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70002073B1 - L-카르니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L-카르니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073B1
KR870002073B1 KR1019840006883A KR840006883A KR870002073B1 KR 870002073 B1 KR870002073 B1 KR 870002073B1 KR 1019840006883 A KR1019840006883 A KR 1019840006883A KR 840006883 A KR840006883 A KR 840006883A KR 870002073 B1 KR870002073 B1 KR 870002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nitine
producing
medium
crotonobine
crotonobbeta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6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502A (ko
Inventor
세임 헤르만
로에스 테트 하인즈
크라우스 라이네트
크테베르 한스-페테르
스트락크 에리크
Original Assignee
시구마-토우 인더스트리 화아마슈티히 티유니잇 에스.피.에이.
피에트로 아네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구마-토우 인더스트리 화아마슈티히 티유니잇 에스.피.에이., 피에트로 아네시이 filed Critical 시구마-토우 인더스트리 화아마슈티히 티유니잇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850004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073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13/02Amides, e.g. chloramphenicol or polyamides; Imides or polyimides; Urethanes, i.e. compounds comprising N-C=O structural element or 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13/007Carnitine; Butyrobetaine; Crotonobetaine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L-카르니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L(-)-카르니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광학적으로 불활성인 전국물질로부터 광학 활성의 L(-)-카르니틴(R배열)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L-카르니틴(3-하이드록시-4-트리메틸아미노 부티테이트)는 통상 생체내에 존재하며 사립체막(絲粒體膜)을 통하여 활성화 긴사슬유리 지방산의 운반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사립체막은 아실CoA유도체에 대해서는 불투과성인 관계로, L-카르니틴과의 에스테르화 반응이 행해진 경우에 한하여 긴사슬 유리지방산을 통과시킨다.
최근에 치료용으로 L(-)-카르니틴의 사용이 중요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Carnitine biosynthesis, metabolism and funcitions" 출판인 : R.A. Frenkel 및 J.D. Mc Garry; Academic Press 1980).
필요한 양의 L-카르니틴을 손쉽게 입수하기 어렵기 때문에 흔히 L-카르니틴을 총화학 합성법으로 수득할 수 있는 DL-카르니틴 라세메이트로 대치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D(+)-이성체를 함유하고 있는 DL-카르니틴은 L(-)-카르니틴 사용시에는 야기되지 않는 부작용을 유발하게된다.(Curr. Ther. Res. 28 (1980), 195-198).
또한 L(-)-카르니틴형성에 필요한 트랜스피타제, 즉 카르니틴 아세틸-트랜스피타제(E C 2.3.1.7) 및 카르니틴 팔미토일-트랜스피타제(E C 2.3.1.21)은 L(-)형에 대한 특이성을 갖는데 반하여, D(+)이성체는 이들 2개 트랜스 피타제의 경쟁적 억제인자라는 사실이 공지된 바 있다.
더우기, 동물(기니아-피그) 사용 실험에서 입증된 바와같이 D-카르니틴의 투여는 심장근 또는 골격근에서 L(-)-카르니틴의 감소를 가져왔다(Life Sciences 28 (1981) 2931-2938).
L-카르니틴 처치후에 나타난 인간의 갑상선 기능항진 증상은 D-카르니틴으로 매우 악화되었으며, (Endokrinologie 38, (1959) 218 내지 225), 따라서 현재에는 환자치료용으로 단지 L(-)-카르니틴만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또한 D(+)이성체를 적극적으로 체기할 능력이 없는 신장수명이 다된 환자의 경우에 특히 타당성을 갖는다.
혈액투석은 L-카르니틴을 투석물로부터 분리시킨이후로 저분자량을 갖는 관계로 (161.2), L-카르니틴의 2차 결함을 유발시킨다. 투석용액중의 L(-)-카르니틴을 경국투여 또는 첨가는 환자에 있어 카르니틴 감소를 피할 수 있다.
공업국가에서 널리 퍼져있는 과지방 단백질 혈증의 경우에는 L(-)-카르니틴을 사용해서 혈장위험인자, 즉 트리글리 세티드 및 콜레스테롤 함량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었다(Lancet Ⅱ (1978) 805내지 807).
