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90000166B1 - 금속 스트립핑을 위한 결정 석출장치 - Google Patents

금속 스트립핑을 위한 결정 석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166B1
KR890000166B1 KR1019850002120A KR850002120A KR890000166B1 KR 890000166 B1 KR890000166 B1 KR 890000166B1 KR 1019850002120 A KR1019850002120 A KR 1019850002120A KR 850002120 A KR850002120 A KR 850002120A KR 890000166 B1 KR890000166 B1 KR 890000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ping solution
metal
organic solvent
stripping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2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6860A (ko
Inventor
가즈히로 우찌노
도시오 와따나베
미노루 호시노
Original Assignee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야기야스히로
가부시끼가이샤 니시무라와따나베쥬슈쓰겡뀨쇼
와따나베호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9062432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208429A/ja
Priority claimed from JP5909407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238427A/ja
Application filed by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야기야스히로, 가부시끼가이샤 니시무라와따나베쥬슈쓰겡뀨쇼, 와따나베호후 filed Critical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6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6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9/00Crystallisation
    • B01D9/02Crystallisation from solu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9/00Crystallisation
    • B01D9/0004Crystallisation cooling by heat ex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9/00Crystallisation
    • B01D9/0036Crystallisation on to a bed of product crystals; S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9/00Crystallisation
    • B01D9/005Selection of auxiliary, e.g. for control of crystallisation nuclei, of crystal growth, of adherence to walls; Arrangements for introduction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xtraction Or Liquid Replacement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금속 스트립핑을 위한 결정 석출장치
제1도는 종래의 결정 석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결정 석출장치의 일예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에서 Ⅲ-Ⅲ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제4도와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결정 석출장치의 다른 일예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제6도와 제7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유기용매 공급 파이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종래의 결정 석출장치 (2) : 유기용매
(3) : 온도조절기 (4) : 스트립핑용액
(5) : 가열기 (6) : 혼합실
(7) : 교반기 (8) : 하관
(10) : 냉각영역 (12) : 침강영역
(13)(23) : 무넘이벽 (17) : 열교환기
(18) : 강제순환영역 (21) : 분출밸브
(2')(4') : 공급 파이프
본 발명은 추출된 금속이온을 함유한 유기용매를 플루오르 화합물 계열의 스트립핑 용액과 혼합 및 접촉시켜 금속이온을 금속플루오르 화합물 또는 플루오르화 금속 복합 결정으로서 유기용매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스트립핑 용액으로부터 유기용매를 분리시키는 즉, 금속스트립핑을 위한 결정석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용매추출 공정이 고순도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을 얻기위한 방법으로 고려되고 있고 정제 단계가 간단하고 에너지 소모가 적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추출되는 금속에는 Mg, Ti, Cr, Mn, Fe, Co, Ni, Cu, Zn, Cd, Nb, Xr, Ta, Mo, W, In등이 포함된다.
용매추출방법에서 지금까지 문제시되어온 금속이온의 스트립핑(역추출)은 플루오르 화합물 계열의 스트립핑용액(HF, NH4HF2, NH4F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함유한 용액 ; 참조 : 일본국 특허공보 제57-42,545호, 제57-73,138호, 제57-85,943호)을 사용함으로써 해결되었다. 예를들면, 일본국 특허공보 제58-81,402호에 게재된 결정 석출장치는 결정 석출상태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Krystal-Olso형(또는 분급 유동침상형) 석출기를 개량한 절두 원추를 거꾸로한 형상의 것으로서, 석출된 결정입도가 대단히 균일하다.
