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70001426Y1 - 주화류 투입함 - Google Patents

주화류 투입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426Y1
KR870001426Y1 KR2019840010496U KR840010496U KR870001426Y1 KR 870001426 Y1 KR870001426 Y1 KR 870001426Y1 KR 2019840010496 U KR2019840010496 U KR 2019840010496U KR 840010496 U KR840010496 U KR 840010496U KR 870001426 Y1 KR870001426 Y1 KR 8700014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door
container
opening
coin contai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04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5225U (ko
Inventor
이홍균
안중근
Original Assignee
이홍균
안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균, 안중근 filed Critical 이홍균
Priority to KR20198400104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1426Y1/ko
Publication of KR8600052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52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4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426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주화류 투입함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 절개사시도.
제2도는 주화 수거통의 정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가 -가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로서 투입함에 주화상자를 끼워넣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5도는 주화상자에 주화가 투입됨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제6도는 투입함에서 주화상자를 빼내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제7도는 주화상자가 투입함에서 완전히 빼내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변형된 구조의 주화상자를 투입함에 끼워 넣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제9도는 제6도에서의 주화상자를 투입함으로부터 빼내는 과정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투입함 2 : 주화 수거통
3 : 호퍼 4 : 레버
5 : 개폐판 7 : 빗장
9 : 핑거 10 : 도어
11 : 인장스프링 13 : 보조자물쇠
15 : 걸림대 18 : 스톱퍼
181 : 판스프링 182 : 걸림쇠
본 고안은 주화류 투입함에 관한 것이다.
버스와 같이 사용료를 주화 등으로 계산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가 투입하는 주화를 수집하기 위한 투입함이 요구된다.
이 종류의 투입함은 주화가 투입자의 손을 떠나 투입함에 수집된 후부터는 가급적 사람의 손이 닿지 않도록 배려된 구조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나 종래의 투입함은 투입함에서 주화를 수거할 때 보안 유지가 되지 않는다는 구조적인 결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결점을 해결하고자 투입함 내부에 분리 가능한 주화수개통를 장치한 주화류 투입함에 있어서 주화수거통이 투입함으로부터 빼내어지면 저절로 봉함될 수 있는 주화류 투입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주화류 투입함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부호 1은 투입함, 2는 주화수거통을 표시한다.
투입함(1)은 상측에 경사상의 호퍼(3)가 부착되어 있고 하측에는 레버(4)에 의해 선회가능한 개폐판(5)이 경첩방식으로 설치된다.
개폐판(5)을 스프링(6)에 의해 항상 폐문상태를 유지하며 조작자가 레버(4)를 조작함에 따라 하방으로 선회되어 열려지도록 되어 있다.
개폐판(5)의 밑면은 빗장(7)이 장치되어 있으며 이 빗장(7)은 스프링(8)의 힘으로 당겨져서 비스등히 위치됨으로써 명상시 개폐판(5)이 열리지 않도록 해준다.
주화수거통(2)은 전방에 핑거(9)가 부착되어 있다.
이 핑거(9)는 주화수거통(2)을 투입함(1)에 장착시킬 때 빗장(7)을 밀어주어 개폐판(5)이 열릴 수 있는 상례가 되도록 해준다.
주화수거통(2)의 상면을 개폐하는 도어(10)는 인장스프링(11)의 탄성력을 받아 항상 폐문이 되도록 구성된다.
도어(10)가 폐문이 되면 공지의 자물쇠(12)에 의해 잠궈지게 된다.
만약 도어(10)가 항상 폐문되어 있으면 투입함(1) 내에 장치되더라도 주화는 투입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주화수거통(2)을 투입함(1)에 장치하려면 먼저 도어(10)를 열어놓고 장치해야 하며 장치된 후에는 도어(10)가 인장스프링(11)의 힘으로 당겨져 닫혀질 수 있게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주화수거통(2)의 후방 측면에 보조자물쇠(13)를 설치하고 있다.
