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60001572B1 - 도어폐쇄 장치를 갖춘 피벗힌지 - Google Patents

도어폐쇄 장치를 갖춘 피벗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572B1
KR860001572B1 KR1019810002348A KR810002348A KR860001572B1 KR 860001572 B1 KR860001572 B1 KR 860001572B1 KR 1019810002348 A KR1019810002348 A KR 1019810002348A KR 810002348 A KR810002348 A KR 810002348A KR 860001572 B1 KR860001572 B1 KR 860001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ylindrical case
disc
door closing
outer cylindric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2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6559A (ko
Inventor
료오이찌 사사끼
Original Assignee
니혼덴기세이끼 가부시기가이샤
이노우에 도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002380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29253Y2/ja
Priority claimed from JP9002280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0866Y2/ja
Priority claimed from JP9002480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0867Y2/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덴기세이끼 가부시기가이샤, 이노우에 도시오 filed Critical 니혼덴기세이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6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6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572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 E05D7/086Braking devices structurally combined with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06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in which a torsion spring rotates a member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ist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08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in which a torsion spring rotates a member around an axis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the pist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어폐쇄 장치를 갖춘 피벗힌지
제 1 도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제 2 도는 도어폐쇄 장치가 제거되고 덮개판이 부착된, 제 1 도의 피벗힌지의 종단면도.
제 3 도는 고정나사가 제거된 상태의 제 1 도의 III-III 단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III-III 단면도.
제 5 도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피벗힌지의 평면도.
제 6 도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
제 7 도는 도어프레임에 고정되는 좌판용 덮개판의 투시도.
본 발명은 자동도어폐쇄기구, 특히 자동도에폐쇄 메카니즘을 갖춘 피벗힌지에 관한 것이다.
도어의 상단부를 지지하며, 자동도어폐쇄 메카니즘을 갖춘 피벗힌지 (회전경첩)는 공지의 기술로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예를들면, 영국 특허번호 제1,227,324호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도어폐쇄 기능이 요구되지 않을 경우, 도어폐쇄 메카니즘을 지닌 피벗힌지를 이러한 기능이 없는 것으로 교환할 필요가 있으며, 한편, 피벗힌지가 부착된 도어의 폐쇄기능이 필요한 경우, 도어폐쇄 메카니즘을 갖춘 피벗힌지로 바꾸어야 할 필요가 있으나, 이러한 교환작업은 복잡하다.
도어폐쇄 기능이 있는 피벗힌지의 부착과 제거를 간단하게 수행하기 위해서 도어폐쇄 장치가 부착된 피벗힌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피벗힌지에 대하여 1979년 영국특허출원 제2874호에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특허출원에 기재되어 있는 피벗힌지는 도어의 하단끝을 지지하게 되어 있으므로 도어의 상단부를 지지하는데 사용할 경우, 장시간 사용하면, 도어폐쇄 장치가 떨어질 염려가 있다. 오일댐퍼를 가진 도어폐쇄 장치가 부착된 피벗힌지일 경우, 오일댐퍼에서 오일이 새기쉽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상단부에 지지되며, 피벗힌지에 부착된 도어폐쇄 장치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도어폐쇄 장치를 가진 피벗힌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상단부에 지지되며 착탈이 용이하고, 장시간 사용에도 자동적으로 떨어지지 않는 도어폐쇄 장치를 가진 피벗힌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의 상단부에 지지되며 도어폐쇄 장치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장시간사용시에서 오일이 새지 않는 오일댐퍼 메카니즘을 가진 피벗힌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의 상단부에 지지되며 도어폐쇄 장치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고 도어폐쇄 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댐퍼메카니즘을 가진 피벗힌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순한 구조와 염가로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의 상단부에 지지되며 그 지지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도어폐쇄장치를 갖춘 피벗힌지는, 도어프레임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제 1 플레이트부와, 이 제 1 플레이트부에 고정되고 제 1 플레이트부 하단으로 뻗어있는 피벗핀과, 도어프레임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피벗핀의 하단부에는 축으로 회전되는 제 2 플레이트부로 구성되어 있다. 도어폐쇄 장치는, 이 장치의 하우징인 외부원통 케이스와, 이 외부원통 케이스에회전 가능하게 착설된 내부부재와, 이 외부원통 케이스내에 착설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각각 이루어져 있다. 이 코일스프링 양단부는 각각 외부원통 케이스와 내부원형 부재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외부원통 케이스와 내부원형 부재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서 비틀 어지게 되어 있다.