상기 결정 석출장치는 지금까지 실험실에서만 사용되어 왔으며, 공업적인 규모로는 아직 실시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달에 45ton의 결정 제조 용량을 가지며 실제로 금속이온이 석출되는 공업적 규모의 결정 석출장치를 제작하였다. 그러나 참고 실시예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같이 장치의 내벽 표면에 석출결정이 응착, 장치의 하부에 석출된 결정이 집적 및 응집 그리고 결정 슬러리(slurry)에 유기용매가 섞이는 등의 장치의 연속 조업을 방해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절두 원추를 꺼꾸로한 구조의 종래의 결정 추출 장치에서, 야기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종래 장치의 분급성능을 지키면서 공업적인 규모로 연속 조업 할 수 있는 금속 스트립핑용 결정 석출장치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스트립핑용 결정 석출장치는 추출된 금속이온을 함유한 유기용매를 플루오르 화합물 계열의 스트립핑용액과 혼합 및 접촉시켜서 금속이온을 금속불화물 또는 플루오르화 복합체로서 스트립핑용액에 분리시키는 영역과, 석출 결정인 금속불화물 또는 플루오르화 복합체를 함유하고 있는 스트립핑용액을 냉각시켜서 결정 성장을 야기시키는 영역 및 성장 결정을 분리시키는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트립핑용액의 냉각 영역이 장치의 하부에 배치 그리고 그 외부에 열교환기가 구비되어 있으며, 혼합 영역으로부터 아래로 뻗어 있는 하관은 스트립핑용액의 냉각 영역까지 이어져 있고, 스트립핑용액의 원심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강제순환 영역이 스트립핑용액의 최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강제순환 영액의 거의 접선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분출 노즐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스트립핑용액의 공급 파이프 아래 그리고 혼합 영역으로부터 냉각 영역을 향해 뻗어 있는 하관의 하단부보다 높은 위치에서 유기용매 공급 파이프의 출구가 혼합 영역에 개방되어 있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제1도는 종래의 결정 석출장치 그리고 제2도와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스트립핑용 결정 석출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추출된 금속이온을 함유한 유기용매(2)가 공급 파이프(2')를 통해 온도 조절기(3)를 구비하고 있는 혼합 영역 또는 혼합실(6)에 공급되는 반면, NH4HF2등을 함유한 플루오르화합물 계열의 스트립핑용액(4)이 공급 파이프(4')를 통해 가열기(5)를 구비하고 있는 혼합실(6)에 공급된다. 혼합실(6)의 교반기(7)에 의해 유기용매와 스트립핑용액이 혼합됨으로써 유기용매(2)에 함유된 금속이온의 금속불화물 또는 플루오르화 금속 암모늄염으로서 스트립핑용액으로 분리된다.
금속이온의 스트립핑에 의해 비중이 증가된 스트립핑용액은 혼합실(6)로부터 아래로 뻗어있는 하관(8)을 따라 하강하며, 하강하면서 유기용매가 스트립핑용액(4)으로부터 분리되어 혼합실로 상승하고, 용해도가 비교적 작은 금속불화물 또는 플루오르화 금속 암모늄염의 결정인 스트립핑용액으로부터 석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도의 종래 장치에서와같이 장치의 하단부 인접 영역까지 하관(8)의 하단부가 연장되어 있지않고, 스트립핑용액 냉각 영역(10)의 상한에 해당하는 냉각된 스트립핑용액의 출구(11)보다 높은 지점까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스트립핑용액 및 하관(8)을 통해 하강하는 석출결정으로부터 유기용매의 분리 및 상승이 촉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혼합실(6)로부터 침강영역(12)으로 넘쳐 흐른 유기용매는 무넘이벽(13)을 통해 유기용매의 출구(14)로부터 방출한다. 한편, 스트립핑용액과 결정은 하관(8)으로부터 스트립핑용액의 냉각 영역(10) (또는 결정성장 영역)으로 공급된다. 냉각 영역(10)은 냉각된 스트립핑용액의 구(15)와 구(11)를 통해 펌프(16)와 열교환기(17)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혼합실(6)로부터 데워진 상태로 공급된 스트립핑용액이 냉각되어 결정성장을 가속시키며 석출된 결정의 일부를 분급한다.
