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90000569B1 - 엔진의 흡기통로길이 가변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의 흡기통로길이 가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569B1
KR890000569B1 KR1019840005432A KR840005432A KR890000569B1 KR 890000569 B1 KR890000569 B1 KR 890000569B1 KR 1019840005432 A KR1019840005432 A KR 1019840005432A KR 840005432 A KR840005432 A KR 840005432A KR 890000569 B1 KR890000569 B1 KR 890000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intake passage
air chamber
passage length
eng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5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179A (ko
Inventor
다께히꼬 가쯔모또
세이이찌 오오따
다이조 기따다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세끼 마사하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41806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49228U/ja
Priority claimed from JP1418368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3825A/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세끼 마사하루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3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569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26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characterised by the means generating the charging effect
    • F02B27/0247Plenum chambers; Resonance chambers or resonance pipes
    • F02B27/0257Rotatable plenum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05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characterised by the charging effect
    • F02B27/0215Oscillating pipe charging, i.e. variable intake pipe length cha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26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characterised by the means generating the charging effect
    • F02B27/0247Plenum chambers; Resonance chambers or resonance pipes
    • F02B27/0263Plenum chambers; Resonance chambers or resonance pipes the plenum chamber and at least one of the intake ducts having a common wall, and the intake ducts wrap partially around the plenum chamber, i.e. snail-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26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characterised by the means generating the charging effect
    • F02B27/0268Valves
    • F02B27/0284Rotary slid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94Actuators or controllers therefor; Diagnosis; Cal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6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f cylinders, e.g. single-cylinder engines
    • F02B75/18Multi-cylinder engines
    • F02B2075/1804Number of cylinders
    • F02B2075/1816Number of cylinders fo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6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f cylinders, e.g. single-cylinder engines
    • F02B75/18Multi-cylinder engines
    • F02B75/20Multi-cylinder engines with cylinders all in one l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aracterised By The Charging Evacu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엔진의 흡기통로길이 가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모형적으로 도시한 외부케이스의 횡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가변장치의 전체 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 있어서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에 있어서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제6도는 제어수단에 의한 제어 프로세스의 흐름도.
제7도 내지 제9도는 로우터의 회동위치에 따라서, 흡기통로길이가 변화하는 모양을 설명한 외부케이스의 모형적 횡단면도.
제10도는 제7도 내지 제9도에 도시하는 각 로우터 위치에서의 충전효율 특성을 설명한 도.
제11도는 엔진 회전속도에 적합하는 흡기통로길이를 예시한 도.
제12도는 로우터의 다른 구성예를 설명한 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ⅩⅢ-ⅩⅢ선에 따른 단면도.
제14도는 제어수단의 다른 구성예를 설명한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20 : 외부케이스 4, 40a, 40b, 40b', 40b", 40b" : 흡기관
6, 60 : 제2연통구 8, 80, 80' : 로우터
10, 100 : 제2공기실 12, 120 : 격판
14, 140 : 제1연통구 44 : 스텝모터
46 : 제어부 50 : 연소부
62 : 로우터 발전기 64 : 전자코일
66 : 자성체봉 68 : 랙
70 : 피니언 72 : 스프링
본 발명은 엔진의 흡기통로길이 가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엔진에 있어서, 흡기 관성효과를 이용하여 흡기의 충전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옛부터 알려져 있다. 이에 의하면, 저속 회전역에서는 흡기통로길이가 긴것이 바람직하며, 고속 회전역에서는 흡기통로길이가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고, 그 효과는 이론적 계산에 의하여도 명백하다.
