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9476A - 프로그램 가능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프로그램 가능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70009476A KR870009476A KR870002883A KR870002883A KR870009476A KR 870009476 A KR870009476 A KR 870009476A KR 870002883 A KR870002883 A KR 870002883A KR 870002883 A KR870002883 A KR 870002883A KR 870009476 A KR870009476 A KR 8700094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ped region
- doped
- metal contact
- regions
- reg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41
- 239000002019 dop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7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6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3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10D84/90—Masterslice integrated circuits
- H10D84/901—Masterslice integrated circuits comprising bipolar technology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0/00—Bipolar junction transistors [BJT]
- H10D10/40—Vertical BJ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2/0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2/10—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region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Shape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 H10D62/13—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electrodes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source or drain regions
- H10D62/133—Emitter regions of BJ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2/0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2/10—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region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Shape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 H10D62/13—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electrodes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source or drain regions
- H10D62/137—Collector regions of BJTs
Landscapes
- Bipolar Integrated Circuits (AREA)
- Bipolar Transistors (AREA)
- Design And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39)
- 제1 N―도우프 영역과,제1 P―도우프 영역과,제2 P―도우프 PNP 영역 그리고상기 제2 P―도우프 영역내에 위치된 제2 N―도우프 NPN 영역을 포함하는 바이폴라 PNP또는 NPN 트랜지스터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반도체 셀구조의 프로그램 가능 트랜지스터.
- 제1항에서, NPN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로서 상기 제1 N―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1 금속 접촉부와, NPN 트랜지스터의 베이소로서 상기 제2 P―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2금속 접촉부와, 그리고상기 NPN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로서 상기 제2 N―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3금속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능 트랜지스터.
- 제1항에서, PNP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서 상기 제1 N―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1금속 접촉부와상기 PNP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로서 상기 제1 P―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2금속 접촉부와, 그리고상기 PNP트랜지스터의 콜렉터로서 상기 제2 P―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2금속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능 트랜지스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들은 N―에페택셜층내에 형성되는 프로그램 가능 트랜지스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택셜층 밑의 P―도우프 기판과,상기 셀구조를 둘러싸여 또한 사이 에피택셜층과상기 P―도우프 기판의 외부표면간에 연장되는 P―도우프 분리영역을 더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능 트랜지스터.
- 제5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N―도우프 영역들과 제1 및 제2 P―도우프 영역들 밑의 영역내의 상기 P―도우프 기판내로 연장되는 N+매립층을 더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능 트랜지스터.
- 제6항에서, 상기 제1 N―도우프 영역으로부터 상기 N+매립층으로 연장되는 N+확산영역을 더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능 트랜지스터.
- 제1항에서, 상기 제1 P―도우프 영역은 상기 셀의 중심근처에 위치되며 또한 상기 P―도우프 영역은 상기 제1 P―도우프 영역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프로그램 가능 트랜지스터.
- 제1항에서, 상기 영역들을 덮고 있으며 또한 상기 각 영역들위에 구멍들을 한정하는 산화물층을 더 포함하는 프로그램 기능 트랜지스터.
- 제1항에서, 상기 제2 P―도우프 영역내의 다수의 추가 N―도우프 영역들을 더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능 트랜지스터.
- 제10항에서, 상기 영역들을 덮고있는 산화물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산화물층은 상기 N―도우프 NPN 에미터 영역들간의 상기 제2 P―도우프 영역으로 다수의 구멍들을 갖고있는 프로그램 가능 트랜지스터.
- 제1항에서, 상기 제1 P―도우프 PNP 영역과, 상기 제3 P―도우프 영역내에 위치된 제3 N―도우프 영역과, 그리고 제4 N―도우프 영역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능 트랜지스터.
- 제12항에서, 상기 제1 P―도우프 영역은 상기 셀의 중심근처에 위치되며 또한 상기 제2 및 제3 P―도우프 영역들은 상기 제1 P―도우프 영역을 둘러싸며, 상기 제1 및 제4 N―도우프 영역들은 상기 제2 및 제3 P―도우프 영역들간에 위치되는 프로그램 가능 트랜지스터.