또한 냉각 영역(10)의 최하부에 설치된 강제순환 영역(18)은 스트립핑용액의 출구(19)와 펌프(20) 및 스트립핑용액을 순환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분출 노즐(21)에 연결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강제순환 영역(18)의 거의 접선 방향과 같은 평면에 두개의 분출노즐(21)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출노즐을 통하여 냉각된 스트립핑용액이 스트립핑용액의 원심류를 야기시키는 영역(18)으로 분출한다. 따라서 스트립핑용액의 온도와 농도 및 조성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동시에 결정 슬러리에 유동성을 부여하게 됨으로서 장치의 내벽에 결정의 응착과 장치의 하부에 결정이 집적 및 응집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트립핑용액(4)은 하관(8)을 통해서 냉각 영역(10)으로 개입된 후, 결정분리 영역(22)을 통해 상승하여 최종적으로 무넘이벽(23)을 통해 스트립핑용액의 출구(24)로부터 방출한다. 한편, 석출된 결정은 슬러리로서 결정 출구 파이프(25)로부터 방출하여 액상-고상 분리 공정을 거치게된다.
제4도와 제5도는 제2도의 금속 스트립핑용 결정 석출장치를 개량한 실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제2도의 장치에서는 유기용매 공급 파이프(2')의 출구 단부(2")가 혼합실(6)의 상부에서 스트립핑용액 공급 파이프(4')의 출구 단부(4")와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서 혼합실(6) 내부에서 유기용매(4)의 지체시간이 짧고, 혼합실(6)의 비교적 상부에서 결정립의 석출이 일어난다. 결과적으로 석출된 결정의 미립은 유기용매에 다시 포착되어 침강 영역(12)으로 흐름으로서 응착 및 집적 되는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4도와 제5도에 도시된 장치에서는 유기용매 공급 파이프(2')의 출구 단부(2")가 스트립핑용액 공급 파이프(4')의 출구 단부(4")보다는 낮고 하관(8)의 하단부 보다는 높은 지점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혼합실(6) 내부에서 유기용매의 지체시간이 제2도의 장치에 비해 길어지게 되고, 혼합실(6)의 비교적 상부에서 결정의 석출이 일어난다.
출구 단부(2")를 떠난 유기용매는 윗쪽으로 흐르고 그리고 석출된 결정은 아래로 흐르기 때문에, 유기용매는 역류하여 혼합실(6)에서 스트립핑용액으로 제거됨으로서 유기용매에 포착되는 미립 결정의 양이 상당히 감소하고, 다음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미립이 침강 영역에서 집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혼합실(6)에서 스트립핑용액 공급 파이프(4')의 출구 단부(4")보다 낮고 하관(8)의 하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유기용매 공급 파이프(2')의 출구 단부(2")을 설치함으로서 미립 결정의 응착과 집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효과는 유기용매 공급 파이프(2')의 출구 단부(2")가 하관(8)의 하단부 바로 위에 설치되어 있으면 더욱 현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유기용매 공급 파이프(2')의 형상을 적절히 개량할 수 있다. 제2도와 제4 및 제5도에서와같이 유기용매 공급 파이프(2')를 단일 노즐로 하여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지만, 공급 파이프(2')의 유효 개구 면적을 확장하여 유기용매의 상승 흐름과 스트립핑용액의 하강 흐름이 보다 효율적으로 접촉하게 함으로써 본 발명이 더욱 효과적으로 성취될 수도 있다. 제6도와 제7도는 유기용매 공급 파이프(2')의 유효 개구 면적을 확장하여 유기용매의 상승 흐름과 스트립핑용액의 하강 흐름이 보다 효율적으로 접촉하게 함으로써 본 발명이 더욱 효과적으로 성취될 수도 있다. 제6도와 제7도는 유기용액 공급 파이프(2')를 보다 개선한 것이다.
종래 장치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혼합 영역으로 아래로 연장된 하관이 스트립핑용액의 냉각 영역 위헤 끝나며, 하관의 하단부가 장치의 하부 근방에 위치하고, 강제순환 영역이 스트립핑용액 냉각 영역의 최하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된 결정이 장치의 내벽에 응착 그리고 장치의 하부에 결정이 집적 및 응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기용매 공급 파이프의 출구 단부가 스트립핑용액 공급 파이프의 출구 단부 보다 낮고 하관의 하단부보다 높은 위치에서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미립의 결정이 유기용매에 재포착되는 것이 억제되어 유기용매의 침강 영역에 미립 결정의 응착 및 집적이 방지된다. 이와같이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연속 사용이 가능하다.