상기 사정에 비추어, 근년, 충전효율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흡기관의 개량이 한창 행하여지고 있고, 흡기통로길이 가변기구도 다수 고안되고 있다. 그 일예로서는 일본국 특허공개소 50-20126호에 기술되어 있는 것과 같이, 가동흡기관을 고정흡기관에 대하여 직선적으로 왕복 접동시켜서 흡기통로길이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방식의 것이 있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가동흡기관을 직선적으로 왕복 접동시키기 때문에 가동흡기관의 구동기구 및 그 제어기구가 복잡하게 되고, 또 소형으로 집약되지 않고 좁은 엔진룸내에 수용해야 하는 자동차용 엔진에 있어서는 스페이스상 불리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비추어 제안된 것으로서, 통형의 로우터와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 상기 로우터가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로우터를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는 케이싱과 상기 로우터의 안쪽에 형성된 제1공기실과, 상기 케이싱과 상기 로우터 사이에서 상기 로우터 주위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제2공기실과, 상기 제2공기실과 상기 제1공기실을 항상 연통하도록 상기 로우터에 설치된 제1연통구와, 상기 제1공기실을 엔진의 연소실 또는 외기 취입구 중 한쪽에 연통시키는 제1흡기통로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된 제2연통구를 통하여 상기 제2공기실을 상기 연소실 또는 외기 취입구중 다른쪽에 연통시키는 제2흡기통로와, 상기 엔진의 운전상태에 따라서 상기 로우터를 회전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엔진의 운전상태에 따라서 상기 로우터를 회동시키면 상기 제1연통구가 상기 로우터 원주방향으로 변위하고, 이것에 의하여 상기 제2공기실을 통하여 상기 제1연통구로부터 제2연통구에 이르는 거리가 변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흡기통로길이 가변장치를 주요지로 하고, 또, 통형의 로우터와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 상기 로우터가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로우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케이싱과, 상기 로우터의 안쪽에 있어서 형성됨과 동시에 외기 취입구에 연통된 제1공기실과, 상기 케이싱과 상기 로우터 사이에서 상기 로우터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제2공기실과, 상기 제2공기실과 상기 제1공기실을 항상 연통하도록 상기 로우터에 설치된 제1연통구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된 제2연통구를 통하여 상기 제2공기실을 연소실에 연통시키는 흡기통로와, 상기 엔진의 운전상태에 따라서 상기 로우터를 회동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엔진의 운전상태에 따라서 상기 로우터를 회동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엔진의 운전상태에 따라서 상기 로우터를 회동시키면 상기 제1연통구가 상기 로우터 원주방향으로 변위하고, 이것에 의하여 상기 제2공기실을 통하여 상기 제1연통구로부터 제2연통구에 이르는 거리가 변화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흡기통로길이 가변장치를 주요지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흡기통로의 일부를 이루는 제2공기실의 제1연통구로부터 제2연통구까지의 유효길이를, 상기 제2공기실을 구획함과 동시에 상기 제1연통구가 설치된 로우터를 회전시킴으로써 변화시키고, 이것에 의하여 흡기통로길이를 변화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흡기통로길이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점에서, 종래의 직선접동식의 흡기통로길이 가변기구에 비해, 콤팩트하며 또 가변기구의 구동장치도 간소화할 수 있고, 또는 흡기계통 부품에의 접속도 용이하게 되어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모형적으로 도시하면 제1도에 도시하는 바같이 된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2는 원통형의 외부케이스를 도시하고, 흡기관(4)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다. 이 외부케이스(2)의 일부에는 제2연통구(6)가 형성되고 있고, 제2연통구(6)는 흡기관(4b)를 통하여 엔진의 기통 즉 연소실에 연통되어 있다.
외부케이스(2) 내에는 상기 외부케이스(2)가 동심형 또한 회동자재로 작은 원통형의 통로길이 가변용의 로우터(8)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로우터(8)의 제1공기실인 내공부(8a)는 흡기관(4a)과 연통하고 있고, 또 흡기관(4a)의 선단은 에어클리너에 접속되고, 대기 개방된 흡기구에 연통하고 있다.
외부케이스(2)의 내주와 로우터(8)의 외주와의 사이에는 로우터(8)의 원주방향에 따라서 연장하는 극간이 형성되고, 이 극간을 가지고 가변길이 흡기통로로서의 제2공기실을 이루는 급기실(10)이 형성되어 있다.