이와 유사한 효과를 아실카르니틴을 사용해서 얻을수 있었다(DE-OS 2903579).
L(-)-카르니틴은 복잡한 정제과정을 거쳐 육질 추출액으로부터 분리사용하여 왔다. 50개의 화합합성법이 공지되었으나, 단지 DL-카르니틴만을 수득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이성체 L(-)-카르니틴은 공학활성산과 카르니틴의 염을 분별 결정화방법에 따라 라세메이트 분할시켜 수득하였다, 카르니틴-니트릴, 카르니틴아미드 또는 카르니틴 내부염 그 자체와 같은 각종 카르니틴 유도체를 사용하였다.
광학활성산으로는 바타르산, 캠포트산 및 캠포트설폰산이 사용되었다(예 : DD-PS 23127 ; DD-PS 93347 ; DE-OS 2927672).
DL-카르니틴은 또한 특이성 L(-)-트랜스피타제를 사용해서 분할 사용하였다. 그러나 1몰의 L(-)-카르니틴을 제조하는데 1몰 이상의 아실 CoA가 소요되는 관계로 이 제법을 공업적으로 응용하는데는 너무 과대한 비용이 소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타세메이트 분할 후속처리를 요하는 기타 모든 화학적 합성방법은 합성 DL-카르니틴으로부터 필요로하는 이성체를 50%이상 분리해 낼수 없다는 단점을 갖고있다.
이같은 문제는 키탈 전국체를 사용한 효소입체특이 합성법으로 극복할 수 있었다.
미합중국 특허 제4,221,869호에서 NADH 재생용으로 글루코즈 디하이드로게나제 또는 알콜 디하이드로 게나제와 같은 이밖의 효소도 필요로 하기는 하지만, 코엔자임으로 NAD를 사용해서 형광균(pseudomonas fluorescens)으로부터 분리해낸 카르니틴 디하이드로게나제(E C 1.1.1.108)를 사용해서 디하이드로 카르니틴으로부터 L(-)-카르니틴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더우기 디하이드로 카르니틴은 매우 불안정해서 자발적으로 아세토닐트리메틸암모늄과 이상화탄소로 분해된다.
특허출원 DE-OS 제3123975호에는 빵곰팡이(Neurospora crassa)로부터 분리된 γ-부티로베타인 하이드록시라제(E C 1.14.11.1)을 사용해서 γ-부티로베타인으로부터 L(-)-카르니틴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이같은 하이드록시타제 반응기간중에는 배지에 α-캐토글루타르산과 환원제 (예 : 아스코베이트)를 첨가해 주어야만 한다.
L(-)-카르니틴의 수율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는 산화효소(Catalase)가 또한 필요하다. γ-부티로베타인 하이드록시타제는 곰팡이생장, 분리, 세척 및 기계처리 또는 초음파처리를 이용한 포자의 정제 과정을 거쳐 수득된다.
L(-)-카르니틴 생합성의 전국물질은 L(-)-메티오닌 및 L-리신이다.
ε-N,N,N 트리메틸리신, ε- N,N,N 트리메틸 -β-하이드록시-리신과 N,N,N트리메틸아미노 부틸알데히드 중간체를 거쳐서 γ-부티로베타인이 수득된다. 이는 분자산소, α-케노글루타르산, 제1철이온 및 환원제 존재하에서 γ-부티로베타인 하이드록시라제에 의하여 하이드록실화시켜 L-카르니틴을 수득한다. 크로로노베타인은 생합성에서의 중간체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은 L(-)-카르니틴 생산의 공지된 방법의 단점을 제기한 제법을 제공하고 또 매우 경제적인 방법으로 목적화합물을 생화학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단순한 반응조건하에서 또 중간체 분리방법이 복잡하지 않은 방법으로 구입이 용이한 원료물질로부너 L(-)-카르니틴을 제조할수 있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제법을 기술하는데 있다.
현재까지는 단지 다음의 사실이 알려져 있을 뿐이다.
(1) L(-)-카르니틴, D(+)-카르니틴 및 크로토노베타인은 대사(代謝)에 의하여 γ-부티로베타인을 생성한다.