보조자물쇠(13)는 제2도의 도시와 같이 일단을 주화수거통(2)의 외부로 돌출시키는 스프링(14)이 장치되고 타단은 도어(10)의 밑면에 고정된 걸림대(15)를 잠그거나 풀어주기 위한 걸림턱(16)을 보유한다.
이와같은 구조에 의해 도어(10)는 열리게 되면 그 밑면의 걸림대(15)가 제3도의 도시와 같이 보조자물쇠(13)의 걸림턱(16)에 잠궈지게 되므로 인장스프링(11)의 탄성력이 가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문상태가 유지되어진다.
그러나 수화수거통(2)을 투입함(1) 내로 밀어넣어 장치할 때 투입함(1)의 측벽에 주화수거통(2)의 보조자물쇠(13)가 접촉하게 되면 보조자물쇠(13)는 안으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그 결과 걸림턱(16)은 측방으로 전이되어 걸림대(15)를 풀어주게 되며 도어(10)는 인장스프링(11)의 힘을 받아 닫혀지게 된다.
주화수거통(2)이 투입함(1)에 장치된 후에는 다시 꺼낼 때까지 도어(10)가 닫혀지지 않아야 한다.
그러므로 인장스프링(11)의 힘으로 닫혀지는 도어(10)를 적당한 지점에서 제지해 주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도어(2)의 상면에 돌기(17)를 고차시키고 이 돌기(17)와 맞닿도록 투입함(1) 내의 적당한 위치에 스톱퍼(18)를 설치하여 이를 해결한다.
상술한 구조의 본 고안을 주화수거통(2)이 투입함(1) 내로 장치되고 나서 빼내어질 때까지를 제4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주화수거통(2)이 투입함(1)에 장치될 때 도어(10)는 그 밑면의 걸림대(15)가 보조자물쇠(13)의 걸림턱(16)에 잠궈져서 개문상태를 유지하게 된다(제4도 참조).
주화수거통(2)이 투입함(1)에 거의 장치될 즈음, 보조자물쇠(13)는 투입함(1)의 측벽에 늘려져서 걸림대(15)를 풀어주게 됨으로 도어(10)는 인장스프링(11)의 힘을 받아 닫혀지게 되나 그 도중에 상면의 돌기(17)가 투입함(1) 내부의 스톱퍼(18)에 당접되어 개문상태는 여전히 본전되어지며 전방의 핑거(9)는 빗장(7)을 밀어붙여 개폐판(5)이 열리는데 장애가 되지 않도록 해준다.
이 상태에서 주화(C)는 투입함(1)의 호퍼(3)를 통해 수집되어 개폐판(5)의 상부에 쌓여진다.
상당량이 쌓여졌을 때 레버(4)를 조작해서 개폐판(5)을 열어주면 주화(C)는 주화수거통(2) 내로 낙하수집된다(제5도 참조).
주화수거통(2)을 투입함(1)으로부터 빼내면 핑거(9)는 빗장(7)으로부터 떨어져 나가게 되고 빗장(7)은 스프링(8)의 힘으로 복귀되어 다시 개폐판(5)의 밑면을 받쳐주어 레버(4)를 잘못 작동하더라도 개폐판(5)이 열려지지 않도록 해준다.
또한 주화수거통(2)이 투입함(1)에서 완전히 빠져나오면 도어(10)는 인장스프링(11)의 힘으로 닫혀지기 시작한다(제6도 참조).