도어폐쇄 장치는 이 도어폐쇄 장치의 상단부에서, 이 외부원통 케이스의 상단부와 제 2 플레이트부 사이및 내부원형 부재의 상단부와 피벗핀의 하단부 사이의 비회전식 접속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플래이트부는, 도어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제 1 부 착편과 이 부착편으로부터 일체가 되어 수평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 1 원판부를 포함하고 있다. 피벗핀은 제 1 원판부에 고정되어 있고 제 1 원판부의 중심부로부터 하단부로 돌출되어 있다. 제 2 플레이트부는 도어에 고정되는 제 2 부착편과, 상기 제 2 부착편으로부터 일체가 되어 수평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 2 원판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원판부는 피벗핀의 하단부에서 축으로 회전되며, 외부원통 케이스의 상단부는 제 2 원판부상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원판부는, 그 외부표면에 복수개의 제 1 축홈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원통 케이스의 상단부의 내부표면에 복수개의 제 2 축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인접한 제 2 축홈들 사이에는 축융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원통 케이스는 축융기부를 가진 제 1 축홈과 맞물리게 함으로서 제 2 원판부에 비회전식으로 연결된다.
지지원판부재는 제 2 원판부의 상단면상에 포개어지며 피벗핀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도록 착설되어 있고, 원판둘레 가장자리부에서 축융기부와 방사상의 돌기들이 맞물려지도록 복수개의 제 1 전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원통 케이스에는 그 상단개구부의 내부표면내에 각각의 축융기부를 차단하는 환영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축융기부는 지지원판부재가 외부원통 케이스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환형상의 홈을 가지고 있다. 외부원통 케이스는 환형상의 홈과 방사상의 돌기와의 맞물리는 것에 의해 제 2 원판부에 지지된다.
제 1 덮개판은 제 2 원판부상에 고정되고, 하나의 측면플레이트부를 가진다. 제 1 나사는 측면플레이트부에 나합되어 있다. 지지원판부재는 제 1 나사의 내부단부와 맞물리는 방사상의 플랜지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 나사부와의 나합에 의해 환원형의 홈과 방사상의 돌기가 결합된다.
또한 도어폐쇄 장치에는 문이 닫히는 속도를 감소시키는 댐퍼메카니즘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댐퍼메카니즘은 외부원통 케이스에 고정되고, 내부원형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실린더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 실린더부재 내에는 오일이 들어 있으며, 이 실린더부재내에는 피스톤부재가 착선되어 있다. 이 피스톤부재는 내부원형부재와 외부원통 케이스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서 실린더부재내에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이 피스톤 부재의 양단부 사이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오일이 흐르도록 피스톤 부재에는 책크밸브가 착설되어 있다. 이 책크밸브는, 도어를 닫는 동작에 의해 피스톤부재가 움직일 경우, 오일의 흐름을 방지함으로서 도어를 닫는 속도가 지연된다.
또한, 도어폐쇄 장치는 실린더부재내로 신장하는 하단부가 그 상단부에서 내부원형부재에 고정된 축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 피스톤부재는 회전할 수는 없으나 축부재의 신장부에 접동자재케 실린더부재내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외부원통 케이스와 내부원형부재의 상대적인 회전에 따라서 실린더부재내에서 왕복회동 가능하다.
또한, 도어폐쇄 장치에는 제 1 구멍을 가진 내부원형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축부재는 상기 제 1 구멍과 접속되는 제 2 구멍을 가지고 있다. 로드수단은 제 1, 제 2 구멍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축운동을 방지하도록 축부재에 고착되어 있다. 작동부재가 축부재 및 로드수단의 한쪽 연장단부에 나합되어 있고, 다른쪽의 연장단부에는 비회전식으로 접속되어 있으나, 축방향으로 접동 가능하므로 작동부재는 로드부재의 회전방향과는 독립적으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가 있다. 조정로드는 작동부재에 고정되어 있고, 그곳으로부터 피스톤부재의 오일구멍을 통해서 실린더까지 뻗어 있다. 이 조정로드는 경사진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경사진 면을 따라 오일구멍내로 오일이 흐르는 오일통과 간극은 로드부재의 회전에 의해서 변경할 수 있다.