(2) 엔테로박터(enterobacter) 성장자극은 크토토노 베타인 환원으로 수득되는 γ-부티로베타인 형성에 좌우된다(Arvh. Microbiol 132 (1982), 91내지 95).
(3) "클로스트리디움속 박테리아"는 혐기성 조건에서 크로론산을 부티르산으로 환원할 수 있다. (FEBS Lett 109, (1980), 244내지 246).
본 발명에 의하여 놀라웁게도 어떤 종류의 박테리아는 어느 특정조건하에서 크로토노베타인을 입체특이성을 갖고 L(-)-카르니틴으로 가수화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이 제법을 사용하는 경우 배지내에는 γ-부티로베타인이 전혀 존재하지 알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박테이라균주의예는 다음을 들수 있다.
에스캐리치아 클리속(Escherichia Coil ; E. coli 044 k74 ; 055 k59 ; 0 111 k58 ; 0 114 k90)
살모넬라속(Salmonella ; S typhimurium LT2; cottbus; anatum; newington)
프로테우스속(Proteus; P. vulgaris; mirabilis)
이질균속(Shiglla; S. flexneri la)
하프니아속(Hafnia; H. alvei Biotyp A 및 B)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 C. kluyveri; sporogenes)
시트로박리조속(Cltrobacter; C. freundii).
본 발명에 따라 복합배지 또는 최소배지에서 증식중인 박테리아 또는 휴지기세포에 크로토노베타인(4-N,N,N-트리메틸아미노 크로톤산) 또는 이의 염화물, 요드화물, 과염소산염, 질산염, 인산염등과 같은 염 또는 크로토노베 타인아미드, 니트릴 및 아틸 또는 알킬 에스테르를 첨가해 준다.
일정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생성된 L(-)-카르니틴을 반용배지로부터 분리한다.
배지 중의 크로토노베타인 농도 범위는 10μ몰 내지 5몰/ℓ이다.
표 Ⅴ, Ⅵ, Ⅶ에 수록한 바와같이 생성된 L(-)-카르니틴의 양은 크로토노베타인 농도가 증가하는데 따라 증가하게 되지만, 원료물질에 대한 퍼센트 수율은 감소하게 된다.
크로토노베타인으로부터 L(-)-카르니틴을 분리한후에, 잔존 크로토노베타인은 제사용 할 수 있다.
휴기지세포는 최소 배지내에서 C 또는 N 공급원을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함유된 C 또는 N 공급원이 박테리아에 의해 사용될 수 없는 염용액, 유기 및 무기완충 혼합물과 함께 배양시킨다.
배양시간은 통상 3시간 내지 5일 범위이나, 바람직하게는 12시간 내지 48시간이다.
크로토노베타인을 가수화 시킬 수 있는 박테리아는 고체 또는 액체의 보다 다향한 복합배지에서 증식가능하며, 따라서 육류, 이스트, 맥아 및 전분수 추출액을 함유하는 시판중의 영양배지를 부분적 험기조건에서 수산화암모늄, 우레아, 알콜, 카르보하이드레이트,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기산 등과 같은 C 및 N 공급원을 첨가해서 사용할 수 있다. 배양은 험기성 조건하의 눈금부 시험관 내에서 교반없이 행한다.
크로토노베타인을 γ-부티로베타인으로 환원시키는 경우에는 L(-)-카르니틴합성 원료에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이 환원반응은 험기성 호흡 및 기타물질의 전자수용체를 첨가해서 억제시킨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자수용체의 예로는 산소, 질산염, 트리메틸아민, N-산화물 및 기타 N-산화물, 티메틸설폭 사이드, 글루코즈, 프럭로즈, 사카로즈, 말토오즈와 푸마레이트, 크로토네이트 및 아크릴레이트 등의 전자 수용체를 들 수 있으며, 그러나 이들예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표 Ⅱ, Ⅲ, Ⅳ).
옥즙 또는 췌장펩프톤으로 보충한 시판 영양배지에서 증식시킨 박테리아는 크로토노베타인은 L(-)-카르니틴으로 가수화 시킬 수 있다. (표 Ⅸ).