- 제12항에서, 사이 셀의 사이 모든 영역들 밑에 N+매립층을 더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능 트랜지스터
- 제14항에서, 상기 제1 및 제4 N―도우프 영역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N+매립층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확산 N+영역을 더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능 트랜지스터.
- 제15항에서, 상기 매립 N+층을 통하여 하부횡단 결선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N+영역들 각각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금속접촉부들을 더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능 트랜지스터.
- 제12항에서, 제1 NPN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N―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1금속 접촉부와,상기 제1 NPN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 P―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2금속 접촉부와,상기 제1 NPN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 N―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3금속 접촉부와,제2 NPN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4 N―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4금속 접촉부와,상기 제2 NPN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3 P―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5금속 접촉부와, 그리고상기 제2 NPN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3 N―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6금속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능 트랜지스터.
- 제12항에서, PNP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P―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1금속 접촉부와,상기 PNP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N―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2금속 접촉부와,상기 PNP 트랜지스터의 제1콜렉터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 P―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3금속 접촉부와, 그리고상기 PNP 트랜지스터의 제2콜렉터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3 P―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4금속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능 트랜지스터.
- 제12항에서, 사이 제2 및 제3 P―도우프 영역들 각각 내에 다수의 N―도우프 영역들을 더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능 트랜지스터.
- 제19항에서, 상기 영역들을 덮는 산화물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산화물층은 상기 P―도우프 영역들 내에 상기 N―도우프 영역들로 다수의 구멍들을 갖고 있으며 또한 상기 도우프 NPN 에미터 영역들 사이에 상기 제2 및 제3 P―도우프 영역들로의 다수의 구멍들을 갖고 있는 프로그램 가능 트랜지스터.
- 제19항에서, 제4, 제5, 제6 및 제7 P―도우프 영역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5 및 제7 P―도우프 영역들은 다수의 내부 N―도우프 영역들을 갖고 있는 프로그램 가능 트랜지스터.
- 제21항에서, 상기 제1내지 제7 P―도우프 영역들과 상기 제1 및 제3 N―도우프 영역들은 상기 제1 N―도우프 영역, 상기 제3 P―도우프 영역, 상기 제1 P―도우프 영역, 상기 제2 P―도우프 영역, 상기 제4 P―도우프 영역,상기 제5 P―도우프 영역, 상기 제6 P―도우프 영역, 상기 제7 P―도우프 영역 그리고 상기 제3 N―도우프 영역의 순서로 배열된 사실상 평행한 긴 영역들인 프로그램 가능 트랜지스터.
- 제21항에서, 제1 NPN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 P―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1 금속 회로와,제2 NPN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3 P―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2 금속 접촉부와,제3 NPN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5 P―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3 금속 접촉부와,제4 NPN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7 P―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4 금속 접촉부와,상기 제1, 제2 및 제3 NPN 트랜지스터들의 제1콜렉터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N―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5금속 접촉부와,상기 제1, 제2 및 제3 NPN 트랜지스터들의 제2콜렉터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3 N―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6금속 접촉부와,상기 제1 NPN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 P―도우프 영역내의 상기 N―도우프 영역들의 적어도 하나로 결합되는 제7금속 접촉부와,상기 제2 NPN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3 P―도우프 영역내의 상기 N―도우프 영역들의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제8금속 접촉부와,상기 제3 NPN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5 P―도우프 영역내의 상기 N―도우프 영역들의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제9금속 접촉부와, 그리고상기 제4 NPN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6 P―도우프 영역내의 상기 N―도우프 영역들의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제10금속 접촉부와, 를 더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능 트랜지스터.
- 제21항에서, 제1 PNP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P―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1금속접촉부와,제2 PNP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 P―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2금속 접촉부와,제3 PNP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3 P―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3금속 접촉부와,상기 제1, 제2 및 제3 PNP 트랜지스터들의 제1베이스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N―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4금속접촉부와,상기 제1, 제2 및 제3 PNP 트랜지스터들의 제2베이스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3 N―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5금속 접촉부와,상기 PNP 트랜지스터들의 제2콜렉터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3 P―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7금속 접촉부와,상기 PNP 트랜지스터들의 제3콜렉터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5 P―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7금속 접촉부와,상기 PNP 트랜지스터들의 제4콜렉터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7 P―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9금속 접촉부와,를 더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능 트랜지스터.