피벗핀은 도어폐쇄 장치가 힌지에 결합될때 내부원형부재의 제 1 축구멍과 접속되는 제 3 축구멍을 가지고있다. 작동로드부재는 회전가능하게 착설되어 있으나, 제 3 구멍 내에서 움직이지 않게 회전식으로 배치되며, 그것의 헤드부는 피벗핀의 정상단부로부터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작동로드부재의 하단부는 스크루드라이버 끝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로드부재는 그 정상단부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고, 거기에서 작동로드수단의 스크루드라이버 끝이 물려지므로, 도어가 문이 닫히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작동로드부의 상단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로드 수단은 회전된다.
본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 및 제 2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동 도면에 있어서, 피벗힌지(1)는 도어프레임(10)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제 1 좌판(11)과, 이 제 1 좌판(11)에 고착된 수직핀 혹은 피벗핀(12)과, 이 피벗핀(12)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되고, 도어의 정상단부에 고정된 제 2 좌판(21)으로 구성된다.
제 1 좌판(11)은, 도어프레임(10)에 나사수단에 의해 고정된 제 1 부착편(111)과, 이 제 1 부착편(111)에서 수평으로 돌출되는 제 1 원판부(112)로 이루어진다. 제 1 원판부(112)는 대체로 중심영역에서 반원형의 구멍(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피벗핀(12)은 그 상단부가 대체로 반원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외부면으로부터 제 1 원판부(112) 내에 나합되는 나사(13)에 의해 제 1 좌판(11)에 고착되므로, 피벗핀(12)은 제 1 좌판(11)에 회동할 수 없도록 착설된다.
또한 제 2 좌판(21)은 나사에 도어(20)의 사단부에 고정되는 제 2 부착편(211)과, 이 제 2 부착편(211)에서 수평으로 돌출되는 제 2 원판부(212)로 구성된다. 이 제 2 원판부(212)는 중심부위에 원형구멍이 구성되며, 여기에 피벗핀(12)의 하단부분이 베어링(22)에 의해 회전자재케 지지된다. 따라서, 도어(20)는 피벗힌지(1)에 의해 지지되며, 피벗핀(12)에 의해 형성된 회전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덮개판(14)(24)은 각각 제 1 좌판(11)과 제 2 좌판(21)의 제 1 및 제 2 원판부(112)(212)의 외부표면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좌판(21)을 위한 덮개판(24)은 도어폐쇄장치(2)가 힌지(1)에 부착될때 제거된다. 장식덮개판(23)은 제 2 좌판(21)의 2 제원판부(212)의 아래면에 부착되어 있다.
도어 폐쇄장치(2)는 피벗힌지(1)에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부착된다.
도어 폐쇄장치(2)는 제 2 좌판(21)에 접속되는 하우징 또는 외부원통 케이스(40) 및 피벗핀(12)과 접속되는 내부원형부재(40)로 구성되고 외부원통 케이스(40)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내부원형부재(40)내에 피벗핀(12)이 배선되어 있다. 코일스프링(31)은 외부원통 케이스(30) 내에 착설되어 있고, 코일스프링(31)의 하단부는 외부원통 케에스(30)에, 상단부는 내부원형부 재(40)에 각각 접속되어 있으므로 도어를 열때 코일스프링(31)이 비틀리게 된다. 이 비틀어진 코일스프링(31)의 복원력은 도어를 폐쇄시킨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원통 케이스(30)의 하단부에 핀 혹은 나사수단(32)에 의해서 링부재(33)가 고정된다. 또한 코일스프링(31)의 하단부는 나사수단(32)에 의해 링부재(33)에 고정된다. 내부원형부재(40)는 하단면에 홈(401)이 형성되어 있어서, 여기에 코일스프링(31)의 상단부와 결합된다.
외부원통 케이스(30)는 그 상단개구부의 와셔판(35)에 의해 폐쇄되며 와셔판(35)은 상단개구부에 고정된 고정링(36)에 의해 고정된다. 내부원형부재(40)는, 내부원형부재의 외부면과 외부원통 케이스(30)의 내부면 사이에 배설된 볼 베어링(37)에 의해 회전지지 된다.