L(-)-카르니틴 합성비율은 증대되었으나, 크로토노베타인 하이드록시라제가 생성되어 성장박테리아의 배지에 첨가됨으로서 크로토노베타인, D L-카르니틴, D L-카르니틴의 분획물에는 D(+) (타세메이트의 화학적 분할로 수득됨) 또는 그 유도체(예 : 카르복시 에스테르, O-아실-카르니틴 또는 O-아실카르니틴 에스테르가) 풍부하게 된다.
크로토노베타인, 그 염 또는 유도체는 다음의 공지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1) D L-카르니틴, D(+)-카르니틴 또는 D(+) 풍부 D L-카르니틴을 황산 또는 아세트산 무수물로 탈수시키거나 또는 이와다르게 상응하는 O-아실 D L-카르니틴을 황산 또는 아세트산 무수물로 탈수시키거나 또는 이와다르게 상응하는 O-아실 D L-카르니틴 또는 O-아실 D-카르니틴으로 부터 산을 제거한다.
(2) 4-아미노 크로토네이트를 메틸할로겐나이드로 배기 메틸화 반응시킨다.
(3) 트리메틸아민을 4-할로겐치환크로트로네이트와 반응시킨다.
미반응 크로토노배타인 또는 수득된 γ-부티로베타인으로 부터 L(-)-카르니틴을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에 따라 잘 분리할 수 있으나, ("Recent research on Carnitine" Ed. G. Wolf, 11-21페이지(1965) ; US-PS 4,221,869 ; DE-OS 3123975), 이 방법은 소량 제조시에만 사용할 수 있다.
L(-)-카르니틴은 하이드록시기를 배지의 아실클로라이트 및 긴사쓸 지방산과 함께반응시킨 후에 다량으로 분리할 수 있다.
생성된 O-카르니틴은 n-부탄올 또는 이소부탄올을 사용해서 수용액상으로 부터 추출할 수 있다(Biochim. Biophys. Acta 280, (1972), 422 내지 433).
O-아실 카르니틴은 유기상을 증발시켜 수득할 수 있다, 이 화합물은 생화학연구에 직접 사용하거나 또는 수산화 암모늄을 사용 L(-)-카르니틴으로 가수분해시킨후 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수용액상에 잔존하는 크로토노베타인은 배지에 다시 환원시킨다.
생성된 L(-)-카르니틴은 아세틸 CoA 첨가후에 DTNB 법에 따라 카르니틴 아세틸트랜스퍼라제를 사용해서 측정한다. 10내지 100% 과잉량의 크로토노베타인은 L(-)-카르니틴 측정에 아무 방해를 일으키지 않는다.
본원 발명제법의 장점은 다음과 같이 열거할 수 있다.
(1) 라세메이트의 화학적 분할에 의해 수득되는 D(+)-카르티닌 또는 D(+)풍부 D L-카르니틴을 탈수시킴으로서 L(-)-카르니틴합성용으로 저렴한 원료물질인 크로토노베타인을 수득한다.
(2) 본 발명 제법에서는 어떠한 생화학물질 또는 기타 효소의 사용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3) 배양 비용과 원료물질 비용이 매우 저렴하다.
다음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이들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실시예 1]
크로토노베타인과 함께 다음의 복합배지를 포함하는 500㎖ 반응용기를 5% 혈액아가액으로 사전에 성장시킨 E. Coli 044 k74를 생리학적 용액에 현탁시킨 현탁액을 접종한다.
췌장페프톤 20g/ℓ 2회증류 H2O
염화나트륨 5g/ℓ 〃
크로토노베타인 50m몰/ℓ 〃
pH7(ΔE540=0.050)
반응 플라스크를 바로 파라핀유로 씌우고 또, 37℃에서 배양한다.
표 Ⅰ은 배양시간 및 박테리아 성장과 관련하여 L(-)-카르니틴 생성을 나타내고 있다.