- 제21항에서, 상기 전술한 모든 영역들 밑에 매립된 N+도우프 영역을 더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능 트랜지스터.
- 제25항에서, 상기 제1 N―도우프 영역으로부터 상기 매립 N+층으로 연장되는 제1 N+영역과 상기 제3 N―도우프 영역으로부터 상기 매립 N+층으로 연장되는 제2 N+영역을 더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능 트랜지스터.
- 웨이퍼상에 반도체 셀 구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제1 P―도우프 영역과 제2 P―도우프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웨이퍼로 P―형 도우판트를 확산하는 단계와,상기 제2 P―도우프 영역내에 위치된 제1 N―도우프 영역과 제2 N―도우프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웨이퍼 내에 N―형 도우판트를 확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폴라 PNP 또는 NPN 트랜지스터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반도체 셀 구조의 프로그램 가능 트랜지스터를 제조하는 방법.
- 제27항에서, NPN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로서 상기 제1 N―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1금속 접촉부를 형성하는 단계와,NPN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서 상기 제2 P―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2금속 접촉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그리고상기 NPN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로서 상기 제2 N―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3금속 접촉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27항에서, PNP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서 상기 제1 N―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1 금속 접촉부를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PNP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로서 상기 제1 P―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2 금속 접촉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그리고상기 PNP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로서 상기 제2 P―도우프 영역에 결합되는 제3 금속 접촉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27항에서, P―도우프 기판을 형성하도록 상기 웨이퍼내로 P―형 도우판트를 확산시키는 단계와상기 P―도우프 기판상에 N―도우프 에피택셜층을 성장시키는 단계와, 그리고상기 셀 구조를 둘러싸며 또한 상기 에피택셜층의 외부표면과 상기 P―도우프 기판간에 연장되는 P―도우프 분리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웨이퍼로 P―형 도우판트를 확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30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N―도우프 영역들과 제1 및 제2 P―도우프 영역들 밑의 영역내의 상기 P―도우프 기판으로 연장되는 N+매립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웨이퍼로 N+도우판트를 확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31항에서, 상기 제1 N―도우프 영역으로부터 상기 N+매립층으로 연장되는 N+확산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웨이퍼 속으로 N+도우판트를 확산시키는 단계를 다 포함하는 방법.
- 제27항에서, 상기 제1 P―도우프 영역은 상기 셀의 중심부 근처에 위치되며 또한 상기 제2 P―도우프 영역은 상기 제1 P―도우프 영역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방법.
- 제27항에서, 상기 제2 P―도우프 영역내에 다수의 추가 N―도우프 NPN 에미터 영역들을 형성하도록 상기 웨이퍼내로 N―형 도우판트를 확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27항에서, 제3 P―도우프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웨이퍼 속으로 P―형 도우판트를 확산시키는 단계와,상기 제3 P―도우프 영역과 제4 N―도우프 영역내에 위치된 제3 N―도우프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웨이퍼속으로 N―형 도우판트를 확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35항에서, 상기 제1 P―도우프 영역은 상기 셀의 중심부 근처에 위치되며 또한 상기 제2 및 제3 P―도우프 영역들은 상기 제1 P―도우프 영역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4 N―도우프 영역들은 상기 제2영역과 제3 P―도우프 영역간에 위치되는 방법.