참고 실시예
제1도의 종래 장치에서 30V/V%의 디-(2-에틸헥실) 인산(D2EHPA)과 70%의 n-파라핀으로 구성되고 17.6g/l의 추출된 Fe+3가 함유된 유기용매(21℃)를 2m3/hr의 유량으로 혼합실(6)에 공급하는 반면, 스트립핑용액으로서 125g/l의 NH4HF2수용액(46℃)을 3.5m3/hr의 유량으로 혼합실에 공급하여(NH4)3FeF6결정을 석출시켰다. 그러나 장치의 내벽과 장치의 중간 아래 영역에 미립 결정이 응착되었으며, 장치의 하부에 결정이 집적 및 응집되어 3일 후에는 조업을 지속 시키기가 어려웠다. 또한 하관(8)의 하단부가 장치의 바닥에 인접하여 있기 때문에 하관을 떠난 유기용매의 소적이 스트립핑용액의 냉각 영역에서 상승하여 그 일부가 스트립핑용액의 출구(11)로부터 흡입됨으로서 결정 슬러리에 섞이게 되었다. 분석 결과, 결정의 p함량이 2~3%이었다.
실시예 1
제2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금속 스트립핑용 결정 석출장치에 상기 참고 실시예와 같은 조성이며 18.7g/l의 추출 F+3을 함유한 유기용매(23℃)를 2m3/hr의 유량으로 장입하고, 125g/l의 NH4HF2스트립핑용액을 3.5m3/hr의 유량으로 공급하여 혼합실(6)에서 (NH4)FeF6결정을 석출 시켰다. 이 경우에는 24일 동안의 조업후에도 장치의 내벽에 결정이 응착되거나 장치의 하부에 결정이 집적 및 응집되는 현상이 거의 관측되지 않았다. 또한 하관(8)의 하단부가 스트립핑용액 냉각 영역(10)의 상한 위에 설치되어 있기때문에 유기용매가 결정 슬러리에 보다 적게 혼합되어 있다.
실시예2
제4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금속 스트립핑용 결정석출 장치에 30V/V%의 디-(2-에틸헥실) 인산과 70V/V%의 n-파라핀으로 구성되며 16.3~18.4g/l의 추출 Fe+3을 함유한 유기용매(21~23℃)를 2m3/hr의 유량으로 혼합실(6)에 공급하였다. 혼합실(6)에는 유기용매 공급 파이프(2')의 출구 단부(2")를 하관(8)의 하단부 바로 위에 위치시켰고, 스트립핑용액 공급 파이프(4')의 출구 단부(4")는 출구 단부 (2")로부터 185cm위쪽에 위치시켰다. 118~130g/l의 NH4HF2와 4~9g/l의 HF로 구성된 스트립핑용액(45~47℃)을 3.5m3/hr의 유량으로 공급하면서 장치를 연속 조업 하였다. 그 결과, 30일간의 조업 후에도 침강 영역(12)에 결정이 거의 응착되지 않았음으로 아무런 장애없이 장치를 연속 조업 하였다.

Claims (2)

  1. 추출된 금속이온을 함유한 유기용매를 플루오르화합물 계열의 스트리핑용액과 혼합 및 접촉시켜 금속이온을 금속불화물 또는 플루오르화 복합체로서 스트립핑용액에 분리시키는 영역과 석출 결정인 금속불화물 또는 플루오르화 복합체를 함유하고 있는 스트립피용액을 냉각시켜 결정 성장 시키는 영역 및 성장 결정을 분리시키는 영역으로 구성된 절두 원추를 꺼꾸로한 구조의 금속 스트립핑용 결정 석출장치로서, 스트립핑용액의 냉각 영역이 장치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 영역의 외부에 열교환기가 구비되어 있고, 혼합영역으로부터 아래로 뻗어있는 하관은 스트립핑용액의 냉각 영역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스트립핑용액의 원심류를 발생 시키기위한 강제순환 영역이 스트립피용액의 최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강제순환 영역의 거의 접선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분출노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금속스트립핑용 결정 석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유기용매 공급 파이프의 출구가 스트립핑용액 공급 파이프의 출구보다 낮고 하관의 하단부 보다는 높은 위치에서 혼합 영역에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금속 스트립핑용 결정 석출장치.