[표 1]
L(-)-카르니틴합성, 배양시간 및 박테리아 성장간의 관계
Figure kpo00001
[실시예 2]
크로토노 베타인 함유 복합배지를 E coli로 접종하여(실시예 1) 24시간 배양한 후에 6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성장 박테리아를 분리한다. 수득한 원심분리 잔존물을 pH7.5에서 소렌센법에 따른 0.01M인산염완충액(0.20g/ℓKH2PO4및 3.05g/ℓ Na2HPO4·12H2O)으로 세척하고 5g/ℓ크로토노베타인(34.9m몰/ℓ)을 함유하는 1ℓ소렌센인산염 완충약에 현탁시킨후(ΔE540=0.080) 또 37℃로 24시간 동안 유지한다. 이를 바로 재차 원심분리하여 용액중에 9.08m 몰/ℓ의 L(-)-카르니틴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크로토노베타인에 대하여 26%수율.
[실시예 3]
L(-)-카르니틴을 함유하고 또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접종시킨 복합배지(31m몰/ℓ ; 5g/ℓ의 L-카르니틴에 해당됨)에 수종의 엔테로박테리아 군주와 함께 험기성호흡 및 기타물질 [나트륨 석신에이트, 나트륨푸마레이트 및 글루코즈(10g/ℓ), 질산칼륨, 트리메틸아민, N-산화물(TMO)(5g/ℓ)의 전자수용체를 첨가한다.
표 Ⅱ 에는 사용한 : L(-)-카르니틴에 대한 γ-부티로베타인의 수율을 몰수로 표시하였다.
[표 II]
L(-)-카르니틴의 γ-부티로베타인환원시 전자 수용체 및 기타물질의 영향
Figure kpo00002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기술된 복합배지(KM)또는 다음 조성을 하유하는 최소배지(MM)에 50몰의 크로토노베타인과 함께 나트륨 푸말에이트(10g/ℓ), 질산칼륨(5g/ℓ)및 트리메틸아민 N-옥사이드(5g/ℓ)를 첨가한다.
NaHPO412H2O 15.0g CaCl20.014g
KH2PO4 3.0g FeCl20.0002g
NH4Cl 1.0g D-리보즈 7.5g
MgSO47H2O 0.15g 증류수를 첨가해 1ℓ 만듬.
이어 이를 37℃의 파라핀증 존재하(험기성조건) 또는 파라핀층 부재화(호기성조건)에서 E. coli 044 k74와 함께 48시간 동안 배양한다.
[표 Ⅲ]
성장 박테리아 중에서 전자수용체가 L-카르니틴 생성에 미치는 영향
Figure kpo00003
[실시예 5]
500몰/ℓ의 크로토노베타인을 함유하는 복합해지(KM) 또는 최소배지(MM)를 E. coli 044 k74로 접종하고 또 48시간 동안 배양한다.
수거해서 2회 세척한 세포(실시예 2)를 실시예 4에서와 같이 전자수용체가 첨가된 50몰/ℓ의 크로토노베타인을 함유하는 소렌센 완충액 중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다.
[표 Ⅳ]
휴지기세포를 이용한 L-카르니틴 제조에서 전자수용체의 영향
Figure kpo00004
[실시예 6]
C공급원으로 D-리보즈를 보충하고(실시예 4) 크로토노베타인농도를 여러가지로 변화시킨 최소배지(MM)을 E. coli 044 k74로 접종하고(실시예 1) 또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다.
[표 Ⅴ]
각종 크로토노베타인 농도에서 최소배지에서 증식시킨 박테리아를 이용한 L(-)-카르니틴 합성
Figure kpo00005
[실시예 7]
각각 8g/ℓ의 L(-)-카르니틴을 함유하는 실시예 1에서 기술한 것과 같은 복합배지(A)와 실시예 4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D- 리보즈로서 보충된 최소배지(B)를 E. coli 044k74로 접종한다.
48시간후 수기해서 2회 세척한 박테리아를 각종 농도의 크로토노베타인을 함유하는 소텐센 완충액에 현탁시키고 또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다.