또, 외부케이스(2)의 내주에는 상기 외부케이스(2)와 일체로 로우터(8)의 외주에 근접하는 부위까지 연장 돌출하여 급기실(10)을 구획하는 격판(12)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로우터(8)의 외주 일부에는, 로우터 내실부(8a)와 급기실(10)을 연통하는 제1연통구(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로우터(8)를 회동시키면, 그 회동위치에 따라서 제1연통구(14)로부터 제2연통구(6)까지의 거리는 변하고, 따라서 흡기통로길이를 무단계로 바꾸는 것이 가능케 된다.
그리고, 로우터(8)의 회전량과 방향을 엔진 회전속도에 따라서 최적의 흡기통로길이가 선택되도록 적절한 제어수단을 사용하여 제어하면 된다.
또, 로우터 내실부(8a)의 용적이 비교적 작게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흡기관(4a)을 엔진의 연소실에 연통시키고, 흡기관(4b)을(에어클리너를 통하여)대기 개방된 흡기구에 연통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도에 있어서, 부호(24)는 엔진본체를 가리키며, 4개의 기통을 가지고 있다. 또, 부호(40a, 40b, 40', 40", 40")는 각각 흡기관을 가리키고, 특히 흡기관(40a)의 선단에는 에어클리너(26)가 접속되어 있고, 흡기구(26a)가 대기에 개방되어 있다. 흡기관(40a)의 도중에는 드로틀 밸브(2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흡기관(40a)의 후단은 제3도에 도시하는 원통형의 로우터(80)의 내공부(80a)에 연통하고 있다. 한편, 로우터(80)를 수용하고 있는 원통형의 외부케이스(20)의 외주부에는 그 원주방향에 각 기통에 대응하는 4개의 돌조부(20a, 20b, 20c, 20d)가 형성되어 있다. 각 돌조부(20a, 20b, 20c, 20d)의 내측에는 로우터(80)와의 사이에 제2공기실을 이루는 급기실(10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돌조부(20a, 20b, 20c, 20d)내에 형성된 급기실은 흡기관(40b, 40b', 40b", 40b")을 통해 각 기통의 연소실에 연통하고 있다.
흡입관(40b, 40b', 40b", 40b")의 도중에는 각각 연료 분사장치(30a, 30b, 30c, 30d)가 분사구를 흡기관내에 개구시켜서 설치되어 있다.
부호(32)는 각 기통의 연로실에 연통하는 4개의 분기관(32a, 32b, 32c, 33d)를 집합한 배기관을 도시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20)는 축선을 포함한 평면으로 분할된 2부재를 합치는 것으로 조립되어 있다. 다음에, 부호(36)는 로우터(80)의 축을 가리키며, 치차(38)에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치차(38)는 스텝모터(44)의 회전축과 일체의 소치차(42)와 맞물리고 있다.
이 스텝모터(44)는 제어부(46)로부터의 출력에 따라서 회동되고 로우터(80)의 회동위치를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46)는 예를들면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지며, 디스크리뷰터(48)로부터 검출되는 엔진의 회전속도에 관한 신호를 받아서, 그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최적의 흡기통로길이를 구하고, 그 최적 흡기통로길이를 실현시킬 수 있는 신호를 스텝모터(44)에 출력한다.