주화수거통(2)이 투입함(1)에서 완전히 빠져나오면 도어(10)는 자물쇠(12)에 의해 저절로 잠궈져서 보안이 유지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주화가 투입함(1)에 투입되면 개방될 때까지 외부로부터의 손길이 미치지 못하도록 배려한 것이므로 취급자는 보안사고를 일으킬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제8도 및 제9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부분은 동일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볼 수 있는 보조자물쇠(13)가 생략될 수 있는 구조로서 도어(10)는 인장스프링(11)을 반대위치에 설치하여 줌으로써 항상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대신에 도어(10)의 돌기(17)와 맞닿는 부분은 판스프링(181)에 탄압되는 걸림쇠(182)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주화수거통(2)를 투입함(1)에 장치할 때는 돌기(17)가 제8도의 도시와 같이 걸림쇠(182)를 밀어 제끼고 통과하게 되고 주화수거통(2)을 투입함(1)에서 꺼낼 때는 제9도의 "A"위치에서 주화수거통(2)은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어(10)의 돌기(17)는 걸림쇠(182)에 걸려져서 판스프링(181)의 탄력을 꺽어 넘길 때까지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10)는 정지상태로 되고 주화수거통(2)만이 이동되어지므로 그 결과 도어(10)는 닫혀지게 된다.
주화수거통(2)이 "B"의 위치로 오게 되면 도어(10)는 자물쇠(12)에 의해 잠꿔지게 되며 그후에는 주화수거통(2)에 수반하여 도어(10)의 돌기(17)도 이동되어 판스프링(181)의 탄력에 저항해서 걸림쇠(182)를 역방향으로 밀어 제끼게 된다. 이로 인하여 주화수거통(2)은 아무런 장애를 받지 않고 투입함(1)으로부터 빼내질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상면에 호퍼(3)를 장치하고 레버(4)에 의해 개방되는 개폐판(5)를 보유하는 공지의 주화류 투입함에 있어서 개폐판(5)의 하측에 빗장(7)을 설치하고, 적당한 위치에 스톱퍼(18)를 고착시킨 투입함(1)과 인장스프링(11)에 의해 항상 폐문되어지는 도어(10)를 보유하고 전방에 핑거(9)를 부착하여 전기한 도어(10)의 상면에는 돌기(17)를 설치하고 후방측 밑면에는 개문시 보조자물쇠(13)로 잠꿔지는 걸림대(15)를 부착시킨 주화수거통(2)으로 구성되는 주화류 투입함.
  2. 삭제
KR2019840010496U 1984-10-24 1984-10-24 주화류 투입함 Expired KR8700014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0496U KR870001426Y1 (ko) 1984-10-24 1984-10-24 주화류 투입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0496U KR870001426Y1 (ko) 1984-10-24 1984-10-24 주화류 투입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225U KR860005225U (ko) 1986-05-10
KR870001426Y1 true KR870001426Y1 (ko) 1987-04-13

Family

ID=70162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0496U Expired KR870001426Y1 (ko) 1984-10-24 1984-10-24 주화류 투입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142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225U (ko) 198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9899A (en) Dispenser for medical preparations including locking means
US4383707A (en) Closing device for doors and the like
US3850463A (en) Latch assembly
JPH04311485A (ja) 磁気テープカセット用の収容容器
KR870001426Y1 (ko) 주화류 투입함
EP1703475A1 (en) Security apparatus
EP0571188B1 (en) Coin box storage structure
EP0212165A3 (en) Vending machine with an exchangeable coin box
US5570836A (en) Coin collector for an automatic dispenser
JPH06506075A (ja) 金銭登録機の登録機引出し
US2856122A (en) Theft-prevention coin collecting assembly
JPH07217282A (ja) 自動販売機、両替機等における施錠金庫
JPS6222935Y2 (ko)
JP3144288B2 (ja) 料金箱の構造
JPS5913076B2 (ja) 現金箱の受入口閉鎖装置
KR920005329Y1 (ko) 금고의 금전 투입 장치
TW200583B (en) A structure of coin collector
JP2621527B2 (ja) 紙幣収納装置
KR920010502A (ko) 지폐자동 입출금기의 지폐수납 카세트
JPH08296356A (ja) 傘のロック装置
KR930004168Y1 (ko) 저금통
JP2661938B2 (ja) 郵便物収納装置
JPH0749590Y2 (ja) 自動販売機の硬貨返却装置
KR970029729A (ko)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도어 잠금 장치
JPS622293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4102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4102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861024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7031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706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