[표Ⅵ]
각종 크로토노베타인 농도에서 L(-)-카르니틴에 의해 유도된 휴지기세포에 의한 L(-)-카르니틴 합성
Figure kpo00006
[실시예 8]
실시예 1에서와 같이 크로토노베타인을 함유하여 E. coli 044 k74로서 접종시킨 복합배지는 48시간 후에 원심분리한다. 원심분리 잔존물을 2회 세척해서 C 및 N 원 없이 각종 농도의 크로토노베타인을 함유하는 최소배지에 분산시키고 또 48시간 동안 배양한다.
[표 Ⅶ]
각종 크로토노베타인 농도에서 크로토노베타인에 의해 유도된 휴지기세포에 의한 L(-)-카르니틴 합성
Figure kpo00007
[실시예 9]
크로토노베타인 대신으로 50m 몰/의 L(-)-카르니틴을 함유하는 실시예 4에서 기술한 바와같은 최소배지를 E. coli 044 k74로 접종하고 또, 48시간동안 배양한다.
이어 수거해서 2회 세척한 박테리아를 C 및 N원은 존재치 않지만 50m몰/ℓ 의 크로토노베타인이 존재하는 최소배지에서 37℃로 배양한다.
배양초기의 광학밀도는 ΔE540=0.210이었다.
[표 Ⅷ]
시간 경과에 따른 휴지기 세포의 L(-)-카르니틴 생성
Figure kpo00008
[실시예 10]
표 ⅩⅠ에 표시된 물질을 50m 몰/ℓ농도로 첨가하고 C 공급원이 부재하는 복합배지(KM) 또는 최소배지(MM)를 E. coli 044 k74로 접종하고, 또 48시간동안 배양한다. 이어 수거한 박테리아를 소텐센 완충액으로 2회 세척하고 50m 몰/ℓ 의 크로토노베타인과 함께 소텐센 완충액 중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다.
[표 ⅩⅠ]
성장 배지에 각종 물질 첨가에 따른 휴지기 세포의 L-카르니틴 형성
Figure kpo00009
+D L -γ 아미노 β-하이드록 시부틸산

Claims (5)

  1. 이, 콜리 044 k74로 아래물질을 출발물질로 하여 L-카르니틴으로 가수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L(-)-카르니틴 제조방법.
    출발물질 : 크로토노 베타인, 크로토노베타인의 니트릴, 아미드, 아릴 또는 알킬 에스테르유도체, 크로토노베타인의 염소화물, 요도화물, 과염소화물, 질산염 또는 인산염.
  2. 제1항에 이어서, 반응배지에서의 크로토노베타인농도 범위가 10μ몰 내지 5몰/ℓ인 L(-)-카르니틴 제조방법.
  3.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산소, 질산염, 트리메틸아민 N-산화물 및 기타 N-산화물, 글루코즈, 푸럭토즈, 사카로즈, 말토오즈, 디메틸설폭사이드, 푸마레이트, 크로톤에이트, 아크릴레이트 등과같이 크로토노 베타인의 γ-부티로베타인으로의 환원을 억제시키는 호흡용 전자수용체, 수소수용체 및 기타 기질을 첨가해준 시판 복합영양배지 또는 최소영양배지에서 배양을 행하는 L(-)-카르니틴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L(-)-카르니틴 합성이 유도 휴지기 세포에 의해 행해지며, 또 이같은 유도가 성장 박테리아 배지에 크로토노베타인, L(-)-카르니틴 합성이 유도 휴지기 세포에 의해 행해지며, 또 이같은 유도가 성장 박테리아 배지에 크로토노베타인, L-(-), D(+), D L-카르니틴 유도체(예 : 카르복실산에스테르, O-아실카르니틴 또는 O-아실카르니틴에스테르) 및 그 염을 첨가해서 이루어지는 L(-)-카르니틴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크로토노베타인이 박테리아 성장의 제1상에서 L(-)-카르니틴 합성용 원료물질로 사용되는 L(-)-카르니틴 제조방법.