제 1 도,제 2 도 외에 제 3 도,제 4 도에 있어서, 외부원통 케이스(30)의 상단부에는 제 2 좌판(21)의 제 2 원판부(212)상에 놓인다. 즉, 외부원통 케이스(30)의 상단부는 그 내부면에 복수의 제 2 축홈(301)이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부분에는 축융기부(302)가 형성되며, 복수의 제 1 축홈(214)은 축융기부(301)와 계합하도록 제 2 좌판(21)의 제 2 원판부(212)의 외부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부원통 케이스(30)의 상단부가 제 2 좌판(21)의 제 2 원판부(212)에 부착될 때는 제 2 좌판(21)과 외부원통 케이스(30) 사이의 상호회전이 저지된다. 외부원통 케이스(30)를 제 2 좌판(21)에 고정시키기 위한 적절한 수단이 사용되며, 외부원통 케이스(30)를 제 2 좌판(21)에 고정시키는 데 있어서 적절한 수단은 제3도,제4도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피벗핀(12)의 하단부를 내부원형부 재(40)의 중앙구멍에 삽입하고 외부원통 케이스(30)의 상단부를 제 2 원판부(212)에 고정함으로서 도어폐쇄 장치(2)가 힌지(1)에 부착될 경우, 코일스프링(31)은 도어가 열릴 때 비틀려지고, 이 비틀림에 의한 코일스프링(31)의 복원력은 도어를 폐쇄하는 작용을 한다.
제 1 도에 있어서, 내부원형부재(40)에는 그 내부면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피벗핀(12)의 하단부에는 홈과 계합하는 복수의 축융기부가 그 외부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피벗축(12)이 내부원형부재(40)의 중앙구멍으로 삽입되었을 때 피벗축(12)의 하단부는 축홈과 축융기부에 의해 내부원형부재(40)에 회전이 저지되게 접속되는 스플라인 접속이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나사(38)가 외부원통 케이스(30) 둘레에 나합되어 있으며, 이 고정나사(38)는 원형홈(403) 내에 고정된 핀(39)과 계합하여, 도어의 폐쇄회전력이나 코일스프링(31)의 복원력을 설정하기 위하여 외부원통 케이스(30)에 대하여 내부원형부재(40)가 회전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된다. 따라서 도어폐쇄 장치는, 공장에서 출고전에 코일스프링(31)이 비틀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외부원통 케이스(30)에 대하여 내부원형부재(40)를 회전함으로서 프리셋트 할 수 있으며, 프리셋트 한 후, 외부원통 케이스(30)에 대하여 내부원형부재(4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나사(38)로 조여진다.
도어폐쇄장치가(2) 피벗힌지(1)에 부착된 후, 비틀린 코일스프링(31)의 복원력은 고정나사(38)을 제거함으로써도 어지지판(21)에 전달된다. 고정나사(38)를 제거하지 않고도 도어(20)를 열수 있도록 원형홈(403)이 180°정도 연장되어 있다.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도어가 빨리 닫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복원력 댐핑메카니즘을 값추고 있다.
실린더 중공부재(50)는 코일스프링(31)안 쪽에 있고, 그 하단개구부는 실린더 중공부재(50)에 용접된 하부덮개부재(34)에 의해 밀폐되어 있다. 하부덮개부재(34)는 링부재(33)와 함께 나사수단(32)에 의해 외부원통 케이스(30)에 고정된다. 실린더헤드(51)가 실린더 중공부재(50)의 상단개구부에 연결되며 밀봉링(511)이 실린더 중공부재(50)의 안쪽면과 실린더헤드(51)의 바깥쪽면 사이에 착설된다. 댐퍼축(41)이 실린더 헤드(51)를 개재해서 실린더 중공부재(50) 내에 삽입되며, 실린더헤드(51)에 고착된다. 댐퍼축(41)의 상단부는 내부원형부재(40)의 중앙구멍으로 삽입되며, 스플라인접속부재(411)에 의해 내부원형부재(40)가 회전이 저지되도록 접속된다.
실린더중공부재(50)에는 댐퍼오일(52)이 담겨 있고, 외부면에 나사가 깎인 피스톤부재(53)가 실린더중공부재(50)의 내면에 형성된 나선형의 홈(501)과 계합하는 외부나사(53a)와 함께 실린더 중공부재(50)내에 고정된다.
