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80000139Y1 - 창문틀의 호차 - Google Patents

창문틀의 호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139Y1
KR880000139Y1 KR2019840011137U KR840011137U KR880000139Y1 KR 880000139 Y1 KR880000139 Y1 KR 880000139Y1 KR 2019840011137 U KR2019840011137 U KR 2019840011137U KR 840011137 U KR840011137 U KR 840011137U KR 880000139 Y1 KR880000139 Y1 KR 880000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body
door car
frame
door
w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11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6188U (ko
Inventor
김창준
Original Assignee
김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준 filed Critical 김창준
Priority to KR20198400111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0139Y1/ko
Publication of KR8600061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1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139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2Toolless
    • E05Y2600/524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창문틀의 호차
제1도는 본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제3와 제4도는 제2도의 A-A'선 및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로틀체 2 : 하부가로틀체
3 : 러울러 4 : 호차본체
5,5' : 톱니상 산형돌부 6,6 및 7,7' : 걸림부
8,8' : 상향 걸림부
본 고안은 창문틀의 호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고안은 호차본체를 사각형으로 구성하고 호차본체의 일측 즉, 세로틀체에 접하는 측의 상부와 중간부 양측에 하부 가로틀체를 걸어주는 걸림부를 형성함과 동시 그 하부에는 세로틀체를 걸어주는 상향절곡된 걸림부를 양측에 형성하여 세로틀체의 내측하단에 형성된 삽입홈에 호차본체의 일측에 삽입하였을 시 그 일측 하단 양측에 상향절곡된 걸림부가 세로틀체의 내벽하단을 걸어주도록 하고 이어서 조립되는 하부가로틀체의 양벽은 호차본체의 상부가 중간부에 절곡된 걸림부에 걸어주게 하므로서 세로틀체의 외측에서 하나의 나사못을 삽통시켜 하부가로틀체상측 내벽의 나사고정공에 나착시키는 조립구성으로 호차본체를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고안은 조립되는 세로틀체와 호차본체의 일측 하부에 상향절곡된 걸림부와 후방으로 절곡된 상부와 중간부의 걸림부가 걸어지게 한 다음, 세로틀체와 하부가로틀체를 나착, 결합시키는 하나의 나사못으로 호차본체의 부착을 견고히 할 수 있어 호차를 보다 간단하게 착설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창문틀의 호차는 세로틀체에 조립되는 하부 가로틀체의 내부 내벽에 부착공을 수개 천공한 다음, 그 내벽 밑에서 호차를 삽입한 다음 부착공을 통해 나착되는 수개의 나사못으로 나착시키는 구성으로 호차를 부착하였는바, 이러한 종래의 호차 부착구성은 수 개의 나사못으로 부착하였기 때문에 그 부착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또 이와 같이 나사못으로 부착하였을 경우에는 창문틀 사용도중 진동 등에 의해 나사못이 풀리는 현상이 나타나 호차의 부착이 불안정한 상태가 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호차의 조립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그 부착상태를 견고히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창문틀을 구성하는 각형상의 세로틀체 (1)의 하단부에 조립되는 하부 가로틀체(2)의 양단에 로울러(3)가 유설된 호차 본체를 내설하는 것에 있어서, 호차본체( 4)의 중앙부에 구형공(4')이 형성되게 사각상으로 구성하고 상면 양측에는 톱니상 산형돌부(5),(5')를 형성하며, 호차본체(4)의 일측 상부와 중간부에는 하부 가로틀체(2) 단부의 양벽을 걸어주는 타측으로 절곡된 걸림부(6),(6'), (7),(7')를 하부에는 세로틀체 (1)의 내벽 하단부를 걸어주는 상향걸림부(8),(8')를 양측에 형성하였으며, 상부의 걸림부(6),(6') 사이에는 관통공(9)이 천공되어 있고, 하부의 상향걸림부(8),(8') 사이에는 걸림돌편(10)이 돌설되어 있다.
그리고 세로틀체(1)의 후면 하측에는 호차본체(4)의 일측을 삽입하여 내벽(1')에 밀착시킬 수 있는 삽입홈(11)이 형성되어 있고, 내벽(1') 하단의 ""형 요구(12 ) 상측에 삽치공(13)이 천공되어 있으며, 세로틀체(1)의 삽치공(13)으로 나사못(14)을 삽입시킬 수 있는 삽입공(15)이 천공되어 있으므로 삽입홈(11)을 통해 내벽(1')에 밀착시킨 호차본체(4)의 상부걸림부(6)(6') 사이의 관통공(9)은 삽치공(13)과 일치하는 상태가 되며, 또한 호차본체(4)의 하부의 상향걸림부(8),(8')는 내벽(1')의 하단 양측에 끼워져 이를 받쳐주는 상태이고 ""형요구(12)로는 걸림돌핀(10)이 삽치된 상태가 된다. 이후 하부가로틀체(2)를 호차본체(4) 타측에서 삽입하게 되면 하부가로틀체(2)의 내부에 수평상으로 일체로 연결된 상측내벽(2')의 저면은 호차본체(4)의 상면 양측에 형성된 톱니상 산형돌부(5)(5')에 밀착됨과 동시 그 상측내벽(2') 상면 중앙부의 나사고정공(2'')은 관통공(9)과 연통하는 상태로서 삽치공(13)과 수평하게 일치하는 상태로 조립되어져 삽입공(15)을 통해 삽입되어 삽치공(13)으로 끼워지는 나사못(14)이 관통공(9)을 통해 나사고정공(2'')에 나착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때 호차본체(4)의 타측에서 삽입되는 하부가로틀체(2)의 양벽은 호차본체(4)의 일측에 돌출되어 후방으로 절곡된 상부 및 중간부의 걸림부 (6)(6'), (7)(7')에 삽입되는 상태이므로서 종래와 같이 하부가로틀체(2)의 상측내벽(2')에서 수개의 나사못으로 고정시키지 않고 세로틀체(1)의 삽치공(13)을 통해 관통공(9)을 통과해 나사고정용(2'')에 나착되는 하나의 나사못(14)만으로도 세로틀체(1)와 하부가로틀체(2)를 조립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호차본체(4)를 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호차본체(4)의 부착과정이 매우 간편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호차본체(4)의 상면양측에 형성된 톱니상 산형돌부(5),(5')는 조립된 하부 가로틀체(2)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서 창문틀 자체의 하중에 의해 톱니상 산형돌부 (5)(5')의 뾰족한 각 산부가 상측내벽(2')의 저면에 박히는 상태가 되므로 창문틀 사용도중 호차본체(4)의 상면과 하부가로틀체(2)의 상측내벽(2') 저면 사이에 미끄럼 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되어 호차본체(4)의 설치상태를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미설명부호 R은 창문틀 레일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호차본체의 상면에 톱니상 산형돌기를 돌설하는 구성으로 창문틀 사용도중 호차본체와 하부가로틀체 사이에 마찰력을 증대시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배제하였으며, 호차본체의 일측상부와 중간부에는 하부가로틀체의 양벽을 붙잡아주는 걸림부를 형성하고, 또 하부에는 세로틀체의 내벽하단을 받쳐주는 상향걸림부를 형성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세로틀체와 하부가로틀체를 조립하는 하나의 나사못으로 조립, 설치할 수 있으므로 그 설치 작업이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호차본체 자체가 나사못에 결착된 상태로 설치됨과 동시 톱니상 산형돌부가 하부가로틀체와의 결합력을 증가시켰으므로 창문틀 사용도중 호차가 하부가로틀체에서 제 위치를 이탈하는 현상이 절대 나타나지 않게 되는 등의 이점을 지닌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창문틀을 구성하는 각 형상의 세로틀체(1)의 하단부에 조립되는 하부가로틀체 (2)의 양단에 로울러(3)가 유설된 호차본체를 내설하는 것에 있어서, 호차본체(4)를 사각상으로 구성하여 상면양측에 톱니상 산형돌부(5),(5')를 형성하고, 호차본체(4)의 일측 상부와 중간부에는 하부가로틀체(2)의 양벽을 걸어주도록 타측으로 절곡된 걸림부 (6)(6'), (7)(7')를 또 하부에는 세로틀체(1)를 받쳐주도록 상향 걸림부(8),(8')를 양측에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틀의 호차.
KR2019840011137U 1984-11-06 1984-11-06 창문틀의 호차 Expired KR880000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1137U KR880000139Y1 (ko) 1984-11-06 1984-11-06 창문틀의 호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1137U KR880000139Y1 (ko) 1984-11-06 1984-11-06 창문틀의 호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188U KR860006188U (ko) 1986-06-18
KR880000139Y1 true KR880000139Y1 (ko) 1988-03-08