로우터(80)는 상세하게는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단에 개구부(202)를 갖추고, 타단에 저부를 가지는 유저원통형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원주면에 상기 제1연통구(140)를 이루는 창부를 갖추고, 저부에 닿는 좌단에는 치차(38)가 장착되는 축(36)이 설치되어 있다. 또 개구단인 우단 중앙에는 스테이(170)(제3도 참조)에 지지된 축부재(18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로우터(80)는 외부케이스(20)의 내측에 비교적 헐거운 끼움상태(틈있는 끼움상태)로 끼워져 있고, 이 로우터(80)의 외주와 외부케이스(20)에는 좌단 중앙부에 로우터(80)의 축(36)을 축지하는 베어링 부재(150)가 배치됨과 동시에, 우단에 흡기관(40a)의 플랜지부(40a')가 도시치 않은 볼트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다. 흡기관(40a)의 플랜지부(40a') 내측의 좌단 개구에는 중앙에 3개의 스테이(400a)에 지지된 베어링 부착부(40b)가 설치되고, 이 베어링 부착부(400b)에는 베어링부재(160)가 장착되어 있다. 이 베어링부재(160)에는 로우터(80)의 축부재(180)의 죽이 끼워져 있다. 그리고 로우터(80)는 이 베어링부재(160) 및 상술한 베어링부재(150)를 통하여 외부케이스(2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본 예에서는, 제1도의 예와 달리하고, 로우터(80)에 형성된 4개의 제1연통구(140)부로 부터 각각 간막이판(80b)이 돌출하고 있고, 상기한 각 돌조부(20a, 20b, 20c, 20d)의 내벽에 근접하고 있다. 그리고 간막이판(80b)은 그 기부가 로우터(80)의 외주면에 나사부재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다.
한편, 돌조부(20a)와 로우터(80)의 외주와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급기실(100)은, 상기 간막이판(80b)으로서 구획됨과 동시에, 제2연통구(60)의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격판(120)에 의해서도 구획되고 있고, 따라서, 제2연통구(60)와 제1연통구 (140)와의 간격에 따라서 흡기통로길이는 제어되게 된다. 예를들면 간막이판(80b)이 부호(80b')로 도시하는 위치에 있을 때는 흡기통로길이는 짧아지며 고속 회전역에서는 충전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혹은, 간막이판(80b)이 부호(80b")로 도시하는 위치에 있을 때는 흡기통로길이는 길어지고 저속 회전역에서는 충전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간막이판(80b)의 위치의 선택은, 디스트리뷰터(48)의 출력을 얻어 작동되는 제어부(46)의 출력에 따라, 스텝모터(44)의 구동에 의하여 행하여 진다.
그리하여, 제어부(46) 및 스텝모터(44)를 가지고,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어수단에 구성된다.
그리고, 제3도에 있어서 부호(50)은 흡기관(40b)에 연통하는 기통의 연소실을 도시하고, 부호(52)는 흡기밸브, 부호(54)는 피스톤을 각각 도시한다.
제어부(46)내에서의 제어 프로세스는 예를들면 제6도에 도시하는 흐름도에 따라서 행하여진다. 도면중 엔진의 회전속도 검출 프로세스는, 디스트리뷰터(46)의 출력을 얻어 행하여지고, 회전속도에 따른 흡기통로길이를 정하는 프로세스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로 부터 그 시점에 있어서의 엔진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최적의 흡기통로길이가 결정되고, 흡기통로길이를 변화시키는 프로세스는 상기에 의하여 구해진 최적의 흡기통로길이를 실현하는 회전량을 스텝모터(46)에 줌으로써 행하여진다.
다음에, 로우터(80)의 회동위치에 따라서 흡기통로길이가 변하는 모양과, 이들의 회동위치에 의하여 얻어지는 충전 효율과의 관계를 제7도 내지 제10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예를들면, 흡기통로길이가 제7도에 부호(a)로 도시하는 바 같이 최장인 경우는 제10도에 (a)에서 도시하는 특성을 보이고, 제8도에 부호(b)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 길이인 경우는 제10도에 (b)로 도시하는 특성을 보이고, 제9도에 부호(c)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단인 경우는 제10도에 (c)로 도시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더우기, 상기 실시예에서는 모우터(80)의 회동위치는 제7도에 도시하는 위치로 부터 제9도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무단계로 선택하여서 설정할 수가 있기때문에 결국, 제10도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 같은 특성을 얻을수가 있다.