KR1019840006883A 1983-11-03 1984-11-03 L-카르니틴의 제조방법 Expired KR8700020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D83256281A DD221905B1 (de) 1983-11-03 1983-11-03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carnitin und seinen derivaten
DEWPC12P/256281-2 1983-11-03
DEWPCO7D/256,281.2 1983-11-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502A KR850004502A (ko) 1985-07-15
KR870002073B1 true KR870002073B1 (ko) 1987-12-03

Family

ID=5551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6883A Expired KR870002073B1 (ko) 1983-11-03 1984-11-03 L-카르니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028538A (ko)
EP (1) EP0148132B1 (ko)
JP (1) JPS60137295A (ko)
KR (1) KR870002073B1 (ko)
AT (1) ATE46189T1 (ko)
CA (1) CA1244788A (ko)
DD (1) DD221905B1 (ko)
DE (1) DE3479670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3694A (ja) * 1983-04-05 1984-10-18 Hamari Yakuhin Kogyo Kk 光学活性なカルニチンの生化学的製造法
JPS59192095A (ja) * 1983-04-13 1984-10-31 Ajinomoto Co Inc L−カルニチンの製造法
FI86889C (fi) * 1984-03-29 1992-10-26 Lonza Ag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av l-karnitin pao mikrobiologiskt saett
JPS6167494A (ja) * 1984-09-06 1986-04-07 Seitetsu Kagaku Co Ltd L−カルニチンの製造方法
CH664374A5 (de) * 1985-02-27 1988-02-29 Lonza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carnitin auf mikrobiologischem weg.
ES2051890T3 (es) * 1987-10-26 1994-07-01 Sigma Tau Ind Farmaceuti Procedimiento para aislar la enzima carnitinhidroliasa de cepas pertenecientes a la familia enterobacteriaceae y empleo de la enzima inmobilizada para producir l(-)-carnitina.
IT1240833B (it) * 1990-05-14 1993-12-17 Sigma Tau Ind Farmaceuti Procedimento biocatalitico per la produzione di l-(-)- carnitina da crotonilbetaina e ceppi di proteeae per l'uso in tale procedimento
US5316917A (en) * 1992-11-04 1994-05-31 Duke University Automated analysis of free l-carnitine and total short-chain acylcarnitine
IT1261230B (it) * 1993-04-08 1996-05-09 Sigma Tau Ind Farmaceuti Procedimento migliorato per la preparazione di l-(-)-carnitina a partire da suoi precursori aventi opposta configurazione.
DE19749480A1 (de) * 1997-11-08 1999-05-20 Univ Leipzi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Carnitin aus Crotonobetain
WO2000024919A1 (en) 1998-10-27 2000-05-04 Sigma-Tau Industrie Farmaceutiche Riunite S.P.A. Coenzymes useful for the synthesis of l-carnitine
US6337197B2 (en) * 1998-10-27 2002-01-08 Sigma-Tau Industrie Farmaceutiche Riunite S.P.A. Coenzymes useful for the synthesis of L-carnitine
US7700074B2 (en) * 2002-02-07 2010-04-20 Pettegrew Jay W Method and system for diagnosis of neuropsychiatric disorders including chronic alcoholism
US7407778B2 (en) * 2002-02-07 2008-08-05 Pettegrew Jay W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neuropsychiatric disorders
ES2220219B1 (es) * 2003-05-23 2005-10-01 Universidad De Murcia Procedimiento para la produccion de l-carnitina a partir de crotonobetaina, d-carnitina, sus sales y derivados, mediante celulas permeabilizadas de proteus sp. o escherichia coli.