피스톤부재(53)는 속이 빈몸체로 되어 있으며 댐퍼축(41)의 하단부가 이 중공부내로 뻗어있다. 댐퍼축(41)은 이들 사이에서 스플라인 접속에 의해 회전하지 않으나, 피스톤부재(53)를 움직인다. 따라서, 피스톤부재(53)는 외부원통 케이스(30)와 함께 실린더 중공부재(50)의 회전에 의해 댐퍼축(41)을 따라 상하동작한다.
피스톤부재(53)는 그 하단부에서 용접된 격벽(531)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격벽(531)은 피스톤부재(53)와 함께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격벽(531)에는 첵크밸브를 구성하기 위하여 밸브볼(532a)을 수용하는 작은 구멍(532)과 또 다른 작은 구멍(533)이 형성되어 있다.
도어가 열릴때, 피스톤부재(53)는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위쪽으로 움직이며, 이때 댐퍼오일(52)은 구멍(532)과 (533)을 통해 아래로 흐른다. 도어가 닫혀질때에는, 피스톤부재(53)는 아래로 움직임과 동시에, 댐퍼오일은 구멍(533)을 통해 위로 흐르지만 또 다른 구멍(532)은 밸브볼(532a)에 의해 폐쇄된다. 이와같이 밸브볼(532a)은 첵크밸브를 구성하므로, 도어를 닫을 때에 첵크밸브에 의해 오일의 흐름이 저지되기 때문에, 피스톤부재(53)의 이동속도는 규제되며, 따라서 도어를 닫는(폐쇄) 속도가 줄어든다.
도어의 폐쇄속도는 조정봉(54)를 조절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조정봉(54)은 경사면(54a)으로 가공되어 있으며, 구멍(533)에까지 뻗혀 있는 경사면(54a)을 따라 오일의 통로의 틈을 제공한다. 조정봉(54)의 상단부는 댐퍼축(41)의 중앙구멍(41a)에 있는 나사(55)로 고정되고 나사(55)에는 중앙에 네모진 구멍(55a)이 형성되어 있어, 이 구멍내에 네모봉(56)이 축상에서 접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네모봉(56)은 댐퍼축(41)의 중앙구멍(41a)를 통해 위로 뻗어 있으며, 그 상단부는 댐퍼축(41)에 의해 규제된다. 네모봉(56)의 상단면에는 홈(561)이 형성되어 있다. 조정핀(15)이 피벗핀(12)에 형성된 중앙구멍(121)에 삽입되며, 그 하단부(151)는 스크류 드라이버의 끝 모양을 하고 있어 홈(561)내에 수용된다. 조정핀(15)의 상단부에는 헤드(16)가 있으며, 이 헤드(16)는 피벗축(12)의 상단부에 놓인다. 따라서 조정핀(15)을 스크류 드라이버로 회전시키면, 네모봉(56)이 회전되고, 나사(55)와 조정봉(54)이 조정핀(15)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하로 작동된다. 따라서, 구멍(533)에 있는 조정봉(54)의 경사면(54a)을 따라 오일통로의 틈새를 조정할 수 있다.
조정봉(54)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은 도어가 큰 각도로 열린 위치에서의 댐핑효과를 증대시키는 또 다른 장점을 갖고 있다.
제 1 도에 있어서의 (152), (412), (534)는 실린더 중공부재(50)의 내부중공부를 밀봉하기 위한 0링(혹은 밀봉링)이다.
장시간 사용시 도어폐쇄 장치가 피벗힌지로부터 자동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원판부재(60)가 사용된다.
제 1 도, 제 2 도 외에 제 3 도 및 제 4 도에 있어서, 지지원판부재(60)는 링모양의 플레이트이며, 제 2 좌판(21)의 제 2 원판부(212)에 중첩된다. 또, 지지원판부재(60)는 그 원주가장자 리부분 에축융기부(302)와 계합하는 복수의 절결부(601)가 형성되어 있고, 그 외부 가장자리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방사상의 돌기(602)와 결합한다. 외부원통 케이스(30)의 상단부의 내면에 각각의 축융 기부(302)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환형상의 홈(303)이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원통 케이스(30)가 제 2 좌판(21)의 제 2 원판부(212)에 끼워진 후, 지지원판부재(60)가 조금 회전하면 방사상의 돌기(608)가 각각 축융기부(302)의 환형상의 홈(302)에 끼워진다. 따라서, 외부원통 케이스가(30) 제 2 좌판(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원판부재(60)를 회전하고, 지지원판부재(60)를 약간회전된 상태에 놓이게 하기 위해 나사(17)가 사용되고, 이 나사(17)는 장식덮개판(23)의 측벽부(232)에 형성된 나사구멍(231)에 조여진다. 지지원판부재(60)에는 제 2 부착편(211)을 향해서 수평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602)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부(602)의 단부는, 나사구멍(231) 내로 조여지는 나사(17)의 단부와 접촉하며, 나사(17)를 조임으로써 제 3 도의 화살표A 방향으로 지지원판부재(60)가 회전된다.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플랜지부(602)의 타단부는 외부원통 케이스(30)의 절결부(304)의 가장자리와 접촉하고 있으므로, 방사상의 돌기(608)가 외부원통 케이스(30)의 각각의 상응하는 축융기부(302)의 홈(303)에 놓이는 상태에서 지지원판부재(60)가 위치하게 된다.