예를들면, 흡기통로길이의 설정을 이론 계산에 의하여 제11도에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한다면, 본 실시예의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도면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같이 무단계로 선택할 수가 있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1) 외부케이스(20)내에서 로우터(80)를 회전시켜서 흡기통로길이를 변화시키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종래의 직선 미끄럼식 무단계 흡기통로길이 가변기구에 비해 콤팩트하고, 또, 가변기구의 구동장치도 간소화할 수 있고, 또 에어클리너측 흡기관(40a)이나 엔진측 흡기관(40b, 40b', 40b", 40b")에의 접속도 용이하게 된다. (2) 베어링부재(150, 160)를 통하여 로우터(80)를 외부케이스(2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시켰기 때문에, 종래의 직선 접동식 무단계 흡기통로길이 가변기구에 비해 재구성이 우수하다. (3) 로우터(80)를 외부케이스(20)내에 간격있는 끼움상태로서 끼워지는 일체구조의 유저원통형의 것으로 하였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고, 또 공기실(100)로부터 로우터(80)의 내공부(80a)측에의 급기의 누설이 방지되고, 극히 높은 관성과급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로우터(80)를 일체형의 원통부재로 구성하였지만, 제12도 및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돌조부(20a, 20b...)마다 각각 로우터로서 원통부재(80', 80",...)를 배치하고 이들 원통부재(80', 80",...)와 돌조부(20a, 20b,...)에 각 돌조부(20a, 20b...)에 의하여 제2공기실(급기실)(100)을 형성함과 동시에 원통부재(36')에 부착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때 축(36')은 케이싱(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는, 로우터의 회전은 펄스 모터에 한하지 않고, 전자코일등 여러가지의 방법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제14도에 도시하는 바같이, 엔진에 의하여 회전되는 로우터 발전기(62)의 출력을 전자코일(64)에 접속하고, 이 코일중에 삽통된 자성체봉(66)의 타단에 랙(68)을 형성하여 두고, 이 랙(68)에 상기 치차(38)에 상당하는 피니언(70)을 맞물리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자성봉체(66)의 타단에 스프링(72)을 걸어두면 상기 전자코일(64)이 리니어 솔레노이드로서 작동하고,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른 로우터(80)의 회동위치를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가 있고, 나아가서 흡기통로길이 최적치 자동제어가 가능케 된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로우터 발전기(62), 자성체봉(66), 전자코일(64), 랙(68), 피니언(70), 스프링 등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어수단이 구성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외부케이스(20)에 돌조부(20a, 20b, 20c, 20d)를 설치하여(외부 케이스의 내주면을 기준으로 하여 생각하면 외부케이스 내주면에 요부를 설치하여) 제2공기실인 급기실(100)를 구성하였지만, 제2공기실을 설치함에 있어서는 로우터 외주면쪽에 요부를 설치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Claims (1)

  1. 통형의 로우터(8, 80, 80')와,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 상기 로우터가 배치됨과 함께 상기 로우터를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는 케이싱(2, 20)과, 상기 로우터의 안쪽에 형성되는 동시에 외기 취입구에 연통된 제1공기실(8a, 80a)과, 상기 케이싱과 상기 로우터 사이에서 상기 로우터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제2공기실(10, 100)과, 상기 제2공기실가 상기 제1공기실을 항상 연통하도록 상기 로우터에 설치된 제1연통구(14, 140)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된 제2연통구(6, 60)을 통하여 상기 제2공기실을 상기 연소실(50)에 연통시키는 흡기통로와, 상기 엔진의 운전상태에 따라서 상기 로우터를 회전시키는 제어수단(38, 42, 44, 46)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엔진의 운전상태에 따라서 상기 로우터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연통구가 상기 로우터 주위 방향으로 변위하고, 이것에 의하여 상기 제2공기실을 통해서 상기 제1연통구로부터 제2연통구에 이르는 거리가 변화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흡기통로길이 가변장치.
