) 1989-05-30

Family

ID=14973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3181A Expired KR890001894B1 (ko) 1982-07-22 1983-07-12 테이프 레코오더의 캡스턴 마찰구동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701816A (ko)
EP (1) EP0113784B1 (ko)
JP (1) JPS5919759A (ko)
KR (1) KR890001894B1 (ko)
DE (1) DE3370851D1 (ko)
WO (1) WO19840005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12493A1 (de) * 1989-04-15 1990-10-25 Duepro Ag Stelleinrichtung fuer ein reibradgetriebe
US5413265A (en) * 1990-07-07 1995-05-09 Agfa-Gevaert A.G. Arrangement for transporting web-shaped materials to be scanned or exposed
US5418600A (en) * 1993-12-17 1995-05-23 Xerox Corporation Conformable friction drive system for belt or drum transport
US5793581A (en) * 1994-07-22 1998-08-11 Back, Sr.; Forest H. Magnetic tape cartridge and system
JP4161759B2 (ja) * 2003-03-19 2008-10-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194176A (ko) * 1959-11-06
US3810242A (en) * 1968-02-12 1974-05-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assette-type magnetic tap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S5036497Y1 (ko) * 1970-07-31 1975-10-24
JPS5036497B1 (ko) * 1971-04-01 1975-11-25
JPS4873111A (ko) * 1971-12-29 1973-10-02
DE3112802A1 (de) * 1981-03-31 1982-10-14 Tandberg Data A/S, Oslo Aufhaengung fuer den schwenkbar gelagerten bandantriebsmotor in einem kassettenmagnetbandgera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602A (ko) 1985-03-30
JPS5919759A (ja) 1984-02-01
EP0113784A4 (en) 1984-08-10
JPH0350143B2 (ko) 1991-07-31
EP0113784B1 (en) 1987-04-08
EP0113784A1 (en) 1984-07-25
DE3370851D1 (en) 1987-05-14
US4701816A (en) 1987-10-20
WO1984000590A1 (en) 1984-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56559A (en) Compact cassette tape player
KR890001894B1 (ko) 테이프 레코오더의 캡스턴 마찰구동장치
US5499777A (en) Reel disc driving device for a video cassette recorder
JPS5917838A (ja) モ−タの支持構造
JPH0350142B2 (ko)
JPH0519868Y2 (ko)
US5018401A (en) Translation cam means
US3785586A (en) Friction wheel drive especially for cassette magnetic tape recorders
US3587997A (en) Reversing drive means for tape reels and the like
EP0036589B1 (en) A reel shaft device of a magnetic recording tape running apparatus
US4153918A (en) Dual capstan tape transport mechanism
JPH0337146Y2 (ko)
EP0345739A2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US4219167A (en) Dual capstan tape transport mechanism
JPH0225211Y2 (ko)
JP2633985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521715Y2 (ko)
JPS6362814B2 (ko)
KR940002832Y1 (ko) 테이프 플레이어용 테이프 엔드 검출 기구
JP2628299B2 (ja) ヘッド送り装置
JP2621168B2 (ja) 回転機構
JPH0528587Y2 (ko)
JPH0418120Y2 (ko)
JP3006859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US2986042A (en) Driving device intended for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s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0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8053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8053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