지지원판부재(60)의 플랜지부(602)에는 원주상에 절결부(603)가 형성되어 있으며 핀(215)이 절결부(603)내에 삽입되도록 제 2 좌판(21)의 상단면에 고정되고, 지지원판부재(60)의 회전각도를 규제하며, 절결부(601)가 제 2 좌판(21)의 제 2 원판부(212)의 제 1 홈(214)에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위치가 되는 각도로 지지원판부재를 위치시킨다. 그러므로, 도어폐쇄장치(2)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어폐쇄장치(2)가 피벗힌지(1)에서 제거될 때에 있어 축융 기부(302)에 있는 홈(303)으로부터 방사상의 돌기(608)를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지지원판부재(60)에는 그 상단면에 핀(604)을 갖추고 있다. 적절한 연장이나 혹은 손으로 핀(604)을 잡아당기면, 지지원판부재(60)가 도면의 화살표 A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되므로, 방사상의 돌기(608)는 외부원통 케이스(30)의 제 2 홈(301) 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폐쇄장치(2)는 힌지(1)로부터 제거된다.
제1도,제2도 외에 제5도,제6도 및 제 7도를 참조해 보면, 덮개판(14)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제거할 수 없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피벗핀(12)은 나사(13)에 의해 제 1 좌판(11)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은 피벗힌지(1)을 사용하여 도어(20)을 고정시키는 상태임을 의미한다. 반면,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피벗힌지(1)가 나사(13)에 접근하기 쉬운 상태로 배열되었을 경우, 도어(20)는 쉽게 이탈된다. 따라서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판(14)이 제 1 좌판(11)에 부착된다. 덮개판(14)은 제 1 좌판(11)의 제 1 원판부(112)외부면을 덮으며, 제 1 원판부(112)의 아랫면을 덮는 플랜지(141)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141)에는 구멍(142)이 있으며, 이 구멍(142)을 개재해서 덮개판(14)과 제 1 좌판(11)을 고정하기 위하여 제 2 원판부(112)에 나사(18)가 조여진다. 도어(20)가 닫힌 상태일 경우, 제 1 좌판(11)이 제 2 좌판(21)에 중첩되기 때문에 나사(18)는 제 2 좌판(21)으로 덮여진다. 따라서 나사(18)은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는 제거할 수 없다.