KR1019840005432A 1983-09-13 1984-09-05 엔진의 흡기통로길이 가변장치 Expired KR890000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180683U JPS6049228U (ja) 1983-09-13 1983-09-13 エンジンの吸気管長無段可変装置
JP??141806 1983-09-13
JP14183684A JPS6123825A (ja) 1984-07-09 1984-07-09 エンジンの吸気通路長可変装置
JP??141836 1984-07-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179A KR850003179A (ko) 1985-06-13
KR890000569B1 true KR890000569B1 (ko) 1989-03-21

Family

ID=26473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5432A Expired KR890000569B1 (ko) 1983-09-13 1984-09-05 엔진의 흡기통로길이 가변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646689A (ko)
KR (1) KR890000569B1 (ko)
DE (1) DE3433653A1 (ko)
GB (1) GB21490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9226A (en) * 1983-12-21 1986-10-28 Mazda Motor Corporation Intake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3608310A1 (de) * 1986-03-13 1987-09-17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stufenlosen veraenderung der laenge des luftansaugrohres einer brennkraftmaschine
US4765286A (en) * 1986-10-16 1988-08-23 Chrysler Motors Corporation Selectively tuned intake manifold
JPS6424115A (en) * 1987-07-17 1989-01-26 Nippon Denso Co Intake device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
DE3742057C1 (de) * 1987-12-11 1988-09-22 Porsche Ag Ansauganlage fuer eine mehrzylindrige Brennkraftmaschine
DE3807193A1 (de) * 1988-03-04 1989-06-0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Ansaugvorrichtung fuer eine brennkraftmaschine
GB2222632A (en) * 1988-09-09 1990-03-14 Ford Motor Co Pressure wave control of i.c. engine charging
US5092285A (en) * 1991-04-15 1992-03-03 Ford Motor Company Dual-mode induction system
FR2682431A1 (fr) * 1991-10-15 1993-04-16 Dev Produits Nouveaux Collecteur d'admission pour moteur thermique.
DE4216744A1 (de) * 1992-05-21 1993-11-25 Enrico Hilbert Vorrichtung zur mechanischen Steuerung von verstellbaren Ansaugvorrichtungen
US5373824A (en) * 1993-08-06 1994-12-20 Ford Motor Company Acoustical damping device for gaseous fueled automotive engines
FR2712636B1 (fr) * 1993-11-17 1996-02-09 Orbey Plastiques Ind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répartiteur d'admission et répartiteur obtenu au moyen dudit procédé.
GB2284446A (en) * 1993-12-01 1995-06-07 Michael John Stockbridge Variable length i.c. engine exhaust system
WO1996002743A1 (de) * 1994-07-15 1996-02-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Luftansaugvorrichtung mit variabler saugrohrlänge
DE19506306A1 (de) * 1995-02-23 1996-08-29 Mann & Hummel Filter Ansaugvorrichtung für eine Kolbenbrennkraftmaschine
DE19528014B4 (de) * 1995-07-31 2010-08-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auganlage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der V-Bauart
EP0868598B1 (de) * 1995-12-21 1999-10-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Luftansaugvorrichtung mit variabler saugrohrlänge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DE19607285A1 (de) * 1996-02-27 1997-08-28 Bosch Gmbh Robert Umschalteinrichtung
JPH1061445A (ja) * 1996-06-14 1998-03-03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過給装置
JP3558792B2 (ja) * 1996-09-13 2004-08-25 愛三工業株式会社 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と吸気制御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5687684A (en) * 1996-12-06 1997-11-18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Continuously variable intake manifold
US5762036A (en) * 1997-01-16 1998-06-09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Split plenum intake manifold with variable runners
WO1998035146A1 (de) * 1997-02-05 1998-08-13 Filterwerk Mann + Hummel Gmbh Ansaugvorricht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RU2165540C2 (ru) * 1999-03-03 2001-04-20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втоВАЗ"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RU2205280C1 (ru) * 2001-10-31 2003-05-27 Зарецкий Лев Маркович Впускной воздуховод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DE10253287A1 (de) * 2002-11-15 2004-06-03 Pierburg Gmbh Schaltklappenanordnung