- 제35항에서, 상기 제2 및 제3 P―도우프 영역들의 각각내에 다수의 N―도우프 영역들을 형성하도록 상기 웨이퍼속으로 N―형 도우판트를 확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37항에서, 제4 P―도우프 영역과 제5 P―도우프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웨이퍼 속으로 P―형 도우판트를 확산시키는 단계와,상기 제5 P―도우프 영역네에 다수의 N―도우프 영역들을 형성하도록 상기 웨이퍼 속으로 P―형 도우판트를 확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38항에서, 상기 제1 내지 제5 P―도우프 영역들과 상기 제1 및 제3 N―도우프 영역들은 상기 제1 N―도우프 영역, 상기 제3 P―도우프 영역, 상기 제1 P―도우프 영역, 상기 제2 P―도우프 영역, 상기 제4 P―도우프 영역, 상기 제5 P―도우프 영역 그리고 상기 제3 N―도우프 영역의 순서로 배열되는 사실상 평행한 긴 영역들인 방법.※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84638086A | 1986-03-31 | 1986-03-31 | |
US846,380 | 1986-03-3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70009476A true KR870009476A (ko) | 1987-10-27 |
Family
ID=2529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870002883A Ceased KR870009476A (ko) | 1986-03-31 | 1987-03-28 | 프로그램 가능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EP (1) | EP0240273A3 (ko) |
JP (1) | JPS6366947A (ko) |
KR (1) | KR870009476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51893A (en) * | 1987-11-19 | 1989-07-25 | Exar Corporation | Programmable active/passive cell structure |
US5021856A (en) * | 1989-03-15 | 1991-06-04 | Plessey Overseas Limited | Universal cell for bipolar NPN and PNP transistors and resistive elements |
JPH0786533A (ja) * | 1993-06-29 | 1995-03-31 | Nec Corp | 半導体集積回路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90548A (en) * | 1979-11-20 | 1981-07-22 | Fujitsu Ltd |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by master slice system |
JPS57118669A (en) * | 1981-01-16 | 1982-07-23 | Toshiba Corp | Multiemitter type npn transistor |
JPS59126650A (ja) * | 1983-01-10 | 1984-07-21 | Nippon Denso Co Ltd | マスタスライス型半導体装置 |
-
1987
- 1987-03-28 KR KR870002883A patent/KR870009476A/ko not_active Ceased
- 1987-03-30 EP EP19870302707 patent/EP0240273A3/en not_active Ceased
- 1987-03-30 JP JP62074572A patent/JPS6366947A/ja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240273A2 (en) | 1987-10-07 |
JPS6366947A (ja) | 1988-03-25 |
EP0240273A3 (en) | 1990-10-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047217A (en) | High-gain, high-voltage transistor for linear integrated circuits | |
KR970024165A (ko) | 반도체 집적 회로 및 그 제조 방법(A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Its Fabricating Method) | |
JPH07326773A (ja) | ダイオ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890013764A (ko) | 샌드위치된 산화 실리콘층과 질화실리콘 층을 갖는 프로그램 가능 접속패드 | |
KR870009476A (ko) | 프로그램 가능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 |
US4079408A (en) | Semiconductor structure with annular collector/subcollector region | |
JPH06104459A (ja) | 半導体装置 | |
KR920010434B1 (ko) |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iil을 갖는 반도체 장치 | |
US5001538A (en) | Bipolar sinker structure and process for forming same | |
JPS6133261B2 (ko) | ||
US3443174A (en) | L-h junction lateral transistor | |
US4249192A (en) | Monolithic integrated semiconductor diode arrangement | |
US4303932A (en) | Lateral transistor free of parisitics | |
KR900001035A (ko) | 분리식 수직형 수퍼베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 |
KR0118637Y1 (ko) | 집적주입 논리회로소자 | |
KR0163924B1 (ko) | 수평형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 |
KR100247281B1 (ko) |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구조를 이용한 접합 축전기 및 그 제조 방법 | |
KR19990002164A (ko) |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 |
JP3149913B2 (ja) | 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 |
JP2002299465A (ja) | 半導体装置 | |
KR900000816B1 (ko) | I^2l소자의 제조방법 | |
KR970077724A (ko) | 집적주입논리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 |
JP2558472B2 (ja) | 半導体集積回路 | |
JP2518880B2 (ja) | 半導体装置 | |
KR900001022A (ko) | 반도체 래치-업 면역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703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201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703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5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19951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199503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