이상,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다만 예에 불과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지의 기술에 의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형과 개량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도어프레임(10)에 고착되는 제 1 부착편(111)과 상기 제 1 부착편(111)으로부터 일체가 되어 수평으로 돌출하는 제 1 원판부(112)를 가진 제 1 좌판(11)과, 도어(20)에 고착되는 제 2 부착편(211)과 상기 제 2 부착편(211)으로 부터 일체가 되어 수평으로 돌출하는 제 2 원판부(212)를 가진 제 2 좌판(2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제 1 및 제 2 원판부(112)(212)에서 피벗핀(12)에 의해서 상기 제 1 및 제 2 좌판(11)(12)이 서로 접속되는 피벗힌지(1)와, 그 내부에 도어폐쇄 메카니즘(30)-(40)을 포함하는 외부원통 케이스(30)를 가진 도어폐쇄장치(2)로 구성되어 도어상단부에 지지되고 용이하게 착탈가능하게 착설된 도어폐쇄 장치를 갖춘 피벗힌지에 있어서, 외부표면에 복수개의 제 1 축홈(214)이 형성된 제 2 원판부(212)와, 그 개구단부의 내부표면에 복수개의 제 2 축홈(301)이 형성되고 인접하는 상기 제 2 축홈(301) 사이에는 축융기부(302)가 형성되며, 이 축융기부(302)와 제 1 축홈(214)을 맞물리게 함으로서 상기 제 2 원판부(212)에 비회전식으로 연결되는 외부원통 케이스(30)와, 상기 제 2 원판부(212)의 상부표면상에 포개어지며 피벗핀(12)에 대해서 회동자재케 착설되고 상기 축융기부(302)와 방사상의 돌기(608)가 맞물려지도록 그 원둘레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제 1 절결부(601)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원판부재(60)와, 상기 지지원판부재(60)가 상기 외부원통 케이스(30) 내에서 회전하도록 그 상단개구부의 내부표면내에서 상기 축융기부(302) 각각을 교차해서 형성되고, 상기 제 2 원판부(212)에 지지되도록 상기방사상의 돌기(608)와 계합하는 환형상의 홈(303)으로 구성된 피벗힌지와, 상기 외부원통 케이스(30)와, 상기 외부원통 케이스(30)에 대해서 회전자재케 착설되고 상기 피벗핀(12)에 대하여 회동자재케 접속된 내부원형부재(40)와, 도어폐쇄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내부원형부재(40)에 대하여 상기 제 2 좌판(21)과 함께 상기 외부원통 케이스(30)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서 비틀려지도록 그 일단부가 상기 외부원통 케이스(30)에 착설되고 타단부가 상기 내부원형부재(40)에 접속되는 코일스프링부재(31)로 구성된 도어폐쇄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폐쇄장치를 갖춘 피벗힌지.
KR1019810002348A 1980-06-28 1981-06-28 도어폐쇄 장치를 갖춘 피벗힌지 Expired KR8600015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0-90024 1980-06-28
JP9002380U JPS5829253Y2 (ja) 1980-06-28 1980-06-28 着脱自在式ドアクロ−ザ
JP80-90022 1980-06-28
JP80-90023 1980-06-28
JP55-90023 1980-06-28
JP9002280U JPS5810866Y2 (ja) 1980-06-28 1980-06-28 着脱自在式ドアクロ−ザ
JP55-90024 1980-06-28
JP9002480U JPS5810867Y2 (ja) 1980-06-28 1980-06-28 ピボツトヒンジ
JP55-90022 1980-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6559A KR830006559A (ko) 1983-09-28
KR860001572B1 true KR860001572B1 (ko) 1986-10-08

Family

ID=27306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348A Expired KR860001572B1 (ko) 1980-06-28 1981-06-28 도어폐쇄 장치를 갖춘 피벗힌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413373A (ko)
KR (1) KR860001572B1 (ko)
DE (1) DE3125458C2 (ko)
FR (1) FR2485609B1 (ko)
GB (1) GB2082244B (ko)
IT (1) IT113796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1903A1 (en) * 1999-03-19 2000-10-19 Doorsoft Co.,Ltd. Vertical type door closer
CN101517184B (zh) * 2006-08-08 2012-11-14 爱旺创新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材料的带自动返回功能的铰链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5448Y (es) * 1986-06-25 1987-09-01 Zeljko Bebek Vuksic Bisagra de resorte con amortiguador, perfeccionada
US5011029A (en) * 1988-06-30 1991-04-30 Sugatsune Industrial Co., Ltd. Coat lift hanger
US5016317A (en) * 1990-05-14 1991-05-21 Hung Sheng Hu Lightly-operating automatic door closer with double cylinders
JP3072522B2 (ja) * 1990-07-24 2000-07-31 日本発条株式会社 蝶番装置
DE19546051B4 (de) * 1995-11-04 2005-05-25 Friedrich Fischer Federgelenk mit Dämpfungselement
US5649339A (en) * 1996-07-29 1997-07-22 Reed; Clay R. Door closing device
AU2001269562A1 (en) * 2000-11-23 2002-06-03 Heung-Kee Kim Door hinge unit
KR100403366B1 (ko) * 2001-01-17 2003-10-30 주식회사 솔텍 도어 개폐 완충 장치
KR20030075806A (ko) * 2002-03-20 2003-09-26 주식회사 아이크 도어 개폐장치
KR20030074566A (ko) * 2003-08-29 2003-09-19 주식회사소진 캠을 이용한 도어의 자동폐쇄장치
PL2356304T3 (pl) * 2008-11-14 2013-03-29 Joseph Talpe Urządzenie uruchamiające z tłumieniem drgań
KR101045127B1 (ko) * 2009-05-27 2011-06-30 이영채 여닫이문용 피벗 고정장치
EP2295693A1 (en) * 2009-08-27 2011-03-16 Joseph Talpe Door closing mechanism
CN102337817B (zh) * 2011-08-31 2013-12-25 中山市莎丽卫浴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复位离合铰链
US9151101B2 (en) 2011-09-07 2015-10-06 Hardware Resources, Inc. Detachable hinge damper
US8745820B2 (en) * 2011-09-30 2014-06-10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Rotary hinge with adjustable damping assembly
DE102012111519B3 (de) * 2012-11-28 2013-06-27 Simonswerk,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Türband
US11339595B2 (en) 2018-02-15 2022-05-24 Lippert Components, Inc. Removable door and hinge system therefor
TWI722441B (zh) * 2019-05-27 2021-03-21 陳旺松 組合式鉸鏈及液壓裝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81774A (en) * 1917-08-23 1918-10-15 Emile Franckaerts Check-hinge.