US20050229856A1 (en) * 2004-04-20 2005-10-20 Malik Roger J Means and method for a liquid metal evaporation source with integral level sensor and external reservoir
US6901898B1 (en) 2004-04-26 2005-06-07 Toyota Technical Center Usa, Inc. Variable runner length intake manifold
JP4362097B2 (ja) * 2004-09-30 2009-11-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吸気装置
JP4449750B2 (ja) * 2005-01-07 2010-04-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2006241985A (ja) * 2005-02-28 2006-09-14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吸気装置
DE102006061438A1 (de) * 2006-12-23 2008-06-26 Dr.Ing.H.C. F. Porsche Ag Verfahren und Steuergerät zur Überprüfung einer Saugrohrlängenverstellung bei einem Verbrennungsmotor
US20090084336A1 (en) * 2007-10-02 2009-04-02 Friedl Kenneth E Air intake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2966472B (zh) * 2011-09-01 2015-02-18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连续可变长度进气歧管及发动机控制系统
CN102865168B (zh) * 2012-10-17 2015-04-29 河南科技大学 汽车发动机长度连续可变进气歧管
CN103953477B (zh) * 2014-04-29 2016-01-20 沈阳航天新光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油发动机的可变进气系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69041A (en) * 1954-05-06 1957-02-27 Daimler Benz Ag Improvements in induction pipe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2835235A (en) * 1955-06-20 1958-05-20 Daimler Benz Ag Intake manifol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2911077A (en) * 1956-01-17 1959-11-03 Nelson M Brown Electrically actuated speed control mechanism for engines
US3177854A (en) * 1963-03-05 1965-04-13 Alfa Romeo Spa Resonance induction device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US3353619A (en) * 1966-06-27 1967-11-21 Warren G Lambert Automotive speed zone control system
JPS5763919U (ko) * 1980-10-03 1982-04-16
US4471615A (en) * 1981-07-31 1984-09-18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Turbo and inertia supercharger
US4446823A (en) * 1981-11-13 1984-05-0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Internal combustion engine passage construction with intake tubes extending along surge tank wall
US4440120A (en) * 1982-05-24 1984-04-03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mpact ram tube engine air intake manifo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49009A (en) 1985-06-05
US4646689A (en) 1987-03-03
GB2149009B (en) 1987-03-25
DE3433653A1 (de) 1985-03-28
KR850003179A (ko) 1985-06-13
GB8423103D0 (en) 1984-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0569B1 (ko) 엔진의 흡기통로길이 가변장치
US4590895A (en) Intake passag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617897A (en) Intake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3261964B2 (ja) 内燃機関の可変吸気装置
US5036801A (en) Double cycle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765291A (en) Engine lubricating system
JPS6123825A (ja) エンジンの吸気通路長可変装置
JP4362097B2 (ja) 吸気装置
JPH0742427U (ja) 可変共鳴型消音器
JPS60216029A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S60224922A (ja) 多気筒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H0666115A (ja) 油圧機械式の制御装置
JPH062550A (ja) 内燃機関の吸気制御装置
GB2260574A (en) Engine intake silencer with variable resonator capacity
JP3106936B2 (ja) 可変吸気装置
JP3355262B2 (ja) 内燃機関の吸排気弁駆動制御装置
JPS59105958A (ja) 共鳴器
JPS60216064A (ja) 多気筒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4447420B2 (ja) 吸気装置
JPH06137363A (ja) エンジンマウント
JPS59108861A (ja) 共鳴器
JPS6363725B2 (ko)
JP3784157B2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H0634109U (ja) 可変共鳴型消音器
JP2742825B2 (ja) サイクル可変エンジ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2040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204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