US20060257842A1 (en) * 2003-05-29 2006-11-16 Pettegrew Jay W Cryopreservation media and molecules
US7815894B2 (en) * 2003-05-29 2010-10-19 Jay W. Pettegrew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edical imaging of neuropsychiatric disorders
US20050232911A1 (en) * 2004-04-19 2005-10-20 Schreiber Brian D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etabolic abnormalities associated with excess intramyocellular lipid
KR100713104B1 (ko) * 2005-07-07 2007-05-02 씨제이 주식회사 뉴로스포라 크라사 유래의s-아데노실메티오닌-6-n-라이신-메틸트란스퍼라제, 그를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포함하는 벡터 및 숙주세포 및 상기 숙주세포를 이용하여트리메틸라이신을 생산하는 방법
KR100713103B1 (ko) * 2005-07-07 2007-05-02 씨제이 주식회사 뉴로스포라 크라사 유래 l-카르니틴 생합성 관련 유전자를포함하는 엔테로박테리아세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l-카르니틴의 제조방법
ATE472600T1 (de) 2005-07-19 2010-07-15 Cj Cheiljedang Corp Mikroorganismus der gattung enterobacteriacae mit genen in zusammenhang mit der biosynthese von l- carnitin sowie verfahren zur produktion von l- carnitin mit dem mikroorganismus
US20240217920A1 (en) * 2022-12-28 2024-07-04 Hubei Xujie Pharmaceutical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l-carnitin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54048A1 (de) * 1973-11-14 1975-07-24 Kanegafuchi Chemical Ind Verfahren zum zuechten von hefen
IT1142201B (it) * 1980-06-24 1986-10-08 Sigma Tau Ind Farmaceuti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enzimatica di l-carnitina
JPS59183694A (ja) * 1983-04-05 1984-10-18 Hamari Yakuhin Kogyo Kk 光学活性なカルニチンの生化学的製造法
JPS59192095A (ja) * 1983-04-13 1984-10-31 Ajinomoto Co Inc L−カルニチンの製造法
FI86889C (fi) * 1984-03-29 1992-10-26 Lonza Ag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av l-karnitin pao mikrobiologiskt saett
CH664374A5 (de) * 1985-02-27 1988-02-29 Lonza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carnitin auf mikrobiologischem we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48132A3 (en) 1986-07-16
DD221905A1 (de) 1985-05-08
ATE46189T1 (de) 1989-09-15
CA1244788A (en) 1988-11-15
DD221905B1 (de) 1987-03-18
EP0148132B1 (en) 1989-09-06
EP0148132A2 (en) 1985-07-10
US5028538A (en) 1991-07-02
KR850004502A (ko) 1985-07-15
DE3479670D1 (en) 1989-10-12
JPS60137295A (ja) 198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2073B1 (ko) L-카르니틴의 제조방법
Kinoshita et al. Utilization of a cyclic dimer and linear oligomers of ε-aminocaproic acid by Achrornobacter guttatus KI 72
Smith et al. Isocitritase: enzyme properties and reaction equilibrium
Wegener et al. Alternate pathways of metabolism of short-chain fatty acids
US4529697A (en) Process for producing L-glutamic acid by fermentation
Young et al. 2, 3-Dihydroxybenzoate as a bacterial growth factor and its route of biosynthesis
Duxbury et al. 2, 4-D metabolism: enzymic conversion of chloromaleylacetic acid to succinic acid
RU1806201C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S(+) энантиомера 2-арилпропионовой кислоты
JPH06237789A (ja) フェニル基を有する光学活性α−ヒドロキシカルボン酸の 製造法
Roberts et al. Transamination of γ-aminobutyric acid and b-alanine in microorganisms
Scannell et al. ANTIMETABOLITES PRODUCED BY MICROORGANISMS. VI 1) L-N5-(1-IMINOETHYL) ORNITHINE
EP0457735B1 (en) Biocatalytic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L-(-)-carnitine from crotonobetaine and strains of Proteeae for use in said process
Seim et al. Synthesis of L (-)-carnitine by hydration of crotonobetaine by enterobacteria
Jung et al. Metabolism of D (+)-carnitine by Escherichia coli
CA2021869C (en) Process for microbiological batch production of l-carnitine
JP2002528468A (ja) L−カルニチンの合成に有用な補酵素
JPH0499496A (ja) R(‐)―マンデル酸誘導体の製造法
US4269942A (en) Process for preparing acyl-CoA synthetase LCF-18
FR2653135A1 (fr) L-carnitine deshydrogenase stable et procede pour sa production.
Blakley Citrate formation in Mycobacterium phlei
JPH047678B2 (ko)
Suzuki et al. Induction and Stabilization of Yeast Aconitase Activity by Fluorocitrate
Kleber Metabolism of trimethylammonium compounds by Acinetobacter
Naji et al. Structure of surfactants and glutamate efflux by Corynebacterium glutamicum
FR2528867A1 (fr) Procede de preparation de l-leucine par fermen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11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412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4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