Family

ID=19237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1137U Expired KR880000139Y1 (ko) 1984-11-06 1984-11-06 창문틀의 호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01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188U (ko) 1986-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223261B1 (hu) Tartószerelvény redőny rögzítésére
KR0140621Y1 (ko) 서랍의 레일고정용 연결꺽쇠
US5584459A (en) Bracket system for hanging window cover frame
KR880000139Y1 (ko) 창문틀의 호차
KR0125975Y1 (ko) 연결식 칸막이
JPS5932370Y2 (ja) 天井取付カ−テンレ−ル装置
RU36683U1 (ru) Подвес потолочного профиля
JPH0336710Y2 (ko)
JPH0327199Y2 (ko)
JPH0111903Y2 (ko)
JP3682665B2 (ja) スライド式シャワーハンガーのガイドレール取付構造
JPH0317738Y2 (ko)
JPH0711669Y2 (ja) 隙間カバー付カーテンボックス
JPH0237946Y2 (ko)
JPH0425030Y2 (ko)
JPH0620865Y2 (ja) 折り畳み扉の走行部材の取付構造
KR890006267Y1 (ko) 접문의 손잡이 결착장치
JPH0119741Y2 (ko)
JP3425867B2 (ja) カーテン等のボックス枠体に対する連結枠の連結構造
JPH0636225Y2 (ja) 鋼製建具の横枠と縦枠の結合装置
JPS5841317Y2 (ja) 手摺の取付構造
JPH0131759Y2 (ko)
JPH0330491Y2 (ko)
JPH0442455Y2 (ko)
JPH021707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4110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4110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870923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7120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805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19881122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811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88112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103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03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3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2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3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3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2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3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05

Year of fee payment: 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3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