DE604172C (de) * 1931-11-08 1934-10-16 Masanori Hirakawa Fischband mit regelbarer Fluessigkeitshemmung
US2325711A (en) * 1940-08-02 1943-08-03 David J Seaman Hydraulic door check
GB940343A (en) * 1958-11-22 1963-10-30 Hiroaki Hideyoshi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inges
GB1227324A (ko) * 1968-02-08 1971-04-07
GB1441822A (en) * 1973-06-27 1976-07-07 Grisebach H T Door closers
US4068344A (en) * 1976-10-21 1978-01-17 Chiyo Okabe Door hinge mechanism
JPS5724839Y2 (ko) * 1977-03-19 1982-05-29
US4325164A (en) * 1978-08-19 1982-04-20 Nippon Electric Industry Co., Ltd. Offset pivot hinges with door closing devic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1903A1 (en) * 1999-03-19 2000-10-19 Doorsoft Co.,Ltd. Vertical type door closer
CN101517184B (zh) * 2006-08-08 2012-11-14 爱旺创新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材料的带自动返回功能的铰链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485609B1 (fr) 1985-10-04
US4413373A (en) 1983-11-08
IT1137966B (it) 1986-09-10
GB2082244B (en) 1984-02-22
DE3125458C2 (de) 1986-09-04
DE3125458A1 (de) 1982-06-16
KR830006559A (ko) 1983-09-28
IT8122624A0 (it) 1981-06-29
FR2485609A1 (fr) 1981-12-31
GB2082244A (en) 198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1572B1 (ko) 도어폐쇄 장치를 갖춘 피벗힌지
US5152189A (en) High-torque damper
JPS5822424Y2 (ja) 油圧緩衝器
US3401422A (en) Hinge
US3028619A (en) Hold open device for door closer
KR910001332A (ko) 배기구 조립체
CN1278579A (zh) 开式门或窗框的铰链
CA2273725A1 (en) Door hinge device
US4325164A (en) Offset pivot hinges with door closing devices
KR920007701B1 (ko) 요동 피스톤 모터
GB2071201A (en) Adjustable door hinge
CN107366488A (zh) 用于门的驱动装置
SE446113B (sv) Ventilvridningsanordning
KR100251855B1 (ko) 서양식 변기의 변좌와 덮개의 개폐장치
JPS5853909Y2 (ja) ドアクロ−ザの閉扉力プリセット機構
JPS5829253Y2 (ja) 着脱自在式ドアクロ−ザ
JPS5810866Y2 (ja) 着脱自在式ドアクロ−ザ
KR840000825B1 (ko) 문짝정지 기구를 가진 폐문장치의 오프셋 피벗힌지
JPS5814773Y2 (ja) 自動閉扉調速機構ピボットヒンジ
KR19990046593A (ko) 스톱퍼기능을갖는도어의스프링식클로져
JPS6122129Y2 (ko)
JPH0145320Y2 (ko)
KR200328910Y1 (ko) 스프링 경첩
JPS5810867Y2 (ja) ピボツトヒンジ
KR200338218Y1 (ko) 도어 개폐 완충기의 텐션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106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8606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60908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61222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61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861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910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10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12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10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9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801 Expiration of term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0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0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