KR1019850002120A 1984-03-30 1985-03-29 금속 스트립핑을 위한 결정 석출장치 KR890000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432 1984-03-30
JP59062432A JPS60208429A (ja) 1984-03-30 1984-03-30 金属剥離用晶析装置
JP94070 1984-05-11
JP59094070A JPS60238427A (ja) 1984-05-11 1984-05-11 金属逆抽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860A KR850006860A (ko) 1985-10-21
KR890000166B1 true KR890000166B1 (ko) 1989-03-09

Family

ID=26403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2120A KR890000166B1 (ko) 1984-03-30 1985-03-29 금속 스트립핑을 위한 결정 석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157562B1 (ko)
KR (1) KR890000166B1 (ko)
CA (1) CA1255073A (ko)
DE (1) DE356920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44706C (en) * 1990-06-15 2003-02-25 Michael Midler Jr. Crystallization method to improve crystal structure and size
JPH08501982A (ja) * 1992-10-06 1996-03-05 メルク エンド カ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複式噴射晶析装置
NL1013238C2 (nl) * 1999-10-07 2001-04-10 Pacques Bv Kristallisatiereactor.
CN102580346A (zh) * 2012-03-02 2012-07-18 浙江金科日化原料有限公司 一种连续结晶器
CN109289240B (zh) * 2018-11-05 2024-02-06 中国恩菲工程技术有限公司 萃取箱混合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43781A (fr) * 1966-12-27 Ibm Dispositif de gravure à effet constant
JPS5544644B2 (ko) * 1971-09-23 1980-11-13
JPS5882208A (ja) * 1981-11-11 1983-05-1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巻付式自己支持型光ケ−ブルの架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255073A (en) 1989-06-06
EP0157562A2 (en) 1985-10-09
EP0157562B1 (en) 1989-04-05
DE3569201D1 (en) 1989-05-11
EP0157562A3 (en) 1986-03-12
KR850006860A (ko) 1985-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0166B1 (ko) 금속 스트립핑을 위한 결정 석출장치
CN100408141C (zh) 固液分离方法
EP0079246B1 (en) Crystallizer
US7955414B2 (en) Method and device for metal purification and separation of purified metal from metal mother liquid such as aluminium
US4878927A (en) Filtering separator for particles and harmful gases from unrefined gases
JP3788634B2 (ja) 高純度テレフタル酸の製造法
US4156599A (en) Filtering separators for cleaning gases
US4406679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reparing crystals for washing
US5037463A (en) Freeze concentration and precipitate removal system
US1943307A (en) Purifying light metals
JPS5881402A (ja) 晶析装置
US5505924A (en) Multistage countercurrent recrystallization proces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ame
US4652675A (en) Process and device for purifying benzoic acid
US4291550A (en) Fluidized bed crystallization apparatus and method
CN108467051B (zh) 氯化钾晶浆中晶体分离装置及方法
US3472891A (en) Process for continuous recovery of dicyanobenzenes
JPH0121209B2 (ko)
JPH0120213B2 (ko)
CN208853700U (zh) 一种用于铝合金除渣的装置
DE3611950A1 (de) Verfahren zum abtrennen von festen raktionsprodukten, wie kohlenstoff, aus carbothermisch erzeugtem silizium
CN102502549B (zh) 磷酸连续分离纯化装置及其在制备食品级磷酸中的应用
JP2007262021A (ja) 粒状有機物の製造方法
US3662562A (en) Apparatus for the formation and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a liquid
EP1004337B1 (en) Method of refining crystalline material
CN107638712B (zh) 一种治理仲钨酸铵结晶堵塞的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503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198612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705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503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8120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905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907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8907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03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3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3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3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30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3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